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물

테르툴리아누스: 이단논박 >1<

stevision 2023. 7. 26. 15:51

원문출처: “Early latin theology”,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Ichthus Edition. vol. V.

영역, 편집자: Canon S.L. Greenslade

 

The Prescriptions against the Heretics

이단논박

저자: 테르툴리아누스(Tertullian)

 

General Introduction

(영역자의) 저자 소개

 

                                                              I

 

Of Tertullian’s life-story there is not much to be said. He was born in Carthage, according to Jerome, and was the son of a centurion. He was evidently given a good education in grammar and rhetoric, and he was a trained lawyer. In middle life he was converted to Christianity, lived and wrote in Carthage, presumably as a presbyter of the church there (though this cannot be proved beyond question), gradually moved towards Montanism, eventually broke with the catholics of Carthage to join that body, and died in old age, not before A.D. 220. His Christian writings cover the period from A.D. 197 to the papacy of Callistus, 218-222.

저자 테르툴리아누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제롬(Jerome)에 따르면, 그는 카르타고에서 출생했고, 백부장의 아들이다. 후에 그는 우수한 문법과 수사학 교육을 받았고, 법률가로 교육되었다. 생의 도중에 그는 기독교로 개종했고, 카르타고에 살며 글을 썼다. (확실치는 않으나) 아마도 그곳 교회의 장로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는 점차 몬타누스파에 빠져들었고, 마침내 카르타고의 카톨릭 교회에서 떨어져 나와 몬타누스파로 들어갔다. 그는 노년에 사망했고, 그 시기는 서기 220년 이후로 보인다. 그의 기독교 저술은 서기 197년에서 교황 칼리스투스(Callistus, 218-222) 재위 기간에 걸쳐 나온다.

 

After a brief exhortation to Christians facing martyrdom, Tertullian launched out as an apologist with the Ad Nationes, followed by the magnificent Apology, in which he is principally anxious to remove the political and social charges commonly brought against Christianity. These three works date from 197. The apologetic interest continues in The Testimony of the Soul, the witness of natural instinct to the existence of the one God, and in the later Ad Scapulam (212). Another main group consists of the attacks on Gnostics: the De Praescriptionibus Haereticorum, an early work which disposes of all heresy in principle, removing the necessity of arguing against each in particular; the large work against Marcion; books against Hermogenes and the Valentinians; the treaties On the Flesh of Christ and O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 the Scorpiace (Serpent’s Bite) and the De Anima, though the last is also a positive presentation of Tertullian’s doctrine of the soul. His most influential work of controversial theology was not directed against a Gnostic; this is the book against the modalist Praxeas, a major source of western Trinitarian doctrine. Most of his other extant writings are moral and disciplinary. From his early period, that is, up to about 206 and before there are any traces of Montanism, come On the (Lord’s) Prayer, On Baptism, On Patience, On Penance, On Women’s Dress, To his Wife, On the Virgin’s Veil. Of these the De Baptismo is important liturgically, as is the De Oratione to a less extent, while the De Paenitentia is of great, though occasionally baffling, significance for the history of the penitential discipline. Some years later came The Soldier’s Crown (211), a repudiation of military service for Christians, and De Idololatria (“The Church and the World”). The Exhortation to Chastity also dates from this period. Fully Montanist are On Flight in Persecution (213), On Monogamy, On Fasting, On Chastity (De Pudicitia). Adversus Praxeam was also written in the Montanist phase, though it is not determined by Montanism. Tertullian wrote in Greek as well as Latin. De Spectaculis was certainly issued also in Greek, and he wrote in Greek on Baptism, not the extant work. Thirty-one works are extant, the two not mentioned above being De Pallio, a jeu d’esprit on the philosopher’s cloak, and the unfinished Against the Jews. Tertullian was probably also the editor (some say the author) of the beautiful Passion of St. Perpetua. Not all his works have survived. Lost treatises include one against Hermogenes on the Origin of the Soul, one against the sect of Apelles, and books on Fate, Paradise, the Christian’s Hope, and Ecstasy. The last might have told us much about Montanism.

