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물

루터의 글 : 노예의지 >33-2<

stevision 2012. 12. 4. 11:43

인간의 의지가 중립지대에 서 있고 제 생각대로 행하도록 방치된 그 어떤 것으로 상상하고 있는 당신은 인간 의지의 노력이 둘 중 어느 한 방향이든 갈 수 있다고 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당신은, 마치 하나님과 마귀가 단지 가변적 자유의지의 관찰자들이라도 되는 것처럼, 하나님과 마귀가 자기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그 둘이 노예의지의 원동자들이요 자극자들이고, 서로 격하게 싸우고 있는 자들임을 믿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만 믿으시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우리의 논제는 안전한 상태로 있고, 자유 선택력은 타도됩니다. 왜냐하면 인간 안의 사탄의 왕국이 아무 것도 아니어서 그 경우 그리스도께서 거짓말쟁이가 되시거나, 아니면 그리스도 말씀대로 사탄의 왕국이 존재한다면 자유 선택력은 다름 아닌 사탄을 위해 일하는 포로 된 짐 나르는 짐승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손에 의해 먼저 마귀가 쫓겨날 경우에만(눅11:20) 자유롭게 됩니다. 친애하는 「비평」이여, 내 생각에 이것으로부터 당신이, (루터의 단언하는 완고한 버릇을 싫어하는) 당신의 저자(에라스무스)의 빈번한 언급에, 즉 비록 루터가 성경에서 많은 말씀들을 인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려 하지만 이것들은 단 한마디의 말로 대처할 수 있다는 주장에 무슨 의미와 중요성을 부여할지 잘 알게 됩니다. 성경 전체가 간단한 말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누가 모릅니까? 이것을 우리는 에라스무스의 말을 듣기 전에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성경을 간단한 말로 처리하는 것이 좋은 것인가입니다. 지금의 논점은 성경이 옳게 다뤄졌는가와 성경이 그렇게 다뤄져야 하는가의 여부입니다. 이것을 고려한 자가 (과연) 성경 다루는 게 얼마나 쉬운 일인지, 루터의 고집이 얼마나 혐오스런지 알 겁니다(!). 하지만 그는 말로는 아무런 성과를 못 낸다는 것과, 모든 지옥의 문들도 아무 일도 못한다는 것(마16:18)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비평」이 자신의 긍정명제를 위해 할 수 없었던 것을, 우리는, 부정명제를 증명할 의무는 없지만, 부정명제를 위해 해보도록 하지요. 그리고 우리는 ‘이 성경 말씀 가운데 “아무것도 (할 수 없다), nothing”가 “아주 약간 (할 수 있다), a very little”이 아니라 그 단어 본래 그대로의 뜻으로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해야만 한다’는 논증에 힘입어 「비평」으로부터 그 일에 대한 용인을 강요하는 바입니다. 그리고 「비평」이 주지도 않았고 줄 수도 없었던 반대명제에 대한 확증(긍정명제에 대한 확증, 역자)이 우리에게 없는 한, 우리는 우리를 승리로 이끌어준 무적의 논증, 즉 ‘단어들은 항상 보통의 자연적 의미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논증에 더하여 그 일을 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애매하지도 모호하지도 않는 성경에 의해 확증된 것,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탄이 단연 가장 교활하고 힘센 이 세상의 지배자이고, 그가 지배하는 한 인간의지는 자유롭지도, 자신의 지배하에 있지도 않고, 다만 죄와 사탄의 노예가 되어 자기 주인이 의지(意志)하는 것만을 의지(意志)한다는 이 실상의 본질과 이 분명한 사실로부터 논증을 전개하려 합니다. 사탄은 인간의지가 선을 의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사탄이 인간의지를 다스리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조차도 인간을 지배하고 있는 죄 자체가 인간을 강하게 압박하여 그로 하여금 선을 의지할 수 없게 할 것이겠지만. 더욱이 내 주장들(Assertions(Assertio?, 자유유무선언?))에서 내가 그 말씀의 바로 다음의 단어들에 대해 상당히 상세히 설명을 했음에도 「비평」이 그것들을 아주 경멸스럽게 다뤘지만, 바로 그 다음의 단어들은 그 문맥에서 그와 동일한 점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요15:6에서 계속하신 말씀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내 안에 거하지 아니하면 가지처럼 밖에 버리워 말라지나니 사람들이 이것을 모아다가 불에 던져 사르느니라.” 내 말은, 바로 이것을 「비평」이 자신의 대단한 말재주를 부리며 건너뛰었다는 것입니다. 물론 자신의 그러한 행위가 둔감한 루터파 사람들에게 발각되지 않기를 바라며 그리한 것이지요. 하지만 당신이 여기서 깨닫게 되는 것은 바로 이것이니, 곧 그리스도께서 친히 자신의 포도나무와 가지 비유를 풀이해 주시고, 자신이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nothing”로 무슨 말씀을 하시려 했는지를, 즉 그리스도 안에 거하지 않는 자는 밖에 버려져 마른다는 사실을 대단히 분명하게 설명하고 계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밖에 버려져 마른다’가 ‘마귀에게 넘겨져 계속 악화된다’ 외에 무슨 다른 뜻이 있을 수 있단 말입니까? 하지만 ‘더욱 악화된다’는 ‘뭔가를 할 수 있음이나 뭔가를 하려 노력함’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말라가는 가지는 마를수록 불에 탈 준비를 더욱 갖춰가고 있는 것이지요. 그리스도께서 이 비유를 이와 같이 확장하시고 적용하시지 않으셨다면 그 누구도 감히 이처럼 그것을 확장하고 적용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말씀 중의 “아무것도 (...하지 않다), nothing”는 엄격하게 그 단어가 본래 뜻한 바대로 취해져야만 함이 분명해졌습니다.

