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물

테르툴리아누스: 이단논박 >2<

stevision 2023. 8. 2. 16:54

The Prescriptions against the Heretics

이단논박

 

Introduction

(영역자) 서문, 본문해설

                                                              I

 

The twentieth century has seen a predominant concern with the problem of Revelation, and, in close connexion, with the nature and authority of the Church which is constituted by the Revelation in Christ. Something similar was taking place in the second century. The Gnostics, while claiming to be Christians, looked partly to reason and partly to mysticism and special revelations for their teachings. They used some of the books which now form the New Testament, but they treated them in a very high-handed fashion, as regards both text and interpretation; and they used other books which the Church has subsequently repudiated. Yet there were genuine Christian elements in or behind their teaching, and to many they must have seemed the most up-to-date religious teachers of the time, interpreting the Christian revelation in the light of the best contemporary thought. To the ordinary bishop or presbyter, responsible for the instruction of simple people, they would be at best a nuisance and at worst a serious danger – if they were not actually an attraction to him – unless he could find something firm and clear to hold on to and to teach.

20세기는 계시 문제와 관련하여, 또한 그리스도 안의 계시에 의해 설립된 교회의 본질과 권위와 밀접히 관련하여 나온 지대한 관심(우려)을 경험했다. 2세기에도 이와 유사한 일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노시스주의자(영지주의자)들은, 스스로는 기독교인들이라 주장하면서, 그들의 주장들을 뒷받침하기 위해 부분적으로는 이성을 부분적으로는 신비주의와 특별계시를 수용했다. 그들이 현재의 신약성서를 구성하는 몇몇 책들을 사용하기는 했으나, 본문과 해석에 있어서 그들은 그 책들을 매우 오만하게 다뤘고, 후에 기독교가 경전으로 채택하지 않은 책들도 사용했다. 그럼에도 그들의 가르침의 안과 배후에는 참된 기독교적 요소들도 있었고, 당시에 많은 자들에게 그들은 >시대사상의 빛에서 기독교 계시를 해석하는 가장 현대적인 기독교 교사들<로 보였음이 분명하다. 단순한 사람들의 교육을 책임진 일반 주교와 장로에게 그들은 기껏해야 성가신 자들이고, 나뻐봤자 심각한 위험이었다. 주교나 장로가 실제적으로 그들에게서 매력적인 면을 발견 못하여 그들에게서 뭔가 강하게 받아들여 가르칠만한 >확실하고도 명백한 것<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말이다.

 

The theologians of the second and early third century, Justin to some extent, Irenaeus in particular, Clement of Alexandria and Tertullian, were prepared to argue against Gnostic notions or teachers seriatim, and did so. But some of them recognized that the over-riding question raised by Gnosticism was, What is authentic Christianity?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uthoritative sources of the faith (that is primarily, to delimit the sacred books, to form a Canon), and it was expedient, if it could be done, to show where authentic Christianity was to be found in the contemporary world. The clue to the answers was the one word, apostolic. The saving revelation, it was argued, had been given once and for all in the historical Christ through historical events at a point in history, events which had been prophesied and prepared for in the Old Testament. The revelation had been communicated as a corpus of teaching, “the faith,” by Christ to the apostles, and by the apostles to the churches which they founded.

2세기와 3세기 초의 신학자들, 예컨대 유스티누스(Justine) 정도까지 포함하여, 특히 이레나에우스(Irenaeus), 또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테르툴리아누스는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 관념들이나 지도자들 하나하나에 대항하여 논쟁할 준비가 되어 있었고, 실제로 그리 하였다. 그런데 그들 중 일부는 영지주의자들이 제기한 가장 중요한 질문이 >진정한 기독교란 무엇인가?<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권위 있는 ‘신앙의 근거(출처)들’을 규정하는 게 필요했고 (이것은 우선 성경의 한계를 정하고 정경을 확립하는 것임), 편의상 필요했던 것은, 할 수만 있다면 그 시대에 참된 기독교가 어디에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 질문들에 대한 단서는 한 단어로 표현 된다: 사도성(使徒性). 당시에 주장된 바로는, 구원계시(救援啓示)가 역사의 한 시점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하여 사실적(史實的, historical) 그리스도 안에서 유일회적(唯一回的, once for all)으로 제공되었다. 그리고 그 사건들은 구약성경에서 예언되고 준비되었다. 이 구원계시는 그리스도로부터 사도들에게로, 사도들로부터 그들이 세운 교회들로 교훈의 본체 “신앙”으로(as) 전달된다.

