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루터의 글 [로마서 강해] >1<

stevision 2015. 6. 27. 11:36

루터의 글 [로마서 강해]

 

출처: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Ichthus Edition

 

-1장-

 

The sum and substance of this letter is: to pull down, to pluck up, and to destroy all wisdom and righteousness of the flesh (i.e., of whatever importance they may be in the sight of men and even in our won eyes), no matter how heartily and sincerely they may be practiced, and to implant, establish, and make large the reality of sin (however unconscious we may be of its existence).

이 로마서의 요점은 (인간들의 눈에, 우리 자신의 눈에 제아무리 중요하게 보일지라도) 모든 육적(肉的) 지혜와 의(義)를, 그것들이 제 아무리 진정으로, 신실하게 행해졌을지라도, 헐고, 뽑고, 파괴하는 것이고, 죄의 실재성을 (아무리 우리가 그것의 존재를 모르고 있더라도) 깨우치고, 확고하게 하고, 확대시키는 것이다.

 

There have always been some among the Jews and the Gentiles who believed it to be sufficient if they possessed virtue and knowledge, not of the kind that is outwardly put on but that which is inward and comes from the heart.

유대인이나 이방인 중에는 >외적(外的)으로 덧입혀지지 않은, 내적(內的)이고 마음으로부터 나오는 덕과 지식<을 갖추면 충분한 것으로 믿은 자들이 항상 있었다.

 

As Christ says through the prophet Jeremiah: "to pluck up and to break down and to destroy and to overthrow" (Jer. 1:10), namely, everything that is in us (i.e., all that pleases us because it comes from ourselves and belongs to us) and "to build and to plant," namely, everything that is outside us and in Christ.

그리스도께서 예언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뽑고, 헐고, 파괴하고 넘어뜨리라(렘1:10)” 하셨듯이, 우리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즉 우리에게서 나오고 우리에게 속하여서 우리를 기쁘게 하는 모든 것을) 그리하고, 또한 “세우고 심으라” 하셨듯이, 우리 밖에 있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것을 그리 한다.

 

For God does not want to save us by our own but by an extraneous righteousness which does not originate in ourselves but comes to us from beyond ourselves, which does not arise on our earth but comes from heaven. Therefore, we must come to know this righteousness which is utterly external and foreign to us.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것으로 우리를 구원하시지 않고, >우리 자신에게서 나오지 않은, 우리 자신의 한계 밖에서 오는, 이 땅에서 나온 게 아니라 하늘로부터 온 외래적(外來的) 의(義)<로 우리를 구원하시기를 원하신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우리에게 외적이고 외래적인 의<를 알아야 한다.

 

Also, the exodus of the people Israel has for a long time been interpreted to signify the transition from vice to virtue. But one should, rather, interpret it as the way from virtue to the grace of Christ, because virtues are often the greater and worse faults the less they are regarded as such and the more powerfully they subject to themselves all human affections beyond all other goods.

또한 이스라엘 백성의 출애굽이 오랜 동안 악에서 덕(혹은 선행)으로의 변화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덕에서 >그리스도의 은혜<에 이르는 길로 해석해야 한다. 왜냐하면 덕(德)들이 덕들로 덜 간주될수록, 그리고 덕들이 다른 모든 재물(혹은 선(善))보다 더 강하게 인간의 모든 호감을 살수록, 그 덕들이 더 심하고 악하게 과실(過失)들이 되기 때문이다.

 

Certainly there are many who, like the Jews and the heretics, for God's sake disregard and willingly give up all goods at their left hand, namely, the temporal ones; but there are few who for the sake of obtaining Christ's righteousness regard as nothing the goods at their right hand, namely, spiritual goods and righteous works. Certainly the Jews and the heretics are unable to do this. And yet, without this, no one can be saved.

분명 유대인이나 이단자들처럼 하나님을 얻기 위해 자신의 왼손에 있는 자산(資産), 즉 일시적인(현세적인) 것을 가볍게 여기거나 기꺼이 포기하는 자들이 많으나, >그리스도의 의(義)<를 얻기 위해 자신의 오른손에 있는 자산, 곧 영적(靈的) 자산과 의로운 행위(업적)를 무가치하게 여기는 자들은 거의 없다. 확실히 유대인들과 이단자들은 이것을 할 수 없다. 그럼에도 이게 없다면 어느 누구도 구원받을 수 없다.

