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14<

stevision 2012. 12. 6. 15:00

The doctrine of the Trinity gives us a theocentric system of theology, and thus places in true proportion the work of God the Father, God the Son, and God the Holy Spirit. This system alone gives us the proper approach to the study of theology, showing that it must be from the standpoint of the triune God rather than from that of the second or third Person of the Trinity, or from man, - that is, theocentric rather than Christocentric or anthropocentric. It should be unnecessary for us to have to say that theocentric theology (by which we mean that which is generally known as the Reformed or Calvinistic faith) gives Christ a very high place in the system. He is the Godman, the center and course of salvation; but while soteriology has a prominent place, it is not made the organizing principle, but rather one of the subdivisions in the theological system. The history of doctrine shows quite clearly that those who have attempted to organize the system of theology around the person of Christ, regardless of their good intentions, have tended to slight other vital truths and to drift into a superficial system. Their system is unstable and tends to gravitate downward, relinquishing one doctrine after another until it becomes anthropocentric.

The third system, quite common in our day and generally known as Modernism or Humanism, is anthropocentric, - that is,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God by reconstructing Him from what we know of man. This system allows man to cast his own shadow over God, limiting His Lordship. It means that Christ is to be looked upon primarily as a man, and that, as expressed by an outstanding Modernist of our day, no body should go to Jesus “to his manger and his cross to find the omnipotence that swings Orion and the Pleiades.” All such errors are to be avoided by placing God in His triune nature at the center of our theological system. only thus shall we arrive at a true knowledge of Him. This is the Biblical order: first, the Father, who is the Creator and the Author of salvation ; then the Son, who provides redemption objectively ; and then the Holy Spirit, who applies redemption.


삼위일체 교리는 신중심(神中心)적 신학체계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그리하여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의 사역을 중심으로 신학을 전개한다. 이 신학체계만이 우리로 하여금 바른 신학에 접하게 하고, 또 신학이 삼위일체의 제 2 위격이나 제 3 위격의 관점 혹은 인간의 관점이 아니라 삼위일체의 관점에서 전개되어야 함을 보여주는데, 이는 곧 신학이 그리스도 중심이나 인간중심이 아니라 신중심(神中心)이어야 함을 보여준다. (신중심적 신학은 일반적으로 개혁주의 교회의 신앙이나 칼빈주의 신앙을 지칭하는데,) 우리가 굳이 이 신중심적 신학이 신학체계 내에서 그리스도를 매우 중요한 위치에 놓고 있다는 것을 새삼스레 말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리스도께서는 신인(神人)이시고 구원의 중심과 그 길이시다. 그러나 구원론이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신학 체계를 조직하는 역할을 부여받지 못하고 다만 그 체계 안의 한 분과(分科)일 뿐이다. 교리사(敎理史)가 밝히 보여주듯, 그리스도의 인격을 중심으로 신학체계를 조직하려는 자들은 그들의 좋은 의도와는 상관없이 다른 핵심 진리들을 경시하거나 피상적 신학에 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들의 신학체계는 불안정하고, 이 교리 저 교리를 계속 포기하여 마침내 인간 중심적 신학이 되어 아래로 가라앉는 모습을 보여준다.

세 번째 신학체계는 이 시대에 아주 만연한 것으로 보통 현대주의나 인본주의로 알려진 인간 중심적 신학이다. 즉 이 신학은 인간에 관한 지식을 근거로 하나님을 재구성하여 그분의 본성을 이해하려 한다. 이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을 제한하고 인간이 자신의 모습을 하나님께 입히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그리스도를 일차적으로 한 인간으로 보는 것과, 또한 이 시대 이름난 현대주의자의 말대로 사람이 묘성과 삼성(참고 암5:8)을 움직이는 전능함을 발견하기 위해 예수의 말구유와 십자가로 가서 그분을 뵐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류들은 우리의 신학 체계의 중심에 본성적으로 삼위일체로 계시는 하나님을 모실 때 피할 수 있다. 오직 그럴 때에만 우리는 하나님에 대한 참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성경이 제시하는 순서는 이와 같다: 첫째는 창조주이시고 구원의 주관자이신 성부이시고, 다음으로는 실제로 구원사역을 완성하신 성자이시며, 그 다음으로 그 구원을 인간에게 적용시키시는 성령이시다. 

 

 

One cause of the strength of the Trinitarian theology has been the appeal which it makes to the inward sense of sin, - that sad weight which rests so heavily upon every serious soul, - while the great weakness of Unitarianism has been its insensibility to the reality and consequences of sin. Trinitarians have seen sin not merely as misfortune or incomplete development, but as awful and heinous crime, repulsive to God, and deserving His just wrath and punishment. They have held that it could not merely be pardoned without an atonement (that is, without any one suffering the consequences), but that God is under as much obligation to punish sin as he is to reward righteousness. on the other hand Pelagians, Socinians, and present-day Modernists and Unitarians have taken a superficial and minimizing view of sin, with the inevitable result that their faith has been superficial, their religious feelings have been deadened, and the sinews of all evangelistic and missionary effort have been cut. Having given up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ey naturally take a low view of the person of Christ. Even according to their own admission the great literature to which a Christian would turn for faith, hope, love and inspiration has been almost exclusively the product of trinitarian writers. Hence the best method to use in dealing with Modernists and Unitarians is to arouse in them the sense of sin; for once a person realizes the hideous and ghastly nature of his sin he also realizes that none other than a Divine Redeemer can save him from it.

