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어거스틴의 글 >19<

stevision 2012. 12. 6. 20:19

What makes a “word” is knowledge together with love.

지식에 사랑이 더해지면 “말”이 나옵니다.

And accordingly so far as we know God, we are like him - though not of course to the degree of equality, since our knowledge of him is not equal to his knowledge of himself.

그러므로 우리가 하나님을 아는 한 우리는 그분을 닮게됩니다. 물론 동등한 정도는 아니지요. 왜냐하면 그분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그분에 대한 그분 자신의 지식에 비할 바가 못되기 때문입니다.

The knowledge is offspring of both the knower and the thing known; so that in knowing itself, the mind is sole parent of its knowledge, being itself both known and knower.

지식은 아는 자와 알려진 것 이 둘의 자식입니다. 그래서 마음이 자신을 알 때, 그 마음은 알려진 것도 되고 아는 자도 되므로, 자신의 지식의 유일한 부모입니다.

In coming to know itself, it begets a self-knowledge which is equal or adequate to itself; for the extent of its knowledge is not less than its being, and the knowledge is not other in essence, the mind itself constituting (as we have said) both subject and object of the knowledge.

마음이 자신을 알게 될 때, 그것은 자신과 동등하거나 자신에게 족한 자아지식을 낳습니다. 왜냐하면 그 지식의 범위가 그 자신의 존재보다 작지 않고, 그 지식은 본질상 다른 것이 아니기 때문이고, (전술했다시피) 마음 자체는 지식의 주체요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Here then, is a kind of image of the Trinity: the mind itself, its knowledge which is at once its offspring and self-derived “word,” and thirdly love. These three are one, and one single substance. The mind is no greater than its offspring, when its self-knowledge is equal to its being; nor than its love, when its self-love is equal to its knowledge and to its being.

그래서 여기에 일종의 삼위일체의 비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마음 자체, 마음의 자식이 되는 동시에 스스로에서 나온 “말”, 그리고 셋째로 사랑입니다. 이 셋은 하나이고 단 하나의 실체입니다. 마음의 자아지식이 그 마음의 존재와 일치한다면(동등하다면) 마음은 그것의 자식(지식)보다 크지 않습니다. 또 마음의 자기사랑이 마음의 지식과 그리고 마음의 존재와 일치한다면 마음은 그것의 사랑보다 크지 않습니다.

>> 성부 하나님께서 성자와 성령의 근원이시지만 성부는 성자나 성령보다 더 큰 분이 아니시고, 세 위격들께서 동등한 분들이시라는 말씀. <<

 

We find in memory, understanding, and will, a triad of certainties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the mind. They present a single substantial reality, in differing relations to itself; and they correspond co-equally and completely to one another.

마음의 본질을 살펴볼 때, 우리는 기억, 이해, 의지에서 필연적인 것들의 삼개조를 발견합니다. 그것들은 단 하나의 실체적 실재이고, 그 자신에 대한 관계들이 다른 가운데, 그것들은 서로에 대하여 상호 동등하고 완전하게 일치합니다.

It is quite impossible to love anything which is entirely unknown.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을 사랑한다는 게 정말 불가능한 일입니다.

To behold it in the light of truth is not the same as to covet its possession.

그것을 진리의 빛 가운데 보는 것은 그것을 소유하려 욕심부리는 것과 다릅니다.

We see something and love it under the ideal form of timeless reason.

우리는 영원한 이성이 지닌 이상적 형상의 도움으로 어떠한 것을 보고 그것을 사랑합니다.

Nothing about the mind can be more certainly known to itself than the fact of its being alive.

마음에 대한 정보 중에 마음이 살아있다는 사실보다 더 분명히 그 마음에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

The theories which treat the mind as material or as the compounding or harmonizing of matter, would represent all these activities as properties of a material subject: the real substance will be air or fire or whatever else of material nature is supposed to be the mind, while understanding is contained therein as a quality.

마음을 물질이나 물질의 합성 혹은 물질의 조화로 취급하는 이론들은 이러한 모든 활동들을 물질적 주체의 특성들이라 말합니다. 진짜 실체는 공기나 불, 혹은 그 외 마음이라 여겨지는 물질적 성질이고, 이해력은 질(質)로서 그 안에 존재한다고 봅니다.


It is not at all sure whether it is air or fire or any material thing or condition of matter.

