단원 9 결론
구약에는 유다에 대한 매우 분명한 예언이 있다. (북왕국 이스라엘에 대한 예언은 없다. 이스라엘은 여로보암 왕 때 하나님을 배반했고, 이 왕국은 먼저 멸망했다. 분명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기뻐하시지 않으셨고, 그 나라를 버리신 것이다. 그리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예언은 없다.) 유다에 대한 예언은 계속되어 주 예수님에게까지 이른다. 우리는 마태복음 1장의 세계(世系, 족보를 말함; 역주)에서 이를 볼 수 있다. 구약에는 우리에게 오로지 장래의 일들만을 예언한 예언자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다니엘은 열국(列國)에게 일어날 일들을 예언했다. 유다는 멸망될 수 밖에 없었고, 유다의 멸망 후에 2500 년의 세월 동안 주 예수의 재림 때까지 이방 나라들이 하나 하나 연이어 일어나게 된다. 다니엘 2, 7, 9, 11 장들처럼 매우 널리 알려진 예언들은 이방인들에 대한 아주 상세한 예언을 담고 있다. 유다와 이방인들에 대한 예언 외에도 하나님의 계획 안에는 그분의 교회가 있다. 교회에 대한 예언이 어디 있는가? (저자가 바울인) 처음 7 서신을 보면 예언이 없다. 마태복음 13장에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그 내용이 하늘 나라의 외양만 말하고 있어 그것이 충분히 구체적이거나 만족할 만한 것이 못된다. 따라서 우리는 계시록 2, 3장의 7 서신만이 우리에게 교회에 대한 예언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일일이 간략히 살펴 보았고 이 모두 다 성취되었음을 보았다. 우리는 이미 주께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예언들을 보았고 그것이 역사적으로 성취되었음을 보았다. 우리는 그 예언들이 이미 성취되었음을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따라서 예언의 성취에 맞춰 그 일곱 서신을 읽는 것이 매우 수월해 졌다.
이 7서신을 통하여 주께서는 우리에게 이긴자가 되기 위한 지침을 주시길 원하신다. 주께서는 특별히 우리가 이기기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말씀하시고, 이 7 서신의 예언을 성취시키심으로 당신께서는 이 땅에서 우리가 이긴자가 될 수 있는 길을 보여주셨다. 일곱 서신 모두를 다 살펴보면 우리는 매서신이 네 부분으로 나뉘어 있음을 보게 된다. 첫 서신에서 마지막 서신까지 다 같다. 먼저 주님 자신의 성호가 나오고, 그 다음에 교회의 처지, 그리고 이긴자가 받을 상급, 마지막으로 들을 귀 있는 자들에게 하시는 말씀이다. 모든 교회에게 이긴자가 언급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나름대로 독특한 면이 있고, 이긴자들에게 주시는 주님의 상이 저마다 다르다. 그러므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교회 사정을 불문하고 어느 교회든 문제가 있을 때마다 신자가 주님 앞에 충성스럽다면 마땅히 행할 바를 알게 된다는 것이다. 주께서는 그 문제의 해결책을 우리에게 보여주신다. 주께서는 당신께서 길이시고, 진리이시고, 생명이시라 말씀하신다. 따라서 우리가 어느 서신에 속하고 어느 형편에 처해 있는가에 상관없이 주께서는 우리의 형편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우리가 그 형편에 대해 근심하기를 원치 않으시고, 단지 우리가 주님이 어떤 분이신지 알기 원하신다. 계시록은 이 시각을 회복시켰다. 주님에 대한 지식을 말하자면, 우리는 단지 한 번의 계시로 그것을 보았다. 일단 우리가 이것을 보면 모든 실패는 사라져버린다. 주님 앞에 있는 우리는 교회의 난관이 매우 급박함을 보아야 한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소리내어 도움을 청하나, 주께서는 오직 당신을 아는 자만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씀하신다. 그래서 주께서는 매서신마다 당신께서 어떤 분이신지 말씀하셨다. 그분과 같은 구세주께서 이 사태를 해결하실 수 있을까?
우리의 문제도 교회 문제와 다르지 않다. 곤경에 빠졌을 때 우리는 우리의 처지와 전혀 다르게 계신 주님을 알아야 한다. 다른 문제들은 부차적인 것들이다. 일체의 문제 해결책은 내가 주님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에 달렸다. 혹자는 많이 견딜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조금밖에 견디지 못한다. 해낼 수 있는 힘은 그것의 크고 작음에 상관없이 우리가 얼마만큼 주님을 알고 있는가에 달렸다. 그래서 매일곱 서신들의 서두에 주께서 어떤 분이신가에 주목하고 있다. 사람이 주님을 알지 못하면 교회도 알 수 없게 된다. 많은 자들이 하나님 앞에서 눈이 감겨 있어 현재의 교회 처지에 만족하고 있다. 그들은 보좌에 앉으신 이가 누구인지 보지 못했다. 그들은 주님의 영광의 또 다른 면과 그분의 권능을 보지 못했다. 당신이 주님을 알면 당신은 사람의 죄와 교회의 죄를 발견할 것이다. 모든 문제 해결의 최대 관건은 당신이 얼마나 주님을 아는가이다. 하나님을 조금밖에 알지 못하는 자는 하나님의 계시를 받지 못해 염치없는 일들에 대해 관대하다. 그러나 주께서는 그분 앞에 거하는 자들이 그분의 뜻에 어긋나는 일들에 너그러운 행동을 보이는 것을 원치 않으신다. 일단 우리가 주님 전에서 계시를 받으면 주께서는 그분의 뜻에 반(反)하는 모든 것을 제거하신다. 그 다음에 우리는 우리가 거룩해지려면 주님을 영접해야 하고, 우리가 거룩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주님과의 교제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일곱 서신들의 문제를 볼 때 우리는 제도 문제를 논하고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기억하시길 바란다. 일곱 서신들의 제반 문제는 주님과 연관되어 있다. 당신이 주님을 알면 당신은 제멋대로 걷고 있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죄없다 아니할 것이다. 당신이 주님을 충분히 모르면 당신은 욕망을 좇아 행하는 그들의 행위를 용납할 것이다. 어느 한 사람이 주님께 온전히 성실치 못함으로 수차 크리스천들에 대해 관대해질 수 있다. 그의 주님에 대한 불성실은 여전히 이러한 것을 죄로 여기시는 주님을 알게해주는 계시를 그가 받지 못함에 기인한다. 세상에! 주님과 그분의 백성 사이에 우리가 누구를 섬겨야 하는지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니!
