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락방

Christologie(기독론, 그리스도론)

stevision 2012. 12. 5. 14:16

2011/6/1 인터넷에 공개

 

(원문출처: http://de.wikipedia.org/wiki/Christologie )

 

 

Christologie

기독론(그리스도론)

 

 

Christologie(Wort/Lehre von Christus, von griech. χριστος “der Gesalbte” und λογος “Wort, Lehre, Vernunft”) bezeichnet das theologische Nachdenken über Person und Heilswirken Jesu Christi, ihre Auffassungen und Deutngen im Christentum. Die Christologie als zentraler Teilbereich der Systematischen Theologie will die Frage nach der Identität (“Natur”) und Bedeutung (“Relevanz”) von Jesus Christus für dessen Gemeinschaft, die Kirche, für den einzelnen Gläubigen und für die Welt beantworten.

기독론(그리스도에 관한 학문, 그리스어로는 χριστος(크리스토스, 기름부음 받은 자) + λογος(로고스, 말씀이나 학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품과 구원사역에 관한, 또한 기독교 내에서의 그러한 사항들에 대한 이해와 설명에 관한 신학적 고찰을 말한다. 조직신학의 중심에 서있는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원(身元)(“본성”)과 가치(“중요성”)에 대해 그분의 공동체인 교회와 각 신자들과 세상에 답변을 준다.

 

Überblick

개관(槪觀)

 

Ausganspunkt jeder christologischen Theorie ist das urchristliche Zeugnis des Neuen Testaments (NT). Dort stellt Jesus selbst seinen Jüngern die Frage (Mk 8,27ff):

모든 기독론의 기점(起點)은 신약성서에 나오는 원시(原始)기독교의 증언이다. 여기서 예수께서는 친히 그분의 제자들에게 질문하신다(막8:27ff.):

 

      “Wer sagen die Leute, wer ich sei?”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 하느냐?”

 

Darauf antworten diese zunächst mit den damaligen jüdischen Verständnisweisen: Johannes der Täufer, der als Prophet der Endzeit auftrat; der damals erwartete wiederkommende Elija; einer der Propheten. Demnach wurde Jesus noch nicht als möglicher Messiasanwärter wahrgenommen. Auf die weitere Frage:

그러자 제자들은 처음엔 당시의 유대인의 이해방식에 따라 대답했다: 말세의 선지자로 등장한 세례 요한, 당시에 사람들이 기다렸던 재림 엘리야, 혹은 선지자들 중 하나. 따라서 예수께서는 아직은 메시야 후보로 인정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어지는 질문:

 

      “Und ihr, was sagt ihr, wer ich sei?”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에

 

folgt das Glaubensbekenntnis des Simon Petrus:

시몬 베드로의 신앙고백이 나온다.

 

      “Du bist der Christus!”

      “주님은 그리스도이십니다!”

 

“Der Christus” übersetzt den jüdischen Messiastitel ins Griechische: Die Christologie des NT legt also ursprünglich das Verhältnis der Person Jesu zum messianischen Erwartungshorizont des Judentums in der damaligen Verkehrssprache des römischen Weltreichs aus. Indem sie sich zu Jesu Messianität bekennt, unterscheidet sie sich von allen allgemeinen Verständnisweisen seiner Person, die ihn aus der biblischen Theologie und jüdischen Geschichte herauslösen. Sie entfaltet primär das Verhältnis Jesu, seines Wirkens und Ergehens, zu JHWH, dem Gott Israels, daraufhin sein Verhältnis zu den damaligen und heutigen Zeitgenossen. Dabei ist sich heutige Christologie durchweg der Vielfalt und Mehrdimensionalität der Jesus im NT beigelegten Hoheitstitel bewusst, die keine einfachen Antworten erlauben.

“그리스도”는 유대의 메시야 호칭을 그리스어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원래 신약의 기독론은 예수라는 인물과 유대교의 메시야 대망(待望)과의 관계를 당시의 로마 세계제국의 통용어로 해석한다. 신약의 기독론이 예수의 메시야직을 인정함으로, 그분을 성서신학과 유대 역사와 분리하는 모든 일반적인 그분의 위격 이해방식과 구분된다. 이 기독론은 우선적으로 예수님과 그분의 활약과 상황을 이스라엘의 하나님 야훼와 연관짓고, 이에 기초하여 당시의 사람들 그리고 현대인들과 그분과의 관계를 다룬다. 또한 오늘날의 기독론은, 단순한 답변을 허락지 않는, 신약에서 예수께 주어진 고귀한 칭호의 다중성과 다차원성을 익히 알고 있다.

 

In der Christentumsgeschichte wird die christologische Lehrentwicklung oft in Hauptepochen und entsprechende Haupttypen eingeteilt:

교회사를 보면 종종 기독론 교리 발전 과정이 시대들을 구분하고 중대한 (교리) 유형들을 규정하는 것을 보게 된다.

 

* die trinitarische Christologie der Alten Kirche: Sie ging im Anschluss an Joh 1 von der Identität des historischen Jesus mit dem ewigen Sohn Gottes aus und fragte von da aus, wie der ewige Gott das Menschsein annehmen konnte. Ihr Interesse war also darauf gerichtet, Gottes Identität in seiner Menschwerdung festzuhalten.

구(舊)시대 교회의 삼위일체적 기독론: 이 기독론은 요1장을 이어받아 역사적(역사상의) 예수와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의 동일성에서 출발하고, 이로부터 어떻게 영원하신 하나님께서 인간이 되실 수 있으셨는지에 대한 질문을 했다. 따라서 이 기독론의 관심은 인간이 되셨음에도 동일한 하나님이신 것에 있다.

* die reformatorische Christologie: Sie ging vom Tod Jesus aus und fragte von dort aus, was dieser für Gottes Wesen und des Menschen Heil bedeute. Ihr Interesse war darauf gerichtet, das Heil des Einzelnen gerade im Menschsein und Sterben des Sohnes Gottes zu entdecken.

종교개혁 시대의 기독론: 이 기독론은 예수의 죽음에서 출발하고, 이로부터 이 죽음이 하나님의 본질과 인간의 구원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질문한다. 이 기독론의 관심은 개인의 구원을 하나님의 아들의 인간되심과 죽음에서 발견하는 것이다.

* die anthropozentrische Christologie: Sie ging von allgemein menschlichen Daseins- und Verstehensbedingungen aus und interpretierte das Gottsein Jesu als Bestätigung und Erfüllung des vorab definierten wahren Menschseins. Ihr Intresse war auf die Akzeptanz der christlichen Religion unter den Bedingungen des aufgeklärten historischen Selbstbewusstseins gerichtet.

인간론적 기독론: 이 기독론은 보편적 인간 현존과 이해의 상황들에서 출발하고, 예수의 하나님 되심을, 먼저 정의(定義)된 참 인간되심의 확증과 성취로 해석한다. 이 기독론의 관심은 개화(開化)된 역사적 자의식을 가진 자의 기독교 수용이다.

 

Seit der von Karl Barth inspirierten dialektischen Theologie der 1920er Jahre haben verschiedene moderne Theologen die Christologie aus den dogmatischen Alternativen der Vergangenheit herauszuführen und die Pole zu vermitteln versucht. Dabei ist es zu Vielfalt neuer Entwürfe gekommen, in denen zum einen

칼 바르트로부터 영감을 받은 1920년대의 변증법적 신학이래 여러 현대신학자들은 과거의 교조주의적 양자택일에서 기독론을 건져내고 이 양극을 중재하려 했다. 이때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고, 여기서는 첫째로

 

* der Dialog mit dem Judentum,

* die Ökumene und

* die gegenwärtigen ökologischen, ökonomischen und friedensethischen Menschheitsprobleme

유대교와의 대화,

교회일치운동 그리고

현대의 생태적, 경제적, 평화윤리적 인간문제가

 

eine tragende Rolle spielen.

큰 역할을 했다.

 

In systematischer Betrachtung können die unterschiedlichen christologischen Positionen der letzten zweitausend Jahre als immer neue Lösungen des christologishcen Trilemmas verstanden werden, d.h. als Versuche, folgende drei logisch widersprüchliche Sätze zusammen zu bringen: (1) Jesus Christus war Mensch, (2) Jesus Christus ist Gott und (3) Gott ist nicht identisch mit der Welt. Über die Epochen hinweg können vier Lösungstypen dieses Trilemmas unterschieden werden:

체계적 고찰을 해보면, 지난 이천(二千) 년의 다양한 기독론적 입장들은 항상 기독론적 세 주제들의 새로운 해결책들로, 즉 다음의 논리적 모순 가운데 있는 세 신조들을 통합하는 시도로 이해된다: (1)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이시다, (2)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3) 하나님은 세상과 다르시다. 여러 시대들을 거쳐 이 세 주제들의 네 가지 해결시도들이 있었다.

 

* Modifikation des Menschseins Jesu Christi: Die leibliche Existenz des göttlichen Christus wird unterbewertet (so in den Christologien “von oben” im Anschluss an die klassische Zweinaturenlehre ( http://de.wiktionary.org/wiki/Zweinaturenlehre )) oder offen bestritten (z.B. im Doketismus bzw. in der Gnosis des 2. Jhd.).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조정: (전형적 양성론(兩性論)을 본딴 “위로부터의” 기독론들의 경우처럼 ( http://de.wiktionary.org/wiki/Zweinaturenlehre )) 신성을 지닌 그리스도의 육체적 현존을 과소평가 하거나, (가현설 내지 영지(靈知, 그노시스)의 경우 처럼) 자주 의문시 함.

* Modifikation der Göttlichkeit Jesu Christi: Jesus von Nazareth wird als Mensch wie jeder andere verstanden (so seit der Aufklärung in der historisch-kritischen Exegese und insbesondere im Atheismus, aber auch schon im Judentum z.Zt. des Urchristentums), oder zumindest als ein von Gott deutlich verschiedenes Wesen (so z.B. im Arianismus, Jesus als “Weisheit Gottes”).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조정: (계몽주의이래 역사비평적 성서해석과 특히 무신론에서, 또한 이미 초기 기독교 시대의 유대교에서처럼) 나사렛 예수를 다른 보통 인간들과 같은 사람으로 이해하거나, (아리우스주의에서 예수를 “하나님의 지혜”로 이해하듯) 어쨌든 하나님과 본질상 분명히 다른 존재로 이해함.

* Modifikation der Transzendenz Gottes: der Abstand Gottes zur Welt ist nicht unüberwindlich, dadurch können Satz (1) und (2) des Trilemmas logisch vereinbart werden (so z.B. im theologischen Rationalismus oder der Gott-ist-tot-Theologie).

하나님의 초월성에 대한 조정: (신학적 합리주의와 신죽음신학의 경우처럼) 하나님과 세상 사이의 거리가 극복될 수 없는 게 아니고, 그리하여 세 주제들 중 (1)과 (2)가 논리적으로 통합된다.

* Paradoxale Lösungen: Alle drei Sätze werden beibehalten, die logische Verbindung wird als unlösbar erklärt (so z.B. in den christologischen Formeln des Konzils von Chalcedon oder auch bei Kierkegaard).

역설적 해결: (칼케돈 공의회의 기독론 정식과 키에르케고르처럼) 세 논제들 전부를 유지시킨 채 두고, 논리적 연합은 규명 불가능하다 선언하고 맘.