그것이 공기인지 불인지, 아니면 어떤 물질적 존재인지, 아니면 물질의 상태인지 우리는 확증할 수 없습니다.

Let us take for particular consideration these three: memory, understanding, will.

이 셋을 특히 주목합시다: 기억, 지력, 의지.

The more tenacious and ready is a boy's memory, the more acute his understanding, the more eager his will to learn, so much the more praiseworthy do we count his disposition.

아이의 기억력이 탁월하고 재빠를수록 그의 이해력도 그만큼 더 예리하고, 그가 배우려는 욕망을 크게 가질수록 그만큼 더 우리는 그의 기질을 좋게 봅니다. 

 

A person who loves intensely only merits praise when what he loves is what ought to be loved intensely.

마땅히 강하게 사랑해야 할 것을 강하게 사랑하는 자만이 칭찬을 받을 만합니다.

This triad of memory, understanding, and will, are not three lives, but one; nor three minds, but one. It follows that they are not three substances, but one substance. Memory, regarded as life, mind, or substance, is an absolute term: regarded as memory, it is relative. The same may be said of understanding and of will; for both terms can be used relatively. But life, mind, essence, are always things existing absolutely in themselves. Therefore the three activities named are one, inasmuch as they constitute one life, one mind, one essence; and whatever else can be predicated of each singly in itself, is predicated of them all together in the singular and not in the plural. But they are three inasmuch as they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if they were not equal, not only each to each but each to all, they could not cover or take in one another as they do. For in fact they are covered, not only each by each but all by each. I remember that I possess memory and understanding and will: I understand that I understand and will and remember: I will my own willing and 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And I remember at the same time the whole of my memory and understanding and will.

기억, 지력(이해), 의지라는 이 삼개조는 세 생명체들이 아니라 한 생명체이고, 세 마음들이 아니라 한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세 실체들이 아니라 단 하나의 실체입니다. 기억은 생명이나 마음 즉 실체로 볼 때 절대적 용어이지만, 기억으로 볼 때 그것은 상대적 용어입니다. 이와 동일한 말이 지력이나 의지에 적용됩니다. 왜냐 하면 이 두 용어들이 상대적 용어로 쓰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생명, 마음, 실체(영적 존재)는 항상 절대적으로 그 자신들 안에 존재하고 있는 것들입니다. 그러므로 전술한 세 활동들은 그것들이 한 생명, 한 마음, 한 실체를 구성하는 한 하나가 됩니다. 그리고 그 외 자신 안에 존재하는 어떤 한 요소의 속성으로 간주되는 것은, 복수로 있지 않고 단독을 이루는 그것들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그러나 그것들이 서로 관련을 맺고 있는 한 그것들은 셋입니다. 그리고 그것들이 동등하지 않으면, 즉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한 요소가 전체에 대해서 동등하지 않다면, 그것들은 실제 경우와 달리 서로간에 상대를 지배하거나 수용하는 게 불가능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실 그것들은 (자신들의 전 영역이) 재배를 받기 때문입니다. 한 요소가 다른 요소의 지배를 받을 뿐만 아니라 전체가 한 요소의 지배를 받습니다. 나는 내가 기억과 지력과 의지를 갖고 있음을 기억합니다. 나는 내가 이해하고 의지를 일으키고 기억함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나는 내 자신의 의지와 기억과 이해(지력)에 대해 의지력(意志力)을 일으킵니다. 동시에 나는 내 기억과 이해(지력)와 의지 전체를 기억합니다.


>>실체나 본질이라는 뜻을 좀 더 설명을 드려야 할 것 같군요. 종과 개체를 살펴봅시다. 종이 있으면 그 종에 속하는 개체들이 있습니다. ‘사람’이 종이라면 여러 사람들은 그 종에 속한 개체가 되겠지요. 종의 모든 특성을 본질이라고 합시다. 그러면 자신 안에 종의 모든 본질을 성취한 개체가 바로 실체가 되는 것입니다. 실체의 뜻이 여럿일 수도 있으니 언어 혼란이 많게 됩니다.
이를 하나님의 경우에 적용해봅시다. 하나님께서는 원래 한 분이십니다. 그런데 이 한 분의 하나님께서는 세 실체들로 존재하십니다. 이분들이 바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십니다. 즉 각 위격들께서는 자신 안에 완전한 하나님의 본질을 다 갖고 계십니다. 그러나 이 경우 단 한 분의 하나님께서 동시에 세 실체를 소유하신 경우입니다. 그래서 아주 유일무이한 실체와 본질의 조합을 갖고 계신 거지요. 그리하여 보통의 실체와 구별되게 각 위격들을 위격적 실체라고 해야 합니다. 한 분의 하나님께서 동시에 세 실체를 가지셨으니 그런 표현을 해야 한다는 거지요. 이 경우 삼위일체 하나님을 단순히 한 분의 실체라고 표현해도 될 것 같습니다. <<