 

It is the duty of a prudent minister of God to hold his ministry in honor and to see to it that it is respected by those who are in his charge.

현명한 하나님의 종의 의무는 자신의 사역의 명예를 지키고, 자신의 사역이 자신이 책임지고 있는 신도들에게 존중받게 하는 것이다.

Moreover, it is the duty of a faithful minister not to exceed his powers and not to abuse his office in pride but, rather, to administer it for the benefit of his subjects.

또한 월권을 행치 아니하고, 교만하게 자신의 직책을 남용하지 아니하며, 성도들의 유익을 위해 사역을 감당하는 것이 충성스런 목회자의 본분이다.

He must be a "prudent and faithful servant" (cf. Matt. 24:45). If he is not prudent, he will become useless, unfit, und unworthy of respect. Persons who in unwise humility practice familiarity with nearly everybody and place themselves on one level with those put in their charge cannot but lose the true authority of leadership, and their familiarity breeds contempt. How gravely they sin! For what belongs to God and is put into their stewardship, and what they should cause to be honored, they permit to be despised! If he is not faithful, he turns into a tyrant who wants to terrify by his power. Instead of seeking to make their high position useful to others, such people want to be feared. Yet according to the apostle, the power of their office is given to them not to destroy but to edify.

그는(목회자는) “현명하고 충성스런 종(참고, 마24:45)”이어야 한다. 그가 현명하지 아니하면, 쓸모없는 부적격자가 되고, 존경 받지 못하게 된다. 현명치 못한 겸손에 빠져 거의 모든 자들과 허물없이 지내고, 자기 신도들과 동등한 관계 가운데 사는 자는 참된 지도력을 잃을 수 밖에 없고, 그 친밀한 관계가 경멸을 야기한다. 이 얼마나 큰 죄(罪)인가! 하나님의 것이고 자기에게 맡겨진 것을, 존중받게 해야 할 것을 멸시 받게 했으니 말이다! 그(목회자)가 충성스럽지 않으면, 자기 권세로 공포를 조장하는 폭군이 된다. 그러한 자는 자신의 높은 지위를 타인의 유익을 위해 사용하려 하지 않고, 자신이 경외의 대상이 되기를 원한다. 그렇지만 사도 바울에 따르면, 그 자의 직분의 권한은 (신자들의) 멸망이 아니라 교화를 목적으로 그에게 주어졌다.

 

 

If we are to specify these two faults, we say that they are softness and austerity. Of the first we read in Zech. 11:17: "Woe to the worthless shepherd that leaves the flock!" And of the second, Ezekiel says (Ezek. 34:4): “With force and with rigor have you ruled over them." These are the two main faults from which all the faults of clergymen arise. And no wonder! For softness is rooted in concupiscence, and austerity in irascibility. These are the source of all evil, as we well know. Therefore, it is very perilous to assume an office unless these two beasts have been slain, for they will do the more harm the more power to do harm is available.

이 두 잘못들을 지적하자면, 느슨함(해이함)과 엄함이라 할 수 있다. 슥11:17이 느슨함에 대해 말하고 있다: “양떼를 버린 무익한 목자들에게 화가 있을지어다!.” 엄함에 대해서는 겔34:4이 말하고 있다: “너희가 포악으로 그들을 다스렸다.” 이것들이 바로 성직자들의 모든 잘못들의 근원이 되는 두 주요 잘못들이다. 당연하다! 느슨함은 탐욕에, 엄함은 성급함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아시다시피 이것들이 모든 악의 근원이다. 그러므로 이 두 짐승들을 죽여 놓지 않고는 직책을 맡는 것이 매우 위험하다. 해를 끼칠 힘이 주어질수록 그들이 더 해를 끼칠 것이기 때문이다.

 

By a mixture of fear and love he thus prepares them most effectively for the reception of the gospel and the grace of God.