Chapter Nine
Conclusion
In the Old Testament there are very clear prophecies concerning Judah. (Israel had no prophecy. Israel at Jeroboam’s time rebelled against God, and was the nation which perished first. Evidently, God was not pleased with Israel and rejected her. So Israel had no prophecy.) Judah’s prophecy continued through to the Lord Jesus ㅡ we can see this from the genealogy in Matthew chapter one. In the Old Testament, there were many prophets whose work had no other purpose but to show us how things will be in the future. For instance, Daniel prophesied concerning the condition of the nations. Judah was to perish, and after it perished, in these two thousand five hundred years the Gentile nations were to be raised up one by one until the coming again of the Lord Jesus. Hence, well known prophecies such as those in Daniel chapters 2, 7, 9, and 11, are very detailed prophecies concerning the Gentiles. Besides the prophecies concerning Judah and the Gentiles, in God’s plan there is still the church of God. Where is the prophecy concerning the church? When we read the first seven epistles [those by Paul], there are no prophecies. It seems there are some in Matthew chapter 13, but they are not detailed enough and not a sufficiently clear reference to the church, for there it refers to the outward appearance of the kingdom of heaven. Therefore, we may say that only Revelation chapters two and three, only these latter seven epistles, show us the prophecy of the church. Thus far we have briefly studied through each one and have seen that each has been fulfilled. We have already seen the prophecies which the Lord has shown us and the fulfillment given by history. We thank God that the prophecies have already been fulfilled; it is therefore much easier for us to read the seven epistles according to their fulfillment.
Through these seven epistles the Lord desires to provide us with a guide on how to be overcomers. The Lord is especially telling us how we ought to behave in order to overcome, and so, through the fulfillment of these epistles, he shows us the way to be an overcomer on this earth. Therefore, this is related to the way in which everyone of us walks.
As we look at these seven epistles together, we see that each epistle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From the first epistle to the last they are all alike. First there is the name of th Lord Himself, then the condition of the church, then the reward to the overcomer, and finally the calling to those who have ears. In each epistle, the Lord shows us who He is, what is the condition of the church, what He will give to the overcomer, and then appeals to him that has an ear that he may hear. There is the calling to the overcomers in every church; each has its own special feature, and the Lord’s rewards to the overcomers are also different. So here let us learn that regardless of the condition the church is in, whenever any church has a problem, if man is faithful before the Lord, he will discover what he must do. The Lord shows us the way to deal with the problem. The Lord says He is the way, He is the truth, and He is the life. So no matter in which epistle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we are, the Lord does not want us to pay attention to the situation, however bad it may be; rather, He wants us to see who He is. Revelation recovers the seeing. Concerning the knowledge of the Lord, we see it by revelation just once. Once we see it, all failures are passed. We must see before God that the difficulty of the church is quite urgent. In this situation we cry for help, but the Lord says that only he who knows Him has help. So in each epistle, the Lord makes one statement speaking of who He is. Will such a Lord as He be able to deal with this situation?
As it is with the church, so it is with ourselves. In difficult circumstances, we must know the Lord who is contrary to our difficulty. The other problems are secondary. The solution to all problems depends on how much I know the Lord. Some are able to bear much, but some can bear only little. The strength to bear, whether much or little, depends on how much we know the Lord. Thus, at the beginning of each of the seven epistles attention is given to who the Lord is. If a man does not know the Lord, he will not be able to know the church. Many are quite satisfied with the condition of the church today, because before God they do not see. They have not seen who it is that sits upon the throne; they have not seen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glory of the Lord and His virtues. If you know the Lord, you will discover man’s sin and also the church’s sin. The solution to the whole problem depends on how much you know the Lord. He who knows only a little of God has little revelation of God and is more tolerant with presumptuous things. But for every one who stands before the Lord, the Lord removes the toleration for that which is not according to His will. Once we receive revelation before the Lord, the Lord removes everything that is not according to His will. Then we know that if we want to be holy, we will have the Lord; if we do not want to be holy, we will lose the fellowship of the Lord.
Regarding what we have seen concerning the things of the seven epistles, we must understand that we are arguing concerning the problem of the system. Please remember, all the things of these seven epistles are related to the Lord. If you know the Lord, you will condemn God’s people who walk according to their own wishes; if you do not know the Lord sufficiently, you will tolerate their walk according to their own desire. Many times a person can tolerate Christians because he is not faithful enough to Christ. His lack of faithfulness to the Lord is due to the fact that he still does not have revelation to know the Lord who condemns this as sin. Oh, there are even times when we must choose between the Lord and His people as to whom we must serve.
우리는 일곱이라는 수가 명백히 삼과 사로 나뉘어짐을 보았다. 에베소 다음은 서머나, 그리고 서머나 다음은 버가모이다. 이들 모두 이미 사라져서 이 셋이 한 동아리를 이룬다. 나머지 넷도 한 그룹을 이룬다.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그리고 다오디게아, 이 넷은 이전의 셋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땅에 사데 교회가 있었을 때 두아디라도 여전히 있었고, 빌라델비아 때에는 사데, 라오디게아 때에도 빌라델비아 교회가 있었다. 환언하여, 이 네 교회는 이 땅에 함께 존속한다. 그들은 동시에 시작되지 않았으나 같은 시기에 결말을 본다.
오늘날 우리에게 이 네 교회는 의미심장한 것이다. 개신교 교회가 등장했을 때 로마 카톨릭 교회는 천여 년 동안 있었다. 빌라델비아가 나타났을 때 개신교는 300여년 있었다. 라오디게아가 타나났을 때 빌라델비아는 이미 수십 년간 존속했다. 오늘날 이와같은 시대에 태어난 우리는 아주 특별한 문제에 부닥친다.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네 종류의 교회가 있다. 우리가 14세기나 15세기 이전에 태어났다면 로마 카톨릭 교인이 되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 우리가 18세기에 태어났다면 우리는 로마 카톨릭 교회나 개신교 교회에 속할 수 있다. 그 다음 세기 1825년에 빌라델비아 교회가 등장했고 형제들이 분기했다. 그래서 우리는 세 가지 중에서 선택하게 되었다. 1840년 이후 라오디게아 교회가 나타났다. 오늘날 네 종류의 교회가 있다. 이 네 교회 모두 그 안에 구원받은 자들이 있다. 몇몇은 좀 더 낫고 몇몇은 좀 좋지 않을 뿐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네 가지 선택의 길을 제시하신다.
