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물

하이델베르크 논쟁 (루터, 1518)

stevision 2016. 12. 6. 14:31

출처: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Ichthus Edition. Vol. 16

Disputation held at Heidelberg, April 26th, 1518

하이델베르크 논쟁 (루터, 1518. 4. 26.)

Theses from the province of theology

신학 부문 논제들

With no trust in ourselves whatever, and in the spirit of Prov. 3:5: "Trust in the Lord with all thine heart, and lean not unto thine own understanding," we humbly offer these theological paradoxes to the judgment of all those who care to come. We do this so as to establish clearly whether or no these theses are legitimately expounded from Paul, the peerless and choicest of Christ's chosen instruments and vessels. And also to see whether they are in accordance with Augustine, his most faithful interpreter.

우리 자신을 의지하지 않고, 잠3:5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의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에 따라 우리는 겸허하게 >(토론에) 참석하시는 모든 분들<의 판단에 이 신학적 역설(逆說)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 우리는 >이 논제들이 ‘그리스도께서 택하신 독보적이고도 출중한 도구요 그릇’인 바울의 정신에 맞게 적법하게 (성경을) 설명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 논제들이 ‘가장 충실히 바울을 해석하고 있는 어거스틴’과 일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 The law of God, that most wholesome doctrine of life, cannot bring man to righteousness. It is a hindrance rather than a help.

가장 생명에 유익한 ‘하나님의 율법’이 인간을 의롭게 만들 수 없다. 그것은 도움이 되기보다는 방해가 된다.

2. How much less can the works of man bring him to righteousness, done as they are time and time again and aided and abetted by the dictates of the natural man.

인간의 행위들이 >거듭하여 자연인의 명령의 도움과 선동으로< 행해졌다면, 얼마나 더 그 인간을 의롭게 하지 못하겠는가!

3. The works of man, though they always look splendid and have the appearance of being very good, are yet in all probability mortal sins.

인간의 행위들은, 비록 항상 화려하고 매우 선해보여도, 십중팔구 대죄(大罪)들이다.

>>

* 대죄(大罪, mortal sin , peccatum mortale): 십계명 등, 하나님의 법을 크게 거슬러 죽음에 이르게 하는 죄. 죽을죄[사죄(死罪)]라고도 한다.

* 소죄(小罪, venial sin , peccatum veniale): 죄 가운데 하나님의 은총을 잃지는 않을 정도의 죄. 고해성사에서 소죄의 고백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교회가 권고하는 사항이다. 소죄 성찰과 고백은 양심을 기르고, 나쁜 성향과 싸우며, 그리스도를 통해 영혼이 치유받아 성령 안에서 성장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디어 종사자를 위한 천주교 용어 자료집, 2011. 11. 10.,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4. The works of God, though they may always look evil and have the appearance of being very bad, are yet in fact works of eternal merit.

하나님의 일들은, 비록 항상 악해 보이고 매우 나빠 보여도, 사실은 영원한 공로가 인정되는 행위들이다.

5. The works of man are not so deadly (we are referring to his good works as they appear good to us), that these same deeds could be called crimes.

인간의 행위들(우리는 지금 인간의 선행들(이것들이 우리에게 선하게 보이기에)을 말하고 있는 것임)이 (지옥에 갈 만큼) 치명적이지 않다. 그래서 그 행위들이 범죄들이라고 하는 것이다.

6. Neither are the works of God so meritorious (we speak of those deeds which man do), that these same deeds could be called sins.

하나님의 일들(우리는 인간이 하는 행위들을 말하고 있음)도 대단히 공로적이지 않다. 그래서 그것들이 죄(sin, 종교적 죄)라 할 수 있다.

7. The works of even the righteous would be mortal sins, if they were to act without a reverent fear of God and were not afraid that their works were mortal sins.

심지어 의인들의 행위들이라도, 그들이 하나님을 경외함 없이 행하고 ‘그들의 행위들이 대죄(大罪)임’을 염려하지 않는다면, 대죄가 될 것이다.

8. How much more are the works of men mortal sins when they are done even without the fear of God and in a spirit of mere self-concerned security.

인간의 행위들이 하나님을 경외함 없이 이기적 안전의 심리 상태로 행해졌다면, 얼마나 더 대죄이겠는가!

9. To say that works apart from Christ are in fact dead but not mortal sins seems a highly dangerous relaxation of the fear of God.