 

 It follows that anything open to understanding that I do not understand, I neither remember nor will, whereas anything open to understanding that I remember and will, I understand.

결론은 이와 같습니다. 내 이해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나는 기억할 수도 없고 그에 대한 의지도 일으킬 수 없지만, 내 기억과 의지 안에 들어오는 것을 나는 이해합니다.

Therefore, since all are covered by one another singly and as wholes, the whole of each is equal to the whole of each, and the whole of each to the whole of all together. And these three constitute one thing, one life, one mind, one essence.

그러므로 모두는 개별적으로 또 온전한 존재들로서 서로가 서로에게 지배되기 때문에 하나의 온전함은 다른 것의 온전함과 일치하고, 하나의 온전함은 전체를 합한 것의 온전함에 일치합니다. 그리고 이 셋(이해, 의지, 기억)은 한 존재, 한 생명, 한 마음, 한 실체를 이룹니다.

We might now attempt to raise our thoughts, with such power of concentration as is at our disposal, towards that supreme and most exalted essence of which the human mind is an image - inadequate indeed, but still truly an image.

이제 우리는 온 마음을 집중하여 우리의 생각의 차원을 높여 저 지고(至高)의 그리고 가장 숭고한 실체로 향하게 하려 합니다. 그 실체의 모형이 바로 인간의 마음입니다. 비록 부적당한 것이긴 해도 그것은 참된 모형입니다.

>>어거스틴은 하나님을 원형으로 보고 인간의 정신을 모형으로 보고 있습니다. 성경에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다고 나와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는 인간의 정신구조를 연구하여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방식을 알아내려 합니다.<<

The form printed on the sense-organs is product of the object only, of which this form is a likeness or image, distinct from the object itself.

감각기관에 나타난 형상은 오직 외부 물체의 산물입니다. 이 형상은 그 물체(객체)의 닮음이나 모형일 뿐이고, 그 객체 자체와 다른 것입니다.

We must reject the idea that the Trinity is imaged in the triad of man, woman, and child. The “image of God” in Gen. 1:27 must be understood as an image of the Trinity and not of any one Person; but certainly Adam and Eve were not created with a son. Paul's saying in I Cor. 11:7 that man (as opposed to woman) is the image of God, is best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inction above suggested, of the double function, higher and lower, of the rational mind.

삼위일체 하나님을 남자, 여자, 자식과 같은 삼개조처럼 생각하면 안됩니다. 창1:27의 “하나님의 형상”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으로 이해해야지 한 위격의 형상으로 이해하면 안됩니다. 분명 아담과 이브는 아들과 함께 창조되지 않았습니다. 고전11:7의 바울의 말, 즉 (여자와 대조된) 남자가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말은, 전술한 이성적 정신의 두 기능의 차이, 즉 상위 기능과 하위 기능의 차이에 부합하게 이해해야 가장 잘 이해한 것입니다.

The Fall of man is the result of the “lower reason” throwing off the control of the “higher,” and devoting itself to the pursuit of the material and temporal.

인간의 “하위 이성”이 “상위 이성”의 지배를 떨쳐버리고 물질적이고 현세적인 것에 몰두함으로 인간의 타락이 발생했습니다.

The lower reason has its proper place in the right use of things temporal, as means to eternal life.

하위 이성은 영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현세적인 것들을 바로 사용함으로써 본래 그 자신의 위치에 있게 됩니다.

Wisdom is the contemplation of those eternal forms or principles of which Plato wrote; though his doctrine that the soul retains a memory of them from a former existence is unsatisfactory. It is better to believe that the mind is enlightened by a spiritual sun, as the eye by the physical.

