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13<

stevision 2012. 12. 6. 14:56

Creeds concerning the Trinity

1. The Nicene Creed (325)

We believe in one God - And in one Lord Jesus Christ, the Son of God, begotten of the Father, light of light, very God of very God, begotten, not made, being of one substance with the Father - And in the Holy Ghost.

2. The Niceno-Constantinopolian Creed (381)

In this creed the clauses concerning the Father and the Son are practically the same as in the Nicene Creed. But the article concerning the Holy Ghost is changed to the following: “And the Holy Ghost, who is the Lord and giver of life, who proceedeth from the Father, who, with the Father and Son, is worshipped and glorified, who spake by the prophets.”

3. The Athanasian Creed (origin and time uncertain, but the most logical and elaborate of the creeds):

“And the Catholic Faith is this: that we worship one God in Trinity and Trinity in Unity, neither confounding the Persons nor dividing the Substance; for there is one Person of the Father, another of the Son, and another of the Holy Ghost. But the Godhead of the Father, of the Son, and of the Holy Ghost is all one; and glory equal, the majesty co-eternal. For like as we are compelled by the Christian verity to acknowledge every Person by Himself to be God and Lord, so we are forbidden by the Catholic Religion to say, There are three Gods, or three Lords.”

삼위일체에 관한 신조들

1. 니케아 신조(325년)

우리는 한 하나님을 믿습니다. 우리는 또한 한 주님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이 분께서는 하나님의 아들이시고, 성부로부터 탄생하셨고, 빛에서 나온 빛이시고, 참 하나님에서 나온 참 하나님이시며, 창조되지 않으시고 태어나셨으며, 성부와 동일본질(혹은 한 실체)이십니다. 우리는 또한 성령을 믿습니다.

2.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381년)

이 신조에 나오는 성부와 성자에 관한 내용은 사실상 니케아 신조와 같다. 하지만 성령에 관한 조항은 다음과 같이 바뀌었다: “또한 성령을 (믿습니다), 그분께서는 주님이시고 생명을 주시는 분이시며, 성부로부터 나오셨고, 성부 그리고 성자와 함께 경배와 영광을 받으시고, 예언자들을 통해 말씀하셨습니다.”

3. 아타나시우스 신조*1* (기원과 그 작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신조 중에서 가장 논리적이고 치밀하다):

“또한 보편교회*2*의 신앙은 이와 같습니다: 우리는 삼위 안에 계신 한 하나님과 단독신성 안에 계신 삼위 하나님을 믿습니다. 그 위격들 간에는 혼동이 없고 그 실체는 나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성부의 위격과 성자의 위격과 성령의 위격이 한 분씩 존재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신성은 전체가 하나이고, 그분들께서는 같은 영광을 누리시고, 영원히 같은 위엄을 지니십니다. 왜냐하면 기독교 진리가 우리에게 각 위격께서 하나님이시고 주님이심을 가르치고, 보편교회는 우리가 세 하나님들과 세 주님들이 계시다고 고백하는 것을 금하기 때문입니다.”

*1* : 아타나시우스 신조는 아타나시우스 사후에 다른 자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그 내용이 삼위일체 교리의 확립에 큰 공헌을 한 아타나시우스의 신앙과 일치하여 명칭을 아타나시우스 신조라 한 것입니다.

*2* : catholic(카톨릭)은 원래 “보편적인”이라는 뜻인데, 이 신조에서 말하는 Catholic은 현재의 로마 카톨릭을 말하기보다는 기독교가 동방 정교회와 서방 카톨릭 교회로 갈리기(1054년) 이전의 기독교를 지칭합니다. 동방 정교회에 대립된 서방교회를 계속 카톨릭이라 하므로 용어상 혼동이 있게 되고, 이러한 혼동을 줄이려고 Catholic Church는 동,서방 교회가 갈라지기 이전의 “보편교회”를 말하고 동,서방이 갈린 이후의 서방 교회를 로마 카톨릭(Roman Catholic Church)이라고 구분지어 말합니다. 개신교는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교파입니다. 또한 보편교회는 일반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바른 신앙을 가진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하나님의 백성을 지칭합니다.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과 신약시대의 사도들 그리고 초대교회와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하나님의 백성이 다 여기에 속한 것이지요. 