두려움과 사랑을 병행시킴으로 그(하나님의 종)는 가장 효과적으로 신도들이 복음과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들이게 한다.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apostle, every clergyman in the church (like an animal that parts the hoof and is clean) should first of all clearly distinguish between himself and his office, i.e., between "the form of God" and "the form of a servant," and, regarding himself always as the lowliest of all, perform his office in between fear and love entirely for the welfare and advantage of his subjects. Moreover, he must know that because every office is given only for the welfare of the subjects, he must be willing to give it up if he finds that he cannot administer it to the furtherance of the benefit of his subjects or that he blocks it by his person.

사도 바울을 본받아, 교회의 모든 성직자들은 (굽이 갈라지고 정(淨)한 동물처럼) 무엇보다도 자신과 자신의 직분을, 즉 “하나님의 형상”과 “종의 형상”을 명확히 구분해야 하고, 자신을 가장 낮은 자로 여기고, 오직 성도들의 행복과 유익을 위해 두려움과 사랑으로 직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성직자는 ‘모든 직분이 오직 성도들의 유익을 위해 주어진 것이기에, 자신의 사역으로 자기 성도들의 유익을 증진시킬 수 없거나 자신이 그 유익의 걸림돌이 된다고 판단되면’, 기꺼이 그 직분을 포기해야 한다.

 

Hence, the apostle says: "a servant of Jesus Christ." In this word, there is majesty as well as humility: there is humility in it in so far as he does not consider himself lord and creator according to the manner of proud tyrants who use their power in such a way that they appear to think of nothing else but their own power as if they had produced it and as if they had not received it from someone else. Therefore, they do not find joy in the fruit of power but merely enjoy power itself.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말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종.” 이 말에는 겸손뿐만 아니라 위엄도 있다. 그가 자신을 >마치 자기 권세를 자기가 만든 양, 그 권세를 다른 자로부터 받지 않은 양 오로지 자기 권세만을 생각하고 그것을 사용하는 교만한 폭군 같은 주(主)<나 창조자로 여기지 않는 한, 그 말에 겸손이 있다. 그러한 폭군은 권세의 열매에서 기쁨을 얻지 않고 단지 그 권세 자체를 즐기기만 한다.

There is majesty in it in so far as he is glad to serve such a Lord. For if it is perilous not to honor and welcome a servant of the emperor, what will happen to those who do not honor and welcome the servants of God?

그가 주님을 기쁘게 섬기는 한, 그 말에 위엄이 있다. 황제의 종을 존경하고 영접하지 않을 때 위험에 처하는데, 하나님의 종을 존경하고 영접하지 않는 자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겠는가?

 

... According to the moral and tropological sense, everyone is a servant of God by and for himself, but, according to the allegorical sense, a certain someone is a servant of God for others and over others and for the sake of others.

도덕적, 교훈적 의미로, 모든 자들이 자기 자신에 대하여(스스로 자신을 위하여) 하나님의 종이나, 우의적 의미로, 특정의 사람이 >타인에게, 타인의 위에, 타인을 위하여< 하나님의 종이다.

 

Because the holy offices are so sublime, no danger in this world and the next is more to be feared; indeed, there is no greater danger than to assume such an office without a call of God. But, alas, many are today completely insensitive to all this and do not give it the slightest thought. How will they be spared if not even those are secure whom God has called! Judas, the apostle, come to ruin; Saul fell; and David, the chosen one, fell - and yet they were sublimely called and anointed! Woe, then, to these wretched ones here.

성직은 너무 고귀하여, 이 세계와 다음 세계에서 이 일보다 더 두려워해야 할 위험은 없다. 참으로 하나님의 부르심 없이 그러한 직분을 맡는 것보다 위험한 일은 없다. 하지만 슬프게도, 오늘날 많은 자들이 이 모든 것에 완전히 무감각하고, 조금도 생각조차 안 한다. 하나님께서 부르신 자들조차 안전치 못했거늘, 어떻게 그들이 무사하겠는가! 사도 유다는 망했고, 사울은 쓰러졌고, 선택받은 자 다윗도 넘어졌다. 그런데 그들은 장엄하게 부름을 받고 기름부음 받았었다! 그리고 여기 이 불쌍한 자들에게 화가 임했다.