 

Urchristliche Bekenntnisaussagen im Neuen Testament

신약성겅의 원(原)기독교 신앙고백

 

Das Neue Testament (NT) enthält eine Fülle von Titeln und Hoheisaussagen über Jesus, die nicht ohne Weiteres harmonisierbar sind. Der Artikel Jesus Christus beschreibt deren theologische Aussageabsichten, der Artikel Jesus von Nazaret dagegen jene Worte, Taten und Lebensumstände Jesu, die heute überwiegend für historisch gehalten werden.

신약성경은 쉽사리 조화시킬 수 없는, 예수에 대한 칭호와 주권적 표현들로 가득 차 있다. 예수 그리스도라는 명칭은 그러한 것들의 신학적 발언의도를, 나사렛 예수라는 명칭은, 오늘날 대체로 역사성이 인정되고 있는 예수의 말씀과 행동과 생활환경을 말해주고 있다.

 

Als typische Beispiele unter vielen mitsamt den markanten Belegstellen seien hier nur genannt:

특히 전형적인 인용구절들은 다음과 같다.

 

* der “Heilige Gottes” (Mk 1,24)

* Sohn Davis (Mk 10,47)

* Sohn Gottes (Mk 1,11 ; Röm 1,3)

* Messias bzw. Christus (Mk 8,29 ; Mk 14,62)

* König der Juden (Mk 15,2),

* Erlöser (Heiland),

* Lamm Gottes (Joh 1,29),

* Hoherpriester (Heb 3,1),

* Logos (Joh 1,14)

* gutter Hirte, Brot des Lebens, Licht der Welt (Johannesevangelium)

* Rabbi/Meister/Lehrer (Synoptiker)

* Kyrios (Herr, Gott Israels) (z.B. Lk24,34)

“거룩하신 하나님”(막1:24)

다윗의 자손(막10:47)

메시야(그리스도)(막8:29, 막14:62)

구원자(구세주)

하나님의 어린양(요1:29)

대제사장(히3:1)

로고스(말씀)(요1:14)

선한 목자, 생명의 떡, 세상의 빛 (요한복음)

선생님(공관복음)

주님(이스라엘의 하나님)(눅24:34)

 

Die Frage, wie der gekreuzigte Jude Jesus so viele Titel auf sich ziehen und als Erlöser der ganzen Welt verkündet werden konnte, so dass daraus eine neue Religion wurde, beschäftigt die historische Forschung spätestens seit der Aufklärung. Zentral ist dabei die Frage, welches Selbstverständnis der historische Jesus hatte. Hielt er sich selbst für den, den andere in ihm sahen?

유대인이신 예수께서 어떻게 저렇게 많은 호칭을 갖고 계신지, 어떻게 온 세상의 구세주로 선포되실 수 있으셨는지, 그리하여 새로운 종교가 나왔는지에 관한 질문이 확실히 계몽주의 시대 이후로 역사학적 연구 대상이었다. 또한 역사적 예수의 자기이해도 중심주제였다. 그분께서는 다른 자들이 그분을 생각한 그런 자로 자신을 이해하고 계셨나?

 

Die Antworten sind in der NT-Forschung vielfältig und umstritten. Um die Diskussion zu strukturieren, differenziert sie

신학성서연구를 통한 이것들에 대한 답변은 다양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다. 토론의 방향은 이러하다

 

* explizite Christologie: Titel und Hoheitsaussagen, die in Selbstaussagen Jesu auftreten

* evozierte Christologie: Titel und Hoheitsaussagen, die er bei seinen Zuhörern hervorruft und für sich gelten lässt

* implizite Christologie: Worte und Handlungen Jesu, die eine besondere göttliche Vollmacht ausdrücken und damit spätere Hoheitsaussagen begründen konnten.

명시적 기독론: 예수의 자기주장에 나오는 호칭과 주권적 표현들.

유도적 기독론: 예수께서 청중들로부터 이끌어(유도해)내시고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신 호칭과 주권적 표현들.

암시적 기독론: 특별한 신적(神的) 전권(全權)을 말해주는, 그리하여 후에 주권적 표현들이 될 수 있었던, 예수의 말씀과 행동들.

 

Bei allen drei Varianten wird diskutiert, ob und welche Titel Jesus selbst schon zu Lebzeiten benutzte oder hervorrief - oder ob auch sie Glaubensaussagen der Christen sind, die erst nach Ostern (also Auferstehung Jesu) formuliert wurden.

이 세 가지 경우 다 어떤 호칭들을 예수께서 자신의 생애 중에 사용하시고 들으셨는지, 혹은 호칭들이 부활절(예수의 부활) 이후에나 정식화된 신자들의 신앙고백인 것은 아닌지에 대해 토의가 있었다.

 

Die implizite Christologie war nach Darstellung des NT wohl die Hauptursache für seine Kreuzigung: Da er sich in seinen Worten und Taten als souverän geganüber den Satzungen Israels und auch den römischen Besatzern zeigte, wurde er als gefährlich für den Fortbestand des Kultes und die öffentliche Ordnung eingestuft.

신약성경 기록에 따르면 암시적 기독론이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의 주요인이었다. 예수께서 자신의 말과 행동 가운데 이스라엘 법과 로마 점령군보다 높은 자신의 절대권을 드러내셔서 종교수호와 공공질서에 위험한 인물로 여겨지셨다.

 

Explizit spricht Jesus von sich nur als “Menschensohn”. Auch seine eigene, wahrscheinlich historische Gottesanrede “Father, Papa” (aramäisch familiär: Abbah) betonte eventuell ein besonders intimes Verhältnis zu Gott, könnte aber auch allgemein üblich gewesen sein unter aramäisch sprechenden Juden.

예수께서는 공공연히 자신을 “인자(人子)”라 하셨다. 실제로 예수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추정되는 (아람어 친근한 표현: 아바) “아빠 아버지”라는 하나님 호칭도 어쩌면 하나님과의 각별한 친밀관계를 강조한 것으로 보이는데, 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에게는 일상어였다.

 

Die jüdischen Titel “Sohn Davis” (z.B. Mk 10,47) und “Sohn Gottes” (Mk 1,11 usw.) sowie die römische Bezeichnung “König der Juden” (Mk 15,2) fehlen in Eigenaussagen Jesu; nur selten und indirekt taucht der griechische “Christus”-Titel auf. Jesus widerspricht diesen Prädikationen aber auch nicht, wenn andere ihn so nennen. Nur im Markusevangelium widerspricht Jesus seiner öffentlich Benennung als “Sohn Gottes”, um der Welt nicht vorzeitig seine wahre Identität zu verraten: Dies repräsentiert die Theologie des “Messiasgeheimnisses”, mit dem der Evangelist Jesu Heilwirken (Mk 3.11) und seinen Kreuzestod (Mk 15,39) nachträglich deutete.

유대식 호칭 “다윗의 자손(막10:47)”과 “하나님의 아들(막1:11)”, 그리고 로마식 호칭 “유대인의 왕(막15:2)”은 예수님 본인의 말이 아니고, 헬라어 표현 “그리스도” 호칭은 드물게 그리고 간접적으로 등장한다. 예수께서는, 사람들이 그분께 이러한 호칭들을 사용할 때, 말리지 않으셨다. 단지 마가복음에서 예수께서, 자신의 실제 신분이 때가 되기도 전에 세상에 알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호칭을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을 막으셨다. 이것을 “메시야 비밀” 신학이라 하고, 이로써 복음서 기자는 예수의 구원사역(막3:11)과 그분의 십자가 죽음(막15:39)을 뒤늦게 설명한다.

 

Die Titel “Kyrios” und “Sohn Gottes” tauchen vorwiegend im Kontext von nachösterlichen Visionsberichten und späterer Gemeindetheologie auf, vor allem in den urchristlichen Credoformeln. Als älteste Glaubensbekenntnisse gelten:

“주님”과 “하나님의 아들” 칭호는 주로 부활절 이후의 (예수 부활의) 목격담과 이후의 공동체신학, 특히 원시기독교 신조에 나온다. 가장 초기의 것으로 여겨지는 신앙고백:

 

* Jesus ist der Herr (z.B. in Phil 2,11).

예수는 주님이시다(빌2:11).

 

“Herr” (griechinsch Kyrios) ist die bewusste Übertragung des hebräischen Gottesnamens JHWH auf Jesus. Sie bezieht dessen Herrschaft auf das ganze Universum.

“주님”(그리스어로는 퀴리오스)은 의도적으로 히브리어 신명(神名) 야훼를 예수께 적용시킨 경우이다. 이것은 예수님의 통치권을 온 우주에 적용시킨다.

 

* Jesus war/ist der Sohn Gottes (Mk 15,39; Röm 1,3): Dieses basiert auf dem Gedanken der “Erwählung” eines bestimmten Menschen zum “Offenbarer” und “Abbild” Gottes (Mk 1,11).

예수께서는 하나님의 아들 이셨다/이시다(막15:39, 롬1:3): 이 호칭은 어떤 한 사람이 하나님을 “계시하는 자”와 하나님의 “형상”으로 “선택받았다”라는 사상에 근거한다.(막1:11).

 

Wieweit damit jedoch schon eine zweite “göttliche Person” neben dem Schöpfer der Welt, dem “Vater” Jesu, gemeint war, ist in der NT-Forschung umstritten. Die Evangelien haben diese christologische Diskussion selber eröffnet, indem sie die Hoheit und Vollmacht Jesu Christi einerseits, seine Ohnmacht und sein stellvertretendes Leiden für die Menschheit anderseits dicht beieinander verkünden.

그런데 그러한 명칭으로 어느 정도까지, 예수의 “아버지” 창조주 하나님이 계심에도, 제2의 “신적(神的) 인격”을 의미했었는지는 신약성서 연구에서 쟁점이 되었다. 복음서들이 예수의 고귀(高貴)와 전권(全權), 그리고 그분의 무력(無力)과 인간을 위한 그분의 대리적(代理的) 수난을 나란히 전달해줌으로 이 기독론적 쟁점이 있게 했다.

 

Jesus stellt selbst die Frage nach seiner Identität: “Was sagen die Leute, wer ich sei?” (Mk 8,27). Die Antwort des Petrus - “Du bist der Christus!” (v. 29) - bekennt ihn als den endgültigen unüberbietbaren Heilsmittler im Unterschied zu allen vorläufigen Propheten. Aber auch das meinte nicht unbedingt eine “göttliche Natur” Jesu. Diese ist im Judentum, in dessen Glaubenstraditionen Jesus von Nazaret und seine ersten Nachfolger sich bewegten, kaum vorstellbar: Dort war das erste der Zehn Gebote maßgebend, das die Anbetung eines Menschen als Gott neben Gott streng ausschließt. Die wirkt auch in den späteren theologischen Diskussionen nach, als deren Ergebnis in den altkirchlichen Bekenntnissen Jesus nicht als jemand neben Gott, sondern als Hypostase in Gott beschrieben wird. Darum wurde auch später die Frage nach der Menschlichkeit oder Göttlichkeit Jesu bzw. nach dem Verhältnis zwischen beiden gestellt und heftig diskutiert.