순교의 위협에 처한 기독교인들에게 간단한 권고의 말을 한 테르툴리아누스는 Ad Nationes(민족들에게)를 시작으로 기독교 변증자(호교자)로 나섰고, 이어 그는 걸작 [기독교 변증]을 저술했다. 여기서 그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에 가해진 정치적, 사회적 비난을 주로 논박하려 했다. 이 세 글들은 197년에 씌어졌다. 그의 기독교 변증적 관심은 The Testimony of the Soul(영혼의 증거, 한 분 하나님에 대한 천성적 본능의 증거)과 그 다음의 Ad Scapulam(스칼플라에게, 212)에서 계속된다. 또 다른 그의 책들로 그노시스파를 대적한 것들로는 De Praescriptionibus Haereticorum (이단논박, 이것은 초기 작품으로 원칙적으로 전(全)이단들을 논박하고 있으며 특별히 개개의 이단들에 대해 논박할 필요가 없게 함), 마르키온을 논박하는 장문의 글, 헤르모게네스(Hermogenes)와 발렌티아누스파(Valentians)를 논박하는 책들, 그리고 여러 논설들, 곧 On the Flesh of Christ(그리스도의 육체에 관하여), O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육체부활에 관하여), Scorpice(독사의 묾)와 De Anima(영혼에 관하여)가 있다. De Anima는 테르툴리아누스의 영혼론을 잘 서술하고 있다.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논쟁적 신학의 글은 그노시스파를 향한 게 아니었다. 서방의 삼위일체론의 주요 기원이기도 한 그 글은 바로 양태론자 프락세아스(Praxeas)를 논박하고 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그의 다른 글들은 도덕과 훈육에 관한 것들이다. 그의 저술활동 초기부터 206년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몬타누스파가 되기 전에 다음과 같은 글들이 나온다: On the (Lord’s) Prayer((주의) 기도에 관하여), On Baptism(세례에 관하여), On Patience(인내에 관하여), On Penance(회개에 관하여), On Women’s Dress(여성 복장에 관하여), To his Wife(그의 아내에게), On the Virgin’s Veil(동정녀의 베일). 이들 중에 De Baptismo(세레에 관하여)는 제의적 중요성이 있는 글이고, De Oratione(기도에 관하여)는 정도가 약간 떨어지는 제의적 글이며, De Paenitentia(회개에 관하여)는, 비록 가끔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긴 해도, >고해성사 교리사<에 매우 중요하다. 그 후 몇 년이 지나 The Soldier’s Crown(군사의 면류관, 211 - 기독교인의 병역 거부)과 De Idolatria(우상숭배에 관하여, “교회와 세상”)가 나온다. Exhortation to Chastity(순결권고) 또한 이즈음에 나왔다. 몬타누스 사상에 완전히 치우친 것들로는 On Flight in Persecution(환란기의 도피, 213), On Monogamy(일부일처), On Fasting(금식), On Chastity (De Pudicitia, 순결에 관하여)가 있다. Adversus Praxeam(프락세아스를 논박함)도, 몬타누스 사상에 의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몬타누스 색채를 띈다. 테르툴리아누스는 라틴어뿐만 아니라 그리스어로도 글을 남겼다. De Spectaculis(공연)는 분명 그리스어로도 기록되었다. 그리고 그는 현존하지는 않지만 “세례에 관하여”를 그리스어로 작성했다. 그의 글 31 개가 현존하고,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두 작품으로는 De Pallio(망토, 철학자의 망토에 대한 금언)과 미완의 글 Against the Jews(유대인을 반박함)가 있다. 아마도 테르툴리아누스는 아름다운 글 Passion of St. Perpetua(성(聖) 페르페투아의 수난)의 편집자(혹자는 저자라고 함)인 듯하다. 그의 모든 작품이 현존하는 건 아니다. 사라진 논설들로는 ‘영혼의 기원(Origin of the Soul)’과 관련하여 헤르모게네스를 논박한 논설, 아펠레스 소종파를 반대하는 논설, ‘운명, 낙원, 기독교인의 소망, 황홀경’에 관한 책들이 있다. 맨 뒤의 책들이 현존했더라면 우리에게 몬타누스 사상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줬을 것이다.