그러나 주께서는 또한 우리에게 요구하신다. 그분의 요구는 로마 카톨릭 교회가 아니다. 이 문제는 이미 끝난 사항이다. 내가 교황의 제자가 되어야 할지 말지 묻는 기도를 드릴 필요가 털끝만큼도 없다. 비록 이 예언이 계시록 2장에 나오나 그것을 택할지 말지를 결정해야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성경을 연구하는 모든 자들은 로마 카톨릭 교회를 택하는 문제를 의미없는 것으로 본다. 문제는 여기 있으니, 많은 형제들이 개신교 교회를 선택하는 문제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주께서 우리가 사데 교인이 되는 것을 원하실까? 해괴한 일은 많은 자들이 사데 교회에 속해 있는 것을 자못 만족해 한다. 그러나 우리가 주님의 말씀을 읽어보면 주께서는 사데 교회에 만족하시지 않으심을 우리에게 알려주실 것이다. 주께서 원하시는 교회는 빌라델비아 교회이다. 우리가 알아본 일곱 서신 중에 오직 빌라델비아만 주님께 칭찬 받았다. 다른 서신들에서는 주께서 항상 약간의 질책의 말씀을 하셨다. 서머나는 좀 나아서 책망을 받지 않았으나 칭찬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빌라델비아는 다르다. 처음부터 끝까지 주께서 칭찬만 하셨다. 이제 당신은 물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형제운동에 합류해야 하나 (마치 이 운동이 "합류"라도 될 수 있는 것처럼)? 형제운동에 몸담은 많은 자들이 이미 라오디게아 교인이 되었다. 그러면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하나? 라오디게아는 주께서 거부하신 교회다. 우리가 빌라델비아와 보조를 맞추지 않고 방심하면 라오디게아로 되고 말 것이다.
오늘날 하나님의 자녀들이 꼭 주목해야 할 아주 큰 문제 하나가 있다. 1921년 이래로 중국에서 복음은 우리에게 날로 분명하게 이해되었다. 구원받은 자들의 수가 점점 증가했고,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관심을 점진적으로 교회에 대한 진리로 향하도록 하셨다. 우리는 깨닫기 시작했다. 교회는 전적으로 하나님으로 말미암는 것이고, 오직 구원받은 자들만이 그 구성원이 될 수 있고, 하나님께서 성경에서 하신 말씀만이 교회 안에 보존되어야 한다. 당시 우리들 중 그 누구도 형제운동을 들어보지 못했다. 1927년이 되어서야 우리는 이런 유의 사역이 널리 퍼져 있음을 듣게 되었다. 계속 받아본 인쇄물을 통해 우리는 전세계 모든 나라들에 널리 퍼진 매우 위대한 운동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았다. 그것은 종교개혁 정도의 위대한 운동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우리는 그들 중 다수가 라오디게아 교회로 추락했음을 감지했다. 당시에 우리에게 의문점이 있었다. 성서는 뭐라 말하는가? 하나님의 자녀들이 한낱 운동 같은 것에 동참해야 하나? 기독교인의 일치는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져야지 한낱 운동에 의해서는 안된다. 그래서 우리는 성경을 연구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들였다. 우리에게 점점 획신이 서는 것은 다음과 같다. 한 지역의 범위를 벗어난 교회는 교회가 아니고, 한 지역보다 사역범위가 작은 교회도 또한 교회가 아니다. 이 시대에 하나님께서는 네 가지 상이한 교회들을 우리에게 보이신다. 이것을 우리는 로마 카톨릭 교회, 개신교 교회, 서로 사랑하는 형제들, 형제단(the Brethren Assemblies)이라 말할 수 있다. 네번째 교회인 형제단이 라오디게아 교회이다. 이 단체는 이미 한 종파가 된 것이다. 나는 한 형제에게 물었다. "당신께서는 제가 형제로 보이십니까?" 그가 말했다. "물론 당신께서야 형제시죠. 하지만 '당신네들' 중에는 여전히... 글쎄요..." 즉시 나는 말했다. "그러면 '당신은' 어떤 분입니까? 제가 여기서 형제가 되는 데 부족한 점이라도 있습니까? '우리'라는 말 속에는 예수님의 보혈로 구원받은 모든 자들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가령 어느 때든지 충킹에 구원받은 자가 있으나 충킹에 있는 교회에서 그를 형제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충킹에 있는 그 교회는 하나의 소종파로 된 것이다. 사람이 한 형제를 형제로 부르기 전에 그로부터 형제됨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면 이것이 바로 소종파이다. 그들이 스스로를 형제단이라고는 안할지라도 그곳에는 보이지 않는 경계선이 그어져 있다.
We already know that the number “seven” is evidently divided into three and four. After Ephesus is Smyrna, and after Smyrna is Pergamos. These three are of one group, for they have all passed away. The latter four are also of one group. Thyatira, Sardis, Philadelphia, and Laodicea ㅡ these four ㅡ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former three. In the days of Sardis on this earth, Thyatira is still on this earth; in the days of Philadelphia on this earth, Sardis is here too; in the days of Laodicea on this earth, Philadelphia is also here. In other words, the last four churches continue their days on the earth together. They not begin at the same time, but they end at the same time.
These four churches before us today are very meaningful. When the Protestant churches appeared, the Roman Catholic Church had been here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When Philadelphia appeared, the Protestant churches had been here for more than three hundred years. When Laodicea appeared, Philadelphia was already here several scores of years. We who are born in this age today are confronted with something very special: there are four different kinds of churches from which we may choose. If we were born before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we would have no other way but to be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If we were born in the eighteenth century, we could choose either to belong to the Roman Catholic Church or to the Protestant churches. In the following century, in 1825, Philadelphia appeared and the brothers rose up; so we would have had three to choose from. Then after 1840, Laodicea appeared. Today there are four different kinds of churches. In all four there are people who are saved ㅡ some are better, and some are worse. God puts us here where there are four ways from which we can choose.