지혜는 플라톤이 말한 그러한 영원한 형상들이나 원리들을 통찰하는 것입니다. 비록 영혼이 자신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 선재했을 때부터 가졌던 그것들(형상들과 원리들)에 대한 기억을 보유하고 있다는 그의 이론이 만족스런 것은 아닐지라도 그렇습니다. 눈이 물질적 태양에 의해 조명을 받듯 마음은 영적 태양에 의해 조명을 받는다고 믿는 게 더 낫겠지요.

The distinction between higher and lower reason, wisdom and knowledge.

상위 이성과 하위 이성의 차이는 지혜와 지식.

The true definition of happiness is not “living as you will,” but the satisfaction of all wants when nothing is wanted wrongly.

진정한 행복이란 “네 맘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바르게 얻고자 하고 그리하여 모든 결핍들이 충족된 상태를 말한다.

It is human perversity, when both these conditions of happiness are unattainable, to prefer the satisfaction of wants to the confining of wants to what ought to be wanted.

인간의 악함은, 이 두 행복의 조건들이 동시에 달성될 수 없을 때, 마땅히 충족시켜야 할 것에만 충족시켜야 할 결핍을 한정하는 것보다 (자기가 원하는) 결핍의 충족을 더 선호한다는 데에 있다.

 

In this life, happiness is never without alloy: if we truly desire happiness, we are desiring immortality; since if life ends, happiness ends, and the loss of happiness, even in expectation, cannot be good.

이 땅에서 행복은 항상 혼합체입니다. 우리가 진정 행복을 원하면 우리는 불멸을 추구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삶이 끝나면 행복도 끝이 나고, 행복의 상실은, 그것이 기대 가운데 있더라도, 선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By God's just and righteous permission, the sin of the first man put the whole race in the power of the devil - though the devil himself remains under the power of God.

하나님의 의롭고도 올바른 허용에 의해 첫 인간(아담)의 죄는 모든 인류를 마귀의 권세하에 두었습니다. 비록 마귀 자신은 하나님의 권세 아래 계속 머물러 있었지만.

Therefore the devil's power could be overcome only by righteousness: the sinless Christ, submitting for righteousness's sake to an unjust death at the devil's hands, deprived him of his “right” to power over men; though the temporal sufferings and bodily death, which were the penalty of sin, remain for the trial of our faith. The death of Christ thus “justifies” us, because through faith we share in his righteousness, even as we had shared in Adam's sin.

그러므로 마귀의 권세는 오직 의(義)에 의해 정복됩니다. 죄가 없으신 그리스도께서 의를 위하여 마귀의 손에 의해 부당한 사망에 넘겨지셔서 인간들을 지배하는 마귀의 “권리”를 그에게서 빼앗으셨습니다. 하지만 죄의 형벌이었던 이 땅에서의 고통들과 육체의 죽음은 우리의 믿음을 단련하기 위해 계속 남아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죽음은 이처럼 우리를 “의롭게 만듭니다.” 왜냐하면 아담의 죄를 우리가 함께 나눴듯이 믿음으로 우리는 그분의 의(義)를 나눕니다.

In the Word made flesh are the “treasures of wisdom” as well as of “knowledge”: in Christ we move through the latter to the former.

육신이 된 말씀 안에 “지식의 보화”뿐만 아니라 “지혜의 보화”도 들어 있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지식의 보화를 통하여 지혜의 보화에 이릅니다.

There is a “trinity of faith,” when things believed are held in the memory, and recalled to thought by the act of will; and if their truth be accepted and loved, there is a life “according to the inward trinity.” Yet it is not here that we can trace the full image of God.

믿어지는 것들이 기억 안에 있고, 의지의 행위에 의해 그것들이 생각에 떠오름을 고려하면 “믿음의 삼일성(三性)”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그것들의 진리가 수용되고 사랑 받으면 “내적 삼일성에 따른” 생명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것에서 완전한 하나님의 형상(모형)을 찾지는 못합니다.

The true image of God in the human mind must be permanent and unchanging, even though it be temporarily defaced.

인간의 마음에 있는 참된 하나님의 형상은 영원하고 불변함이 분명합니다. 비록 그것이 잠시 손상되어 있을지라도 그렇습니다.

Since the act of thought i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d,” we have a better image of the Trinity in the conscious act than in the unconscious memory.