예수께서 친히 자신의 신분에 대해 질문하셨다: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 하느냐(막8:27)?”. “주님은 그리스도이십니다!”라는 베드로의 답변은 그분께서 모든 임시적 예언자들과 달리, 최종적인 최고의 구원의 중보자이심을 고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예수의 “신적 본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나사렛 예수와 그분의 첫 추종자들이 몸담고 있었던 유대교 신앙에 따르면 그것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십계명의 제 1 계명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계명은 하나님 외에 한 인간을 하나님으로 숭배하는 것을 금한다. 이것이 이후의 신학적 논의에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초기 교회 신앙고백에서 예수께서는 하나님 옆에 계신 분이 아니라 하나님 안의 실체(위격, 위격적 실체)로 묘사되었다. 그리하여 예수의 인성과 신성 또 이 둘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고 격렬한 논쟁이 있었다.

 

Vom Neuen Testament zur kirchlichen Theologie

신약성서에서 교회 신학까지 이르는 길

 

Der Messias ist schon gekommen: Trennung vom Judentum

메시야가 이미 오셨다: 유대교와의 분리

 

Während das Judentum bis heute auf das Kommen des Messias' (wörtl.: der Gesalbte) wartet, ist die Ansicht der Christen: In Jesus ist der Christus (wörtl.: der Gesalbte) erschienen. Die erste Christoligie bewegte sich also im Rahmen jüdischer Messianologie, die aber schon zu jener Zeit vielfältige Ausgestaltungen kannte: Es gab eine prophetische Messianologie, die mit der Wiederkunft des Elija rechnete, eine königliche Messianologie, die einen Davidsohn erwartete. Aus Qumran kennen wir auch die Erwartung eines priesterlichen Messias von Aaron oder aus dem Stamme Levi.

유대교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메시야(기름부름 받은 자)의 오심을 고대하고 있는 반면, 기독교인의 생각은 이러하다: 예수가 그리스도시다(예수 안에서 그리스도가 나타나셨다). 최초의 기독론은 유대교 메시야 사상의 범주 안에 있었다. 그런데 당시의 메시야 사상은 여러 형태가 있었다. 엘리야가 다시 오기를 기대했던 예언자적 메시야 사상, 다윗의 자손을 기다렸던 왕적(王的) 메시야 사상이 있었다. 쿰란 공동체는 아론 자손이나 레위 족속 출신의 제사장적 메시야를 기대하고 있었다.

 

Das Wirken beziehungsweise das Schicksal des Gesandten oder Erwählten konnte dementsprechend mehr politisch, mehr kultisch oder prophetisch verstanden werden - bis zum leidenden Messias, der im verstoßenen Joseph oder dem leidenden Gottesknecht in den Visionen Jesajas sein Vorbild fand. Christliche Aussagen über Jesus knüpfen an verschiedene Modelle an, ohne dass dahinter schon ein theologisches Gesamtkonzept stand. Im Vordergrund stehen königliche Motive (Psalm 110 ist die meistzitierte AT-Stelle des Neuen Testaments), aber auch prophetiche oder priesterliche und finden die leidenden Aussagen Anwendung auf Person und Geschick Jesu.

따라서 파송받은 자 혹은 선택받은 자의 영향 내지 운명은 더욱 정치적, 제의적, 예언적으로 이해되었고, 심지어 수난받는 메시야 사상에까지 이른다. 이 메시야는 버림당한 요셉과, 이사야의 예언에 등장하는 수난 당하는 하나님의 종에서 자신의 예시(豫示)를 발견한다. 예수님에 대한 기독교의 주장은, 이면의 신학적 총괄개념 없이, 다양한 모델들을 이어받고 있다. 왕적(王的) 모티브(시110편이 신약성서가 가장 많이 인용한 구약 말씀)가 전면에 나서지만, 예언자적 모티브나 제사장적 모티브도 그러하여 수난의 말씀들이 예수의 인품과 운명에 적용된다.

 

Allen christlichen Motiven ist gemeinsam: In Jesus Christus ist der verheißene Messias gekmmen, nach ihm kommt keiner mehr. Er ist also nicht nur Erwählter oder Gesander, sondern gewissermaßen der Mesias aller Messiasse, das Siegel der Propheten. So finden sich in der christlichen “Messianolgie” auch Motive, die über die üblichen jüdischen Messiasprädikationen hinausgehen: So ist “Sohn Gottes” zwar im königlichen Kontext noch möglich, aber nicht üblich. Die schon vom Johannesevangelium vorgetragene Einheit aus Vater und Sohn, die Verbindung mit der griechischen Logos-Philosophie, die Gleichsetzung im Hebräerbrief von Jesus Christus mit Mechisedek dem Priesterkönig vor aller jüdischen Priesterschaften und Königtümern - überall finden sich schon in frühester Zeit Zeugnisse, dass sich eine Christologie entwickelte, die sich bewusst von jüdischer Messianologie abhob, um die besondere Würde der Person Jesu Christi zu beschreiben.

모든 기독교적 모티브의 공통점은 이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약속된 메시야로 오신 분이시고, 그 분 이후에 더 이상의 메시야는 오지 않는다. 따라서 그분께서는 선택된 분이시고 파송된 분이실 뿐만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메시야들의 메시야, 예언자들의 인장이시다. 그리하여 기독교 메시야 사상에는 보통의 유대교 메시야 서술(敍述)을 초월하는 모티브도 발견된다. “하나님의 아들”도 왕적인 맥락에서 가능한 것이지만, 예사롭지 않다. 이미 요한복음에 나와 있는 아버지와 아들의 단일성(하나되심), 그리스 로고스 철학과의 결합, 그리고 히브리서에 나오는, 유대인의 모든 제사장과 왕들에 앞선 제사장 겸 왕인 멜기세덱과 예수 그리스도의 동일시, 이런 것들이 이미 처음부터, 예수 그리스도의 인품에 특별한 존엄을 부여하기 위해 유대인의 메시야 사상으로부터 의식적으로 스스로를 분리시킨 기독론이 등장했음을 보여준다.

 

Im Ganzen blieb dies aber unsystematisch und bildete ein Sammelsurgium aus Hoheitstiteln und Prädikationen (siehe oben) die noch nicht auf einen einheitlichen Begriff zu bringen waren. Im Mittelpunkt stand anfangs auch nicht die systematisch-theologische Darstellung nach außen, sondern die Gewissheit für den Gläubigen: Jesus Christus, Gottes Sohn, (mein) Retter. (Das sog. ICHTHYS-Bekenntnis).

하지만 대체로 이것은 체계화되지 않았으며, 아직은 하나의 일관된 개념으로 정리될 수 없었던 고귀한 호칭들과 술어들의 뒤섞음이었다. 처음에는 중심적 위치에 있었던 것이 외적(外的)인 조직신학적 설명이 아니라, 신자들의 이 확신이었다: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나의) 구원자 (이것을 일명 익튀스(물고기) 신앙고백이라 한다.) (ιχθυς(ΙΧΘΥΣ)(물고기), Ιησους(예수) Χριστος(그리스도), Θεου(하나님의) Υιος(아들), Σωτηρ(구원자). 그리하여 초대 교회 시대에 물고기는 기독교인의 상징이었음.)

 

In der Auseinandersetzung mit Irrlehrern und der notwendigen Darstellung nach außen wurde aber bald eine systematischere Ausarbeitung notwendig, die bei der Verschiedenheit der Traditionen freilich reichlich Konfliktstoff barg.

이단사설과의 논쟁과, 불가피한 대외적(對外的)인 설명 중에 즉시 체계적 완성이 필요했으며, 하지만 이는 다양한 전승으로 인해 많은 분쟁요인을 내포하고 있었다.

 

Ewiger Sohn Gottes - wirklicher Mensch?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 - 참 사람?

 

Im jüdischen Einflussbereich bezeichnete der Titel “Sohn Gottes” die Willens- und Tateinheit des Menschen Jesus mit Gott. Er ist der (gute oder gehorsame) “Sohn”, weil er Gottes in der Tora geoffenbarten Willen ganz erfüllt hat. Auch seine Werke, wie beispielsweise die Sündenvergebung, wären ohne Gottesherkunft blasphemisch gewesen.

유대교적 영향을 고려하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호칭은 인간 예수와 하나님간의 의지와 행위의 일치를 말한다. 예수께서 토라에 계시된 하나님의 뜻을 다 이루셨기에, 그분께서는 (선하고 충직한) “아들”이시다. 또한 그분의 사역, 예를 들면 죄용서는 신적(神的) 기원(起源)을 고려치 않으면 신성모독이었을 것이다.

 

Im Zuge der Ausbreitung des Christentums im römischen Reich verschob sich die Bedutung des Titels “Sohn”. Im hellenistisch beeinflussten Mittelmeerraum stellte sich immer stärker die Frage nach der “Natur” oder dem “Wesen” (lateinisch: “substantia”) der Person Jesu Christi.

기독교가 로마제국에 전파되는 중에 “아들”이라는 호칭의 의미가 바뀌었다. 헬라문화의 영향하에 있던 지중해 지역에서 예수 그리스도 위격의 “본질” 혹은 “실체(라틴어로 substantia)”에 대한 질문이 강력히 제기된다.

 

Denn wenn Jesus Mensch und sein Leiden Ausdruck freiwilliger Erniedrigung (Kenosis) des Sohnes Gottes aus der Sphäre Gottes (Phil 2,1-11) war, dann ergab sich daraus die Vorstellung seiner Präexistenz, das heißt seines ewigen Seins beim Vater schon vor der Menschwerdung (Joh 1,1-18).

왜냐하면, 인간 예수와 그분의 수난이 하나님의 아들의, 하나님의 영역으로부터의 자발적 비하(케노시스)라면(빌2:1-11), 이로부터 그분의 선재(先在), 즉 성육신 이전 아버지와 함께 영원히 계셨던 그분의 존재가 대두되기 때문이다(요1:1-18).

 

Die in diesen Überlegungen enthaltenen Pradoxien und logischen Denkprobleme waren Hauptthema der Theologie der ersten christlichen Jahrhunderte. Sie führten zu einer Abfolge dogmatischer Streitfragen, die autoritativ mit kirchlichen Lehrentscheidungen beantwortet wurden. Dabei wurde die Diskussion um Jesu Menschlichkeit zum großen Teil parallel zur Diskussion um seine Göttlichkeit geführt, da sich angesichts des Todes Jesu beide Aspekte überschneiden:

이 고찰에 포함되어 있는 역설과 논리적 사고(思考)문제가 기독교 첫 세기의 중심적 신학주제였다. 그리하여 일련의 교리논쟁들이 있었고, 이것들은 유권해석적으로 교회의 교리결정으로 답변되었다. 또한 예수의 죽음을 고려하면 그분의 인성과 신성 양면이 겹쳐지므로, 대체로 그분의 인성에 대한 토론과 신성에 대한 토론이 병행되었다.

 

* Wie kann der ewige Sohn Gottes sterblicher Mensch werden, ohne aufzuhören, Gott zu sein?

하나님이심을 포기함 없이 어떻게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 가사적(可死的) 인간이 되실 수 있나?

* Wie kann der Sohn Gottes als wirklicher Mensch alle Menschen erlösen?

하나님의 아들이 어떻게 참 인간으로서 모든 사람들을 구원하실 수 있나?

 

Der Hebräerbrief brachte das Problem so auf den Punkt (Heb 2,18): “Denn worin er selbst glitten hat und versucht wurde, kann er denen helfen, die versucht werden.” Das berührt schon die enge Verbindung der christologischen Debatte zur Soteriologie: Wenn Jesu Tod die Menschen erlöst haben soll, müsste Jesus gnaz Mensch gewesen sein, mit einem eigenen - menschichen - Willen. Diese Auffassung stand oft hinter der Ablehnung von Theologien, die die Göttlichkeit Jesu auf Kosten seiner Menschlichkeit betonten.