But the Lord also shows us His desire. His desire is not the Roman Catholic Church; this question is past. There is not the least necessity of praying whether or not I must be a disciple of the pope. Although this prophecy is placed in Revelation chapter 2, the need of deciding whether or not to choose it no longer exists. All those who study the Bible know that the problem of choosing the Roman Catholic Church is over. The difficulty lies here: that is, many brothers do not know that the problem of choosing the Protestant churches is also over. Does the Lord want us to be in Sardis? Strangely enough, many are rather satisfied to be in Sardis. But if we read the Word of God, the Lord will show us that He is not satisfied with Sardis. The Lord’s desire is Philadelphia. Of the seven epistles which we have seen, only Philadelphia is praised by the Lord. In the other epistles, the Lord always gives some word of rebuke. Smyrna is better and has no rebuke, but neither does she have any praise. Philadelphia, however, is different; from beginning to end the Lord only praises her. Then you will ask, Should we then join the movement of the brothers (as if this movement can be “joined”)? Many people in the movement of the brothers have become Laodicea already. Then what shall we do now? Laodicea is also rejected by the Lord. If we are not careful, instead of catching up with Philadelphia, we will get into Laodicea.
There is a great problem today to which God’s children must pay attention. Since 1921 in China, the gospel became clearer and clearer to us, those who were saved increased more and more, and God directed our attention increasingly to the truth of the church. We began to see that the church is entirely of God, only those who are saved can be in it, and only the words which God has ordained in the Bible are to be kept by the church. During that time none of us ever heard of the movement of the brothers. Not until 1927 did we begin to hear of this kind of work abroad. Through literature continually received, we knew there was a very great movement going on, filling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The Reformation was just such a great movement. But on the other hand, we felt that many among them had fallen into the position of Laodicea. At that time we had a question: What does the Bible say? Should the children of God join a movement? The unity of Christians ought to be in Christ and not in a movement. So we spent more time to study the Bible. We beame increasingly clearer that that which is bigger than the locality is not the church, and that which is smaller than the locality is also not the church. In this age, God shows us four different churches. We may put it in this way: there are Roman Catholic Church, the Protestant churches, the brothers who love one another, and the Brethren Assemblies. The fourth one, the Brethren Assemblies, have fallen into the position of Laodicea. As far as this group is concerned, it has become a sect. I asked a certain brother, “Do you think I look like a brother?” he said, “Yes, you do, but in ‘your’ midst there is still ...” Immediately I replied, “Then what are ‘you’? Is it not enough for me to be a brother here? In ‘us’ are included all those redeemed by the blood.” If at any time there is a brother saved in Chunking, yet the church in Chunking says he is still not a brother, then the church in Chuking has become a sect. It is a sect that requires something more of a man who is a brother before you can call him a brother. Although they may not say that they are the Brethren Assembly, yet there is an invisible boundary placed there.
오늘날 빌라델비아 교인들은 누구인가? 어느 장소에 있는 교회든 빌라델비아가 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실상 어느 게 빌라델비아이고 어느 게 아닌지 나에게 구별할 방도가 없다. 아마 충킹 교회는 빌라델비아이고 쿠밍 교회는 아닐 것이다. 아마 쳉투 교회는 빌라델비아이고 랑코우 교회는 아닐 것이다. 일곱 서신이 지역성(locality, 한 지역의 한 교회 원칙을 말함; 역주)을 나타내는 것처럼 오늘날 지역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는 로마 카톨릭 교회를 거부해야 하고 개신교를 떠나야만 한다. 소극적인 면으로 볼 때 당신은 이 둘을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생각하여, 당신은 빌라델비아 교인인가? 그렇지 않으면 여전히 라오디게아 교인인가? 로마 카톨릭에서 빠져 나오는 것도 쉽고 개신교에서 빠져 나오는 것도 쉽다. 왜냐하면 당신은 단지 편지를 써 놓고 현관문을 나서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신이 빌라델비아 교인인지 아닌지는 의문으로 남아 있다. 문제는 당신이 뒷문으로 나갔을 때 발생한다. 빌라델비아는 사데로 추락할 수 없으나 라오디게아로 갈 수 있다. 라오디게아 교회에 대한 주님의 질책은 사데 교회 때보다 훨씬 강경하다. 여기 주께서는 우리가 주님의 성호를 높여드리는 것을 배우기 원하신다. 주님의 이름으로 두세 사람이 모인 곳에 주께서 그들 중에 임재하시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신은 절대 당신 스스로를 높여서는 안된다. 스스로를 빌라델비아라고 하는 자들마다 이미 빌라델비아이기를 그쳤다.