 

The gospel proclaims what according to prophecy it should proclaim. This proves that before it became what it is, it was foreordained in God's counsel to be what it has become. Thus the glory of this teaching belongs to God alone and not to us and our merits and achievements.

복음은 >예언에 따라 선포되어야 할 것<을 선포한다. 이것은 ‘복음이, >현재의 그 복음<이 되기 전에, >현재의 그 복음<이 되도록 하나님의 계획에 미리 정해져 있음’을 입증한다. 따라서 이 교훈(말씀)의 영광은 오직 하나님께만 돌려지고, 우리나 우리의 공로와 업적에 돌려지지 않는다.

 

From the very moment of Christ's conception it was correct to say, in view of the union of the two natures: This Son is the son of David and this man is the Son of God. The first is true because his divinity is emptied and hidden in the flesh. The second is true because his humanity is fulfilled and translated into divinity.

그리스도의 잉태 순간부터 두 본성들(신성과 인성)의 결합과 관련하여 이렇게 말하는 것이 옳다: 이 성자(Son, 聖子)는 다윗의 자손(son)이시고, 이 자(man, 다윗의 자손)는 >하나님의 아들(Son of God)이시다. 첫 번째 말이 맞는 이유는 그분의 신성이 비워지고 육체 안에 숨겨졌기 때문이다. 두 번째 말이 맞는 이유는 그분의 인성이 신성을 달성(達成)하고 신성 안으로 옮겨졌기 때문이다.

 

"To be ashamed of the gospel" is the fault of a clergyman who lacks courage, but to set himself against it and to refuse to hear it is the fault of a layman who has become foolish.

“복음을 부끄러워하는 것”은 겁쟁이 성직자의 흠이고, 복음에 저항하고 복음 듣기를 거부하는 것은 미련한 평신도의 흠이다.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cause of salvation. Here, too, "the righteousness of God" must not be understood as that righteousness by which he is righteous in himself, but as that righteousness by which we are made righteous (justified) by Him, and this happens through faith in the gospel. Therefore, Blessed Augustine writes in the sixteenth chapter of his book on the Spirit and the Letter.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at righteousness which he imparts in order to make men righteous. Just as that is the Lord's salvation by which he saves us." He says the same thing in the ninth chapter of the same book. The righteousness of God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righteousness of men which comes from works - as Aristotle in the third chapter of his Ethics clearly indicates. According to him, righteousness follows upon and flows from actions. But, according to God, righteousness precedes works and works result from it. Similarly, no one can perform the works of a bishop or a priest unless he is first consecrated and sanctified to such an office; righteous works of men who are not yet righteous can thus be likened to the works of someone who performs the functions of a priest and bishop although he is far from being a priest; in other words, such works are foolish and done for sport and resemble the doings of circus entertainers.

​하나님의 의(義 )가 구원의 원인이다. 여기서 또한 “하나님의 의”가 >하나님 자신이 의로워지는 의<로 이해되지 않고, >그분께서 우리를 의롭게 만드는 (정당화하는) 수단이 되는 의<로 이해되어야 하고, 이것은 복음에 대한 믿음을 통해 발생한다. 그러므로 성(聖) 어거스틴은 그의 책 영과 문자 16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나님의 의(義)는 인간을 의롭게 만들기 위해 그분께서 나누어주시는 의(義)이다. 주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시는 수단이 되는 주님의 구원이 바로 그와 같다.” 어거스틴은 같은 책 9장에서도 같은 말을 한다. 하나님의 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윤리학 3장에서 밝힌, 행위로부터 나오는 인간의 의<와 구분되어야 한다. 그에 따르면 의(義)는 행위를 뒤따르고 행위로부터 흘러나온다. 그러나 하나님 그분에 따르면, 의는 행위를 앞서고, 의(義)의 결과가 행위이다. 마찬가지로, 그 누구도 먼저 주교나 사제로 성별되어 그 직분을 받지 않고서는 주교나 사제의 일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아직 의롭지 않은 자의 의로운 행위는 사제가 결코 아님에도 사제나 주교의 직책을 수행하는 자의 행위에 비유될 수 있다. 환언하여, 그러한 행위는 어리석고, 재미로 하는 짓이고, 서커스 단원의 공연과 같다.