사고(思考)행위가 “말”의 생성에 필요하므로 우리는 무의식적 기억보다는 의식행위(意識行爲)에서 삼위일체의 형상(모형)을 찾을 수 있습니다.

The mind is God's image par excellence in virtue of its capacity for knowing God.

마음은 하나님을 아는 능력 때문에 가장 우수한 하나님의 형상입니다.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to its original perfection is the work of grace, enabling the mind to turn again to the light.

본래의 완전한 상태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은 은혜의 사역입니다. 그 은혜의 사역은 마음을 다시 빛으로 향하게 합니다.

The Wisdom of God, which assuredly is God himself, for it is the name given to his only-begotten Son.

하나님의 지혜, 이것은 분명 하나님 자신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분의 독생자에게 주어진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내(Z^) 멋대로 앞뒤 잘라내고 문장의 일부를 뽑아서 새롭게(?) 구성했음 ^^. 하여튼 난 웃긴 인간이시와요~. <<

The supreme wisdom, then, is God himself; and the worship of God is the human wisdom.

이 경우 지고의 지혜는 하나님 자신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경배함은 바로 인간의 지혜입니다.

We must find, in the rational or intellectual soul of man, an image of its Creator planted immortally in its immortal nature.

이성적이거나 지적인 인간의 영혼 안에서 우리는 불멸의 본성 안에 불멸적으로 심겨진, 인간의 창조주의 형상을 발견해야 합니다.

Hence we developed an account of the mental trinity, in which memory supplied the source from which the thinker's view receives its form, the conformation itself being a kind of image imprinted by the memory, and the agency by which the two are conjoined being love or will. Thus when the mind regards itself in the act of thought, it understands and takes knowledge of itself: we may say that it begets this self-understanding and self-knowledge. For an object that is incorporeal is seen when it is understood, and is known by the act of understanding.

따라서 우리는 정신적 삼일성(三性)에 대한 설명을 해냈습니다. 그 안에서 기억은 사고자(思考者)의 시각에 그것의 형상을 제공하는 출처를 제공합니다. 이 때 형태 자체는 기억에 의해 새겨진 일종의 형상이고, 그 둘을 연합시키는 작인(作因)은 사랑이나 의지입니다. 그리하여 마음이 사고행위(思考行爲) 가운데 자신을 살펴보면, 그것은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에 대한 지식을 얻습니다. 우리는 그것이 이 자기이해와 자기지식을 낳는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무형의 객체는 그것이 이해될 때 보여지고, 이해행위를 통해 알려지기 때문입니다.

 

Accordingly, for the indication of our mental trinity we found these three names appropriate: memory, understanding and will.

따라서 우리의 정신적 삼일성(三性)을 표현하기 위해 우리는 이 세 명칭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억, 이해, 의지.

If we look at the mind's inward memory whereby it remembers itself, its inward understanding whereby it understands itself, and its inward will whereby it loves itself, we are dealing with a state in which these three are ever present together and were ever present together from their beginning, whether they were objects of thought or not. And thus it will seem that the image of the Trinity belongs to the sphere of memory alone. Yet there can be no “word” without thought; for we think whatever we say, even if it be with the inward word that is of no particular language. So the image is to be discovered rather in the three functions of memory, understanding and will - “understanding” being here taken to denote the faculty by which we come to understand in the process of thought: that is to say, when our thinking takes form through the “bringing forth” of what was present to the memory but not thought of. And the word “will” means the love which unites the “offspring” and its “parent,” and which is in a manner common to both.


마음이 자신을 기억할 때 사용하는 마음의 내적 기억과, 마음이 자신을 이해할 때 사용하는 마음의 내적 이해와, 마음이 자신을 사랑할 때 사용하는 마음의 내적 의지를 우리가 고려할 때, 그것들이 사고(思考)의 대상이든 아니든 간에, 우리는 이 셋이 항상 함께 현존하며 또 그들의 시작부터 그들이 항상 함께 현존했다는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삼위일체의 형상이 단지 기억의 분야에 속한 것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고(思考)없이 “말”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가 말하는 바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비록 어떤 특정 언어가 아닌 (영혼의) 내적 언어로 행해진 것이라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그 (하나님의) 형상(image)은 기억, 이해, 의지라는 세 기능들에서 발견된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 “이해”는 사고의 과정에서 우리가 이해하게 되는데 필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그 (하나님의) 형상(image)은 우리의 사고(思考)가, 마음이 생각해 낸 것이 아닌, 기억에 현존했던 것에서 “생기게 함”을 통해 형상(form: 질료와 대조되는 형상)을 취할 때 이를 통해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의지”라는 말은 “자식”과 그의 “부모”를 연합하는 사랑을 의미하고, 그 사랑은 어느 면에선 그 둘 안에 다 있습니다.