히브리서가 이 문제를 정확히 말했다: “자기가 시험을 받아 고난을 당하셨은즉 시험받은 자들을 능히 도우시느니라(히2:18, 개역성서).” 이것은 기독론적 토의와 구원론의 밀접한 관계를 말하고 있다: 예수의 죽음이 인간을 구원했다면, 예수께서는 자신의 인간적 의지를 갖춘 완전한 인간이 되셨어야만 한다. 이러한 견해는 예수의 인성을 포기하면서까지 그분의 신성을 강조하는 신학들을 거부하는 근거가 된다.

 

Lehrentwicklung in der Alten Kirche

옛 교회의 교리발전

 

Kanon- und Credo-Bildung

정경(正經)과 신조 형성

 

Die allmähliche Festlegung des neutestamentlichen Kanons bis etwa 400 n. Chr. hatte Enfluss auf die Christologie. Denn damit wurden beispielsweise gnostisch beeinflusste Schriften ausgeschlossen, die Jesu Unsterblichkeit betonten und damit sein Menschsein in Frage stellten (zum Beispiel mit der Behauptung seines “Scheintods” der Doketisten).

주후 약 400년에 이르는 점차적인 신약정경의 확립이 기독론에 영향을 끼쳤다. 그렇게 함으로, 예수의 불사성(不死性)을 강조하여 그분의 인성을 의문시한, 영지주의에 물든 기록들(예를 들어 가현설주의자들의 예수의 “가짜죽음” 주장)이 배제되었다.

 

Seit Beginn des 2. Jahrhunderts standen die vier Evangelien, die Apostelgeschichte des Lukas und die Paulusbriefe als Teil des Kanons fest. Umstritten waren vor allem die Offenbarung des Johannes und der Hebräerbrief.

2세기 시작 때부터 4복음서들, 누가의 사도행전, 그리고 바울서신들이 정경으로 확정되었다. 요한계시록과 히브리서는 논란 중에 있었다.

 

Ihren vorläufigen Abschluss fand die Christologie im Jahre 325 auf dem ersten Konzil von Nicäa im nicäisch-konstantinopolitanischen Glaubensbekenntnis. Diese Entwicklung verlief parallel mit dem Kampf der Alten Kirche um Anerkennung im römischen Reich.

기독론은 325년 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앙고백으로 잠정적 확정을 보게 된다. 기독론의 발전은 로마 제국 내에서 인정을 받기 위한 옛 교회의 투쟁과 함께 진행되었다.

 

Entwicklung der Trinitätslehre

삼위일체론의 발전

 

Vorausgegangen waren intensive Auseinandersetzungen um die Interpretation der Person Jesu Christi, insbesondere in Bezug zum Gottsein Gottes.

먼저는 특히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과 관련된, 예수 그리스도의 위격에 대한 해석문제로 격렬한 논쟁이 있었다.

 

Im 2. Jhrhundert war die hellenistisch orientierte Alexandrinische Schule führend: Sie verband jüdischen und griechischen Geist, übernahm die Logos-Lehren des Platonismus und vertrat den vierfachen Schriftsinn (Origenes). Ab 250 gewann die orthodoxe, anti-spekulative Antiochenische Schule an Einfluss. Sie vertrat die Dreieinigkeits-(Trinitäts)lehre, die besagt, dass der eine Gott als “Sein-in-Beziehung” von drei “Personen” zu denken ist: als Schöpfer, Erlöser und Heiliger Geist. Dieses Denkmodell ist das logische Pendant zum Inkarnationsdogma: Es soll erklären, wie der ewige Sohn Gottes als sterblicher Mensch wieder zu Gott zurückkehrt und dabei seinen Geist über seine Kirche ausgießt, um Glauben und Erkennen des wahren Gottes zu schaffen. Als Spitzensatz kann das Christentum formulieren: Jesus ist Gott.

2세기에 헬라사상에 영향을 받은 알렉산드리아 학파가 주도적 위치에 있었다. 이 학파는 유대 사상과 그리스 사상을 결합시켰고, 플라톤주의의 로고스 사상을 받아들였으며, 성경의 다중적 의미를 주장했다(오리게네스). 250년부터는 정통적이고 반(反)사변적인 안디옥 학파가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학파는 삼위일체론을 주장했다. 이 이론은 한 하나님을 세 “위격들”의 “관계 가운데 있는 존재”로, 즉 창조주, 구세주, 성령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했다. 이 사고방식은 논리적으로 성육신교리와 짝을 이룬다. 그것은, 어떻게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 가사적(可死的) 인간으로서 하나님께로 귀환하시고, 동시에 참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인식을 불러일으키시려 그분의 영을 그분의 교회에 부어주시는지를 설명한다. 기독교는 최고(最高)의 교리를 “예수께서 하나님이시다”로 정할 수 있다.

 

Eine entfaltete Trinitätslehre taucht im Neuen Testament noch nicht auf. Sie ergibt sich aber aus einigen seiner Glaubensussagen, wie der Präexistenz des Logos (Joh 1,1ff). Eine frühe trinitarische Formel enthält der Missionsbefehl nach Matthäus (Mt 28,19).

신약성서에서는 완성된 삼위일체론이 나오지 않는다. 삼위일체론은 로고스의 선재(先在)(요1:1ff)와 같은 신약성서의 몇몇 신앙고백으로부터 유래했다. 마태복음의 선교명령(마28:19)이 초기의 삼위일체적 정식을 담고 있다.

 

Gott wird in der Kirche als dieser dreieinige Gott angebetet. Das markiert auch den unüberbrückbaren Gegensatz zum Judentum und später zum Islam, die Gott nur als eine unteilbare Person im Gegensatz zu allem Geschaffenen denken und anbeten.

하나님께서는 교회에서 이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경배되신다. 이것이 바로, 신(神)을 모든 피조물들과 대조되는 분할할 수 없는 하나의 인격체로만 알고 숭배하는 유대교와 그리고 이후의 이슬람교와 일치 불가능할 정도로 대조되는 (기독교의) 특징이다.

 

Die konstantiniche Wende

콘스탄틴 전환

 

Im römischen Reich hingen die christologischen Debatten eng mit dem Kampf der Kirche um Anerkennung zusammen. Mit dem Mailänder Toleranzedikt Konstantins I. von 313 kam ein Durchbruch: Nach jahrhundertelanger Verfolgung wurde dem Christentum volle Glaubens- und Kultfreiheit gebilligt.

로마 제국 안에서 기독론 논의는 인정받으려는 교회의 투쟁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313년 콘스탄틴 1세의 밀라노 ‘기독교 승인 칙령’으로 대전환이 있게 된다. 수세기에 걸친 박해 후에 기독교에 완전한 신앙과 예배의 자유가 주어졌다.

 

Diese konstantinische Wende hatte jedoch zur Folge, dass der römiscche Kaiser persönlich Einfluss auf die innerkirchliche Lehrentwicklung nahm. Er berief Konzilien ein und setzte die Kompromissformel des “homo-ousios”: Jesus Christus ist als Gottes Sohn “gleichwesentlich” mit Gott selbst.

하지만 이 콘스탄틴 전환은 로마 황제가 개인적으로 교회의 교리 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는 공의회를 소집했고 “homo-ousios(호모우시오스)”라는 타협안을 내놓았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로서 하나님 자신과 “동일본질”이시다.

>>  [English] 여기서 정말 기독교 교리사에서 해석상 골칫덩어리였던 homoousios를 짚고 넘어가야겠다. 성경이 기록된 다음에 기독교가 성경 내용을 해석했듯이, 이 homoousios교리도 교리로 확정된 이후 해석이 필요한 것이었다. 즉 이는 homoousios가 타협의 산물이고 특히 ‘신조어’였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타협의 산물이라는 것은 삼위의 각각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무리와 한 분 하나님을 강조하는 무리가 서로 힘대결을 하고 있을 때 콘스탄틴 황제가 제국이 기독교 내분으로 갈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 타협안으로 homoousios를 내놓았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먼저 헬라어 접두어 homo(ομο)의 용법부터 살펴보자. ομοθυμαδον(한 마음으로), ομοιος(비슷한), ομοιωμα((...의) 형상), ομοιως(같은 식으로), ομολογεω((다른 사람과) 동일한 말을 하다, 즉 다른 사람의 말에 동의하다), ομοτχνος(동일한 업종에 종사하거나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이로 볼 때 homo는 ‘같은 종류(the same kind)’를 말하는 것 같다. homo만으로는 ‘존재까지 동일한(one and the same)’을 뜻하지는 않는 것 같다. 예를 들어 A와 B가 한 마음이라 할 때 마음의 내용은 동일하겠으나 엄연히 마음이 일어난 장소는 서로 떨어진 두 곳(두 사람의 머리)이므로 ‘같은 종류’ 혹은 ‘완전 동일한 종류’의 생각일 뿐이지 존재(마음이 일어난 장소)까지 동일하지는 않다고 해야 한다. 따라서 homo라는 접두어는 두 주체가 같은 내용의 것을 각자 소유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있다.

ousios도 문제다. 어근이 ousia(ουσια)인데, ουσια는 초기 그리스어 시기에 소유물이나 재산을 뜻한다. 또한 ουσια는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에도 철학적 의미로 physis(φυσις, 퓌시스)의 동의어로 쓰였다. physis는 철학적으로 사물의 기원, 구성, 조직, 재료, 종류를 의미했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이 ousia가 나온다. 이 ousia는 실체(substance)를 뜻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의 가장 기본적 의미는 “구체적인 개별적 존재(즉 구체적인 어느 한 사람이나 한 동물과 같은 한 개체)”다. 이것을 일차적 실체라 한다. 두 번째로 실체라 할 수 있는 것은 저러한 구체적인 존재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은 ‘인간’에 또한 ‘동물’에 포함되므로 ‘인간(보편자)’이나 ‘동물(보편자)’도 실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이차적 실체라 한다. 그러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본질(essence)’도 실체라 하는 것 같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보편자가 개체(개별 존재)와 분리되어 홀로 존재하지 못하고 반드시 개체 안에 존재한다고 했다. 그는 개체 속에 있는 보편자를 본질이라 부르고, 본질을 자기 안에 실현한 개체를 실체(ousia)라고 불렀다. ousia는 본질의 수용체로서 본질을 완성한 구체적인 한 개체(개별 존재)인 것이다. homoousios에서의 ousia는 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ousia 개념을 받아들인 것 같다. 어미 -ος(os)는 남성 단수 주격어미다. 성자를 남성 단수로 본 것이다. 이것을 인간에 적용해보자. 철수와 영희는 ‘동일한 인간본질’을 갖추고 있으므로 둘 다 완전한 인간 ousia(실체)들이다.

니케아 공의회 신앙고백의 헬라어 원문 중에 homoousios는 ‘ομοουσιον τω πατρι’에 나온다. 여기서 ος(os)가 ον(on)이 된 것은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안의 “예수 그리스도”가 목적격이어서 이 예수 그리스도를 수식하는 형용사 homoousios가 목적격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주목할 사항은 ‘τω πατρι’다. 이는 ‘여격’이다. 이는 ‘비교의 대상’을 의미한다. 즉 ‘아버지와 같은’에서 ‘아버지와’를 의미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성자께서 성부 하나님과 homoousios이시다’라는 말은 ‘성자께서 성부의 ousia(개별적 실체)이시다’를 의미하지 않고 ‘성부의 ousia와 같은 유(類)의 ousia이시다’를 의미한다고 봐야 한다. 이 말은 곧 성자께서 성부와 동일본질이시다 즉 ‘성부께서 완전한 하나님이시듯 성자께서도 완전한 하나님이시다’를 의미한다.