‘그리스도 없이 행해진 행위들이 사실 죽은 행위이긴 하나 대죄는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정도로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이 상실된 상태이다.

10.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 work can be a dead work and yet not be noxious or a mortal sin.

‘어찌하여 어떤 행위가 >죽은 행위<이면서도 유해한 죄나 대죄가 될 수 없는지’ 납득하기 매우 어렵다.

11. Pride cannot be evaded, nor can any real hope be present, unless the fear of judgment and condemnation attends every good work.

모든 선한 행위에 >심판과 정죄의 두려움<이 함께하지 않는다면, 교만은 피할 수 없고 실제적 소망은 있을 수 없게 된다.

12. When men are afraid that their sins are mortal then they are venial in the sight of God.

사람들이 자신들의 죄가 대죄인 것을 염려할 때 하나님 보시기에 그 죄는 소죄이다.

13. Free will after the Fall exists only in name, and as long as a man "does what in him lies," he is committing mortal sin.

아담의 타락 후 자유의지는 오직 명목상으로만 존재할 뿐이고, “자신 안에 있는 것을 행하는 한(최선을 다해 행하는 한)” 인간은 대죄를 범하고 있다.

14. The free will after the Fall has the power to do good only when it is in a state of obedience (i.e., when it is a power under subjection to a greater power - potentia subjectiva), but in actual fact it is always active in an evil cause.

아담의 타락 이후 자유의지는 오직 순종의 상태에서만 (즉 더 큰 능력의 아래에 있는 능력 일 때에 - potentia subjectiva(주체적 가능태(능력))) 선행을 할 능력이 있으나, 실제로는 항상 악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 스콜라 철학자들은 ‘논리적 의미의 힘들(potentiae objectivae, 객관적 힘들(가능태들))’과 ‘생명체나 실물(實物)의 역량이나 능동적 기질의 의미의 힘들(potentiae subjectivae, 주체적 힘들(가능태들))’을 구분했다.

15. And in the state of innocence man did not exist with the power of doing good (potentia activa), but only that good might be done through him (potentia subjectiva), much less had he the power to improve.

무죄(순결)의 상태일지라도 인간은 선을 행할 능력(능동적 가능태(potentia activa))이 없었고, 다만 그에게 개선의 능력이 그 (선을 행할 능력) 보다 훨씬 더 없다면, 그 선행은 그(potentia subjectiva(주체적 가능태))에 의해 행해져야 할 것이다.

16. If a man thinks that he will come to a state of grace by doing "what in him lies," he merely piles one sin upon another sin, and is doubly sinful.

어떤 자가 “자신 안에 있는 것”을 행함으로 은혜의 상태에 들어갈 것이라 생각한다면, 그저 죄 하나를 더 추가하는 것이고, 이중으로 죄인이 된다.

17. And to speak in this way is not to give reason for despairing but on the contrary of being humble and seeking to excite a desire for the grace of Christ.

이같이 말하는 것은 절망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함이 아니라, 그 반대로 >겸손해짐과 그리스도의 은혜에 대한 갈망을 불러일으킴의 근거<를 제공하려 함이다.

18. It is certain that man ought wholly to despair of himself so that he may become fit to receive the grace of Christ.

분명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기에 적합해지기 위해서는 우리가 자신에 대해 완전히 절망해야 한다.

19. He is not worth calling a theologian who seeks to interpret "the invisible things of God" on the basis of the things which have been created.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것들”을 피조물들에 근거하여 해석하려 하는 자는 신학자라 불릴 자격이 없다.

20. But he is worth calling a theologian who understands the visible and hinder parts of God to mean the passion and the cross.

그러나 >하나님의 가시적 부분과 배후 부분<을 수난과 십자가로 이해하는 자는 신학자라 불릴 자격이 있다.

21. The theologian of glory says bad is good and good is bad. The theologian of the cross says what is in fact the truth (i.e., calls them by their proper name).

>영광의 신학자<는 악을 선이라, 선을 악이라 한다. >십자가의 신학자<는 실제로 진리인 것을 말한다. (즉 사실 그대로를 말한다.)

22. The sort of wisdom which understands the invisible things of God as known from doing good works simply inflates a man, and renders him both blind and hard.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것들’이 선행을 함으로써 알려진다고 생각하는 그런 지혜는 단지 인간을 우쭐거리게 하고, 눈멀고 냉혹하게 만든다.