 

This communication took shape in three principal ways. First, in the writings of the apostles themselves or their immediate associates. Therefore it is these books, and these alone, which can and must be added to the Old Testament as canonical scripture, and these books will be binding in authority. In practice there was some division of opinion about a few books, but, in contrast to Marcion’s brief canon of Luke’s Gospel plus Paul, the core of the present New Testament was received as a New Testament (individually the books had long been used) by the end of the second century. Secondly, the essence of the apostolic missionary preaching, the kerygma with which modern scholarship has been so much concerned, could never be forgotten, for it remained essential to straightforward evangelism. Thus the local churches were always conscious of an apostolic Rule of Faith or Rule of Truth, which might also be embodied in a baptismal profession of faith, a creed. These were very short, and gave theologians plenty of scope for argument and error. However, faithfulness to the Rule provided a first test of fundamental Christianity, and departure from it was a danger signal. The Rule also laid down the guiding lines of biblical exegesis. Thirdly, the original revelation was preserved by the responsible teaching of a regular, authorized, approved ministry, especially in those churches which had been founded and instructed by the apostles themselves and could prove their continuity since apostolic times. In these the ministers, primarily the bishops, were in the first place the outward witness to, and in the second place the divinely assisted organs of, this continuity. In such churches, then, using the apostolic books, faithful to the apostolic Rule of Faith, watched over by responsible bishops, having an unbroken continuity of faith and worship and discipline since the days of the apostles, you can confidently look to find authentic Christianity. Here is Christian tradition, and here is the Christian Church. If you are doubtful about the teaching of any one local church, you can find the truth in the agreement of many.

이 전달은 세 가지 기본 방식이 있다. 첫째, 사도들이나 그들을 직접 대했던 자들의 글들을 통하여. 그러므로 구약성경에 정경으로 덧붙여질 수 있고 그래야만 되는 책들이 바로 그러한 책들이고, 오직 그것들만이 그리 될 수 있으며, 그러한 책들이 구속력 있는 권위를 덧입게 될 것이다. 실제로 몇몇 새로운 책들에 대해서 약간의 의견의 불일치가 있었으나, 마르키온의 >바울이 가미된 누가복음 단편 경전<과 달리, 현(現)신학성경의 중추가 되는 책들은 2세기 말까지 신약성서로 받아들여져왔다 (각 책들은 오랜 기간 사용되어왔다). 둘째로, 사도들의 복음선포의 정수(精髓, 핵심내용), 곧 현대 신학자들이 그토록 관심을 갖고 있는 케리그마(kerygma)는 결코 망각될 수 없었는데, 이는 그것이 바른 복음전파의 필수 요소였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개(個)교회들은 항상 사도의 “신앙규칙” 혹은 “진리규칙”을 의식하고 있었고, 그것이 아마도 “세례신앙고백서”, 곧 하나의 신경(信經)이 되었을 것이다. 이것들은 매우 간결했고, 신학자들에게 커다란 논쟁과 오류의 여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신앙규칙”에 대한 충실함은 ‘근본적 기독교’가 되는 첫 번째 시험을 의미하고, 그것을 떠난다는 것은 위험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 신앙규칙은 또한 성서해석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셋째, 원(原)계시는 정규의, 공인된, 인가된 목회사역의 책임 있는 교육에 의해 보존되었고, 특히 사도들이 친히 설립하고 가르침으로 사도시대 이래로 이어진 그들의 연속성을 증명할 수 있는 교회들에서 보존되었다. 이 사역자들, 주로 주교들에게서 먼저는 이 연속성에 대한 외적 증거가, 다음으로는 하나님의 도움 아래 있는 이 연속성의 기관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교회들에서 사도들의 책들을 사용하고, 사도의 신앙규칙에 충실하고, 책임 있는 주교들의 지도를 받고, 사도시대로부터 이어진 >신앙과 예배와 기강<의 중단 없는 연속성을 갖추면, 우리는 여기서 참된 기독교를 발견하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여기에 기독교 전승이 있고, 여기에 기독교 교회가 있다. 어떤 한 교회의 가르침이 미심쩍다면, 우리는 다수의 교회들의 의견일치 가운데 진리를 찾을 수 있다.