‘성자께서 성부와 homoousios(같은 유(類)의 실체)이시다’라는 말은 일차적으로 성자께서 성부와 동일한 신적 본질을 갖추신 신적 실체이심을 말해준다. 이는 성자께서 성부와 격이 다른 존재라는, 즉 완전한 하나님이 아니시라는 이단사설에 대한 정통 기독교의 답변이다. homoousios는 예수께서 완전한 하나님이심을 역설(力說)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성자의 완전한 독자적 신성을 중시하는 자들이 homoousios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삼위일체와 관련하여, 한 분이신 삼위일체에 대하여는 우시아(실체)라 규정하고 세 위격들에 대해서는 휘포스타시스(본 뜻은 실체)로 규정하는 자도 있었으므로, homoousios의 ousia가 한 분의 삼위일체 하나님을 지칭한다고 하면 성자께서 성부와 한 우시아에 속한 분이시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는 성자께서 성부와 나뉘어질 수 없는 분이심을 말하고 있다. 오른팔과 왼팔이 한 인간 실체(우시아)를 구성하듯 성부와 성자께서 한 우시아(삼위일체)에 속한 분이심을 말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성자께서 성부와 동일한 본질을 가지셨다는 의미는 결여된다. 한 실체이심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homoousios를 '동일본질'로만 이해하면 서로 분리된 두 하나님들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하여 경계심을 늦추지 않는 자들이 있었고, '한 우시아(실체)'로만 해석하면 양태론 이단일 수 있다하여 역시 경계심을 늦추지 않는 자들이 있었다. 그리하여 homoousios 대신에 homoiousios(유사본질)를 사용하자고 주장하는 자들이 있었다. 교회는 유사본질을 거부하고 homoousios를 고집했다. 그런데 homoousios는 '동일(one and the same) 실체’로도 해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아버지와 아들이 동일실체가 아니라면 어떻게 완전한 의미의 한 하나님이실 수 있겠는가? 그러나 만약 homoousios를 ‘성자는 (가면만 바꾼) 성부 자신의 실체’라 해석하면 이는 양태론 이단에 빠지게 된다. 교회는 homoousios를 양태론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금한다.

기독교 정통교리는, ‘성부도 하나님, 성자도 하나님, 성령도 하나님이시고, 성부가 곧 성자는 아니시며 성자가 곧 성령도 아니시며 성령이 곧 성부도 아니시지만, 이 세 분들은 분리되어 계신 분들이 아니라 한 하나님이시다’라고 하여 삼위일체 교리를 완성한다. 이렇게 보면 “성자는 성부와 ‘동일본질(즉 성부와 동등한 신성을 가지신 분)’이시고 성부와 ‘한 실체(one ousia, 즉 한 하나님)’를 이루시는 분이시다”라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삼위일체 교리가 완성될 당시의 homoousios는 ‘동일본질’과 ‘(마치 인간의 양쪽 팔이 한 인간 실체 구성에 기여하고 있듯 성부와) 한 실체(를 이루시는 분)’로 이해했고, ‘동일(one and the same)실체(양태론적 의미의 성부 자신의 실체)’는 배제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부와 성자의 관계를 말하는 homoousios를 ‘동일(the same) 본질’, ‘한(one) 실체’, ‘동일(one and the same) 실체)’로 이해하는 게, 혹은 그렇게 규정하는 게 불가능할까? 필자(Z^_stevision)가 제시하는 삼위일체 모델은 그것이 가능하다. 필자가 제시하는 삼위일체론은 이러하다. 하나님께서는 시공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해 계신 자존하시는 분이시다. 그분께서는 자신의 존재차원에 계신 분이시다. 이 하나님께서 독생의 과정을 거쳐 자기 자신을 발생시키셨다. 이렇게 성부의 독생의 과정을 거쳐 나타나신 완전한 하나님이 바로 성자이시다. 이 성자는 성부 자신 곧 성부의 제 2의 자아이시다. 이 성부와 성자는 하나님의 존재 차원에 계신 분들이시다. 완전한 신성을 지니신 성자께서는 성부의 위임을 받아 자기 자신을 공간 안에 발생시키셨다. 이렇게 성자께서 공간에 파송하시어 나타나신 분이 바로 성령이시다. 성령은 성부의 제 3의 자아이시면서도 성자의 제 2의 자아이시다. 이는 마치 서울에 있는 김종택이라는 자가 자신의 온전한 존재를 평양에 발생시켜 그곳에서도 온전한 김종택으로 살고, 그 평양에 있는 김종택이 미국 워싱턴에 자신의 존재를 발생시켜 워싱턴에서도 김종택으로 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세 곳에서 동시에 김종택들로 사는 게 삼위일체 하나님 비유다. 비유적으로 한반도가 하나님의 존재영역이라면 미국은 공간인 셈이다. 인간과 달리 자존하시는 하나님께서는 자기 자신을 반복하여 발생시키실 수 있으시다. 그래서 영원부터 영원까지 한 하나님께서 성부, 성자, 성령으로 동시에 계시며 세 위격적 실체들로서 신적 삶을 사신다. 성자와 성령은 단지 껍데기 하나님이 아니라, 존재의 내용까지 성부 하나님과 동일한 분이시다. 비유로 말하자면 서울의 김종택에게 있는 모든 것(정신과 영과 육체 안의 원자들)이 동일하게 평양의 김종택과 워싱턴의 김종택이 갖추고 있듯, 성부의 제 2의 자아이신 성자와 제 3의 자아이신 성령께서 성부와 동일한 신적 본질을 갖추고 계신 것이다. 자존하시는 하나님께서는 저렇게 삼위일체로 계실 능력이 있으시다고 봐야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을 이렇게 이해할 때 성자는 성부와 ‘동일 본질(신성)’이시다. 또 한 하나님께서 성부, 성자, 성령으로 계시므로, 성자는 성부와 ‘(one) 실체’를 이루시고 계신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성자가 성부의 제2의 자아이시므로, 성자께서 (양태론이 배제된) ‘동일한(one and the same) (성부의) 실체’라 할 수 있다. homoousios가 성자와 성부의 존재적 관계를 규정하는 말이라면, 우리가 이것을 ‘동일본질’, ‘한 실체’, ‘(양태론이 아닌) 동일실체’를 말한다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

 

Zum historischen Kontext siehe auch Spätantike.

 

Die Zwei-Naturen-Lehre

양성론(兩性論)

 

380 erklärte Kaiser Theodosius I. das Christentum mit dem Dreikaiseredikt zur neuen und einzigen Staatsreligion des römischen Reiches. Daraufhin wurde die Einigung aller Christen auf einen gemeinsamen Glauben umso nötiger. Der Streit um das “wahre Wesen”  Jesu Christi dauerte (trotz mehrerer Einigungsversuche) die Spätantike an.

380년 황제 데오도시우스 1세는 삼제칙령(三帝勅令)을 발하여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새로운 유일(唯一) 국교(國敎)로 선언했다. 그리하여 전(全) 기독교가 하나의 공동 신앙고백으로 화합함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여러 차례의 의견일치 시도에도 불구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참된 본질”에 대한 논쟁이 초기 중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Schon 325 hatte das erste Konzil von Nicäa das nicänisch-konstantinopolitanische Glaubensbekenntnis formuliert, in dem die Trinitätslehre fixiert, auf Vorschlag des Kaisers das “homoousios” angenommen und der Arianismus abgewiesen wurde. Nach dieser Formulierung ist Jesus Christus “homoousios”, das heißt eines Wesens mit Gott. Theologisch bedeutet dies, dass Jesus Christus als die wahre Selbstoffenbarung Gottes gesehen werden kann.

이미 325년에 1차 니케아 공의회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를 내놓았다. 이 신조는 삼위일체론을 확정했고, 황제의 제안으로 “homoousios”를 받아들였고, 아리우스주의를 배격했다. 이 정식(공식)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homoousios”, 즉 하나님과 한 존재(혹은 본질)이시다. 이것의 신학적 의미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참된 ‘하나님 자아계시’라는 것이다.

 

In Nicäa stellte dieser Streit noch ein Randthema dar, als Hauptproblem wurde die Frage des christlichen Festkalenders (Ostertermin) behandelt. Nach dem Konzil kam es über die Formulierung des Bekenntnisses über Jahrhunderte zu einer erbitterten Debatte, an der die Einheit der Ostkirche zerbrach. Ein vorläufiger Abschluss der altkirchlichen Theologie wurde 451 auf dem 4. Konzil von Chalcedon erreicht. Dort wurden abgelehnt:

교회 축일(부활절 기간) 문제가 니케아 논쟁의 부차적 주제였고 다루어졌다. 공의회 이후에 이 신앙고백(부활절 문제) 공식화 문제로 수세기에 걸쳐 격렬한 논의가 있었고, 그로 인해 동방교회와의 연합이 깨졌다. 구시대(舊時代) 교회 신학은 451년 4차 칼케돈 공의회 때 잠정적으로 완료되었다. 여기서 배제된 것들:

 

* Arianismus, der in Christus Gott sieht (Logostheologie), ihn jedoch als nicht ewig bezeichnet, sondern als von Gott (vor der Zeit) gezeugt.

아리우스주의. 이 이론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보나(로고스 신학), 그리스도를 영원한 분이라 하지 않고 (시간 전에, 즉 창조 이전에) 하나님으로부터 태어나신 분이라 주장한다.

* Monophysitismus, wonach das Göttliche und das Menschliche eine vermischte gott-menschliche Natur bildeten (polemisch überzeichnet: Jesus als Gott, dessen Menschlichkeit als Schein und Verkleidung sei)

단성론(單性論(= 일실체론(一實體論)). 이 이론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혼합되어 하나의 신인(神人)본성을 형성한다고 주장한다. (좀 심한 말로, 예수께서는 하나님이시고, 그분의 인성은 가짜(실체가 없음)요 변장일 뿐이라는 것이다.)

>> 정통교리는 그리스도의 온전한 신성과 인성을 주장하고 이를 양성론(兩性論(= 신인(God-man, 神人) 실체론(實體論), Zwei-Naturen-Lehre)라 한다. <<

* Dyophysitismus, wonach das Göttliche und das Menschliche in Jesus eher geschieden sind.

이성론(二性論(= 이실체론(二實體論)). 이 경우는 분리기독론(극단적 양성론)을 말함). 이 이론은 예수의 신성과 인성이 나뉘어있다고 주장한다. (영원한 성자와 인간 나사렛 예수가 분리되어있다는 주장. 전통 교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한 하나님과 한 인간으로 나뉘어져 있지 않고 한 위격(인격)으로 통합되어 있다 말함. 이를 ‘위격적 연합(unio hypostatica, hypostatic union)’이라 함. 이는 한 분 성자께서 신적 실체(위격적 실체)와 인간적 실체(인간의 몸과 영혼), 신격과 인격을 동시에 소유하고 있는 상황을 말함.)