23. The law works wrath: it kills, curses, makes guilty, judges and damns every one who is not in Christ.

율법은 진노를 야기한다. 그것은 ‘그리스도 안에 있지 않은 모든 자들’을 죽이고, 저주하고, 유죄 판결하고, 심판하고, 지옥에 보낸다.

24. Yet it is not that this wisdom is evil, nor that we should flee the law, but that the man who has not learnt the theology of the cross puts the finest things to their worst possible use.

그럼에도 >이 지혜가 악하다<거나, >우리가 율법을 피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십자가의 신학을 배우지 않은 자’는 가장 좋은 것들을 가장 나쁘게 사용하고 있다<는 말이다.

25. The righteous man is not the man who does very much in the way of good works, but it is he who apart from any works believes very much in Christ.

선행을 아주 많이 하는 자가 의인이 아니라, 그 어떤 행위를 떠나 그리스도를 많이 믿는 자가 의인이다.

26. The law says: "Do this," but it is never done. Grace says: "Believe in him," and everything is already done.

율법이 “이것을 행하라”고 하나, 그것은 결코 행해지지 않는다. 은혜는 “그를 믿으라”고 하고, 그리고 모든 것은 이미 행해졌다.

27. The work of Christ may rightly be described as effective in that it effects the good work, and ours as effected. And in this way the good work that has been effected through us may be said to please God by the grace of the work of Christ who is actually effecting the good work [paraphrased. Ed.].

그리스도의 행하심이 선행을 유발하기에 그분의 행하심이 마땅히 ‘유발적(유효한)’이라 할 수 있고, 우리의 행위는 ‘유발된(영향을 받은)’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실제적으로 선행을 유발하시는 그리스도’의 행하심의 은혜로 인해 ‘우리에 의해 유발된 선행들’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의역을 함, 편집자(T. F. Torrance)]

28. The Love of God does not find but creates the object of its love, whereas the love of man is created by the object of its love.

하나님의 사랑은 사랑의 대상을 찾기보다는 창조하는 반면, 인간의 사랑은 그 사랑의 대상에 의해 창조된다.

Theses from the province of philosophy

철학 부문 논제들

[There now follow twelve similar theses from the realm of scholastic philosophy. The editor prefaces these theses from the province of philosophy with a brief explanation of the issues involved so that the reader may appraise the relevance of Luther's terse rebuttals. Where necessary the editor has added brief paraphrases and some explanation to particularly difficult points.

이제는 철학 부문의 유사한 12 논제들이 있을 것이다. 편집자(T. F. Torrance)는 관련 문제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곁들여 철학 부문의 이 논제들에 대한 서문(해설)을 써서 독자로 하여금 루터의 간단한 반박들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필요한 경우 편집자는 특히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간단한 부연설명을 했다.

Aristotle's doctrine of Potentiality and Actual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hilosophy and these terms are discussed here by Luther. Aristotle's teaching is an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 things come to be what they are?" To solve this problem he directs man's thinking to the process of growth. For example, he sees the acorn as an oak not in actuality but in potentiality. To put this thought into philosophical terminology it would run like this: a thing which has reached its proper Form is the Actuality of which the indeterminate Matter was the Potentiality. The Potentiality becomes Actuality in the end when the process or purpose has been completed and reached its intended end.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능태(잠재태)와 현실태 설(設)은 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 용어들은 여기서 루터의 토론 대상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은 “어떻게 사물들이 현재의 그것들이 되게 되었나?”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의 시도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그는 인간의 사고(思考)를 생장과정에 집중시킨다. 예를 들어, 그는 도토리(열매)에서 >도토리나무<를 현실적(현실태)으로가 아니라 가능적(가능태)으로 본다. 이 생각을 철학언어로 표현하면 이와 같이 된다: 자신의 본래의 형상에 도달한 사물은 현실태(미정(未定)의 질료는 이것의 가능태임)다. 과정이나 목적이 완수되고 그것의 의도된 목적에 도달했을 때 마침내 가능태는 현실태가 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ocess is not process that is unending. The process has a telos, an end. Created things were meant to fulfil a purpose. In fact, the end to which things develop is thought of as preexisting as a purpose or as an idea exerting some pull in the process of fulfilment. This is a very important contribution to man's thinking on the subject of change and time and has exerted a not inconsiderable influence.

이 과정은 끝없는 과정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 과정은 텔로스(telos), 즉 목적(결말)이 있다. 사실 사물들의 발달의 목표가 되는 ‘목적’은 ‘목적이나, >그 완성의 과정에서 조금은 인력(끌어당김)으로 작용하는 이데아<’로서 선재(先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것은 변화와 시간에 대한 인간의 사고(思考)에 매우 큰 기여를 했고, 무시하지 못할 영향을 끼쳤다.