 

The argument was built up gradually, though much of it was instinctive in the life of the Church from very early times. At the beginning of the second century Ignatius, already conscious of Gnostic perversions and the threat of schism, emphasized the need to hold by the bishop. Later on Hegesippus saw the importance of the episcopal successions as witnesses to historic continuity, and he reported that the churches which had long lists taught the same thing. It was Irenaeus who worked the position out with massive theological understanding. But who would read Irenaeus? Only the scholar, then and now. he is the great mind behind Tertullian, and the Church is profoundly indebted to him for 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haracter of redemption and the central place which he gave to the theology of Paul. As theology everyone will prefer his sobriety of statement to Tertullian’s quips and paradoxes. But it was Tertullian’s brilliance and audacity which found readers, and in this clever pamphlet many later theologians saw, for good or ill, the essence of “the catholic position” and a short way with all dissenters.

그러한 논증은 점차적으로 형성되었다, 그것의 대부분은 초창기부터 교회생활의 본능적인 면이었다. 2세기 시작 즈음 이그나티우스는, 이미 영지주의의 왜곡들과 분열의 위험을 인식하고 있던 차에, (참기독교의 연속성이) 주교에 의해 유지되어야 할 필요를 강조했다. 후에 헤게시푸스는 >사적(史的) 연속성에 대한 증거<로서의 >주교계승<의 중요성을 보았고, 긴 명부들(담임주교명부들?)을 소유한 교회들이 동일한 것을 가르쳤음을 밝혔다. 이 문제를 강력한 신학적 사고(思考)로 해결한 자가 바로 이레나에우스였다. 하지만 누가 그의 글을 읽었겠는가? 당시와 현재의 학자들뿐이었다. 그는 테르툴리아누스의 배후의 위대한 지성이었고, 그의 >그리스도 구속(救贖)의 사적(史的) 특징의 이해<와 그가 >바울신학을 구심점으로 삼은 것<에서 그는 교회에 커다란 공헌을 했다. 모든 자들은 신학의 측면에서 테르툴리아누스의 재담과 역설보다는 이레나에우스의 명료함을 선호한다. 그러나 독자를 끌어들인 것은 테르툴리아누스의 뛰어난 재기(才氣)와 대담함이었고, 이 현명한 소논설(小論說, 이단논박)에서 후대의 많은 신학자들은, 좋든 나쁘든, “전(全)기독교회의 입장”의 핵심과 >모든 반대자들과의 짧은 동행(참고: 다니엘 디포(Daniel Defoe)의 글 “The Shortest-Way with the Dissenters”, 국역자)<을 보게 된다.

 

This book has been called the “most plausible and the most mischievous” of all Tertullian’s writings, and even harder things have been said of it. What is the value of the argument? We must, of course, distinguish between the essential drift of it and its frills. In many ways it was sound in its own day, and in some ways it remains sound. The Gnostics were a strange breed, even if one has more sympathy than Tertullian for Marcion’s strugglings with the difficulties of the Old Testament and with the Pauline antitheses of law and liberty, works and grace. Retrospectively,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Gnostics did not teach what we meant by Christianity, and they are rejected because they sat loose to the crucial historic Revelation, because they had no continuity of Christian faith and life, and, in short, because they could not stand the test of universality in time or space. This begs some questions, but seems sound in the main, and it is what Tertullian’s argument comes to. On the other hand it is obvious that he assumes far too much about the clarity and fixity of the original revelation, which he thinks of in propositional form, as modern critics would say. He does not allow enough for human error in transmission locally, nor for such a rapid spread of error as was shown to be possible in the fourth century. Time has not facilitated the application of his principles. What remains true is that Christianity is a religion of revelation, anchored in an historic event, and that the significance of that event, recorded in and interpreted by the Bible, is grasped by the individual within the life of a concrete, historical, Church.