이제 「비평」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nothing”가 때론 “아주 약간 (할 수 있다), a very little”을 나타낸다는 것을 증명하는 수단으로 삼은 말씀들을 살펴보아, 이와도 관련하여 우리가 「비평」이 하찮은 존재이고 아무 것도 달성하지 못함을 보이고, 「비평」이 뭔가를 달성했더라도 「비평」이 여전히 하찮은 존재이며, 「비평」 자신이 그처럼 철저히 그리고 완전히 하찮은 존재임을 증명해보이도록 하겠습니다. 「비평」은 “보통의 언어생활에서 자신이 목표했던 바를 달성하지 못한 자는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사람으로 묘사됩니다. 하지만 노력한 자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진보를 보여줍니다”라고 말합니다. 내 대답입니다: 나는 “보통의 언어생활에서” 그러한 말을 전혀 들은 적이 없고, 당신이 외람되게 그것을 지어낸 것입니다. 사람들 말마따나 단어들은 주제와 화자의 의도의 관점에서 뜻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 누구도 자기가 노력하여 행한 것을 “아무것도 아니다, nothing”라 말 안 합니다. 그리고 “아무것도 아니다, nothing”라고 말할 때 그는 노력에 대해 말하지 않고 그것의 결과에 대해 말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바로 사람이 말할 때 머리에 생각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무개는 아무 일도 안 하거나, 아무것도 끝내지 못한 상태다”, 즉 그는 아무 것도 달성하지 못했고, 성공하지 못했다. 더욱이, 사실과 달리 당신이 예를 든 것이 유효하다고 가정하더라도 그 예는 당신보다는 우리를 돕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논쟁하여 진위를 확정하려는 것이 ‘자유 선택력이 많은 것들을 행한다’인데, 하지만 그것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보시기에 “아무것도 아니기, nothing” 때문입니다. 그 자유 선택력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 못한다면 그것의 노력이 자신에게 무슨 유익이 되겠습니까? 그래서 「비평」이 어느 길을 택해 가든 「비평」은 스스로와 불화하고 스스로를 논박하는데, 이는 대개 좋지 못한 견해를 지지하는 자들에게 닥치는 일입니다.