 

 

(from faith to faith)

Saint Augustine writes in the eleventh chapter of On the Spirit and the Letter: "from the faith of those who confess it by word of mouth to the faith of those who prove it by their obedience." And Burgos offers this interpretation: "from the faith of the synagogue" (as the starting point) "to the faith of the church" (as the finishing point).

(믿음에서 믿음으로)

성(聖) 어거스틴은 영과 문자 11장에서 말한다: “입으로 신앙을 고백하는 자의 믿음에서 순종으로 그것을 입증하는 자의 믿음으로.” 그리고 부르고스(Burgos)는 이런 해석을 한다: “(출발점) 회당(유대교 성전)의 믿음에서 (도착점) 교회의 믿음으로.”

 

How could they call a picture or some other created thing God, or believe that created things resembled him, if they had no knowledge of God and what pertains to him? How could they attribute such qualities to a stone or to that which they thought the stone represented if they did not believe God to be entitled to them? .... Their error was that in their worship they did not take the Godhead for what it is in itself, but changed it by fitting it to their own needs and desires. Everyone wanted the Godhead to be in him whom he happened to like, and thus they turned the truth of God into lie.

사람들이 하나님과 그분의 속성도 모르면서 어떻게 그림이나 어떤 피조물을 하나님이라 하고, 그 피조물들이 하나님을 닮았다고 믿나? 사람들이 하나님의 속성이 하나님께 있음을 인정 안 하면서 어떻게 그러한 속성이 돌이나 >그들이 생각하기에 그 돌이 나타내고 있는 그 존재<에 있다고 하나? .... 그들의 오류는 ‘그들이 종교활동 하며 하나님을 참 하나님으로 여기지 않고, 자기의 필요와 욕망에 맞게 그 하나님을 개조했다’는 데에 있다. 모든 자들이 신성(神性)을 >자기가 좋아하게 된 존재<에 두기를 원했고, 그리하여 하나님에 관한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었다.

Here lay the beginning of the error that led to idolatry: everyone wanted to subsume the Godhead under his own interest.

우상숭배로 이끄는 오류의 시작이 여기에 있다: 모든 사람들이 자기의 유익(이익) 아래에 신성을 두기를 원했다.

 

The Children of Israel, too, were rebuked for having worshiped Baal and calves, and yet they obviously intended to worship the true God in these symbols and idols, and this they were forbidden to do.

이스라엘 백성 또한 바알과 송아지를 섬긴 일로 책망을 받았는데, 그럼에도 그들은 분명 참 하나님을 이러한 상징물이나 물체우상을 통해 섬기려 했다. 이것은 그들에게 금지된 것이었다.

 

How many there are even today who worship him not as if he were God but as if he were as they themselves imagine him for themselves! .... So, as we can everywhere observe, also today many have fallen victim to a selfish and reprehensible way of thinking.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여기지 않고 자신들을 위해 자신들이 생각해낸 하나님으로 여기며 그분을 섬기는 자들이 오늘날에도 얼마나 많은가! .... 그리하여 도처에서 볼 수 있듯이, 오늘날에도 많은 자들이 이기적이고도 악한 사고방식에 젖어 살고 있다.

 

Now, take note of the order of the stages of perdition. The first is ingratitude or the failure to be grateful. .... The second is vanity. .... The third is deluded blindness. .... The fourth is to be in error toward God, and this is the worst because it leads to idolatry.

파멸의 단계를 보시라. 첫째는 배은망덕, 혹은 감사치 않음이다. ... 둘째는 허영심(허망한 마음)이다. ... 셋째는 현혹된 무지(맹목(盲目))이다 ... 넷째는 하나님에 대한 그릇된 견해인데, 이것이 우상숭배로 이어지므로 최악의 상태다.