이 책은 테르툴리아누스의 글 중에서 가장 그럴듯하고 가장 짓궂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더 험한 말을 듣기도 했다. 그의 주장은 어떤 가치가 있는가? 물론 우리는 그것의 본질적 흐름과 그것의 사소한 장식들을 구분해야 한다. 여러 면에서 이 책은 당시에 건전한 것이었고, 어떤 점에서는 지금도 그러하다. 영지주의자들은 생소한 부류였다. 우리가 테르툴리아누스보다 >구약성서 난제와, ‘바울의 율법과 자유, 행위와 은혜의 대조’의 난제를 놓고 고심했던 마르키온<에게 더 온정적일 때에도 말이다. 그러나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영지주의자들은 우리가 말하는 기독교를 가르치지 않았다. 그들은 결정적인 역사적 계시에 무관심했고, 기독교적 신앙, 생활과의 연속성이 없었고, 요컨대 그들이 시간적, 공간적 보편성의 시험에 통과하지 못하여 교회로부터 거부되었다. 이것은 논점을 회피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대체로 옳아 보인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테르툴리아누스의 논증이 도달한 지점이다. 한편 그는 분명 원(原)계시의 명확성과 불변성을 위해 너무 많은 것을 가정하는데, 이를 그는 명제적 형식으로 사고(思考)하고 있고, 현대 비평가들도 그렇게 판단할 것이다. 그는 지역들에서의 전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간적 오류와, 4세기가 보여준 그 오류의 급속한 확산의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시간은 그의 원칙의 적용이 용이하게 하지 않았다. 진리로 남은 것은 >기독교는 역사적 사건에 근거한 계시종교라는 것<과 >성경에 기록되고 성경에 의해 해석된 그 사건의 의미가 ‘구체적, 사적(史的) 교회’에서 신앙생활 하는 개인들에 의해 인식된다는 것<이다.

 

                                                         II

 

The precise form which the argument takes in this work is a tour de force, though fundamentally serious. The closing words show that Tertullian was prepared to argue with Gnostics about particular doctrines, and he produced a long series of works of this kind. But here he claims that the Church need not so argue; it can simply stand on its own authority. In so far as the Gnostics appeal to and argue from Scripture, the Church need not listen to them. It must simply stand on its right to the possession of the true Scriptures and of a long and open tradition of interpretation. If the Gnostics want to be Christians within the Church, they will accept these books and this tradition of interpretation, based on the Rule of Faith. If they will not – and their mutilation of Scripture and rejection of some apostolic writings give them away – they put themselves outside the Church, and the Church need take no notice of their teaching. But they must not be allowed to claim the Church’s Scriptures. The only way they could prove any claim would be to show that their communities – if any are stable enough – are churches with an historical continuity from the apostles. If the Gnostics do not appeal to Scripture, they put themselves out of court automatically.

이 책에서 그의 논증이 취한 바로 그 형식은, 근본적으로는 진지하지만, 놀라운 솜씨다. 이 책의 결어(結語)는 테르툴리아누스가 특정의 교리들에 관해 영지주의자들과 논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였고, 그는 그러한 유(類)의 많은 글들을 남겼다. 하지만 그는 여기서 교회가 그렇게 논쟁할 필요가 없다 주장한다. 즉, 단지 교회는 자신의 권위 위에 설 수 있다는 것이다. 영지주의가 성경의 권위에 호소하고 성경으로부터 주장을 펼치는 한 교회는 그들의 말에 귀 기울일 필요가 없다. 교회는 단지 자신의 참된 경전에 대한 소유권과 유구(悠久)하고 공개적인 ‘성경해석전승’에 대한 소유권 위에 서있어야 한다. 영지주의자들이 교회 안에서 기독교인이 되고자 한다면, 신앙규칙에 의거하여 이 성경과 이 성경 해석 전승을 받아들일 것이다. 그들이 그것을 거부한다면, 또한 그들이 성경의 일부를 제외시키고 몇몇 사도들의 글들을 거부하는 행위가 그들의 정체를 드러내고 있으니, 그들은 스스로를 교회 밖에 세워두고 있고, 따라서 교회는 그들의 가르침에 관심을 둘 필요가 없다. 그리고 그들이 교회의 정경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건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이 자신들의 그 어떤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그들의 공동체들이, 혹시 충분히 안정적 집단이라면, 자신들이 사도들로부터 이어지는 역사적 연속성을 지닌 교회들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영지주의자들이 성경의 뒷받침을 포기한다면, 그들은 자동적으로 스스로 논쟁에서 물러나는 것이다.