 

 

4. The Augsburg Confession (1530), - the oldest Protestant creed and the accepted standard of Lutheranism:
“There is one Divine essence which is called and is God, eternal, without body, indivisible, of infinite power, wisdom, goodness, the Creator and Preserver of all things, visible and invisible. And yet there are three Persons of the same essence and power, who also are co-eternal,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Ghost.”

5. The Thirty-Nine Articles (1571), - the creed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but one living and true God. And in the unity of this Godhead there are three Persons, of one substance, power and eternity,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Ghost.”

6. The Westminster Confession (1647), - the Creed of the Presbyterian Church, with which the Canon of the Synod of Dort, the symbol of the Reformed Church, agrees quite closely:
“There is but one living and true God. In the unity of the Godhead there are three Persons, of one substance, power, and eternity - God the Father, God the Son, and God the Holy Ghost. The Father is one, neither begotten not proceeding; the Son is eternally begotten of the Father; the Holy Ghost eternally proceeding from the Father and the Son.”


4. 아욱스부르크 신앙고백 (1530년) - 가장 오래된 개신교 신조이고, 루터교의 표준 신조다:
“영원하시고, 형체가 없으시고, 불가시적이시고, 권능과 지혜와 선함이 무한하시며,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들의 창조주이시고 그것들의 보존자이신 한 분의 신적 실체가 계신데, 이분께서는 하나님으로 불리시고 신(神)이시다. 또한 그러하심에도 성부, 성자, 성령이라는, 동일한 본질과 권능을 지니신 세 위격들께서 계신데, 이 세분들께서는 함께 영원하시다.”

5. 39개 조항 (1571년) - 영국 국교회와 미국 프로테스탄트 감독 교회의 신조다:

“세상에는 오직 한 분의 살아 계신 참된 하나님이 존재하신다. 또한 이 단일한 한 분의 신성 안에는 성부, 성자, 성령이라는, 한 실체와 한 능력과 한 영원성을 지니신 세 위격들께서 계신다.”

6.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647년) - 장로교 신조이다. 이는 개혁교회의 신조인 도르트 종교회의의 교회법규와 매우 가까운 내용이다:
“세상에는 오직 한 분의 살아 계신 참된 하나님이 존재하신다. 그 하나님의 단일한 신성 안에는 한 실체와 한 능력과 한 영원성을 지니신 세분의 위격들, 곧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께서 계신다. 성부께서는 다른 분으로부터 태어나시지도 나오시지도 않으신 분이시고, 성자께서는 영원 전부터 성부로부터 태어나신 분이시고, 성령께서는 영원 전부터 성부와 성자로부터 나오신 분이시다.”

>>감리교의 경우를 살펴보면, 감리교의 창시자 웨슬리(1703-96)는 원래 영국 국교회에 속한 성직자였습니다. 그가 영국 국교회 안에서 영국의 기독교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켜서 많은 추종자가 생겼습니다. 웨슬리 사후 그를 따르던 사람들이 영국 국교회의 경직된 신앙과 조화를 이룰 수 없음을 알고 감리교라는 교파를 만들게 됩니다. 그러니 감리교의 삼위일체 신조는 영국 국교회(성공회)의 신조를 따른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또 웨슬리 이전에 이미 삼위일체에 관한 좋은 신조들이 완성되어 감리교는 따로 특별히 이에 관해 덧붙일 게 없었습니다. 감리교는 좋은 것만 골라 가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루터교, 성공회, 장로교에서 좋은 것이 있으면 다 받아들입니당(^^.) 그러므로 개신교 중에 감리교가 가장 합리적인 교리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처음 예수님을 믿는 분이 계시면 감리교로 오시와요~<< 

 

 

11. Practical Importance of the Doctrine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not to be looked upon as an abstract metaphysical speculation, nor as an unnatural theory which has no bearing on the practical affairs of life. It is rather a most important revelation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only living and true God, and of His works in the salvation of men. The very purpose of the Gospel is, of course, to bring us to the knowledge of God precisely in the way in which He has revealed himself. And as Calvin tells us in the introductory sentence in his Institutes:
“True and substantial wisdom principally consists of two parts, the knowledge of God, and the knowledge of ourselves.”
And then he adds that “no man take a survey of himself but he must immediately turn to the contemplation of God in whom he lives and moves: since it is evident that our very existence is nothing but a subsistence in God alone.”
The knowledge of God the Father who is the source of redemption, of God the Son who achieves redemption, and of God the Holty Spirit who applies redemption, is declared in Scripture to be eternal life. Every other conception of God presents a false god to the mind and conscience. So different is the system of theology developed, and the manner of life which flows from it, that for all practical purposes we may say that Unitarians and Trinitarians worship different Gods.