Aristotle's teaching on this subject was embraced in his doctrine of the Four Causes. This is an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es the world order come to be what it is?"

이 주제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 그의 >4 원인론<에 수용되었다. 이것은 “어떻게 세상의 질서가 현재의 이 질서가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His answer consists of four parts, the holding of each several part of which is essential to the grasping of the truth of the whole. First, there is the material cause of a thing, or in other words Matter. Secondly, there is the formal cause according to which the thing develops, or in other words Form. Thirdly, there is the efficient cause, that is the agent who started off the whole process in the first place. Fourthly, there is the final cause which is the result of the process. This final cause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Potentiality and Actuality by saying that the final result we see as an Actuality is the Potentiality of the process which has reached its final expression in the process.

그의 대답은 네 부분들로 되어있는데, 이것들의 각 부분들을 유지하는 것이 전체의 진리를 파악하는 데 꼭 필요하다. 첫째, 사물의 >질료인(質料因)<, 환언하여 질료가 있다. 둘째, 형상인(形象因, 이것에 따라 사물이 발전함), 혹은 형상이 있다. 셋째, 운동인(運動因)이 있는데, 이것은 애당초 전(全) 과정을 출발시킨 작인(作因, 관계대명사 who를 사용한 것을 보면 인격적 존재를 염두에 둔 것 같음)이다. 넷째, 과정의 결과인 목적인(目的因)이 있다. 이 목적인은 >‘우리가 현실태로 보고 있는 최종 결과’는 ‘그 과정에서 자신의 마지막 발현에 도달한 그 과정의 가능태’다<라고 함으로 가능태와 현실태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The reader will perceive that in man's actual empirical experience these four causes tend to coalesce. In the last analysis the basic distinction is between the material cause, the very stuff in which the development proceeds, and the final cause which is the end which the development is seeking to achieve.

독자께서는 인간의 실제 경험에서 이 네 원인들이 서로 연합됨을 보게 된다. 마지막 분석에서 근본적 차이는 질료인( 안에서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바로 그 재료)과 목적인(그 발전이 달성을 목표로 추구하고 있는 목적) 간에 있다.

This explanation is a sketchy and inadequate analysis of the Aristotelian view and is only given to serve to elucidate on the one hand the terminology involved in the twelve theses following and on the other hand to show how Luther's evangelical insights were bound to issue in a sharp anti-Aristotelianism. Luther's concern is that scholastic Aristotelianism is bound to involve a mechanistic self-determinism, which in fact Aristotle develops in his Ethics. Here Aristotle teaches that a man is determined not by natural forces nor external environment but rather by tendencies working within him. That a man develops a good character by constantly doing good deeds. But he cannot do good deeds unless he is the sort of man whose nature it is to do them; unless that is he has the good character from which good acts spring. That is a man is impelled from within him and underneath him rather than drawn from outside him and above him. (Modern psychoanalysis endorses this former view very strikingly though within a different framework of ideas.)

이 설명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대한 개략적이고 불충분한 분석이고, 단지 >이어지는 12 논제들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하고, 또한 왜 루터의 복음적 통찰이 신랄한 반(反)아리스토텔레스주의로 끝나는지 보여주기 위함이다. 루터가 주목했던 것은 >스콜라신학적(的)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필히 ‘기계론적 자기결정주의(실제로 이것을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윤리학에서 발전시킴)’를 포함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윤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한 인간은 자연력이나 외적 환경이 아니라 자신 안에서 활동하는 ‘경향(성향)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사람이 계속하여 선행을 함으로 좋은 성격을 발달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본성이 선행을 하는 인간이 아닌 한, 즉 선한 행위의 원천인 좋은 성격을 갖추지 않는 한 사람은 선행을 할 수 없다. 즉 인간은 자신의 외부나 위로부터가 아닌 자신의 내부나 아래로부터 충동되어진다. (현대 심리분석은, 비록 다른 아이디어 체제에서지만, 이 후자(내부나 아래로부터의 충동)의 견해를 강력히 지지한다.)