마찬가지로 「비평」이 불행히도 바울로부터 그 예를 들고 있습니다: “심는 이나 물 주는 이는 아무것도 아니로되 오직 자라나게 하시는 하나님뿐이니라(고전3:7).” 「비평」은 “가장 중요하지 않고, 그 자체가 무익한 것을 ‘아무 것도 아닌 것’이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누가 그랬다고요? 「비평」이여, 당신은 감히 말씀사역 그 자체가 쓸데없고 가장 중요하지 않은 것이라 말하는 겁니까? 바울이 말씀사역을 모든 곳에서, 특히 고후3:(6-9)에서 극히 높이 평가하지 않았나요? 그곳에서 바울은 말씀사역을 생명과 영광의 사역이라 했지요. 재차 당신은 글의 주제나 화자의 의도를 고려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하나님의 교회에서 가장 중요한 성령의 사역이 교육과 권면임을 고려하면 성장케 함에 있어서 심는 자나 물 주는 자는 아무것도 아니되, 심기와 물주기와 관련해서만 그들이 아무것도 아닌 게 아닙니다. 그것이 바로 바울이 뜻했던 바이고, 그것이 바로 그의 말이 족히 분명하게 전달한 내용입니다. 그러나 이 불합리한 예도 옳다 하더라도 그것은 재차 우리편에 설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쟁점은 바로 이것이니, 곧 자유 선택력이 “아무것도 아님, nothing”, 즉 당신 설명대로 그 자체가 하나님보시기에 쓸모 없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불경건한 의지조차도 단순한 무(無)가 아니라 유(有)라는 사실을 우리가 모르는 게 아니지만, 우리가 말하고 있는 대상은 바로 그러한 존재의 등급(하나님 앞에서의 존재의 가치, 역주)이기 때문입니다.

또 고전13:2 말씀도 있습니다: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것도 아니다.” 「비평」이 단지 자신의 목록을 길게 하길 원하는 게 아니라면, 혹은 우리가 「비평」을 처단할 무기가 없다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면, 왜 「비평」이 이 예를 드는지 나는 모르겠습니다. 어떤 자에게 사랑이 없다면 그가 하나님 보시기에 아무것도 아님이 분명한 진리이기에 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정확히 우리가 자유 선택력에 대해 가르친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비평」이 여전히 우리가 무슨 문제를 놓고 논쟁하는지 모르는 게 아니라면, 이 예도 또한 「비평」을 반대하여 우리편이 됩니다. 우리는 (시쳇말로) “자연적 존재(esse naturae)”가 아니라 “은혜적 존재(esse gratiae)”를 논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먹고, 마시고, 자식 낳고, 지배하는 것과 같은, 본성을 통해 자유 선택력이 행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래서 「비평」이 약삭빠르게 ‘우리가 “아무것도 아닌, nothing”을 고집스럽게 강조하면, 비록 루터가 자유 선택력이 오로지 죄짓는 데에만 유용하다고 인정했더라도, 그리스도 없이는 죄짓는 것조차 불가능할 것입니다’라는 어리석은 말을 함으로 우리의 주장을 그냥 웃어넘길 수 없습니다. 「비평」이 심각한 주제에 대해서조차도 자신의 지혜로 말하기 기뻐한 난센스가 그런 수준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주장은, 하나님의 은혜를 떠난 인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보편적 전능 아래 있고, 그분께서는 필연적이고 절대적으로 확실한 과정 가운데 모든 것들을 행하시고, 움직이시고, 이끌어 가신다는 것과, 하지만 인간이 그와 같이 이끌림 받은 대로 행한 것은, 그것이 하나님 보시기에 무가치하다는 의미에서, 아무것도 아니며, 그것은 오직 죄로만 간주된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은혜의 영역에서 사랑이 없는 자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런데 「비평」 자신은 이 성경 말씀에서 우리가 그리스도 없이는 맺혀지지 않는 복음의 열매와 관련있다 인정하면서도, 왜 현 논점에서 갑자기 꽁무니를 빼고 태도를 싹 바꿔 자연적 행위와 인간의 열매에 관해 궤변을 늘어놓지요? 그 이유로 ‘진리가 결여된 자는 일관적이지 않다’가 아니라면 왜 그렇지요?