 

                                                              II

 

Tertullian’s style is the despair of the translator. He is passionate, vivacious, full of puns and plays on words, decorating his material with all manner of rhetorical devices. Again and again his ingenuity over-reaches itself, and he becomes tortuous and obscure, especially when he compresses the material of a sentence into two or three pregnant words. He must sometimes have had his tongue in his cheek, but there are other times when he cannot have known how wearisome his quibbling could become. At his best, however, he is forceful and brilliant. He used words as he thought he would, made them say what he wanted, and invented them if they did not already exist. If his substance is less original than his form (so far as that distinction is valid), the reader can never doubt that he is in contact with a powerful and original mind. It is conventional to call him the “Father of Latin Theology.” The title is deserved, but needs to be understood. Take, for example, the De Praescriptionius. This undoubtedly exercised a great influence on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the West – notably on and through Cyprian – but the fundamental notions came from Irenaeus, who, even if he wrote in the Greek tongue, was a western bishop and was presumably read in the West. Tertullian’s debt to him for his material against the Gnostics is equally obvious, and he does not conceal it. He had read the Greek Apologists also, and was well acquainted with their Logos doctrine. Nevertheless Tertullian’s own contribution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Adversus Praxeam is real and important. He certainly prepared the way for the serious, pessimistic, doctrine of the Fall which came to characterize the West; and in this respect he broke away from his Greek masters. If his rigorism in morals and discipline was not accepted, the books were there – and even the Montanist ones were copied and read – to be used by any who wanted support for a stern view of the Christian life. His legalistic concepts of sin as debt and of reward and punishment were unfortunate legacies, only too real.

테르툴리아누스의 글은 번역자를 절망하게 만든다. 그는 열정적이고, 활기 넘치고, 말재주(언어유희)를 일삼으며, 온갖 수사적 기법들을 다 동원하여 자신의 사상을 표현한다. 거듭하여 그의 독창적 재능은 스스로의 한계를 돌파하고, 특히 글의 내용을 함축적인 두세 단어로 압축해 표현할 때에 그는 비비꼬이고 모호해진다. 어떤 때에는 그의 볼 안쪽에 혀가 있었음에 분명하나 (혹은 분명 조롱하는 투로 말하고), 어떤 때에는 그냥 어물쩍 넘어가는 그의 행위가 얼마나 사람들을 짜증나게 하는지 그는 모르는 것 같다. 그러나 컨디션이 최상일 때 그는 강력하고 탁월하다. 그는 자신이 의도한다고 생각한 바대로 단어를 사용했고, 그 단어들이 자신이 뜻한 바로 그것을 말하게 했으며, 기존에는 없는 것들이라면 만들어 사용했다. (실체와 형상의 구분이 유효하다고 한다면,) 그의 실체는 그의 형상보다 독창적이지 못하고, 독자는 그가 어떤 강력하고 독창적인 지성과 접해 있음을 절대 부인할 수 없다. (형상은 사물(실체)에게 자체의 발전 방향을 지시해줌. 국역자.) 사람들은 보통 그를 “라틴 신학의 아버지”라 한다. 이 명칭은 당연한 것이지만, 좀 더 이해를 요한다. 예를 들어 De Praescriptionius((이단)논박)를 살펴보자. 이것은 분명, 현저히 키프리아누스(Cyprian)에게 영항을 미침으로 그리고 그를 통하여, 서방의(라틴의) 교회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기본 개념은 이레나에우스(Irenaeus)에게서 유래한다. 이레나에우스는 그리스어로 글을 썼으나, 서방의 주교였고, 아마도 서방에서 그의 글이 읽혀진 것 같다. 그노시스주의자들에 대한 반론에서 테르툴리아누스가 이레나에우스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도 명백하고, 그 또한 이를 숨기지 않는다. 그는 동방(그리스)의 기독교 변증자들의 글들 또한 이미 읽었고, 그들의 로고스(Logos)론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Adversus Praxeam(프락세아스 논박)에서 볼 수 있는 삼위일체론에 대한 테르툴리아누스의 기여는 실제적이고 중대하다. 분명 그는 서방 신학을 특징짓는 ‘진지한, 비관적 타락 교리’의 길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이 점에 있어서 그는 그의 동방(그리스) 스승들과 결별한다. 그의 도덕과 훈육 엄격주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더라도, 거기에는 기독교 신앙생활에 대한 엄격한 태도를 뒷받침해줄 자료를 원하는 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책들이 있었고, 심지어 몬타누스주의 책들이 필사되고 읽혀졌다. 그의 법률적 ‘부채로서의 죄 개념’과 ‘보상과 형벌 개념’은 불행한 유산이고, 지나치게 현실적일 뿐이다.