Aristotle's view, or perhaps more precisely, what scholasticism had made of it, has doubtless some truth in it as far as it goes. But it is the view of a man looking at man's situation whereas Luther sets the problem on a supra-human level, and acts and thinks in the light of the certainty of what God did and does for us men and for our salvation. Aristotle's doctrine provides no adequate basis for the doctrine of man's redemption as given in the Gospels, but rather gives room for a doctrine of works-righteousness; a view which thinks in terms of human effort, human endeavour and human righteousness. Luther was actually in conflict with Pelagianism. Luther realized the issues involved at very early stage and his thinking crystallized out rather sharply because of the bitter waters of polemic with which it was all too soon mixed. The most sympathetic insight into and explanation of his hostility towards the Aristotelian scholasticism of his day may be arrived at by considering Luther's polemic here in the positive sense of a consuming desire of a man saved and elected by God to allow God's work in Christ for us men and for our salvation to be given free expression and unimpeded influence, and to root out any and every human effort or subterfuge to devise or gain salvation. He hated Aristotle because he loved Christ: Aristotle for all his intrinsic worth, turned men's eyes from Christ to a humanist's ethic and a humanist's salvation. Aritstotle's hermeneutics did a great deal for the humanists, as it helped them to bring interpretation and study down to earth, but the basically Greek mind mediated by Aristotle did have the effect of developing an ethic whose inspiration was humanism rather than the Gospel and a doctrine of redemption that was man-centred rather than Christ-centred. Ed.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혹은 좀 더 정확히 말해, 그것으로부터 스콜라 신학이 만들어 낸 것은 분명 그 범위 내에서는 어느 정도의 진리를 소유한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의 상황을 보고 있는 한 인간의 견해이고, 반면 루터는 문제를 >인간 위의 단계<에 올려놓고, >하나님께서 인간인 우리를 위해, 우리의 구원을 위해 과거와 현재 하신 일<의 확실성의 빛에서 행동하고 사고(思考)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은 복음이 제시하는 인간구원교리에 대한 적절한 기초를 제공하지 않고, 오히려 행위의(行爲義) 교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바로 인간의 노력, 시도, 의를 매개로 사고하는 관점 말이다. 실제로 루터는 펠라기우스주의와 갈등관계에 있었다. 루터는 이와 관련된 문제를 초기 단계부터 인식하고 있었고, 그의 사상은, 너무 이르게 함께 연루된 격렬한 논쟁으로 인해, 선명히 드러났다. 당시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的) 스콜라신학에 대한 루터의 적대감에 대한 최고의 공감적 통찰과 설명은 아마도 이곳 루터의 논쟁을 고려함으로 가능할 것이다. >우리 인간들을 위한, 우리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행하신 일들이 자유롭게 설명되고, 방해받지 않고 영향을 끼치게 하고, 구원을 고안하거나 얻으려는 인간의 모든 노력과 협잡을 뿌리 뽑으려는< 열망을 갖고, 적극적 판단력으로 논쟁에 임한 >하나님께 구원받고 선택된 한 인간< 루터의 논쟁을 말이다. 그가 그리스도를 사랑했기에 아리스토텔레스를 싫어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고유한 가치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시선을 그리스도로부터 떠나 인본주의 윤리와 인본주의 구원으로 향하게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학은 인본주의자들로 하여금 해석과 연구를 이 땅에 내려오게 함으로 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나, 근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중개된 그리스 정신은 >그 영감이 복음이 아니라 인본주의인 윤리<를, >그리스도 중심이 아닌 인간중심의 구원론<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했다. 편집자.]

29. Whoever is minded to apply himself to the Aristotelian philosophy without danger to his soul must first be made truly foolish in Christ.

자신의 영혼에 해가 됨 없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몰두하려는 자는 다 먼저 그리스도 안에서 진정한 어리석은 자가 되어야 한다.

30. As nobody except a married man can put the passion of the flesh to its natural and proper use, so then nobody can put his mind to philosophy except a fool in Christ, that is a Christian man.

오직 기혼자만이 육신의 정욕을 자연적, 본래적으로 충족할 수 있듯, 그리스도 안에서 어리석은 자, 곧 기독교인만이 철학에 접근할 수 있다.

31. It was easy for Aristotle to maintain that the world was eternal as long as he thought that the human soul was mortal.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의 영혼이 필멸의 존재라고 생각하는 한, 그가 >세상이 영원하다<고 주장하는 게 당연하다.

32. After it has been accepted that there were as many independent universals or Forms as there were things created, it had necessarily to be accepted as well that there were as many material substances of matter.