다음으로 요3:27이 있습니다: “만일 하늘에서 주신 바 아니면 사람이 아무것도 받을 수 없느니라.” 요한은 한 인간에 대해 말하고 있고, 그 자는 이미 분명히 유(有)였습니다. 그리고 요한은 이 사람이 어떤 것, 즉 성령과 성령의 열매들을 받는다는 것을 부인합니다. 왜냐하면 그가 말하고 있었던 것이 본성(자연)이 아니라 바로 이 성령과 성령의 열매들이었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이미 눈, 코, 귀, 입, 손, 정신, 의지, 이성, 그리고 인간에게 있는 모든 것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요한 자신에게 가르칠 「비평」 여사가 따로 필요 없었습니다. 「비평」이, 세례 요한이 대단히 실성하여 그가 “사람”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플라톤의 혼돈, 류키푸스의 공(空), 혹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무한, 혹은 하늘의 은혜를 받아 마침내 유(有)가 된 다른 무(無)를 염두에 두었다고 생각하지 않을 경우 그렇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실로 성경에서 예를 끄집어내 제시하는 방식이군요! 이처럼 중요한 문제에 있어서 이처럼 고의적인 멍텅구리 짓이 있을 수 있습니까? 마치 우리가 불, 우리의 악을 피하고 선을 향하는 행위, 그리고 그 외의 것들이 하늘로부터 왔다는 것을 우리가 모르고 있었거나 그것들을 부인이라도 했던 것처럼, 「비평」이 우리에게 그것을 가르치려 늘어놓은 저 장광설의 목적이 그러면 무엇이지요? 우리는 은혜에 대해, 그리고 「비평」 자신의 말대로 우리가 그리스도와 복음의 열매에 대해 말하고 있었음에도, 「비평」은 자기 논증을 질질 끌며 단순한 독자의 정신을 멍하게 만들어 놓으며 자연(본성)에 대한 이야기로 시간을 축냅니다. 한편 「비평」은 기대에 어긋나게, “아무것도 아닌, nothing”이 “아주 약간, a very little”을 뜻하는 예를 제시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가장 어리석은 소피스트들조차도 그리스도께서 어떤 분이시고 은혜가 무엇인지 혹은 은혜가 어떻게 자연(본성)과 다른 것인지에 대해 알고 또 자신들의 학파에서 자유롭게 꾸준히 그 정의(定義)를 사용했건만, 「비평」은 자신이 그것을 이해하지도 못하고 그것에 관심도 없음을 분명히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비평」은 자신의 모든 예들이 자신을 반대하고 우리를 지원함을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만일 하늘에서 주신 바 아니면 사람이 아무것도 받을 수 없다’는 세례 요한의 말은 분명 자유 선택력이 무(無, 아무것도 아님)임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바로 무장하지 못하고 방어력 없는 「비평」이 자신을 해치운 무기들로 내 아킬레스를 무장시켰을 때, 내 아킬레스가 패배 당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이 바로 저 완고한 주장자 루터가 자기 주장을 뒷받침하는 수단이 되는 “보잘것없는 단어 하나(단 한마디 말)”로 성경이 해석되는 방식입니다.


You, who imagine the human will as something standing on neutral ground and left to its own devices, find it easy to imagine also that there can be an endeavor of the will in either direction, because you think of both God and the devil as a long way off, and as if they were only observers of that mutable free will; for you do not believe that they are the movers and inciters of a servile will, and engaged in most bitter conflict with one another. Let only this be believed, and our thesis stands secure, while free choice is laid low, as we have shown above. For either the kingdom of Satan in man means nothing, and then Christ must be a liar, or else, if his kingdom is as Christ describes it, free choice must be nothing but a captive beast of burden for Satan, which can only be set free if the devil is first cast out by the finger of God (Luke 11:20). From this I think you will sufficiently understand, dear Diatribe, what meaning and importance to attach to the frequent remark of your author (who detests Luther's obstinate habit of asserting), that although Luther supports his case with a mass of quotations from Scripture, these can be dealt with in a single word. For who does not know that all the Scriptures can be dealt with in a single word? We knew this quite well before we ever heard of Erasmus. But the question is whether it is good enough that Scripture should be dealt with in a word. Whether it is rightly dealt with, and whether it ought to be so dealt with - that is the point at issue. Let a man consider this, and he will find out how easy it is to deal with the Scriptures, and how detestable Luther's obstinacy is. He will find, however, not only that words accomplish nothing, but that neither do all the gates of hell (Matt. 16:18).