 

Die Trinität wurde zum Dogma: Jesus Christus ist “wahrer Gott” (die zweite Person der Trinität) und “wahrer Mensch” zugleich. Beide “Naturen” seien unwandelbar, ungetrennt, ungeteilt und unvermischt. Man bezeichnet dieses Ergebnis daher auch als Zwei-Naturen-Lehre. Demnach ist Christus wahrer Gott, weil er nur so als die wahre Selbstoffenbarung Gottes verstanden werden kann. Dass Gott in ihm zugleich wahrer Mensch ist, soll festhalten, dass die Menschen in ihm wirklich erlöst sind.

삼위일체가 교리로 되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참 하나님(삼위일체의 제2 위격)”이시고 동시에 “참 인간”이시다. 두 “본성들(신성과 인성)”은 변하지(속성이 바뀌지) 않고, 나뉘지 않고, 분리되지 않으며, 혼합되지 않는다. (* 변하지 않고: 성육신 사건으로 신성이 인성이 되거나 인성이 신성이 되지 않는다는 말. * 나뉘지 않고: 이는 ‘단일 인격체’를 강조하는 말 같음. 즉 예수님의 성품은 신격(神格)과 인격(人格)으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신인격(神人格, 참 하나님이시고 참 인간이신 분의 성품)’이라는 말임. 또한 ‘사역의 단일성’을 말하는 것 같음. 즉 예수님의 사역이 신성의 사역과 인성의 사역으로 구분되지 않고 한 ‘신인(神人, 그리스도)’의 사역이라는 말임. * 분리되지 않고: 이는 신적 실체, 인간적 실체가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말하는 것 같음. * 혼합되지 않고: 신성과 인성은 그대로 신성과 인성으로 남아 있지 서로 섞여 제 3의 실체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 이것을 ‘두 본성론(양성론)’이라 한다. 이에 따르면 그리스도께서 참된 하나님 자아계시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참 하나님이시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께서 동시에 참 인간이시라는 사실은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들이 참으로 구원받았음을 확증한다.

 

Dieses Dogma ist bis heute gemeinsame ökumenische Lehrgrundlage der christlichen Kirchen, außer für die damals widersprechenden Altorientalischen Kirchen. Auf dieser Basis baute fortan der Hauptstrom der christologischen Diskussion auf. Da dieses Dogma sehr theoretisch fundiert ist, kommt es bisweilen zu Asymmetrien zwischen theologischer Raffinesse und praktischer Frömmigkeit.

이 교리는 당시에 이의를 제기했던 구(舊)동방교회를 제외하고는 오늘날까지 범(汎) 기독교 공동의 기본교리이다. 이후의 주요 기독론적 토의는 이 교리에 근거하여 진행된다. 이 교리가 매우 이론적으로 작성되어서 때때로 신학적 정교함과 실천적 경건 사이에 불균형이 있기도 한다.

 

Die Traditionen des Christentums

기독교 전승

 

Orthodoxie und Ostkirche

정통주의와 동방교회(동방정교회)

 

Ostkirche ist ein Sammelbegriff für verschiedene orthodoxe Kirchen. Seine wesentlichen Wurzeln hat die Ostkirche im griechisch-sprachigen Mittelmeerraum der ersten sieben Jahrhunderte.

동방교회는 다양한 정통주의 교회들을 지칭하는 집합적 의미를 갖고 있다. 7세기까지의 그리스어권(圈) 지중해 지역의 동방교회들이 그 명칭의 기원이다.

 

Das Christentum entstand als jüdische Sekte und Bewegung, die in Jesus von Nazareth den Messias sah. Schon kurz nach ihrer Entstehung gelang ihr der Wechsel in den hellenistischen Sprach - und Kulturraum des östlichen Mittelmeerraumes - durch die Missionsreisen des Paulus wurde Kleinasien zum Kerngebiet der Ostkirche dem Christentum erschlossen. Hier gab es im dritten Jahrhundert mehr Christen als in allen anderen Gebieten des römischen Reiches.

기독교는 나사렛 예수에게서 메시야를 발견한 유대교 종파와 운동에서 출발했다. 이 종파가 생긴지 얼마 안되어 동부 지중해 지역 헬라어와 헬라문화 지역에서 전환기를 맞았고, 바울의 선교여행으로 소아시아가 동방교회의 중심지로 기독교에게 문이 열렸다. 3세기에 이곳은 다른 모든 로마제국 지역들보다 기독교인이 더 많았다.

 

Als geistige Zentren der Ostkirche bildeten sich die Bischofssize von Konstantinopel, Alexandria und Antiochia heraus.

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디옥의 주교좌(主敎坐)들이 동방교회의 영적(靈的) 중심지로 나섰다.

 

Das frühe Christentum des lateinischen Westens des römischen Reiches las und schrieb ebenfalls Griechisch. So ist uns im sogenannten 1. Klemensbrief ein griechischer Brief aus Rom aus dem ersten Jahrhundert erhalten.

로마 제국의 라틴어권(圈) 서방(西方) 초기 기독교는 그리스어를 읽고 쓰기도 했다. 그리하여 1세기 로마에서 기록된 그리스어 서신으로 일명 클레멘트 일서(一書)라는 것도 있다.

 

Die Trennung zwischen griechischer Ost- und lateinischer Westkirche begann damit, dass sich in der Westkirche das Lateinische durchsetzte (“Graeca non leguntur”). In Augustinus fand die Westkirche ihre erste maßgebliche Autorität. Augustinus' lateinische Schriften wurden in der Ostkirche kaum gelesen, so dass sich die beiden Kirchen weiter voneinander entfernten. In der Folge entwickelte sich Rom zum wichtigsten Zentrum der Westkirche, die sich nach der politischen Trennung von Konstantinopel immer weiter von der Ostkirche entfernte, bis es 1054 zu dem für Jahrhunderte gültigen Schisma (Morgenländisches Schisma) zwischen beiden Kirchen kam.

그리스어권 동방교회와 라틴어권 서방교회가 갈라지기 시작한 것은 서방교회에서 라틴어가 세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그리스어 작품들이 읽혀지지 않았다”). 서방교회는 어거스틴에게서 자신의 제일의 표준적 권위를 찾았다. 어거스틴의 라틴어 작품들은 동방교회에서 거의 읽혀지지 않아서 동방과 서방 교회는 점점 서로 멀어져갔다. 그 결과 로마가 서방교회의 가장 중심적 지위를 얻게 되고, 이 서방교회는 콘스탄티노플과의 정치적 분리(동로마제국과 서로마제국) 이후에 점점 더 동방교회와 멀어졌으며, 결국 1054년 수세기 동안 지속되는 두 교회간의 분열(동방 지역의 분리)이 있게 된다.

 

Theologisch war die Ostkirche ab 321 zunächst vom trinitarischen, danach vom christologischen Streit geprägt, der endete, als die so genannten monophysitischen Gebiete - vor allem Ägypten - von den Arabern erobert wurden. Während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r arabischen Expanision spaltete der Bilderstreit die orthodoxe Kirche. Die Mission brachte die bulgarisch-orthodoxe, die russisch-orthodoxe und die serbisch-orthodoxe Kirche hervor.

321년부터 동방교회는 신학적으로 먼저는 삼위일체 논쟁과 이후로 기독론 논쟁으로 인해 자신의 특징을 드러냈다. 이 논쟁은 소위 단성론 지역(특히 이집트)이 아라비아인(人)들에게 정복되었을 때 그쳤다. 아랍인들의 팽창에 맞서는 동안에 성상논쟁이 정교회를 분열시켰다. 선교를 통해 불가리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가 나왔다.

 

Erbsünde

원죄(유전죄)

 

Das Dogma der Erbsünde besagt, dass der Mensch von Geburt an Sünder, als socher von Gott getrennt ist und sich nicht aus eigener Kraft erlösen kann. Das ist die Voraussetzung dafür, dass diese Trennung nur durch Jesus Christus überwunden werden kann. Das Heilsgeschehen, Gottes Inkarnation und Erlösungswerk, ist der logische Gegenpol zur Erbsündentheorie.

원죄 교리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죄인이고, 그러한 자로서 하나님과 분리되어 있고, 자신의 힘으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음을 말한다. 이것이 바로 그러한 분리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극복될 수 있다는 말의 전제가 된다. 구원의 사건, 하나님의 성육신과 구원사역은 논리적으로 원죄교리와 짝을 이룬다.

 

Diese gilt in der katholischen Lehre, aber auch in der lutherischen Orthodoxie und in evangelikalen Richtungen als Unterscheidungsmerkmal von anderen Glaubensweisen und Prüfstein für den eigenen rechten Glauben. Über die genaue Art dieser Erlösung und den Weg dazu sind die verschiedenen christlichen Konfessionen jedoch uneins.

이 교리는 카톨릭 교리, 루터파 정통교리, 복음주의적 교리로 유효하고, 다른 신앙방식들과의 구별을 말해주는 표지(標識)로, 자신들의 바른 신앙의 시금석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정확히 이러한 방식의 구원과 이 구원의 길에 대한, 다양한 기독교 교파들 사이의 의견일치는 달성되지 못하고 있다.

 

Scholastik des Mittelalters

중세 스콜라신학

 

Erst die Scholastik knüpfte wieder stärker an die Paulinischen Vorstellungen vom Sterben und Leben Jesu an.

스콜라신학은 예수의 생애와 죽음에 관한 바울의 사상을 강력히 이어받고 있다.

 

Der erste, der dieselben in einen dialektisch gefassten, allerdings durch die juristische Schablone des Mittelalters bedingten Ausdruck brachte, war Erzbischof Anselm von Canterburz mit seiner Satisfaktionslehre. Er führte in einer bis dahin nicht erreichten Vollständigkeit der Argumentation den Gedanken durch, dass Gott zur Wiederherstellung der ihm durch die Sünde entzogenen Ehre und zugefühten Beleidigung notwendig habe Mensch werden müssen, um so als Gottmensch durch freiwilligen Tod die Schuld abzutragen, die außer ihm niemand abtragen konnte, und den Widerstreit der göttlichen Liebe mit der göttlichen Gerechtigkeit und Heiligkeit auszugleichen.

기독교 교리를 변증법적 이해의 언어로, 실로 중세 법체계의 언어로 표현한 첫 번째 사람이 바로 충족설을 내놓은 켄터베리 대주교 안셀무스이다. 그는 당시까지 완성되지 않고 있던 논증을 시도하며 다음의 사상을 제시했다: “하나님께서는 죄로 인해 훼손된 명예와 자신에게 가해진 모욕을 만회하시기 위해, 신인(神人)으로서 자발적 죽음을 통해 오직 자신만이 없앨 수 있는 죄를 없애기 위해 또 하나님의 사랑과 그분의 공의와 영광과의 충돌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이 되셨어야만 했다.”

 

Über diese sogenannte Satisfaktionstheorie entbrannte ein heftiger Streit zwischen den Schulen des Thomas von Aquin und des Duns Scotus. Thomas trat in die Fußstapfen Anselms und legte besonderes Gewicht auf das “überschüssige Verdienst” des Todes Jesu. Duns Scotus hingegen stellte das zureichende desselben in Abrede und bahnte so die Lehre von der sogenannten Akzeptilation an.