>> 우리가 눈앞의 강아지를 강아지로 인식하는 것은 감각을 통해 들어온 감각적 지식에 영혼에 존재해 있던 ‘개’의 형상(form)을 적용시킬 때 그러한 인식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영혼 안의 개의 형상은 마음으로 생각해서 만들어진 형상이 아니고 원래부터 존재하고 있었다는 말이지요. 이러한 인식과 사고과정에서 기억, 이해, 의지라는 정신의 세 기능들이 삼위일체의 형상(image)을 이룬다는 말입니다. 설명이 맞는지 모르겠네...<<

 

 

Now we have reached the point in our discussion at which we have undertaken to consider that highest element in the human mind whereby it knows or can know God, with a view to our finding therein the image of God. Although the human mind is not of that nature which belongs to God, yet the mage of that nature which transcends every other in excellence is to be sought and found in the element which in our own nature is the most excellent. But first we have to consider the mind in itself, before it has participation in God, and discover his image there. We have said that it still remains the image of God, although an image faded and defaced by the loss of that participation. It is in virtue of the fact that it has a capacity for God and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God, that it is his image: only because it is his image can so high a destiny be conceived for it. Here then is the mind, remembering itself, understanding itself, loving itself. Perceiving this, we perceive a trinity - a trinity still less than God, but already an image of God. In this trinity, the memory has not imported from outside what it should retain, nor has the understanding discovered in the outer world the object for its beholding, like the body's eye. The will has not in this case made an outward union of these two, as of the material form and its derivative in the sight of the beholder.

이제 우리는 우리의 토론 가운데, 인간의 마음(정신)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찾을 목적으로, 인간의 마음이 하나님을 아는 또 알 수 있게 되는 수단인 인간의 마음 안에 있는 가장 고차원적인 요소를 고찰하는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인간의 마음이 하나님께 속한 본질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탁월함에 있어 다른 모든 것을 초월하는 그 하나님의 본질의 형상은 우리 자신의 본질 가운데 제일 우수한 요소에서 찾아 발견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이 하나님과 관계를 갖기 전에도, 우리는 먼저 인간의 정신 그 자체를 살펴보아야 하고 거기서 그분의 형상을 발견해야 합니다. 전술했다시피 그 하나님과의 관계가 상실되어 그 형상이 희미해지고 손상되었지만 그것(정신)은 여전히 하나님의 형상으로 남아 있습니다. 인간의 정신이 하나님의 형상인 것은 그 정신이 하나님을 수용할 능력을 갖고 또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지녔기 때문입니다. 정신이 그분의 형상이라는 이유 하나 때문에 그것은 숭고한 숙명을 지닙니다. 여기에 자신을 기억하고,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을 사랑하는 정신이 있습니다. 이것을 인식할 때 우리는 일종의 삼위일체(삼일성, 三一性)를 보게 됩니다. 그 삼일성은 하나님에 비해 대단히 열등하지만 사실은 하나님의 형상입니다. 이 정신의 삼일성 안에서 기억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것을 외부에서 들여오지 않았고, 이해는 자신이 보는 대상을 육의 눈처럼 외부 세계에서 발견하지 않았습니다. 이 경우 의지는, 물질적 형체와 관찰자의 시각(視覺)에 있는 그 형체의 파생과의 연합 때와 같은, 이 둘(기억과 이해)의 외적인 연합을 성사시키지 않았습니다.