 

When he is described as the father of Latin theology, attention is drawn also to his contribution to the making of a Latin theological terminology, and it is unquestionably true that much of the language of later days can be traced back to him. But even here a caveat must be entered. “To him we owe a great part of the Christian Latin vocabulary,” said Souter. True, but just how much depends on the date of the earliest Latin versions of the Bible, and perhaps of a few other Latin translations of Greek works such as the letter of Clement to Corinth and the Shepherd of Hermas. As long as it was believed that these were all later than Tertullian, or even that he himself made the first Latin translations of Scripture, it could be said that he created, in large part, Latin theological terminology. Today it is more commonly held that he had at least a Latin Bible to help him.

우리가 그를 라틴(서방)신학의 아버지라 칭할 때 그가 라틴신학용어 조어에 한 기여를 주목해야 하고, 분명 후대의 많은 용어들이 그에게서 기원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주의가 요구된다. 수터(Souter)는 말한다. “라틴신학용어의 상당부분이 그로부터 나왔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가’는 최초의 라틴어 성경 등장 시기와 “고린도 교회에 보낸 클레멘트 서신”이나 “목자 헤르마스”와 같은 몇몇 그리스어 서적의 라틴어 번역본들이 나온 시기에 의존한다. 이것들 모두가 테르툴리아누스 이후에 나왔다면, 혹은 그 자신이 라틴어 성경의 첫 번역자라면, 그가 상당부분의 라틴신학용어들을 만들어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의 대체적 판단은 적어도 그는 그에게 도움을 준 라틴어 성경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Qualifications made, he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men of the early Church. “Hand me the Master,” Cyprian used to say to his secretary. Novatian’s work on the Trinity rests on Tertullian’s, the Commonitorium of Vincent of Lerins and its criterion of catholicity owe much to the De Prescriptionius, Leo’s Tome draws on Tertullian for its Christological conceptions and terms. There will be many who prefer the subtler and, at the same time, more humane, more generous, more reasonable, Alexandrians. Tertullian did not like philosophy, though he could not quite get rid of his own Stoic notion of matter. Apart from that, he genuinely tried to understand Christianity as divinum negotium, as Revelation, as something that God has done. With all his exaggerations and perversions of detail, he was yet a major force in keeping the West steady and sensible, historical and biblical, against the much more fundamental perversions of theosophical and – shall we say, premature? - philosophical speculation.

조건이 붙겠지만, 그는 초대교회 주요 인물들 중 하나로 매우 특출 난 자이다. 키프리아누스는 그의 비서에게, “스승님 (책) 건네줘”라고 말하곤 했다. 노바티아누스의 삼위일체론은 테르툴리아누스의 이론에 기초하고 있고, 레린스의 빈센트의 Commonitorium(경고)과 그것의 보편교회 준거는 De Prescriptionius((이단)논박)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레오의 교서는 기독론적 개념과 용어를 테르툴리아누스에 의존한다. 좀 더 신비롭고, 동시에 좀 더 인도적이고, 관대하고, 이성적인 알렉산드리아 학파 사람들을 선호하는 자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자신의 스토아 철학의 질료 관념을 완전히 떨쳐버리지는 못했지만, 테르툴리아누스는 철학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것을 제외한다면, 그는 진심으로 기독교를 하나님의 일(divinum negotium), 계시, 하나님께서 행하신 것으로 이해하려 애썼다. 지엽적인 과장과 왜곡에도 불구하고, 그는 신지학적 사색과 (조숙한?) 철학적 사색에서의 훨씬 더 근본적인 왜곡들에 대항하여 서방 기독교를 훨씬 더 안정적이고, 지각 있고, 사적(史的)이고, 성경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