삼위일체 신학의 강점은 그것이 인간의 내적 죄의식을 향하여 외치는 호소력, 곧 경박하지 않은 인간의 영혼을 무겁게 짓누르는 그 슬픈 중압감을 향하여 외치는 호소력에 있는데, 이와 달리 유니테리안 이단의 가장 큰 약점은 바로 죄의 현실성과 그 결과에 대한 무감각에 있다. 삼위일체를 믿는 자들은 죄를 단순한 불행이나 불완전한 성숙으로 보지 않고 하나님께서 지극히 싫어하시고 그분의 정당한 진노와 형벌을 받아야만 하는 무시무시하고도 극악한 범죄로 본다. 그들은 죄가 속죄(贖罪)없이 (즉 죄의 쓴 열매를 맛보지 않고) 간단하게 용서될 수 없고, 하나님께서 의(義)에 대해 보상을 하셔야 할 책임이 있으신 것처럼 죄를 벌하실 책임이 있으시다고 믿고 있다. 이와 달리 펠라기우스주의나 소시니우스주의, 그리고 오늘날의 현대주의자들이나 유니테리안 교도들은 죄에 대해 피상적이거나 축소된 견해를 갖고 있고, 그 필연적 결과로 그들의 신앙은 경박하고, 그들의 신앙 감정은 죽어있고, 그들의 복음전파와 선교활동에 필요한 모든 힘줄들은 절단되어 있다. 삼위일체 교리를 버리고 난 후에 그들은 자연스레 그리스도의 인격을 격하시켰다. 그들도 자인하는 바와 같이 기독교인이 믿음과 소망과 사랑과 영감을 얻기 위해 읽은 위대한 문학작품은 거의 예외 없이 삼위일체를 믿는 자들의 것이었다. 따라서 현대주의자들과 유니테리안 교도들을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그들의 마음에 죄의식을 심어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이 자신의 죄가 얼마나 사악하고 소름끼치는 것인지 일단 알고 나면, 오직 신(神)적 구세주만이 그 죄에서 자기를 구원하실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And that brings us to another point : if there were no trinity, there could be no incarnation, no objective redemption, and therefore no salvation ; for there would then be no one capable of acting as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In his fallen condition man has neither the inclination nor the ability to redeem himself. All merely human works are defective and incapable of redeeming a single soul. Between the Holy God and sinful man there is an infinite gulf ; and only through one who is Deity, who takes man's nature upon Himself and suffers and dies in his stead, thus giving infinite value and dignity to that suffering and death, can man's debt be paid. Nor could a Holy Spirit who comes short of Deity apply that redemption to human souls. Hence if salvation is to be had at all it must be of divine origin. If God were only unity, but not plurality, He might be our Judge, but, so far as we can see, could not be our Saviour and sanctifier.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God is the way back to Himself, and that all of the hopes of our fallen race are centered in the truth of the Trinity.

문제는 또 하나 있다. 하나님께서 삼위로 계시지 않으신다면 성육신도 없었을 것이고, 객관적 대속(代贖)도 없었을 것이므로 인간의 구원도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경우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중재자(仲裁者)로 나설 수 있는 자가 없기 때문이다. 타락한 인간은 자신을 구원할 의향도 그럴 능력도 없기 때문이다. 인간의 모든 행위는 결점투성이이고 단 한 명의 사람도 구원할 수 없다. 거룩하신 하나님과 죄인사이에는 무한히 깊은 구덩이가 있어서, 오직 신성을 가지신 분만이, 스스로 인성(人性)을 취하시고 인간을 대신하여 고난을 받으시고 죽으심으로, 그 고난과 죽음에 무한한 가치와 존엄을 부여하시어, 인간의 죗값을 지불하실 수 있으시다. 또 신성이 결여된 성령도 그 대속(代贖)을 인간의 영혼에 적용시키실 수 없으시다. 그러므로 구원이 인간에게 베풀어지려면 결국 그 구원은 하나님으로부터 유래해야 한다. 하나님께서 다위격(多位格)이 아니라 단일 위격으로 계시다면,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바는 그분께서 우리의 심판자는 되실지언정 우리의 구세주나 우리를 성화(聖化)시키시는 분은 될 수 없으시다는 것이다. 중요한 사실은 하나님께 도달하는 길은 하나님 자신이시라는 것이고**, 또 타락한 우리 인간들의 소망 전체는 이 삼위일체 진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 : 예수께서는 자기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다고 하셨습니다. 그분께서는 스스로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 하셨습니다. 예수께서는 인간이 성부 하나님께로 가는 유일한 길이십니다. 그분께서는 인성을 취하신 제2 위격 하나님(聖子)이십니다. 