11. 삼위일체와 기독교인의 신앙생활

삼위일체 교리는 추상적인 형이상학적 사색도 아니고 실생활과 전혀 무관한 인위적인 이론도 아니다. 이 교리는 유일하시고 살아 계신 진짜 신(神)의 본질에 관한, 그리고 인간 구원에 있어서 그분의 사역들의 본질에 관한 가장 중요한 계시이다. 물론 복음의 진짜 목적은 정확하게 하나님께서 자신을 계시하신 그대로 그분에 관한 지식을 우리에게 전해주는 것이다. 칼빈이 그의 저서 ꡔ기독교 강요ꡕ의 서론에서 말했다시피:
“참되고도 실질적인 지혜는 주로 하나님에 관한 지식과 우리들 자신에 관한 지식, 이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속하여 그는 “인간이 자신에 대해 알려할 때면 언제나, 자기가 그분 안에서 살고 행동하게 되는 바로 그 하나님을 생각해보아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우리의 존재가 오로지 하나님 안의 존립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성경이 말하길 구원의 근원이신 성부 하나님과 구원사역을 완성하신 성자 하나님과 구원을 적용시키시는 성령 하나님에 관한 지식이 영생이라 했다. 이와 다른 하나님에 대한 개념은 인간의 마음과 양심에 거짓 신(神)을 제시할 뿐이다. 유니테리안 교도들과 삼위일체론자들은 서로 너무나 다르게 신학체계를 발전시키고, 그 신학체계가 제시하는 삶의 방식이 너무나 달라서, 그 신학체계의 실제적 목적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교파는 서로 다른 두 하나님들을 섬기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This is an advanced doctrine which was not made known in Old Testament times, and that for the very reason that it could not be understood until the objective work of redemption had been completed. But in the New Testament it is interwoven with the whole Christian economy, not in terms of speculative philosophy but in those of practical religi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lies in the very heart of Christian truth. It is the centre from which all other tenets of our faith radiate. If we entertain wrong views of the nature of the Supreme Being our entire theology is imperiled.”
Inscrutable, yet not self-contradictory, this doctrine furnishes the key to all of the other doctrines which have to do with the redemption of man. Apart from it doctrines such as the Deity of Christ, the incarnation, the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regeneration, justification, sanctification, the meaning of the crucifixion and the resurrection, etc., cannot be understood. It thus underlies the whole plan of salvation.
“For the Trinity there is a strong, preliminary argument in the fact that in some form it has always been confessed by the Christian Church, and that all that has opposed it has been thrown off. When it has been abandoned, other chief articles, as the atonement, regeneration, etc., have almost always followed it, by logical necessity; as when one draws the wire from a necklace of gems, the gems all fall asunder.”

이 삼위일체론은 객관적 구원사역이 완성되고 나서야 이해할 수 있는 것이어서 구약성경 시대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발전된 교리이다. 신약시대에 이 교리는 사색적 철학의 차원이 아니라 실제 신앙생활의 차원에서 기독교의 하나님 섭리 전체와 연관을 맺게 된다.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교리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 중심으로부터 우리의 다른 모든 교의(敎義)들이 흘러나온다. 우리가 최고 존재자의 본성에 대해 그릇된 견해를 갖게 되면 우리의 신학 전체가 위험에 처하게 된다.”
이 교리는 불가해한 것이지만 자체모순은 아니며, 인간 구원과 관련된 다른 모든 교리들을 해명하는데 필요한 핵심요소이다. 이 삼위일체 교리가 없다면, 그리스도의 신성, 성육신, 성령의 인격, 중생(重生), 의인(義認), 성화, 십자가와 부활의 의미 등은 설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교리는 전(全) 구원계획의 기초가 된다.
“기독교 교회가 항상 어떠한 형태든 삼위일체 교리를 고백했고, 그것을 거부한 모든 자들이 쫓겨났다는 사실이 이 교리의 가치에 대한 강력하고도 우선적인 논증이다. 사람이 이 교리를 버리면 논리적으로 볼 때 필연적으로 항상 속죄(贖罪)나 중생과 같은 다른 중요한 교리들을 계속하여 포기했는데, 이는 마치 보석 목걸이의 끈을 뽑아버릴 경우 모든 보석들이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과 같다.” 