오늘날 당신이 교파를 떠나 (참된) 교회를 바라 본다면 그 때 오로지 하나님의 말씀이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듭난 형제가 한 사람있다. 당신이 그를 형제라 아니할 수 있나? 그가 복음의 진리를 명확히 알고 있어도 형제이고, 그가 그 진리를 몰라도 여전히 형제이다. 그가 집에 있어도 나의 형제이고 그가 길가 도랑에 빠져도 여전히 나의 형제이다. 실수 중의 가장 큰 실수는 그를 이 세상에 나오게 하신 나의 아버지를 내가 비난하는 것이다. 빌라델비아의 특징은 형제애이다. 오늘날 당신이 걸어야할 유일한 길이 바로 이 길이다. 그러나 당신은 절대로 다음과 같은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나는 총명한 형제를 사랑하고, 사랑받을 만한 자를 사랑한다. 하지만 밉살스런 자는 사랑하지 않겠다.' 그가 명석하든 그렇지 않든 그것은 그의 일이다. 우리는 "당신은 다루기 힘들다"라고 말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올해 당신이 깨달은 것을 명년에 그도 깨달을 것이다. 그가 성경을 읽는 동안 주께서 그에게 빛을 보게 하실 것이다. 하나님의 마음은 그처럼 크다. 우리도 그렇게 되어야 한다. 우리는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을 품기에 족한 마음 갖기를 배워야 한다. 당신네들이 "우리"라 말하면서도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을 포함시키지 않는다면 당신들은 형제애적 태도를 버리고 스스로 높임으로 가장 엄청난 파벌이 된 것이다. 우리가 가야 할 길은 빌라델비아의 길이다. 어려운 점이 있다면, 빌라델비아 교회가 모든 형제들을 포함한다는 것이고, 그럼에도 일부 형제들이 그 정도까지는 관용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실례(實例)를 들어보자. 중일전쟁 전에 나는 쿠밍에 살았다. 거기에 나와 대화 나누기를 청한 **교회 형제가 있었다. 그는 매우 훌륭한 형제였다. 나를 만나자 그는 말했다. "당신은 기억하십니까? 상하이에서 '우리가 어떻게 서로 협조할 수 있는가'하고 제가 당신께 여쭸는데 아직까지 답변이 없으십니다." 나는 말했다. "형제님, 당신께서는 그곳 안에서 제가 아무 역할도 할 수 없는 **교회 교인이십니다." 그가 말했다. " 옳으신 말씀입니다. 그러나 그 점에 대해 당신께서 염려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주님 안에서 우리가 아주 바람직한 방향으로 협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말했다. "저는 한 교회의 교인입니다. 그리고 제가 그 안에 있고, 요한, 마틴 루터, 존 웨슬리, 그리고 후드슨 테일러도 그 안에 있습니다. 당신도 또한 그 안에 있습니다. 제 교회는 너무 커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자들이 대인이든 소자든 그 안에 다 있습니다." 나는 계속했다. "형제님, 형제님과 저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저는 오직 한 교회를 세우려 하나 당신께서는 두 교회를 세우려 하십니다. 제 작품은 오직 그리스도 교회이지 **교회가 아닙니다. 당신께서 세우시고자 하는 교회가 **교회가 아니고 그리스도 교회라면 저는 전적으로 당신과 협력할 수 있습니다." 형제여, 자매여! 여기서 당신들은 그 차이를 아십니까? 그 형제님의 사랑은 충분하지 않다. 그는 **교회 안의 그리스도 교회를 외치고 있다. 그는 두 교회를 세우고 있다. 내 말이 끝나자 그는 가장 중요한 게 뭔지 그때 깨달았다고 고백했다. 그가 내 손을 잡으며 다시는 그 문제를 재론하지 않겠다고 했다.
형제애는 우리가 모든 형제들을 사랑해야 함을 말한다. 한 형제에게 약점이 있다면 이는 별개의 사항이다. 나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침례를 받아야 한다고 말하나 그가 세례를 받는다고 해서 형제가 될 수 없다고 말할 수 없다. 그가 물에 잠김으로 거듭났다. 그리고 그가 물에 잠기지 않았더라도 또한 거듭난 것이다. 그저 실수 중의 실수가 있다면 나의 부친(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를 태어나게 하셨다는 것이다. (주여! 이런 식으로 말한 저를 용서하소서!) 진정 기회가 닿는다면 당신은 그와 함께 성서를 읽어 그로 하여금 내시와 빌립이 물로 내려갔음과 주 예수께서 물 위로 나오셨음을 알게 해야 한다. 성서가 말하는 세례는 단지 손가락 두 개가 물에 잠겼다가 나오는 게 아니라 한 인간이 물에 잠겼다가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가 이 일을 하지 않았다 해서 그가 형제가 아니라고 해서는 안 된다. 형제됨의 근거는 생명에 있지 침례에 있지 않다. 비록 우리가 침례가 옳은 줄 아나 우리는 침례 교회가 아니다. 우리의 교제의 근거는 예수님의 보혈과 성령으로부터 오는 생명에 있지 지식에 있지 않다. 그것이 비록 성경 안의 지식일지라도!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한 형제에게 하나님의 생명이 있는가의 여부이다. 그가 거듭났다면 형제이다. 서로 사랑함은 바로 이런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우리가 다른 것들을 끌어들이고 조건들을 갖다 붙일 때마다 우리는 소종파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찬 문제를 살펴보자. 새신자인 바울은 한 곳에 도착했다. 누군가 그를 그곳에 데리고 갔고, 그는 실로 신앙고백이 있는 자였다. 그들은 그가 형제임을 알았고 그래서 그도 떡을 뗄 수 있었다. 거기에는 부차적인 조건이 전혀 필요없었다. 그가 대환난이 7년간 계속된다는 것을 알았는가? 휴거가 부분적으로 임하는가 전체적으로 임하는가? 당신이 이런식으로 사람들에게 질문하면 이는 정말이지 그릇된 것이다. 내가 나 정도의 형제만 사랑하면 나는 당파주의자이고 이는 형제애와 배치된다. 다행히 우리 모두는 형제이다. 주님의 보혈로 구속된 자들은 각자 나름대로 다 형제이다. 당신 자신으로부터 무언가 나온 게 있다면 그것은 교만임이 분명하다. 혹자는 말한다. "우리만 옳다. 당신들 형제들은 모두 그릇되다." 그러나 성찬의 떡에는 옳은 형제, 그른 형제 가릴 것 없이 다 참여시켜야 한다.
What kind of people is today’s Philadelphia? The church in every place may be Philadelphia, and it also may not be. Actually, there is no way for me to say which one is and which one is not. Perhaps the church in Chungking is Philadelphia and the church in Kunming is not. Perhaps Chengtu’s church is Philadelphia and Lanchow’s is not. Today it has become a problem of locality, just as the seven epistles are for localities. We must reject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we must leave the Protestant churches. On the negative side, you can eliminate these two; but on the positive side, are you Philadelphia? or still Laodicea? It is easy to withdraw from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it is also easy to withdraw from the Protestant churches; all you need to do is write a letter and walk out the front door. But whether or not you are Philadelphia remains a question. This depends on whether or not you have walked out the back door. Philadelphia may not fall back to Sardis, but she may fall into Laodicea. The Lord’s criticism of Laodicea is much stronger than His criticism of Sardis. Here the Lord wants us to learn to exalt the name of the Lord. For where two or three are gathered together in the Lord’s name, there the Lord is in their mist. But you should never exalt yourself. Whoever claims himself to be Philadelphia no longer appears as Philadelphia.