What therefore Diatribe is unable to do for her affirmative, let us do for the negative - though we are under no obligation to prove a negative; and let us extract an admission from her by the force of the arguments that in this passage “nothing” not only can but ought to be taken, not as “a very little,” but as what the word naturally means. And we will do this over and above that invincible argument by which we have already carried the day, namely, that words are always to be used in their ordinary, natural meaning, unless we have proof to the contrary, which Diatribe has neither given nor can give.

We will start operations, then, from the very nature of the case or from the plain fact, which is evidenced by Scriptures that are neither ambiguous nor obscure, that Satan is by far the most cunning and powerful ruler of this world (as we have said), and as long as he reigns the human will is not free nor under its own control, but is the slave of sin and Satan, and can only will what its master wills. Nor will he permit it to will anything good - though even if Satan were not in command of it, sin itself, of which man is the slave, would press heavily enough on him to make him unable to will the good. Moreover, the very next words in the context enforce the same point, though Diatribe treats them with great contempt, despite my having commented on them at considerable length in my Assertions. For this is how Christ proceeds in John 15(:6): “If anyone does not abide in me, he is cast forth as a branch and withers; and they gather him up and cast him into the fire and he burns.” This, I say, Diatribe in her most rhetorical manner has passed over, hoping that her doing so would not be noticed by the dull Lutherans. You see here, however, that Christ himself interprets his own simile of the branch and the Vine, and quite clearly explains what he wishes to be understood by the word “nothing,” namely, that a man apart from Christ is cast out and withers. And what else can it mean to be cast out and to wither, but to be consigned to the devil and become continually worse? But to become worse is not the same as being able or endeavoring to do something. A withering branch grows more and more ready for the fire, the more it withers. If Christ himself had not thus expanded and applied this simile, no one would have ventured to expand and apply it so. It is therefore clear that in this passage “nothing” must be taken in the strict sense which the nature of the word suggests.

Now let us look at the passages by which Diatribe proves that “nothing” sometimes stands for “a very little,” so that in this connection too we may show that Diatribe is and achieves nothing, and even if she did, it would still be nothing, so throughly and completely is she herself nothing. “In common parlance,” she says, “that man is said to do nothing who does not achieve the end for which he strives. But he who strives has generally made some progress.” I reply: I have never heard this said “in common parlance”; you have taken the liberty of inventing it. Words should be looked at, as they sa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No one call it “nothing” that he does when he endeavors, and if he speaks about “nothing,” he is not speaking of the endeavor, but of its result; for this is what a person has in mind when he says: “So and so is doing nothing, or getting nothing done,” that is to say, he is achieving nothing, has not succeeded. Furthermore, supposing your example were valid, which it is not, it makes for us rather than for you. For what we are contending for, and want firmly established, is that free choice does many things, but these are nonetheless “nothing” in the sight of God. What advantage to it is its endeavoring, if it does not succeed in reaching its goal? So whichever way she turns, Diatribe runs into trouble and confutes herself, as is usually the case with those who support a bad cause.