 

 

The idea of the Trinity illuminates, enriches and elevates all our thoughts of God. It has become a commonplace to say that Christian theism is the only stable theism. That is as much as to say that theism requires the enriching conception of the Trinity to give it permanent hold upon the human mind - the mind finds it difficult to rest in the idea of an abstract unity for its God : and that the human heart cries out for the living God in whose Being there is that fullness of life for which the conception of the Trinity alone provides.
If he (the believer) could not construc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out of his consciousness of salvation, yet the elements of his consciousness of salvation are interpreted to him and reduced to order only by the doctrine of the Trinity which he finds underlying and giving their significance and consistency to the teaching of the Scriptures as to the processes of salvation. By means of this doctrine he is able to think clearly and consequently of his threefold relation to the saving God, experienced by him as fatherly love sending a Redeemer, and redeeming love executing redemption, as saving love applying redemption. ... Withou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is conscious Christian life would be thrown into confusion and left in disorganization if not, indeed, given an air of unreality; with the doctrine of the Trinity, order, significance and reality are brought to every element of it. Accordingly,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nd the doctrine of redemption, historically, stand or fall together. A unitarian theology is commonly associated with a Pelagian anthropology and Socinian soteriology. It is a striking testimony which is borne by F. E. Koenig: “I have learned that many cast off the whole history of redemption for no other reason than because they have not attained to a conception of the Triune God.”

삼위일체 교리는 우리의 모든 하나님에 대한 사상들을 조명해주고, 그 내용을 풍부하게 해 주며, 그것을 향상시킨다. 기독교의 유신론이 유일하게 안정된 유신론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 이는 곧 유신론이 인간의 마음에 영원히 안착하기 위해서는 삼위일체라는 풍부한 개념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인간의 마음은 신(神)에 대한 관념으로 추상적 단일성에 만족하지 않는다. 또한 인간의 마음은 삶의 충만함이 넘치는 존재를 가지신 살아 계신 하나님을 열망한다. 그런데 오직 삼위일체 개념만이 이 신적 존재의 삶의 충만함을 표현한다.

기독교인이 자신의 구원관으로부터 삼위일체 교리를 만들어 낼 수 없었지만, 그의 구원관의 내용들이 오직 이 삼위일체론 때문에 그에게 이해되어지고 정리되어진다. 그는 바로 이 삼위일체론이 구원의 과정들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의 기초가 되고 그 내용에 의미와 일관성을 주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 교리 때문에 그는 분명하고도 당연하게, 구세주를 보내시는 아버지의 사랑으로서, 대속사역을 행하시는 대속적 사랑으로서, 구원을 적용시키는 구원의 사랑으로서 자신이 경험한 삼중(三重)의 구원의 하나님과의 관계를 생각할 수 있게 된다. ... 삼위일체 교리가 없다면 그의 신앙의식은 혼돈에 빠지고 참으로 비현실 생태는 아닐지라도 해체된 상태가 될 것이다. 삼위일체 교리가 있음으로 기독교인의 신앙의식의 각 요소들은 의미와 실제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삼위일체 교리와 구원 교리는 생사를 같이한다. 유니테리안 교파의 신학은 대개 펠라기우스주의의 인간론 그리고 소시니우스주의의 구원론과 연관되어 있다. 쾨니히(Koenig)의 놀라운 증언은 이와 같다: “많은 사람들이 삼위일체 하나님 개념에 도달하지 못해서 구원사(救援史) 전체를 포기함을 나는 알았다.”

>>펠라기우스는 어거스틴의 논적이었습니다. 그는 어거스틴이 말한 원죄와 인간의 죄가 부모로부터 유전된다는 사상을 거부했습니다. 또 어거스틴이 아담 타락 이후 인간의 자유의지가 완전히 훼손되어 인간이 오직 악을 행할 자유밖에 가지지 못했고, 선을 행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하다고 했으나, 펠라기우스는 인간은 자유의지를 통해 선을 행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펠라기우스는 이단으로 정죄되었습니다.
소시니우스주의는 종교개혁 시대에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이단이었습니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15<  (0) 2012.12.06
신학 & 영어 >14<  (0) 2012.12.06
신학 & 영어 >12<  (0) 2012.12.06
신학 & 영어 >11<  (0) 2012.12.06
신학 & 영어 >10<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