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멜란히톤(Melanchthon)의 글 : Loci Communes Theologici(신학의 기본 주제들) >1<

stevision 2015. 9. 8. 11:41

Melanchthon

 

출처: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Ichthus Edition

 

(멜란히톤의 Loci Communes Theologici(신학의 기본 주제들)에 나오는 글들. 멜란히톤은 루터와 동시대 사람으로, 이 저술을 통해 종교개혁 신학의 체계를 세웠다.)

 

There is nothing I should desire more, if possible, than that all Christians be occupied in greatest freedom with the divine Scriptures alone and be thoroughly transformed into their nature.

내가 가장 바라는 바는, 가능한 한 ‘모든 기독교인들이 가장 자유롭게 오직 성경에만 몰두하고, 온전히 변화되어 자신의 본성을 되찾는 것’이다.

 

Anyone is mistaken who seeks to ascertain the nature of Christianity from any source except canonical Scripture.

성경 이외의 것에서 기독교의 본질을 찾으려는 자는 실수하고 있는 것이다.

 

John of Damascus philosophizes too much, and Lombard prefers to pile up the opinions of men rather than to set forth the meaning of Scripture.

성경말씀의 의미를 제시하기보다는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너무 철학적인 말을 늘어놓았고, 롬바르드는 인간들의 소견들을 모아놓았다.

 

We do better to adore the mysteries of Deity than to investigate them.

우리는 하나님의 신비를 연구하기보다는, 그 신비를 경배해야 한다.

 

To know Christ means to know his benefits, and not as they teach, to reflect upon his natures and the modes of his incarnation.

그리스도를 안다는 것은 그분의 은혜(혜택)를 아는 것이지, 그들(스콜라 신학자들)이 가르치듯 ‘그분의 본성과 그분의 성육신 방식을 숙고하는 것’이 아니다.

 

Christ was given us as a remedy and, to use the language of Scripture, a saving remedy (Luke 2:30, 3:6; Acts 28:28).

그리스도는 우리에게 치료제로, 성경의 표현을 사용하자면, 구원하는 치료제로 주어졌다(눅2:30, 3:6, 행28:28).

 

He takes up the law, sin, grace, fundamentals on which the knowledge of Christ exclusively rests.

그(바울)는 율법, 죄, 은혜를 다뤘고, 오직 이 기초 위에 그리스도에 대한 지식이 세워진다.

 

Just as we in these latter times of the Church have embraced Aristotle instead of Christ, so immediately after the beginnings of the Church Christian doctrine was weakened by Platonic philosophy.

이 후기 교회 시대에 우리가 그리스도 대신 아리스토텔레스를 받아들였듯이, 교회가 시작된 직후에는 기독교 교리가 플라톤 철학으로 약화되었다.

 

One calls will(voluntas) joined with the knowledge or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 by a new name, "free will" (arbitrium).

사람들은 >‘지식’이나 ‘지성의 이해력’을 갖춘 의지(voluntas)<를 새로운 용어로 표현하여 “자유의지(arbitrium)”라 한다.

 

Since all things that happen, happen necessarily according to divine predestination, our will (voluntas) has no liberty.

발생하는 모든 일들이 하나님의 예정에 따라 필연적으로 일어나므로, 우리의 의지는 자유가 없다.

 

The Scriptures teach that all things take place by necessity. Granted that to you it seems that there is a contingency in human affairs, but right here the judgment of reason must be overruled.

성경은 모든 일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고 가르친다. 당신에게 인간사(人間事)에 우연이 있어보일지라도, 바로 이 지점에서 이성의 판단이 극복(중지)되어야 한다.

 

 

But if you think of the power of the human will(voluntas) as a capacity of nature, according to human reason it cannot be denied that there is in it a certain freedom in outward works.

하지만 우리가 >본성의 능력으로서의 인간의지(voluntas)의 능력<을 고려할 때, 인간 이성에 의하면 그것(의지) 안에 >외적 행동<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의 자유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The would-be philosophers who have attributed freedom to the will(voluntas) have fixed their eyes upon this contingency of external works. But Scripture tells nothing of that kind of freedom, since God looks not at external works but at the inner disposition of the heart.

의지(voluntas)에 자유를 부여한 자칭 현인(賢人)들이 이 외적 행동의 우연성에 주목한다. 그러나 성경은 그러한 유(類)의 자유에 대해 말하고 있지 않다. 하나님께서 외적 행위를 보시는 게 아니라 내적 마음의 생각을 보시기 때문이다.

 

By contrast, internal affections are not in our power, for by experience and habit we find that the will(voluntas) cannot in itself control love, hate, or similar affections, but affection is overcome by affection.

그와 대조적으로 내적 감정들은 우리의 지배하에 있지 않다. 경험과 습관상 우리는 ‘의지(voluntas)가 사랑, 미움, 혹은 그와 유사한 감정들을 통제할 수 없고, 감정은 감정으로 극복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I shall not listen to the Sophists if they deny that the human affections - love, hate, joy, sadness, envy, ambition, and the like - pertain to the will(voluntas), For nothing is said now of hunger and thirst. For what is will(voluntas) if it is not the fount of the affections? And why do we not use the word "heart" instead of "will(voluntas)"? For the Scriptures call the most powerful part of man the "heart," especially that part in which the affections arise. But the Schools are in error when they imagine that the will(voluntas) by its very nature opposes the affections, or that it is able to lay an affection aside whenever the intellect so advises or warns.