She is similarly unforunate(unfortunate?) in quoting that example from Paul: “Neither he who plants nor he who waters is anything, but only God who gives the growth” (I Cor. 3:7). “That which is of least moment and in itself useless,” she says, “he calls ‘nothing.’” Who does? Do you, Diatribe, venture to say that the ministry of the Word is in itself useless and of least moment when Paul everywhere gives it such high praise, and especially in II Cor. 3(:6-9), where he calls it the dispensation of life and glory? once more you fail to consider either the subject matter or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s regards the giving of the growth, the planter and waterer are nothing, but as regards planting and watering they are not nothing, seeing that the supreme work of the Spirit in the Church of God is to teach and to exhort. That is what Paul means, and that is what his words plainly enough convey. But suppose this absurd example also is valid, again it will stand on our side. For our contention is this, that free choice is “nothing,” that is, as you expound it, in itself useless, in the sight of God; for it is this order of being we are speaking about, though we are not unaware that even an ungodly will is something and not a mere nothing.

There is also I Cor. 13(:2): “If I have not love, I am nothing.” I cannot see why she brings this example in, unless she simply wants to lengthen her list - or thinks we are short of weapons with which to run her through. For it is strictly true that a man is nothing in the sight of God if he is without love. And that is precisely what we teach about free choice; therefore, this example too stands for us against Diatribe - unless Diatribe still does not know what we are disputing about. For we are not discussing “being by nature,” but “being by grace” (to put it in current terms). We know there are things free choice does by nature, such as eating, drinking, begetting, ruling, so that Diatribe cannot laugh us out of court with her shrewdly idiotic remark that if we press the word “nothing,” it would not be possible even to sin without Christ, although Luther has admitted that free choice avails only for sinning. Such is the nonsense Diatribe in her wisdom is pleased to talk, even on a serious subject. For our contention is that man apart from the grace of God remains nonetheless under the general omnipotence of God, who does, moves, and carries along all things in a necessary and infallible course, but that what man does as he is thus carried along is nothing, in the sense that it is worth nothing in the sight of God, and is not reckoned as anything but sin. So in the realm of grace, anyone who is without love is nothing. Why, then since Diatribe herself admits that in this passage we are concerned with the fruit of the gospel, which is not produced apart from Christ, does she at once shy away from the question at issue and start playing a different tune, with quibbles about natural work and human fruit - unless because no one is ever consistent who is devoid of the truth?

Then there is John 3(:27): “A man cannot receive anything unless it is given him from heaven.” John is speaking of a man, who already surely was something, and he denies that this man receives anything, namely, the Spirit and his gifts - for it was of this he was speaking, not of nature. For he had no need of Madam Diatribe to teach him that a man already has eyes, nose, ears, mouth, hands, mind, will, reason, and everything there is in a man - unless Diatribe thinks the Baptist was so raving that when he used the word “man,” he had in mind Plato's chaos, or Leucippus' void, or Aristotle's infinity, or some other nothing which by a gift from heaven might at length become something. This is indeed the way to bring forward examples from the Scriptures, this deliberate tomfoolery in so important a matter! To what purpose, then, is that profusion of words with which she teaches us that fire, our shrinking from evil and inclining toward the good, and the rest, are from heaven, as if anyone did not know these things or denied them? We are talking about grace and, as she herself has said, about Christ and the fruit of the gospel, yet she whiles away the time with stories about nature, dragging out the case and befogging the simple reader. Meanwhile, she not only produces no instance where “nothing” stands for a “a very little,” as she proposed to do, but she also plainly shows that she neither understands nor cares what Christ or grace may be, or how grace is something other than nature, although even the least intelligent Sophists knew that and made free and constant use of the distinction in their schools; and at the same time she quite fails to see that all her examples support us against her. For the Baptist's saying, that a man can receive nothing unless it is given him from heaven, certainly implies that free choice is nothing. That is how my Achilles is vanquished, when he is furnished by Diatribe with weapons by which she herself, unarmed and defenseless, is dispatched. That is how “in one little word” the Scriptures are explained, with which that obstinate assertor, Luther, supports his case.

'번역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터의 글 : 노예의지 >35-1<  (0) 2012.12.04
루터의 글 : 노예의지 >34<  (0) 2012.12.04
루터의 글 : 노예의지 >33-1<  (0) 2012.12.04
루터의 글 : 노예의지 >32<  (0) 2012.12.04
루터의 글 : 노예의지 >31-2<   (0) 201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