Today if you have left the denominations and have seen the church, then only the Word of God can be the standard. For instance, there is a certain brother, a born again person. Can you say he is not a brother? He is a brother if he knows the truth clearly, and he is still a brother if he does not know the truth clearly. If he stays at home he is my brother, and if he falls into the ditch on the street he is still my brother. The mistake of all mistakes, I can only blame my Father for begetting him.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Philadelphia is brotherly live ㅡ today this way is the only way for you to walk. But never should you take this kind of attitude: I love the brothers who are clear and the brothers who are lovable, but those who are not lovable I will not love. Whether he is clear or not, that is his business. We should never say, “You are a rebellious one.” What you have seen this year is what you had not seen last year. Perhaps next year he will also see what you have seen this year. While he reads the Bible, the Lord will also show him the light. God’s heart is that great; so ours must be also. We must learn to have a heart large enough to include all God’s children. Whenever you say “we” and yet by so saying you do not include all the children of God, you are the biggest sect, for you are not standing in the position of brotherly love but exalting yourself. The way of Philadelphia is the way we must take. The difficulty lies in the fact that Philadelphia includes all the brothers, yet some are not able to include so much.
Let me give you an illustrations: Before the war with Japan I went to Kumming. There was a brother there of the *** Church who asked me to have a talk with him. He was a very good brother. When he saw me he said, “Do you still remember? In Shanghai I asked you a question, but you still have not answered me ㅡ How can we cooperate?” I said, “Brother, you have a *** Church in which I have no part.” He said, “Right, but you need not worry about that; what I mean is that we cooperate nicely before the Lord.” I said, “I have a church, and I am in it, Paul is in it, Peter is also in it, and so are John, Martin Luther, John Wesley, and Hudson Taylor. You too are in it. The church I have is so great, that all who are in Christ, whether great or small, are in it.”I went on: “Brother, you and I have a difference, I only build up one church; you wish to build up two churches. My work is only the church of Christ, no *** Church. If what you mean is to build up the church of Christ and not the *** Church, then I can absolutely cooperate with you.” Brothers and sisters, do you see the difference here? That brother’s love is not great enough. He stresses the church of Christ within the *** Church. He is building up two churches. After I spoke, he confessed that that was the first time he saw what it was all about. He held my hand and said that he hoped this question would not be raised again.
Brotherly love means that we must love all the brothers. If one has some weakness, that is another matter. I say that all the children of God must be baptized by immersion, but I cannot say because one does not do it this way, he is not a brother. He is regenerated if he is immersed in water, and he is also regenerated if he is not immersed in water. The mistake of all mistakes is that my Father has begotten him. (The Lord forgive me for speaking in this way.) Indeed, when there is opportunity, you must read the Bible with him to let him know that the eunuch and Philip went down into the water and the Lord Jesus came out from the water. Baptism in the Bible is man going down and man coming up, not just two fingers going down and coming up. But we cannot say that because he has not yet done this, he is not a brother. The basis of being a brother is life, not baptism. Although we believe that baptism is right, we are not the Baptist Church. The basis of fellowship is the blood and the life of the Holy Spirit, not knowledge ㅡ not even the knowledge of the Bible. The biggest problem is whether one has the life of God or not. If he has been regenerated, then he is a brother. To love one another is but to stand in this position. Whenever we bring in other things and add requirements, we are a sect.
As an example, take the matter of the breaking of bread. Paul, a new believer, arrives in a certain place; someone has brought him there, and he really has a testimony. They know he is a brother, so he can break bread. There is absolutely no need for a second requirement. Does he believe that the great tribulation will last seven years? Is the rapture partial or whole? If you inquire of people in this way, you are basically wrong. If I only love the brothers who are the same as I, I am sectarian, and this is contrary to the testimony of brotherly love. Thank God we are all brothers. everyone redeemed by the precious blood is a brother. If something of yourself comes out, it must be pride. Some say, “Only we are right; you brothers are all wrong.” But the bread must include all the right as well as all the wrong brothers.
당신이 이와 같이 주님을 따르기 원하고 모든 형제들을 사랑하기 원해도 이 일로 모든 형제들이 당신을 사랑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이것을 명심해야 한다. 사데가 두아디라에서 나와 주님의 뜻을 따르고 있었으나 그 교회는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미움 받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빌라델비아가 사데로부터 나왔으니 또한 개신교 교파들이 당신들을 비난할 것이다. 그들이 자신들의 조직에 머물러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당신들이 그렇게 행동할 경우 그들은 당신들이 형제들을 사랑 안했다고 말할 것이다. 그들의 관점으로는 형제를 사랑함이 사데 교회를 사랑하는 것인데, 이는 형제 사랑과 교파 사랑 사이에 도무지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말과 같다. 교파를 지키려는 동기에 휩싸인 자들은 당신이 그들의 교파를 세우는 데 옹호하지 않으므로 당신의 사랑이 부족하다고 비판할 것이다. 그러나 당신의 입장은 분명해야 한다. 형제들을 사랑함과 그 형제들이 사랑하는 교파를 사랑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더욱이 우리는 전체 교회를 사랑함이 단지 어떤 한 사람이 형제인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가 형제이면 우리는 그를 사랑한다. 형제들을 사랑함이 바로 이런 것이다. 우리가 모든 형제들 중에 일부만 사랑하면 우리는 우리 동아리에 거하는 형제들만 사랑하고 있는 셈이 된다. 이런 유의 형제 사랑은 진정한 형제 사랑이 아닐뿐더러 분리주의를 옹호하는 것이 된다. 우리가 이런 소종파적 사랑을 버리지 않으면 우리는 형제들을 사랑할 수 없다. 파당을 사랑함은 옳지 않을뿐더러 그런 행동은 단연코 그릇된 것이다. 소종파를 사랑함은 형제 사랑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소종파 사랑을 제거하지 않으면 형제 사랑을 할 수 없다. 하지만 형제들을 사랑하는 어느 한 형제가 그가 소종파를 사랑하지 않으므로 타인들로부터 사랑이 없다고 비난 받는다. 이는 흔한 일이므로 이상히 여기면 안된다.