>창조된 사물들의 수만큼 독립적 보편자들 혹은 형상들이 존재한다<가 인정되면, 필연적으로 >그와 동수의 질료의 ‘물질적 실제들’이 존재한다<도 인정되어야 한다.

33. It is not necessary to believe that a thing has been created out of something in the world already. But whatever has been created naturally has however been created out of matter.

>어떤 사물이 ‘이미 세상에 있는 어떤 것’으로부터 창조되었다<고 믿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창조된 모든 것은 질료(물질)로부터 창조되었다.

34. If Aristotle had known the absolute power of God, to that extent would he have asserted that it is impossible for indeterminate mater [or the material case - see above p. 279. Ed.] to exist pure and simple.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을 알았다면, 그에 맞게 >미정의 질료(질료의 경우 위를 보시라. 편집자)가 순수하고 단순하게 존재함이 불가능하다< 했을 것이다.

35. In actuality nothing is eternal. Potentiality, however, and Matter exist as constituted in created things, according to Aristotle.

실제로는 아무것도 영원하지 않다. 하지만 가능성(가능태)과 질료는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피조물들 안에 구성요소로 존재한다.

[That is, they cannot exist apart from the Form which gives them shape. Ed.

즉 그것들은 그것들에게 형태를 부여하는 형상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편집자.]

36. Aristotle was in the wrong when he reproved and scoffed at Plato's philosophy of ideas which is a better philosophy than his own.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신의 철학보다 더 나은 플라톤의 이데아 철학에 비난과 조소를 한 것은 그릇되다.

[Luther's point is that Platonism provides a possible philosophical basis for theism which Aristotelianism does not. Ed.

루터의 주장은 >플라톤 철학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제공하지 못하는, 유신론에 사용 가능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편집자.]

37. Pythagoras, ingeniously maintained the significance of number in life, but Plato far more ingeniously established the participation of Ideas in created things.

피타고라스가 정교하게 삶에서의 수(數)의 중요성을 주장했는데, 이보다 훨씬 더 정교하게 플라톤은 이데아의 ‘피조물 안에로의 참여’를 주장했다.

38. The disputation of Aristotle with that rare bird Parmenides was (if I may say it to a Christian audience without offence) just shadow boxing.

아리스토텔레스의 >저 비상한 사람 파르메니데스<와의 논쟁은 (내 표현에 기독교 독자가 불쾌해하시지 않는다면) 혼자 하는 연습일 뿐이다.

[Parmenides was a Greek mathematician of about 500 B.C. who argued that the universe was a homogeneous whole and hat no part or element of it can change. There can be neither growth nor diminution in respect of any particular quality in the universe. Coming into being and ceasing to be are therefore mere names, and he reached the famous conclusion ex hihilo nihil fit, out of nothing there comes nothing. The argument reminds modern readers of Spinoza's monism. Ed.

파르메니데스는 약 B.C. 5 세기경의 그리스 수학자이다. 그는 우주가 하나의 균질체이고, 그것의 어느 한 부분이나 요소가 변화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우주 안의 그 어떤 특질(특성)에 있어서도 성장이나 감소가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생성과 소멸은 단지 명목상 그런 것이고, 그는 이 유명한 결론 >ex hihilo nihil fit, 무(無)로부터는 아무것도 생겨나지 않는다<에 도달한다. 이 주장은 현대의 독자들에게 스피노자의 단자론을 상기시킨다. 편집자.]

39. If, as it seems, Anaxagoras taught that the Infinite is a Form, he was the best of the philosophers, not even Aristotle excepted.

그럴법해 보이는데, 만약 아낙사고라스가 무한자(無限者)가 형상이다<라고 가르쳤다면, 그는 심지어 아리스토텔레스를 포함한 모든 철학자들 중 가장 위대한 자이다.

40. In Aristotle it seems that privation, Mater and Form, constancy and inconstancy, Actuality and Potentiality and all the rest of them amount to one and the same thing.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성질결여, 질료와 형상, 항구성과 변화, 현실태와 가능태, 그리고 그 외 모든 것들이 결국은 동일한 것에 이르는 것 같다.

- 이하의 내용은 위의 논제들의 설명이므로 생략함 -

'번역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르툴리아누스: 이단논박 >2<  (0) 2023.08.02
테르툴리아누스: 이단논박 >1<  (0) 2023.07.26
스콜라 신학 비판 (루터의 글, 1517)  (0) 2016.11.30
웨슬리 설교 15 >>끝<<  (0) 2012.12.05
웨슬리 설교 14  (0) 201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