소피스트(궤변가)들이 ‘인간의 감정들(사랑, 미움, 기쁨, 슬픔, 시기, 야망, 등)이 의지에 속한다’는 것을 부인한다면, 나는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것이다. 지금 배고픔이나 목마름을 말하는 게 아니다. 의지가 감정의 근원이 아니라면 대체 뭐란 말인가? “의지”를 “마음”이라 하지 못할 이유가 있는가? 성경은 인간의 가장 힘 있는 부분, 특히 감정의 근원을 “마음”이라 칭한다. 그러나 (중세 카톨릭의) 대학들이 ‘의지가 본질적으로 감정에 저항하고, 지성이 가르치거나 경고할 때마다 의지가 감정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그들은 오류에 빠져있다.

 

Their false teaching on penances depends on this position. however you may be disposed, they think that your will(voluntas) has the power to evoke good acts.

그들의 그릇된 고해성사 가르침이 이 견해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들은 ‘인간의 기질이 어떻든 인간의 의지가 선행(善行)을 일으킬(유발할)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Those fellows teach that the will(voluntas) can cause nature to love God.

그 자들은 ‘의지가 본성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사랑하게 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The Schools do not deny the existence of affections, but they call them a "weakness of nature." This is accurate enough if the will(voluntas) actually has the power to evoke various acts. But I deny that there is nay power in man which can seriously oppose the affections, and I think the acts which are evoked are nothing but a feigned thought of the intellect. For since God judges hearts, the heart and its affections must be the highest and most powerful part of man.

대학들은 감정들의 존재를 부인하지는 않으나, 그것들을 “본성의 연약함”으로 칭한다. 이것은, 의지가 실제로 다양한 행위들을 일으킬 능력이 있다면, 매우 정확한 말이다. 그러나 나는 ‘진정으로 감정에 저항하는 능력이 인간 안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유발된 행위들<이 단지 >지성의 허구적 판단<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마음을 판단하시기에, 마음과 ‘마음의 감정들’이 인간의 >가장 상위의 가장 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But if we had preferred to use the word "heart," which the Scripture uses, instead of the Aristotelian word "will(voluntas)", we should easily have avoided errors so thickheaded and stupid. Choice of things in external matters Aristotle calls "will(voluntas)", and this choice is generally deceitful. But what place do external acts have in Christian teaching if the heart is insincere? Furthermore, Aristotle himself did not discuss those "elicited acts"; Scotus dreamed them up. However, now I am not writing to refute them, but to teach you, Christian reader, what you ought to follow. I confess that in the external choice of things there is some freedom, but I deny altogether that internal affections are in our power. Nor do I acknowledge that there is any will(voluntas) which seriously opposes the affections, and I say these things, of course, abut man as he is by nature. For in those who have been justified by the Spirit, good affections struggle with bad, as we shall teach below.

그러나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 “의지”보다 성경의 용어 “마음”을 더 선호했다면, 간단히 멍청하고 어리석은 오류들을 피했을 것이다. 외적 문제에 있어서의 >사물의 선택<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의지”라 칭했고, 일반적으로 이 선택은 허위다. 그러나 마음이 허위라면 기독교의 가르침에서 외적 행위들이 설 자리가 어디이겠는가? 더구나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은 그 “유발된 행위들”에 대해 논(論)한 적이 없다. 스코투스(둔스 스코투스)가 그것들을 생각해낸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것들을 논박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게 아니다. 나는 기독교 독자 여러분에게 >여러분들이 따라야 할 것<을 가르치고자 한다. 나는 ‘사물에 대한 외면적 선택 때에 약간의 자유가 있음’을 인정하나, ‘내적 감정들이 우리의 제어력 안에 있음’은 전적으로 거부한다. 또한 ‘진정으로 감정들에 저항하는 의지가 존재함’을 나는 인정하지 않으며, 물론 나는 자연인(自然人, 천성적 인간)인 인간에 관해 이런 것들을 말하고 있다.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성령으로 의롭게 된 자들 안에서는 선한 감정들이 악한 감정들과 대결한다.

 

Why boast of freedom in external acts when God requires purity of heart? All that stupid and godless men have written about free will(arbitrium) and justification by works is nothing but a Pharisaic tradition.

하나님께서는 마음의 정결함을 바라시는데, 왜 외적 행위의 자유를 자랑하나? 어리석고 불신앙적인 자들이 자유의지와 >행위를 통한 의인(義認)<에 대해 주장한 모든 말은 바리새인의 전통일 뿐이다.

 

And Jeremiah the prophet says that the heart of man is "deceitful ... and desperately corrupt".

선지자 예레미야는 인간의 마음이 “거짓되고 ... 심히 부패했다”고 했다.

 

Therefore, the christian mind must observe not merely the appearance of an act, but what sort of affection there is in the spirit, not what kind of freedom there is in works, but whether there is any freedom of the affections.

그러므로 기독교인의 마음은 ‘단순히 행동의 외양을 보기’보다는 ‘영혼 안에 어떤 감정이 있는지 보아야’ 하고, ‘행위에 어떤 유(類)의 자유가 존재하는지’가 아니라 ‘감정의 자유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May the stupid Scholastics see how many thousands of souls they have slain with their Parisaical double-talk on free will(arbitrium)!

어리석은 스콜라 신학자들이 ‘자신들이 >자유의지에 대한 자신들의 바리새파적(的) 허튼소리로< 얼마나 많은 영혼들을 죽였는지’ 알았으면 좋으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