또 다른 문제를 살펴보자. 이긴자에 대한 말이 계시록 서신들에서 일곱 번이나 있었다. 주께서 에베소 교회에게 말씀하신다. 회개하라. 어떻게 이기나? 그 길은 약해진 첫 사랑을 발견하는 것이다. 서머나 교회의 이기는 길은 주님의 말씀 외에 별다른 길이 없다. '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그러면 내가 생명의 면류관을 네게 주리라.' 버가모 교회에서 주께서는 발람과 니골라당의 교훈을 책망하셨다. 따라서 발람과 니골라당의 교훈을 거절하는 자마다 이긴자이다. 두아디라 교회에서 이세벨이 거기 있었으나 그곳에는 여전히 그녀의 가르침을 따르기를 거부하는 자들이 있었다. 주께서 말씀하신다. '너희에게 있는 것을 굳게 잡으라.' 이것이 바로 이기는 길이다. 주께서는 그들이 분발하여 루터처럼 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신다. 사데 교회에는 살아 있는 자가 적다. 사데 교회에게 온전함이 전혀 없을지라도 주께서 말씀하신다. '흰 옷을 입은 자마다 이긴자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빌라델비아 교회가 환난과 역경 속에 있었음에도 주께서 말씀하신다. 너희에게 있는 것을 굳게 잡으라. 너희는 이미 이긴자들이다. 라오디게아 교회의 경우 객관적인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 교회는 주관적인 면에서 주님과 동행해야 한다. 이긴자들에 대한 약속이 교회들에게 주어졌다. 따라서 교회에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는데, 이긴 자와 진 자이다. 그 분기점이 여기에 있다. 하나님께서는 계획, 즉 기준을 제시하시고, 하나님의 기준에 도달한 자는 이긴자이고 그렇지 못한 자는 실패자이다. 승리자는 자신이 해야 할 바를 단순히 행하는 자이다. 많은 자들이 오해하는 것은 특별히 선한 자가 되어야 이긴자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잊어서는 안된다. 이김은 최소한의 여건으로도 충분하다. 이김은 기준점 이상으로 오르는 것이 아니라 기준점에 도달하는 것이다. 당신이 이 기준에 도달할 수 있으면 당신은 이긴자이다. 실패라 함은 당신이 하나님의 계획에 미치지 못하고 기준점 아래 머물러 있는 것이다.
오늘날 나에게 한 가지 기쁜 것이 있다. 나는 여러분이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른다. 두아디라 시대 1400여 년 간 하나님께서 나를 이 땅에 태어나게 안하셨다는 것이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사데 시대에 나를 세상에 보내지 않으셨다. 우리는 이 시대, 이 빌라델비아 시대에 태어났고, 이 빌라델비아가 100여 년 남짓 존속했다. 오늘날 라오디게아 교회에 많은 이긴자들이 있으나 이들은 라오디게아 교회 안의 이긴자들일 뿐이다. 교회 전체 역사를 두고 볼 때 오늘의 우리들처럼 좋은 기회를 가진 적이 없었다. "이긴자는 내 하나님 성전에 기둥이 되게 하리니 그가 결코 다시(no more, 더 이상 ...않다) 나가지 아니하리라." 당신은 "더 이상"이라는 말에 주목해야 한다. "더 이상"은 전에 밖으로 나가버린 자들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형제들 중 대부분은 이전에 밖으로 나가 지금까지 돌아오지 않고 있다. 내가 보기에 주께서 여기 약속하신 것이 매우 아름답다. 성전 기둥이 다시 밖으로 나가면 성전은 붕괴하고 만다. 다음의 세 이름들이 눈에 띈다. ' 내 하나님의 이름과 내 하나님의 성의 이름과 ... 그리고 나의 새 이름." 이름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가? 이름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하나님의 성호는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낸다. 빌라델비아 교회 말고 다른 아무 교회도 하나님의 영광을 받지 못했다. 하나님의 성의 이름은 새 예루살렘이다. 환언하여, 빌라델비아 교회는 하나님의 계획을 완수했다. 그리고 "나의 새 이름." 당신도 아시다시피 주께서 승천하셨을 때 새 이름을 받으셨는데, 그 이름은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이다(빌2:9-11). 따라서 여기 주께서 말씀하시는 바는 모든 교회들 중에 당신께서 특별히 빌라델비아 교회에 시선을 두신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하나님께 감사드림은 우리가 빌라델비아 교인이 될 수 있는 시대에 태어났다는 것이다. 비록 우리가 교회의 모습이 극도로 혼란한 시대에 있으나 감사하게도 우리는 빌라델비아 교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께서 일곱 교회들에게 동일한 말씀을 하신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찌어다." 당신은 이 말씀에 주목해야 한다. 주님의 눈은 여기에 나오는 일곱 교회만 보시는 게 아니라 세상 모든 교회들, 즉 과거나 현재, 국내나 국외의 모든 교회들을 보신다. 주께서 하시는 말씀은 모든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이다. 에베소 시대에 해이해진 기강이 오늘의 빌라델비아에 쉽사리 나타날 수 있다. 서머나 시대가 지났지만 오늘날 다시 타나날 수 있다. 한 교회 안에 이 여려 사정들이 다 나타나는 경우도 허다하다. 교회라는 게 그처럼 간단치 않다. 각 시대의 특별한 사정은 그 시대의 주요한 문제일 뿐이다. 모든 사정들이 일곱 교회 안에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여기 주께서 말씀하신다. "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찌어다." 두 사람이 거리를 걷고 있다. 한 사람이 말했다. "잠깐! 귀뚜리미 소리가 들린다." 그의 친구가 대꾸했다. "너 좀 이상한 것 아니니? 이 거리에 자동차 소리가 하도 심해 우리 대화조차 어려울 지경인데, 귀뚜라미 소리가 다 뭐냐!" 그러나 그는 길가 담장 쪽으로 달려가 친구에게 서서 들어보라 했다. 정말로 귀뚜라미가 있었다. 그의 친구가 어떻게 그 소리를 들을 수 있었냐고 물었다. 그가 말했다. "은행가 귀에는 돈 소리만 들리고, 음악가 귀에는 음악 소리만 들린다네. 내가 곤충학자인고로 내 귀는 벌레 소리를 들을 수 있다네." 주께서는 귀를 달고 있고 주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는 자는 들으라고 말씀하신다. 세상에는 귀도 없고 주님의 말씀을 들을 수 없는 자들이 많다. 당신이 귀를 가졌으면 들어야 한다. 하나님께서 우리로 하여금 곧은 길을 가게 하시기를 기도드려야 한다. 처지가 어떻든, 무슨 일이 일어나든, 우리는 빌라델비아의 길을 가야 한다.