>> 정신은 자기 충족적 존재라는 말입니다. 외부에 어떤 영향이나 도움이 없이도 자신 안에 있는 원래의 기억 내용을 통해 스스로의 사고(思考)현상을 일으킨다는 말이지요. 정신도 하나의 실체이지만, 그 안의 기억, 이해, 의지도 나름대로 실체들이고, 이 셋은 정신과의 관계에서 부분과 전체의 관계에 있지 않는다는 말이지요. 예를 들어 정신이 인간의 온 몸이라면 이해는 머리에 해당한다는 말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기억은 정신 전체에 미치고, 이는 이해와 의지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기억, 이해, 의지는 항상 함께 있었다고 합니다. 이를 삼위일체 하나님께 적용하면, 삼위일체 하나님께서는 한 분의 유일하신 하나님(실체)이시고, 성부, 성자, 성령께서도 각각 완전한 하나님(실체)이시지만, 각 위격들께서는 자신들의 범위를 한 분의 삼위일체 하나님 전체에 미치고 있다는 말입니다. 즉 각 위격들께서 1/3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실체를 차지하고 있다는 말이 아니지요. 또 각 위격들께서는 각자의 존재에 있어서 상호간에 시간의 전후의 관계를 이루지 않고 항상 세 위격들께서 함께 계셨다는 말입니다. 즉 성부 하나님이 계신 이후에 시간이 지난 다음에 성자께서 계신 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성부, 성자, 성령께서는 영원 전부터 함께 계셨다는 말입니다. 인간의 정신작용을 심층 분석하여 삼위일체 하나님을 해석한 어거스틴의 지적 능력과 심오한 분석 능력이 참으로 놀랍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어거스틴의 삼위일체의 비유의 약점은 전에 밝혔듯이 각 위격들이 너무도 완전한 한 실체를 이루고 있어 공간적 의미의 상호간 실체적 구분이 전혀 안된다는 것입니다.삼위일체 하나님의 단일성이 강조되다보니 세 위격간의 구분이 간과된 것이지요.<<

 

 

It is obvious that the retention in the memory is temporally prior both to the recollecting vision and to the union of the two by will. It is not so however with the mind itself. .... Nor does the mind, after coming to know itself, see itself by recollection as established in its own memory, as though it had not been there before becoming the object of its own knowledge. Assuredly, from the moment of its beginning to be, the mind has never ceased to know itself, to understand itself, and to love itself, as we have already demonstrated. Therefore, in its act of turning upon itself in thought, a trinity is presented in whic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word” - formed from the act of thinking, and united to its original by will. Here, then, is where we may recognize the image for which we are seeking.

분명한 것은, 기억 안에 있는 내용이 회상적 시각에, 그리고 의지에 의한 그 둘의 결합에 선행(先行)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마음 자체는 이와 상황이 다릅니다. .... 마음이 자신을 알게 된 그 이후에야 기억작용을 통해 자기 자신을 자신의 기억에 등록된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 게 아닙니다. 마치 그것이 자기 자신의 지식의 대상이 되기 전에는 거기(기억)에 있지 않았을 것처럼 생각하면 안됩니다. 이미 전에 밝혔듯이 분명 마음이 존재하는 순간부터 그것은 자신을 알거나 자신을 이해하거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을 중지한 적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고(思考) 가운데 자신을 작동시키는 그것의 행위 중에 일종의 삼일성(三一性)이 나타나고, 그 삼일성 안에서 일종의 “말(말씀)”을 인식하는 게 가능해집니다. 그것은 사고행위(思考行爲)에서 유래하며, 의지에 의해 그것의 원형과 연합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찾고 있는 그 (하나님의) 형상을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여기에 나오는 “말(말씀)”은 정신 안에 있는 내적 언어 내지 내적 논리 언어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영어를 사용하는 자나, 한국어를 사용하는 자나 스스로 마음속으로 어떤 일을 생각하면 영어나 한국어로 논리를 전개시키지 않고 정신 스스로의 내적 언어로 생각한다는 거지요. 이 정신 스스로의 언어를 “말씀”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하나님께도 자신 안에 이러한 종류의 말씀(Logos. 로고스)이 있고 그 분께서 성자 하나님이라는 주장입니다. 정신과 그것의 내적 언어인 말씀(로고스)을 통해 하나님과 그분의 형상인 인간에게 유사점이 있음을 말하려 함. 이런 정신의 내적 언어를 이성(reason)이라고 해도 될 것 같네요. 정신과 말씀은 항상 함께 있었으므로 시간적 전후 관계에 있지 않다는 말. <<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거스틴의 글 >21<  (0) 2012.12.07
어거스틴의 글 >20<  (0) 2012.12.06
어거스틴의 글 >18<  (0) 2012.12.06
어거스틴의 글 >17<  (0) 2012.12.06
어거스틴의 글 >16<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