 

By the same stages, people even today come to commit spiritual idolatry of a more subtle kind, and it is quite frequent: they worship God not as he is but as they imagine and desire him to be. Ingratitude, namely, and the love of vanity (i.e., the sense of self-importance and of self-righteousness or, as one says, of "good intentions") delude people terribly, so that they become incorrigible, unable to believe anything else but that they behave splendidly and are pleasing to God. .... Here now "they change him into the likeness of their own imagination" (Rom. 1:23), which exists only in their corruptible minds that know only carnal desires. See, then, how great an evil ingratitude is: it produces a love of vanity, and this results in blindness, and blindness in idolatry, and idolatry brings about a whole whirlpool of vices.

오늘날에도 사람들이 그 동일한 단계로, 좀 더 교묘하게, 아주 빈번히 영적 우상숭배를 범하고 있다. 그들은 >본래의 하나님이 아니라 그들이 생각해낸 하나님, 그들의 취향에 맞는 하나님<을 섬긴다. 배은망덕, 곧 허영(즉 자만과 독선, 혹은 혹자가 말하듯 “선의(善意)”)을 좋아함이 사람들을 지독하게 현혹하여, 그들이 교정 불가능해지고, 오로지 ‘자신들이 근사하게 살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고 믿게 한다. 이제 “그들은 하나님을 자신들의 상상(想像)의 형상으로 바꾸어 놓는다(롬1:23)”. 그 형상은 오직 육적(肉的) 욕망만을 아는 그들의 부패한 마음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니 배은망덕이 얼마나 큰 악(惡)인지 알아야 한다: 그것은 허영을 좋아하게 하고, 이 허영은 맹목(盲目)을 유발하고, 맹목은 우상숭배를 유발하고, 우상숭배는 모든 악의 소용돌이를 야기한다.

Gratitude, however, keeps the love for God and thus holds the heart directed toward him. Because it is thereby also illumined, it worships, once it is illumined, only the true God, and to this worship there soon attaches itself the whole chorus of virtues.

그러나 감사하는 마음은 하나님을 사랑하게 하고, 마음이 그분께 향하게 한다. 그렇게 하여서 그 마음이 조명(照明)도 되므로, 그 마음은, 조명되어 있는 까닭에, 참 하나님만을 예배하고(섬기고), 이윽고 모든 덕들이 이 예배에 합류한다.

 

It is not correct to say that God orders man to do evil - no, one must rather say that he deserts him so that he cannot resist the devil, who now goes into action by the command and will of God.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죄를 지으라 명령하신다’라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게 아니다. 그보다는 우리는 이렇게 말해야 한다: “하나님께서 인간(죄인)을 버리셨고, 그리하여 그 사람은 마귀에 저항할 수 없게 된다. 이제 마귀는 하나님의 명령과 뜻에 따라 행동에 나선다.” (죄와 유혹에 저항하는 힘을 빼앗는 것도 하나님의 지엄한 형벌입니다.)

 

God lets sin be done, not for sin's sake, but for the sake of penalty and punishment. Just as a man who sins does not will to sin for the sake of sinning (for he would rather that there were no sin) but for the sake of a good which he pursues, so also God wills sin, not for the sake of sin (for he, too, would rather that it were not and he hates all that is sin), but for the sake of punishment and the ill that is contained in it so that he may have regard for the punishment rather than the sin.

하나님께서는, 죄를 목적으로가 아니라 죄값과 형벌을 목적으로, 죄가 행해지는 것을 허용하신다. 죄를 범하는 자가 >죄짓는 것을 목적으로가 아니라(그 자도 죄가 존재하지 않기를 바란다), 자기가 취하고 싶은 이익을 목적으로< 죄를 의지(意志, will)하듯(꾀하듯), 하나님께서도 >죄를 목적으로가 아니라(하나님께서도 죄가 존재하지 않기를 바라시고, 모든 죄를 미워하심), 형벌과 그것에 포함된 불행을 목적으로< 죄를 의지(意志)하시어, 죄보다는 형벌에 마음을 쓰신다.

 

He is not bound not to will that there be sin, although by his nature he necessarily can neither will nor love it, but he can will and love it, not in so far as it is sin, but in so far as it is punishment.