이 충족설을 놓고 토마스 아퀴나스 학파와 둔스 스코투스 학파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있었다. 안셀무스의 뒤를 따라간 토마스는 예수의 죽음의 “잉여(넘치는) 공로”에 특별한 가치를 두었다. 반면 둔스 스코투스는 공로의 충분성을 부인하고 소위 ‘허용설’이라는 것을 내놓았다. (스코투스는 하나님의 자유의지에 따른 그분의 예정을 중시했다. 그는 인간의 죄가 없었더라도 예정에 따라 성자께서 성육신하셨을 거라 주장했다. 그는 하나님께서 구원으로 예정된 자가 죄짓는 것을 허용하신다고 했다.)

 

Reformation

종교개혁

 

Luthers Bekenntnis

루터의 신앙고백

 

Während in der gesamten Antike und im Mittelalter stets feststand, dass Jesus “wahrer Gott” sei, bevor er Mensch wurde, schuf der Augustinermönch Martin Luther eine völlig neue Situation in der Christologie:

전(全) 구(舊)교회 기간과 중세기에 예수께서 성육신 하시기 전에 “참 하나님”이심이 확고히 정립되었는데, 아우구스티누스파(派) 수도사 마틴 루터는 기독론에 전혀 새로운 입장 취하였다.

 

Er entdeckte 1517 im Römerbrief (Kap. 1, Vers 17) die Gerechtigkeit allein aus dem Glauben: Der Mensch könne Gottes Gerechtigkeit nicht durch eigene Leistung, sondern nur durch das Geschenk der Gnade erlangen. Luther vertrat dies gegen den Ablasshandel und gegen Konzilsentscheidungen. Damit löste er die Reformation aus und führte ungewollt eine Kirchenspaltung herbei.

그는 1517년 로마서(1장17절)에서 의(義)가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음을 발견했다. 인간은 자신의 행위(공로)가 아니라 오직 은혜라는 선물로 하나님의 의(義)에 도달할 수 있다. 루터는 이것을 면죄(사죄)매매와 공의회 결정에 대항하여 주장했다. 이로써 그는 종교개혁을 발발시켰고, 본의 아니게 교회분열을 초래했다.

 

Luther konnte vom Sohn Gottes nicht mehr unter Absehung seines wahren Menschseins reden: “Im Spiegel des Menschseins Jesu erkenne ich den wahren Gott”. Christen können an den wahren Gott nur glauben, weil der Mensch Jesus diesen wahren Gott offenbrt, indem er die Gnade dieses Gottes ohne ihr Zutun schenkt.

루터는 하나님의 아들의 참된 인성(人性)을 도외시하고는 그분에 대해 말 할 수 없었다. “예수의 인성을 통해 나는 참 하나님을 인식한다.” 인간 예수께서 인간들의 조력 없이 하나님의 은혜를 선물로 주심으로써 참 하나님을 계시하셨기에 인간들이 참 하나님을 믿을 수 있게 되었다.

 

Luther übernahm zwar die altkirchlichen Dogmen, formte ihre Bedutung aber um, indem er sich von der scholastischen Metaphysik und dem thomistischen Dogma der “duplex veritas” lossagte. Er fand die Wahrheit Gottes allein im Gekreuzigten, nicht in behaupteten Analogien der Schöpfung, die Gottes Offenbarung in Christus nur noch bestätigt. Er ließ nur den Eigensinn (“sensus literalis”) des biblischen Wortes als Glaubensgrundlage gelten.

루터가 구(舊) 교회의 교리를 이어받았음이 사실이나, 스콜라 형이상학과 “두 가지 진리(계시를 통한 진리와 자연을 통한 진리)”라는 토마스의 교리를 거부함으로 구 교회의 교리의 의미를 변개(變改)했다. 그는 그리스도 안에서 한 번 더 하나님의 계시를 확증해주는 것 밖에 안 되는 이른바 피조물 아날로기(유추)에서가 아니라 오직 십자가에 달리신 분 안에서 하나님의 진리를 발견했다. 그는 성경말씀의 원의미(原意味)(“문자적 의미”)만을 신앙의 기초로 삼았다.

 

Die Reformation hat die Zwei-Naturen-Lehre mit der Zwei-Stände-Lehre zu konkretisieren versucht: Der whare Got ist der sich ins sterbliche “Fleisch” erniedrigende Gott, der wahre Mensch ist der an Gottes Seite erhöhte Gekreuzigte. So kommt es in der einen Person Jesu Christi zu einem “Austausch” der Eigenschaften zwischen Gott und Mensch (“communicatio idiomatum”).

종교개혁은 양성론을 양신분론(兩身分論)으로 구체화하려 했다: 참 하나님께서는 스스로를 가사적(可死的) “육신” 안으로 낮추신 하나님이시고, 참 인간이신 분께서는 하나님 우편에 올려지신 십자가에 달리신 분이시다. 그리하여 예수의 한 인격 안에서 신(神)과 인간의 속성들의 “교환”이 발생했다(“속성의 교류(교환)”).

 

Doch schon zu Lebzeiten Luthers kam es innerhalb des reformatorischen Christentums erneut zum Dogmaenstreit, der sich diesmal vor allem an der Abendmahlslehre (Zwingli) entzündete und zur Aufspaltung in drei evangelische Richtungen - Lutheraner, Reformierte, Freikirchen - führte.

하지만 이미 루터 시대에 종교개혁측(側) 기독교에서 새로이 교리 논쟁이 발생했고, 이번에는 이 논쟁이 특히 성찬론 때문에 생겼으며(츠빙글리), 이로 인해 개신교 안에 루터파, 개혁파, 자유교회 이렇게 세 파(派)가 생기게 된다.

 

Im Luthertum wird Jesus Christus als die Erfüllung und Überwindung des richtenden “Gesetzes” verstanden, das Gott im Alten Testament offenbart hat. Der Genfer Reformator Johannes Calvin betonte, dass dieses Gesetz Teil des Israelbundes sei, den Jesus Christus erfüllt.

루터파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께서 구약에서 계시하신, 심판하는 “율법”의 완성과 극복으로 이해된다. 제네바 종교개혁자 요한 칼빈은 이 율법이, 예수그리스도께서 성취하신, 이스라엘과의 언약의 일부라 했다.

 

Seit 1980 betonen deutsche evangelische Kirchen immer klarer, dass das Bekenntnis zu Christus zugleich ein Bekenntnis zu Israels unkündbarer Erwählung ist. So erhält das  Judesien Jesu christologischen Rang: Jesus ist “wahrer Mensch”, weil er als Sohn einer Jüdischen Mutter geboren wurde. Als Pepräsentant des erwählten Volkes Israel hat er die Christen aus Gnade in Gottes Israelbund einbezogen. Diese Tatsache gilt als der entscheidende Grund für die universelle Erlösung.

1980년이래 독일 복음교회는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이 동시에, 취소될 수 없는 이스라엘 선택에 대한 신앙고백임을 역설했다. 그리하여 예수의 유대인이심이 기독론적 가치를 띠게 된다: 예수께서 유대인 여인의 아들로 태어나셨기에 그분께서 “참 인간”이시다. 선민(選民) 이스라엘의 대표로서 예수께서는 하나님 안에서 은혜로 기독교인들을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 안으로 끌어들이셨다. 이 사실이 만인 구원의 결정적 근거다.

 

Von der Aufklärung zum Neuprotestantismus

계몽주의에서 신(新)프로테스탄티즘까지

 

Im Gefolge des 30-jährigen Krieges mündeten die Renaissance des griechischen Geistes und der Humanismus in die Aufklärung. Die Philosophie emanzipierte sich immer mehr vom kirchlichen Alleinvertretungsanspruch auf die Wahrheit. Man begann nun, den “historischen Jesus” zu suchen, um seine wahre Menschlichkeit kritisch gegen die kirchlichen Dogmen aller Konfessionen ins Feld führen zu können. Anstoß dazu war die Schrift Apologie oder Schutzschrift für die vernünfitigen Verehrer Gottes von Hermann Samuel Reimarus, die in Teilen nach Reimarus Tod von Gotthold Ephraim Lessing veröffentlicht wurde.

30년 전쟁의 결과 그리스 사상과 인문주의의 르네상스로부터 계몽주의가 나온다. 철학은 더욱 교회의 진리독점권 주장으로부터 해방되었다. 사람들은 모든 교파들의 교리에 비판적으로 대응하여 예수의 참 인성(人性)을 제시하기 위하여 “역사적(역사상의) 예수”를 찾기 시작했다. 이 일의 발단은 라이마루스의 글 「이성적 하나님 경배자들을 위한 변증 즉 해명」이었다. 이것을 레싱이 라이마루스 사후에 나누어 발간했다.

 

Hatte der Protestantismus lange einseitig die Gottheit Christi in Wort und Bild betont, vertraten damals moderne Theologen eher Wege einer Christologie von unten: Sie gingen von der Menschlichkeit Jesu aus, ohne immer ganz oben anzukommen. Die Betonung des wahren Menschseins Jesu eröffnete die Perspektive auf die Menschenfreundlichkeit Gottes und die Relevanz Jesu im Leben der Einzelnen. Christologie von unten setzt beim Menschen Jesus an konkretisiert unter anderem seine Reich-Gottes-Predigt als politischen, diesseitigen Anstoß zu einer gerechteren Welt.

프로테스탄티즘이 말과 관념으로 오랜 동안 일방적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했지만, 당시의 현대신학자들은 아래로부터의 기독론 방식을 주장했다: 그들은 전혀 위에 도달함 없이, 예수의 인성으로부터 출발했다. 예수의 참 인성에 대한 강조는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우호에 대한 시각과 각 신자들의 삶에서의 예수의 중요성에 대한 시각을 열어주었다.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은 인간 예수로부터 시작하고, 특히 그분의 하나님 나라 설교를 정의로운 세상을 촉구하는 정치적, 현세적 자극제로 구체화한다.

 

Protestantismus des 19. Jahrhunderts

19세기 프로테스탄티즘

 

Hier galt Jesus oft als Verkörperung des “absoluten Geistes” (Hegel, spekulativer Idealismus), des “Gefühls der schlechthinigen Abhängigkeit” (Schleiermacher, romantische Bewusstseinstheologie) oder “sittlichen Entscheidung” (Wilhelm Herrmann, neokantischer Idealismus), so dass die christliche Religion sich als “Wesen” (Essenz) aller Religionen darstellte.

이 때에는 자주 예수를 “절대 정신”(헤겔, 사변적 관념론), “절대 의존의 감정”(슐라이어마허, 낭만적 의식 신학), “도덕적 결정”(헤르만, 신(新)칸트주의 관념론)의 화신(化身)으로 여겨, 기독교가 스스로를 모든 종교들의 “본질(Essenz)”로 묘사한다.

 

Die kirchliche Theologie bezog Jesus oft nicht mehr auf die Verheißungen an Israel, sondern auf andere, zur Offenbarung aufgewertete Größen wie “Volk”, “Staat”, “Rasse”.

교회 신학이 예수를 더 이상 이스라엘에 대한 약속과 관련시키지 않고 자주 “민족”, “국가”, “인종”과 같은 계시의 차원에서 재평가된 다른 대상들과 관련짓는다.

 

Die Abtrennung der Verheißungen des Alten Testaments rächte sich im 20. Jahrhundert: Jesus konnte zum “Arier” umgedeutet werden (Emanel Hirsch).

구약 약속의 퇴출이 20세기에 보복을 가했다: 예수를 “아리아인(人)”으로 해석하는 사람이 있었다(히르슈). (히틀러는 ‘아리아 민족 우월주의자’였음.)