 

Tertullian is, of course, confident that the Gnostic groups will not be able to prove their historic continuity in the way which he regards as decisive, the unbroken line of bishops in each local church. Here is one of the difficulties in his position. It was perfectly sensible to suggest that authentic Christianity is likely to be found where there is concrete, historical continuity, and that a regular ministry is an element in, and a help to, such continuity. It is a very different thing to say that authentic Christianity cannot exist where the succession of ministry is found. This cannot be argued out in a brief introduction. However, some aspects of the teaching of Irenaeus and Tertullian should be made clear. Above all, their concern is always for the preservation of true doctrine, the faith. They are only secondarily concerned with the means by which the institutional Church is maintained in being, though they are concerned with that, as a means to the main object. Secondly, the apostolic succession in question consists in the line of bishops in each local church, not a chain of consecrator and consecrated, which would give quite a different list. Apostolic succession always means the former in the early Church. Thirdly, there is no particular stress on their being bishops. The argument does not stand or fall by episcopacy, though certainly Tertullian takes it for granted. Irenaeus sometimes calls the successions successions of presbyters. The essential point is that there should be an orderly succession of responsible ministers in each local church.

물론 테르툴리아누스는, 그가 보기에 결정적인 방식으로, 영지주의 단체들이 그들의 역사적 연속성을, 곧 >개교회의 중단 없는 주교 계보<를 입증할 수 없다고 확신했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입장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 중 하나를 본다. 진정한 기독교가 >구체적, 역사적 연속성이 있는 곳<에서 발견될 수 있고, 정규적 목회가 그러한 연속성의 요소인 동시에 그것에 기여한다는 것을 제시하는 게 지극히 상식적으로 보인다. 진정한 기독교가 목회계승이 있는 곳에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하기는 매우 힘들다. 이것을 짧은 서문으로 다 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레나에우스와 테르툴리아누스의 교훈의 몇몇 특징들이 명백히 언급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그들의 관심사는 항상 참된 교리와 참된 신앙의 보존이다. 그들에게 제도 교회를 유지시키는 수단은, 비록 그들이 그것(주목적의 수단으로서)에 관심이 있었지만, 단지 부차적 관심사일 뿐이었다. 둘째로, 문제의 사도계승은 개교회의 일련의 담임 주교의 연속에 있었지, 매우 다른 명부를 제공할 수도 있는 주교 서임자와 피서임자의 연결고리에 있지 않았다. 사도계승은 초대교회 시기에 항상 전자를 의미했다. 셋째로, 주교의 신분에 대한 특별한 강조가 없다. 그의 논증은 주교직에 좌우되지 않는다. 비록 분명 그가 그것(좌우됨?)이 당연하다 여겼을 지라도 말이다. 가끔 이레나에우스는 이 계승을 >장로계승<으로 칭했다. 중요한 점은 개교회에 담임사역자들의 순차적 계승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of the apostolic succession lent itself to something which was not, it seems, predominantly in the mind of Tertullian, and certainly not of Irenaeus, namely an institutionalism in which the notes of authority, fixity, and good churchmanship are emphasized at the expense of other, and perhaps more important, features of the Christian life. And it became fatally easy to test membership of the Church simply in terms of adherence to a bishop in apostolic succession. Tertullian was to abandon all this in favour of Montanism, largely, it is probable, because of its moral and disciplinary rigorism (whereas the average Christian was content to think himself guaranteed salvation by loyalty to the institutional Church), but also because he ceased to hold the doctrine of authority which he expounds in the De Praescriptionibus. For the Montanist there can be new revelation through the Spirit; authority lies in the present and immediate work of the Spirit and, in human terms, in spiritual men or women, not in a collection of bishops. Tertullian’s chief source, Irenaeus, and his eventual position are illustrated briefly in the appendices.