그분(하나님)께서는, 본성상 필연적으로 죄를 의지(will)하시거나 사랑하실 수 없으심에도, >죄가 존재하는 것<을 반드시 의지(意志) 안 하시지 않으시고, >죄가 죄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형벌인 한< 죄를 의지(意志)하시거나 사랑하실 수 있으시다. (하나님께서는 형벌을 목적으로 이 땅에 죄가 존재하는 것을 허용하신다는 말임.)

 

Sin, or rather the shame which is connected with sin, is in itself the penalty. The fact that grace is withheld is not the punishment. God intends it to be so; he despises sin, to be sure, yet because he cannot bring about shame except in connection with sin, he will that a man commit sin in order that this shame should overwhelm him. If it were at all possible that such ignominy could become a fact without sin, God would bring this about and he would prohibit sin. But this cannot be.

죄, 혹은 죄와 연관된 수치(羞恥)는 그 자체가 형벌이다. >은혜를 거두는(허용치 않는) 것<은 형벌이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그것(죄?)이 그러기를 바라신다. 그분께서는 분명 죄를 경멸하신다. 그럼에도 그분께서 죄와 결부시키시지 않고는 수치가 생기게 하실 수 없으시기에, 수치가 사람에게 임하게 하시기 위해 인간이 죄를 범하는 것을 의지(意志)(허용의 뜻이 강함)하신다. 만약 죄가 없이도 그런 치욕이 생길 수 있었다면, 하나님께서는 그 치욕이 있게 하셨을 것이고, 죄는 금하셨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불가능하다.

 

 

That he wills evil must be understood in a twofold way (i.e., that he brings it forth from his own will in the same way in which man wills evil - this is impossible with God). He wills evil in a different way - in view of the fact that it remains outside him and that someone else, be it a man or a demon, does it.

>하나님께서 악(惡)을 의지(意志, will)하신다<는 이중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간이 악을 의지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나님께서 자신의 의지로부터 악을 일으키신다< - 이것은 하나님께 불가능한 일이다.) >악이 하나님의 밖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 >다른 자, 곧 인간이나 마귀가 그것을 행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그렇다는 말이다.

 

It is true that God never wills any sin for the sake of sin itself. one must, rather, say that according to his will and pleasure he does not justify some in order through them to display an all the greater glory in the elect. And so when he will sins, he wills them for the sake of something else, namely, for the sake of his glory and for the sake of the elect.

>하나님께서는 결코 죄 자체를 위하여 죄를 의지(will)하지 않으신다<라는 말이 옳다. 오히려 우리는 이렇게 말해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의지와 만족에 따라 >어떤 자들을 통하여 선민(選民)들(선택받은 자들)에게 더 큰 영광을 나타내 보이시기 위해< 그 어떤 자들을 의롭다 하지 않으신다.’ 따라서 그분께서 죄를 의지하실 때에는, 다른 목적으로, 즉 그분의 영광과 선민을 위해 그것을 의지하신다.

 

What is more just than that those who turn away from the glory of God should be dishonored, not only in their hearts (and this is idolatry) but also in their bodies?

하나님의 영광에서 멀어진 자들이 그들의 마음뿐만 아니라(우상숭배를 말함) 그들의 몸도 치욕을 당하는 것이 얼마나 정당한 일인가?

 

No one can think rightly about God unless the Spirit of God is in him.

그 누구도, 그 자 안에 하나님의 영이 계시지 않으면, 하나님에 대해 올바로 생각할 수 없다.

 

The very character of disobedience is unrighteousness and sin, according to a word of Ambrose, who says: "Sin is disobedience of the divine commandments."

암브로제에 따르면 불순종의 특징이 바로 불의(不義)와 죄이다. 그는 말한다: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불순종이 죄이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터의 글 [로마서 강해] >3<  (0) 2015.07.09
루터의 글 [로마서 강해] >2<  (0) 2015.07.01
칼빈의 기독교 강요 요약   (0) 2012.12.07
종교개혁신학 용어집   (0) 2012.12.07
어거스틴의 글 >25, 끝<  (0) 2012.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