>>> 이것으로 와치만 니의 글은 마칩니다. 다음부터는 그의 신학사상에 대한 저의 비판을 싣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tevision - <<<
When you desire to follow the Lord in such a way, when you desire to love all the brothers, it does not mean that all the brothers will love you. We should realize this. Sardis came out from Thyatira; although Sardis was following the will of the Lord, it was unavoidable that she would be hated by Rome. Likewise, as Philadelphia came out from Sardis, so the denominations will also be against you. Because they must maintain their organization, they will say that if you act in this way, you do not love your brothers. From their point of view, to love the brothers is to love Sardis, as if to love the brothers and to love the denominations are of no difference whatever. Those whose motive is to maintain the denominations will criticize your love as lacking because you are not building up their denominations. But you must be clear: to love the brothers themselves and to love the denominations which these brothers love are two different things.
Moreover, we must realize that to love the whole church is simply based upon whether or not one is a brother; if he is a brother, we love him. This is loving the brothers. If among all the brothers we only love a part, then we are only loving the brothers who are within our circle. This kind of love for the brothers is not really love for the brothers, but love for division. If we do not abandon this love of sect, we cannot love the brothers. The love of sect is not only not right; it is positively wrong. Loving a sect is the greatest hindrance to loving the brothers. Except a man get rid of the love of sect, he cannot love the brothers. But a man who loves the brothers because he has no love of sect is criticized by others as having no love. This is commonplace; do not think this is strange.
Let us bring up another point. Overcoming is mentioned in these epistles seven times. The Lord speaks to Ephesus: Repent. How to overcome? It depends on the discovery of the slackening of first love. The overcoming of Smyrna is nothing else but the Lord’s words: Be thou faithful unto the end, and thou shall receive the crown. In Pergamos, the Lord is against the teachings of Balaam and the Nicolaitans; so whoever rejects the teachings of Balaam and the Nocolaitans is an overcomer. In Thyatira, although Jezebel is there, still there are those who will not follow her teaching. The Lord says: Hold fast that which you have. This is overcoming. The Lord does not ask them to rise to be a Luther. In Sardis, there are a few who are living. Although Sardis has nothing perfect in herself, yet the Lord says: Whoever is clothed in white raiment is the overcomer. Remarkably then, to Philadelphia, although she has trials and hardships, the Lord says: Hold fast that which you have; then you have already overcome. As for Laodicea, it is not enough to have only the objective side; she must walk with the Lord subjectively. All the overcoming here refers to the differences among the children of God. The promises for overcoming are given to the churches; so in the churches there are two kinds of people, the overcomers and the defeated ones. The separating point is here: God has a plan, a standard; whoever attains to the standard of God is an overcomer; whoever does not attain to this standard is not. An overcomer merely does what he ought to do. Many have a wrong concept, thinking that to overcome means to be especially good. But remember, to overcome is the minimum degree; to overcome is not to rise above the level, but to come up to the level. If you are able to attain to this standard, you are an overcomer, To fail means that you are not able to reach the plan of God and fall below the level.
Today there is one thing that makes me very happy. I do not know how you feel. In the age of Thyatira, of almost one thousand four hundred years, God did not cause me to be born. God also did not cause me to be born in the age of Sardis. We are born in this age, the age of Philadelphia, which has existed just over a hundred years. The Lord put us in Philadelphia that we may be Philadelphia. Today in Laodicea there are also many overcomers, but these are but the overcomers in Laodicea. In the entire history of the church, there has not been an opportunity that is better than ours today. “He that overcometh, I will make him a pillar in the temple of my God, and he shall go out then no more.” You must pay attention to the word “more.” “More” means to have gone out once. Among the brothers, eight out of ten have gone out before. The Lord’s promise here is, I feel, very wonderful. If a pillar in the temple of God go out again, the temple will collapse. The following three names are special: “The name of my God, and the name of the city of my God ... and mine own new name.” What is the meaning of a name? There is great meaning in a name. The name of God represents the glory of God. Besides Philadelphia, no other church has received the glory of God. The name of the city of God is New Jerusalem. In other words, Philadelphia accomplishes the plan of God. And “mine own new name.” You know, when the Lord Jesus ascended to heaven he received a new name, a name that is above all names (Phil. 2:9-11). So here the Lord reveals that of all the churches, He especially fixes His eyes on Philadelphia. Today we thank God; we are born in an age wherein we can be Philadelphia. Although we are born in an age in which the condition of the church is exceedingly confusing, yet thank God, we can be those of Philadelphia.
Finally, please remember that the Lord speaks the same words seven times to the seven churches: “He that hath an ear, let him hear what the Spirit saith to the churches.” You have to pay attention to this word. The Lord’s eyes are not only upon the seven churches placed here, His eyes are also upon all the churches in the whole world, past and present, here and abroad. What the Lord says, He says to all the churches. The slackening condition found in the time of Ephesus is quite likely to occur in today’s Philadelphia. Although the time of Smyrna has passed away, it is quite possible that it may occur again today. Many times it is possible for the condition of every church to occur in one church. The church is not that simple. Those special conditions are but the main condition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hat all the conditions may occur in the seven churches at the same time.
The Lord says here: “He that hath an ear, let him hear what the Spirit saith to the churches.” Two persons were walking on the street, and one said, “Just a moment, I hear the sound of crickets.” His friend replied, “You are crazy; the cars in the street are making so much noise, we can hardly hear ourselves talking! How can you still hear the sound of crickets?” But he ran to the wall at the side of the street and told his friend to stand and listen. Sure enough, there was a cricket. His friend asked him how he could possibly hear it. He replied, “Bankers can only hear the sound of money, musicians only the sound of music; I am an entomologist; my ear can hear the sound of insects.” The Lord tells us that he that has an ear and can hear the Lord’s Word, let him hear. There are many who do not have ears and cannot hear the Lord’s Word. If you have an ear, you must hear. Pray that God will grant us to walk in a straight way. In any situation, whatever betide, we must choose the way of Philadelphia.
'번역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스(John Hus)의 글 [성직매매] >1< (0) | 2012.12.01 |
---|---|
[교회의 정통성] 국역자 후기 (0) | 2012.11.30 |
[교회의 정통성]저자:와치만 니 >8< (0) | 2012.11.30 |
[교회의 정통성]저자:와치만 니 >7< (0) | 2012.11.30 |
[교회의 정통성]저자:와치만 니 >6< (0) | 201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