이 사도계승 교회 이해는 >압도적으로 테르툴리아누스의 심중에 있던 것으로 보이지 않는 어떤 것<에, 또한 분명 이레나에우스적(的)이 아닌 것에, 곧 제도주의에 기여한다. 아마도 >다른 더 중요한 기독교인의 삶의 특징들<을 희생시키는 대신 >권위, 불변, 선한 기독교인이라는 특징들<이 강조되는 제도주의 말이다. 그리고 교회 교인의 자격을 단순히 ‘사도계승 안에 있는 주교’에 속해 있는가의 관점에서 판단하는 것은 지극히 쉬운 일이 되었다. 후에 테르툴리아누스는 몬타누스주의에 찬성하여 그 모든 것을 버리게 된다. 이는 주로 몬타누스주의의 도덕과 훈육 엄격주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일반 기독교인은 제도 교회에 충성함으로 자신에게 구원이 주어진다는 생각에 만족해했다.) 그것은 또한 그가 이단논박(De Praescriptionibus)에서 설명한 권위교리를 견지하기를 그쳤기 때문이었다. 몬타누스주의자들의 생각에는 성령을 통한 새 계시가 있을 수 있고, 권위는 성령의 현재적, 직접적 역사하심에, 인간적 표현으로는, 주교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영적인 남녀(男女)들에 있다. 테르툴리아누스 사상의 주요 원천인 이레나에우스와 그의 최종적 입장은 간단히 부록에 추가된다 (여기에서는 생략).

 

                                                          III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technical meaning of praescriptio. Tertullian had been trained in the law; he knew what praescriptiones were still in use, and very likely he knew the obsolete ones as well. But he is not proposing that the Church shall actually go to law with the Gnostics, and he has not to be minutely accurate in his legal forms. He has more than one praescriptio in mind, and uses the plural in c. 45 and in the reference to this work in De Carne Christi 2, “Sed plenius eiusmodi praescriptionibus adversus omnes haereses alibi iam usi sumus. = But we have already elsewhere used more fully such oppositions against all heretics.” The two oldest manuscripts have De Praescriptione as the title, which has become the commoner form in modern times. Other manuscripts and the earliest editors give De Praescriptionibus, which may well be correct. One praescriptio is that of possession, longae possessionis or longi temporis. This must be in Tertullian’s mind in c. 38, and no doubt is valid all through, for the Church, historically continuous, has always possessed the Scripture. But the main praescriptio is that which distinguishes at the outset a prior issue, and limits discussion to that issue. The Church will not need to argue with Gnostics about the meaning of Scripture if the prior point is settled, that the Gnostics have no right to use Scripture. The Church may possess it by a prescriptive right, as we would say, but the principal praescriptio is the plea that this point should be decided first. Modern legal terms sometimes used, such as demurrer, exception, limitation, are all rather misleading, and it seems best to transliterate it as prescription.

praescriptio(논박, 항변, 이의제기: 법정용어)의 전문적 의미에 대해 우려할 필요는 없다. 테르툴리아누스는 법률을 수학했던 자이고, 어떤 논박들(praescriptiones)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지 알고 있었고, 또한 그는 어떤 것들이 폐용되었는지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교회가 실제로 영지주의자들을 고소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지는 않고, 또한 엄밀히 법적 소송 서식에 맞게 글을 쓸 필요가 없었다. 그는 하나 이상의 praescriptio(논박)들을 염두에 두고 있었고, 45장에서는 이 글과 관련하여 ‘De Carne Christi(그리스도의 육체에 관하여)’에서 복수형(praescriptionibus, 논박들)을 사용하고 있다. “Sed plenius eiusmodi praescriptionibus adversus omnes haereses alibi iam usi sumus. = But we have already elsewhere used more fully such oppositions against all heretics. 그러나 우리는 이미 다른 곳에서 그러한 논박들을 더 충분히 모든 이단들에 대항하여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주요 논박(praescriptio)은 처음에 우선적 이슈를 구별 짓는 논박이고, 토의를 그 이슈에 한정시킨다. 우선적 논점, 곧 영지주의자들이 성경을 사용할 권한이 없다는 것이 확정되면, 교회는 성경의 의미에 대해 영지주의자들과 논쟁할 필요가 없게 된다. 교회는 취득시효적 권리(a prescriptive right)에 의거하여 성경을 소유할 수 있고, 우리도 그렇게 주장할 것이다. (prescription, 취득시효: 어떤 것을 일정 기간 소유하고 있는 자에게 그것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제도. 그런데 praescriptio(이의제기)가 영어의 형태로 되면 prescription이 된다. prae = pre = before, script.. = write.) 그런데 주요 논박(praescriptio)은 바로 이 문제가 첫 번째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항변이다. 가끔 사용되는 피고항변, 이의신청, 출소기한과 같은 현대 법률용어들은 다 실상을 오도하고, 따라서 그것(praescriptio, 논박, 이의제기)을 취득시효(prescription)로 번역하는 게 제일 나아 보인다.

 

- 이하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