 

Die nationalistische und rassistische Selbstaufgabe vieler Christen und die staatliche Gleichschaltung der Kirchen fand ihren Höhepunkt in der Hitlerzeit. Der jahrhundertelange christliche Antijudaismus machte die Kirchen weigehend wehrlos gegen totalitäre Ideologie und Völkermord.

많은 기독교인들의 국가주의적, 인종주의적 자기사명과 교회의 국가적 획일화가 히틀러 시대에 최고조에 달했다. 수세기 동안의 기독교 반(反)유대인주의가 교회로하여금 집단주의와 민족학살에 대항치 못하게 했다.

 

Liberales Christentum

자유주의 기독교

 

Im liberalen Christentum wird das Bekenntnis zu Jesus Christus als einzigem Zugang zum Heil inklusiv und nicht exklusiv verstanden, und die Lehre von der Erbsünde wird abgelehnt. Das heißt, dass anderen Glaubenweisen ebenfalls ein möglicher Zugang zur Wahrheit zugestanden wird.

자유주의 기독교에서는 구원에 이르는 유일한 길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이 배타적이 아니라 수용적으로 이해되고, 원죄교리가 배격된다. 즉 진리에 이를 수 있는 길이 다른 신앙방식들에게도 인정된다. (이런 신학은 미국의 대표적 우상(자유 여신상)의 영을 받은 사이비 기독교 신학자들이 내놓은 것들임. 얼마 전 미국 신학대학 교수라는 「폴 니터」라는 사이비 신학자가 한국 절에 가서 우상을 섬기는 중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는데, 그 초라한 사이비 신학자를 자랑스럽게 여기며 졸졸 따라다니며 시중 든 한국 젊은이(유학생?)가 대단히 불쌍해 보였음. 주일학교 다니며 말씀 안 듣고 딴 짓 하고 교회 재미로 다니다 신학대학 교수되니 저런 한심한 일이 일어나는 것임. 기독교가 뭔지도 모르고 불교가 뭔지도 모르니 저따위 짓을 하는 것임.)

 

Auch in der katholischen Lehre der “verstreuten Lichtfunken” (logoi spermatikoi) wird anerkannt, dass andere Religionen Wahrheiten enthalten und verkünden.

다른 종교들도 진리를 담고 있고 전파한다는 것이, 카톨릭 교리 “흩어진 불꽃들(종자(種子) 로고스들)”을 구실로 인정되었다. (다른 종교, 특히 불교의 가르침을 인정하는 사이비 신학자들의 성직(교수직과 목사직)이 속히 박탈될지어다. 예배 설교 때 ‘부처님, 스님, ... 어쩌고 저쩌고 ....’ 하며 불교 교리 설법하는 사이비 목사들의 성직이 속히 박탈될지어다. 또한 ‘동성애자들의 인권’ 운운하고 ‘사형제 폐지’ 운운하는 사이비 목사들의 성직도 속히 박탈될지어다. 또한 은밀히 간음하고 있는 사이비 목사들의 성직도 속히 박탈될지어다. 부당하게 성직매매 하거나 부당하게 교회세습 하여 기독교 성직을 더럽히는 더러운 삯꾼 목사들의 성직이 영원히 박탈될지어다. 이 모든 사악한 인종들, 더러운 마귀의 종들에게 사울왕에게 임했던 악령이 속히 임할지어다. ------- 하나님의 종 김종택(Z^_stevision))

>> 근대 요즘은 퇴임 목사들이 퇴임 후 넉넉히 인생 즐기며 살려고 후임 목사에게 큰 돈을 받고 교회를 물려주는 악습이 생겼다는군. 목사로 살며 교인들에게 존경과 사랑을 한몸에 받고 살았으면 이제 세상 욕심 접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겸손히 검소하게 살며 인생을 마감하여 신앙의 귀감이 되면 얼마나 좋았겠는가! 이런 자들이 현대판 가룟유다들이다. 막판에 가서 유다가 돈을 받고 스승 예수님을 팔았듯, 이 사악한 인종들은 목사 정년 70세에 이르기까지 온갖 호강과 명예를 누리며 살다 자리를 떠날 때가 되니 돈을 받고 예수님의 몸인 교회를 팔아넘긴다. 어디 교회뿐이겠는가? 이 사악한 인종들은 돈 좀 손에 쥐려고 성직매매하여 하나님의 영광까지 먹칠해 놓았다. 하나님의 영광까지 팔아넘긴 것이다! 돈 받고 후임 목사에게 교회를 팔고, 마귀에게는 하나님의 영광을 팔아 넘긴 자들! 하나님의 영광이 더럽혀지면 마귀가 기뻐할 일 아닌가? 파는 인종이나 사는 인종이나 다 같은 부류의 성직매매자들이다. 배 터져 죽은 저주받은 가룟유다! <<

 

Jesus wird im liberalen Christentum als menschlicher Mensch gesehen, der sich ohne eigene Machtansprüche den Schwachen und Ausgestoßenen zugewandt hat und eben darum von Gott “erhöht” wurde (Phil 2.11).

자유주의 기독교에서 예수는, 자신의 권세를 주장치 않고 약자들과 버림받은 자들을 위해 산, 그리하여 하나님께서 높여주신(빌2:11), 인도적(人道的) 인간이시다. (자유주의 기독교가 저토록 ‘인본주의’를 중시하니 마귀가 자유주의 사상에 물든 독일 기독교를 세상에서 가장 비인도적인 히틀러를 지지하게 만들었다. 하나님의 성령이 떠난 사이비 신학은 마귀의 도구가 될 뿐이다. 일부 경건한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학문적으로 큰 업적을 이뤘으나 여러 사이비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교회를 파괴하는 데 열심을 내었다.)

 

Christologie nach 1918

1918년 이후의 기독론

 

Der 1. Weltkrieg markierte auch in der Theologie einen tiefen Einschnitt: Viele der liberalen, pietistischen und orthodoxen Formen des Christentums hatten kläglich versagt und sich dem nationalistischen Raush anheim gegeben.

1차 세계대전도 신학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여러 자유주의, 경건주의, 정통주의 기독교 형태들이 기능을 상실했고, 국가주의 망령에 사로잡혔다.

 

Mit seinem zweiten Römerbrief-Kommentar von 1919 betrat ein neuer Theologie die Bühne: Karl Barth. Er brach gründlich mit der überkommenen anthropozentrischen Religionstheologie und vertrat mit ungekannter Radikalität: Got ist GOTT gegen alle menschlichen Versuche, seiner habhaft zu werden.

1919년 칼 바르트가 두 번째 「로마서 주석」을 내놓고 새 시대의 신학자로서 무대에 등장했다. 그는 기존의 인간중심적 종교신학과 철저히 결별하고, 전례 없이 극단적으로 “하나님을 찾으려는 인간들의 시도와 무관하게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이시다”라고 주장했다.

 

Christologie nach 1945

1945년 이후의 기독론

 

Konsens unter vielen Christen besteht darüber, dass christlicher Glaube die Hinwendung zu einem Gott ist, der allmächtiger Vater und als der Sohn Schicksalsgefährte menschlicher Ohnmacht ist - und in beidem Gott. Ohne dem Ansatz seiner Dialektischen Theologie zu widersprechen, entdeckt Karl Barth die “Menschlichkeit Gottes” in Jesus, die Trost spendet. Beeinflusst war er dabei auch von Dietrich Bonhoeffer, für den Menschwerdung und Kreuz eine umfassende Liebe zur Welt begründen, eine Theologie der Diesseitigkeit. In seinem Gedicht Christen und Heiden verdichtet er die die Vorstellung eines an der Welt leidenden Gottes, der den Menschen zur Anteilnahme auffordere.

많은 기독교인들이 기독교 신앙이, 전능하신 아버지이시고 또한 아들로서 인간의 무능(無能)을 함께 감당하시는 분이신, 한 하나님께 향하는 것이고, 양(兩) 한 하나님(두 위격의 한 하나님을 말하는 것 같음) 안으로 향하는 것이라는 데에 공감했다. 자신의 변증법적 신학의 접근법에 모순됨이 없이 바르트는 예수에게서 위로하는 “하나님의 인간성”을 발견한다. 또한 그는 본회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본회퍼에게 있어서 성육신과 십자가는 세상에 대한 포괄적 사랑을 말해준다. 이것이 곧 현세적 신학이다. 그의 글 「기독교인과 이방인」에서 그는 세상으로 인해 고통 당하시는 하나님을 강조했다. 이 하나님께서는 인간들에게 동참을 요청하시는 분이시다.

 

In der Theologie nach Auschwitz wächst die Erkenntnis, dass christliche Theologie nur dann Jesus Christus entspricht, wenn sie nicht anti-jüdisch ist. Es entsteht der Begriff der “Christologie ohne Antijudaismus”. Die “gefährliche Erinnerung” (Jürgen Moltmann) an die konkrete Passionsgeschichte Jesu kann dazu beitragen, die jahrhundertelange Feindschaft zwischen Christen und Juden zu überwinden. Christen sollte es von da aus nicht mehr möglich sein, jenseitige Erlösung und diesseitige Befreiung, Frieden und Gerechtigkeit, Glauben und Politik, Beten um Gottes Reich und Engagement für Weltveränderung gegeneinander auszuspielen und zu trennen.

아우슈비츠 이후의 신학은 기독교 신학이 반(反)유대주의가 아닐 때에만 예수 그리스도와 일치한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반(反)유대주의 없는 기독론”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구체적인 예수의 수난사건에 대한 “모험적 상기(想起)(위르겐 몰트만)”가 수세기 동안의 기독교인들과 유대인들간의 적대감을 극복하는데 기여한다. 이로써 피안적 구원과 차안적 해방, 자유와 정의, 신앙과 정치, 하나님 나라의 임함을 위한 기도와 세계변화에의 참여를 상호 견제케 하고 분리시키는 것이 기독교인들에게 더 이상 가능하면 안 된다.

 

Im Bereich der katholischen Theologie wendet sich eine “Christologie von unten” ab den siebziger Jahren dem historischen Jesus zu. Sie versucht eine Deutung als Christus zuerst “von unten”, von seinem Leben her und wendet sich erst sekundär dem nachösterlich erhöhten Christus und Kategorien wie der Dreifaltigkeit zu. Vertreter dieser Richtung sind u.a. Walter Kasper oder Hans Küng. Hermann Stenger bezieht sich als Pastoraltheologie ausdrücklich auf die Hirtenrolle Jesu, an der alle Christen teilhaben.

카톨릭 신학에서는 1970년대이래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이 역사적 예수로 향했다. 이 신학은 먼저는 “아래로부터”, 그분의 삶으로부터의 그리스도를 해석하려 했고, 비로소 이차적으로 부활 이후의 높여진 그리스도와, 삼위일체 같은 범주를 다뤘다. 특히 발터 카스퍼나 한스 큉이 이러한 계열에 속한다. 헤르만 슈텡어는 목회신학으로, 모든 기독교인들이 관여하고 있는, 예수의 목자직(牧者職)을 역설(力說)했다.

 

(이하 생략)

 

 

 

'다락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 바르트(Karl Barth)  (0) 2012.12.05
Ekklesiologie(교회론)  (0) 2012.12.05
Dreifaltigkeit(삼위일체)  (0) 2012.12.05
Sakrament (성례전, 성사)  (0) 2012.12.05
Sakramententheologie(성례전신학)  (0) 201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