 

 

A Unitarian, one-personed God might possibly have existed, and if revealed as such, it would have been our duty to have acknowledged His lordship. But, nevertheless, he would have always remained utterly inconceivable to us - one lone, fellowless conscious being; subject without object; conscious person without environment; righteous being without fellowship or moral relation or sphere of right action. Where would there be to Him a sphere of love, truth, trust, or sympathetic feeling? Before creation, eternal darkness; after creation, only an endless game of solitaire, with worlds for pawns.

This Unitarian idea of God over-emphasizes His power at the expense of His other attributes, and tends to identify Him with abstract cause and thought. on the other han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shows us that in His relations with us His love is primary, and that His power is exercised in the interests of His love rather than that His love is exercised in the interests of His power. The words, “God is love” (I John 4:8) are not a rhetorical exaggeration, but an expression of truth concerning the Divine nature. We are convinced that the trinitarian conception of God, as judged by its piety and morality at home and its missionary zeal abroad, is by all odds the highest ; and once we have thus conceived of God and felt the new fullness, richness and force given through the divine fellowship we can never again be satisfied with a modalistic or Unitarian conception.


유니테리안 교도들의 단일 인격 하나님이 존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또 그러한 단일 인격으로 계시되었을 경우 우리는 그분을 주님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분은 항상 우리에게 완전히 합리성이 결여된 분으로 남아 계실 것이다. 즉 그러한 분은 교제없이 고독한 의식을 갖추신 한 분이시고, 객관성없이 주관성에 빠진 분이시고, 주위 환경이 없는 의식적 인격이시고, 교제도 없고 도덕적 관계도 없고 바른 행동의 장(場)도 없는 의로운 존재이실 것이다. 사랑과 진리와 신뢰와 동정심을 발휘할 기회가 그분께 어디 있단 말인가? 창세 전에는 영원 전부터 어둠이 있었고, 창세 후에는 세상을 판돈 삼은 영원한 단독 게임이 있을 뿐이다.

이 유니테리안 이단의 하나님 사상은 그분의 권능만 너무 강조하여 다른 속성들을 무시했고, 그분을 추상적 원인이나 사상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달리 삼위일체 교리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에서 최우선은 바로 사랑이고, 그분의 권능이 그분의 사랑을 위해 행사되는 것이지 그분의 권능을 위해 그분의 사랑이 행사되는 게 아님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다(요일 4:8)”라는 말씀은 수사적(修辭的) 과장법이 아니라 하나님의 본성에 대한 진리를 말한 것뿐이다. 확실히 삼위일체라는 하나님 개념은, 그로 말미암은 국내에서의 경건한 신앙과 도덕성 그리고 해외로 향한 뜨거운 선교열(宣敎熱)로 볼 때, 십중팔구 가장 숭고한 하나님 개념이고, 일단 우리가 하나님을 그렇게 이해하여 그분과의 교제가 주는 새로운 충만함과 부요함과 힘을 맛보고 나면 우리는 두 번 다시 양태설적 삼위일체 개념이나 유니테리안의 하나님 개념에 만족할 수 없게 된다. 

 

 

Something of the invaluable service rendered by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brought out when we see how it embraces, combines and reconciles in itself all the half-truths of the various religions and heresies that have held sway over the minds of men. There have been in the main three outstanding false systems, namely, Polytheism, Pantheism, and Deism. That these systems embrace elements of important truth cannot be denied; yet upon the whole they are false and injurious.
The truth in Polytheism, which is that God exists in a plurality of persons and powers, abundantly sufficient within His own nature to allow free play to all of the moral and social qualities or personality, is embraced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but its errors, that it destroys the unity of God, and it separates and personifies these various powers and worships them in isolation or under some visible manifestation such as the sun, moon, rivers, animals, images, etc., is rejected.

삼위일체 교리가 주는 아주 귀중한 유익은 그 교리가 사람들의 마음을 지배하는 다양한 종교들과 이단들의 부분진리들을 자체 안에서 포용하고 종합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는 데에 있다. 세상에는 다신론, 범신론, 이신론이라는 눈에 띄는 주요 거짓 사상들이 있다. 이 사상들이 중요한 진리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럼에도 대체로 그것들은 거짓되고 해로운 것들이다.

다신론에 있는 진리는 신(神)이 다수의 인격들과 힘들 안에 존재하고, 그 다수성이 그의 본성 안에 넉넉하여 모든 도덕적이고 사회적인 특성들이나 인격을 자유롭게 실현시킨다는 것인데, 삼위일체 교리는 이것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다신론의 오류는 신(神)의 단일성을 훼손하고, 이 다양한 힘들을 분리시켜 인격화하고, 그것들을 따로따로 경배하고, 혹은 해나 달, 강이나 동물들, 또는 우상들과 같은 여러 가시적(可視的) 대상을 통해 경배한다는 것인데, 삼위일체 교리는 이 오류를 거부한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16<  (0) 2012.12.06
신학 & 영어 >15<  (0) 2012.12.06
신학 & 영어 >13<  (0) 2012.12.06
신학 & 영어 >12<  (0) 2012.12.06
신학 & 영어 >11<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