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12<

stevision 2012. 12. 6. 14:53

It is a mystery indeed, yet one which explains many other mysteries, and which sheds a marvelous light on God, on nature, and on man. Unless God were too great for our full intellectual comprehension, He would surely be too small to satisfy our spiritual needs.

But while the doctrine of the Trinity presents a mystery, it does not present a contradiction. It asserts that God is one in one respect - in substance or essence - and that He is three in an entirely different respect - in personal distinctions; and the charge of anti-trinitarians, that there is no middle ground between the Unitarian position (which asserts the unity of God but denies the Deity of Christ and the personality of the Holy Spirit) and Tritheism (which asserts that there are three Gods) is easily refuted by this fac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above reason, and could never have been discovered by man apart from divine revelation; yet it cannot be proved contrary to reason, nor inconsistent with any other truth which we know concerning God.

Furthermore, we hardly see how any one can insist tha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strikes the average person as unreasonable when as a matter of fact Pantheism (which holds that every person and every thing which exists is but one of the innumerable forms in which God exists) is the form of philosophy which has been the most widely diffused and the most persistently held by the various peoples down through the ages. If the human mind has been able to conceive of God as existing in such an infinite number of forms, surely the statement that he exists in three Persons should not be hard to believe. The fact is that the doctrine as presented in Scripture is found to be eminently agreeable to reason. The historic Christian Church in all its branches has held tenaciously to this doctrine; and on the part of individuals the deepest and truest and most fruitful Christian faith has been found in those who have had an experimental knowledge and fellowship not only with God the Father, but also with Christ the Son and with the Holy Spirit, - that is, in Evangelicals as distinguished from Unitarians and Modernists.

삼위일체는 진정 신비이다. 그런데 이 삼위일체라는 신비는 다른 신비들을 설명해주고, 하나님과 자연과 사람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조명을 비춘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최대의 지적 능력으로도 이해하기 어려운 무한히 크신 분이 아니라면 우리의 영적 필요를 채워주시기에 부족할 것이다.

그런데 삼위일체 교리는 모순이 아니라 신비이다. 이 교리는 실체나 본질에 있어서 하나님께서 한 분이시라고 말하고, 전혀 다른 차원 즉 인격적 측면에서 그분께서는 셋이시라고 말한다. 또한 삼위일체 반대론자들의 이의제기, 곧 (하나님의 단일성을 주장하고 그리스도의 신성과 성령의 인격을 부인하는) 유니테리안 교리와 (하나님이 세 분들이라는) 삼신론 사이에는 중간지대가 없다는 주장은 이로써 쉽사리 논박된다. 삼위일체 교리는 이성을 초월하여 하나님의 계시를 떠나서 인간이 결코 알 수 없으나, 그것은 이성에 반(反)하여 증명될 수 없고, 우리가 알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다른 진리들과 모순관계에 있지도 않다.

더욱이 사실 (존재하는 모든 인격체들이나 사물들이 신의 현현의 수많은 경우들이라고 여기는) 범신론이 가장 보편적으로 수많은 세월 동안 다양한 민족들이 확고히 받아들였던 하나의 철학임을 고려하면, 우리는 사람들이 삼위일체 교리가 보통 사람이 보기에 불합리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사람이 신이 그토록 수많은 형식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 참으로 신이 세 위격들로 존재한다는 것을 믿지 못할 이유가 없다. 진실은 이것이다. 성경에 계시된 이 삼위일체 교리는 이성에 아주 잘 일치한다. 이 땅에 세워진 모든 기독교 지체들은 이 교리를 확고히 지켰고, 개인적 차원에서 보자면 가장 심오한 영성을 소유하고 가장 신실하고도 가장 풍요로운 신앙생활을 한 자들은 바로 성부 하나님뿐만 아니라 성자, 성령과도 교제를 하고 실생활을 통해 그분들을 안 지식이 있는 자들이었다. 즉 그들은 유니테리안 교도들이나 현대주의자들이 아닌 복음주의자들이었다.

Let it be remembered that we are under no obligation to explain all the mysteries connected with this doctrine. We are only under obligation to set forth what the Scriptures teach concerning it, and to vindicate the teaching as far as possible from the objections that are alleged against it. It is a doctrine which should never be presented to an unbeliever as a subject for argumentative proof, for it can be accepted only by faith, and that only after the person is convinced that God has spoken and that He has revealed this as a truth concerning Himself.

Many analogies have been given down through the ages to illustrate this doctrine, but we had as well admit that none of them have been of any special value and that some of them have been positively misleading. Some of the more common are : body, soul and spirit ; intellect, emotion and will in man ; stem, flower and seed in the plant ; egg, larva and butterfly in the insect ; solid, liquid and gas in matter ; light, heat and radiance in the sun, etc. None of these, however, are true analogies.

Since there is none like God, - for “to whom will ye liken God, or what likeness will ye compare unto Him,” - we shall look in vain for any explanation of the Trinity either in the structure of our own minds or in nature about us. As the Trinity is not discoverable by reason in the first place, so it is not capable of proof by reason in the second place. We receive it only because it is taught in Scripture, and just as it is taught there. As Luther said concerning this doctrine : “We should, like the little children, stammer out what the Scriptures teach : that the Father is truly God, that Christ is truly God, that the Holy Ghost is truly God, and yet that here are not three Gods, or three Beings, as there are three men, three angels, or three windows.”

명심해야할 바는 이것이다. 우리는 이 삼위일체 교리의 모든 신비를 죄다 설명해야 할 의무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다만 그 교리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전해야 하고, 그 교리를 반대하는 자들에 맞서 힘이 닿는 대로 그 교리를 변호해야 한다. 이 교리는 논쟁을 통해 증명하는 주제로 불신자에게 제시되는 것이 결코 아니다. 그 이유는 그 불신자가 하나님께서 이 교리를 말씀하셨고 그분께서 당신 자신에 관한 진리로 이 삼위일체 교리를 계시하셨다는 것을 받아들인 다음에나 그것을 오직 믿음(신앙)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기에 그렇다.

이 교리를 설명하려 오랜 동안 여러 비유들이 나왔으나 특별한 가치가 있는 것들이 없었고 몇몇은 본래의 의미를 상당히 왜곡하는 것들이었다. 많이 알려진 예들은 이것들이다 : 몸과 정신과 영혼, 인간의 지력과 감정과 의지, 식물의 줄기와 꽃과 씨앗, 곤충의 알과 애벌레와 나비, 물질의 고체와 액체와 기체 상태, 태양의 빛과 열기와 광채, 등이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사실과 일치하는 비유들이 아니다.

“너희가 하나님을 누구에 비유할 것이며 그분을 무엇에 비유하려 하느냐.” 하나님과 같은 피조물은 없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마음의 구조나 주위의 자연에 있는 것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설명을 찾을 수 없다. 이성에 의해 삼위일체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그 교리는 이성에 의해 증명될 수 없다. 성경이 그 교리를 가르치기 때문에, 단지 그것이 그 교리를 가르치기 때문에 우리가 그것을 받아들인다. 루터도 이 교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는 어린아이처럼 더듬거리며 성경의 가르침을 말한다. 성부께서는 참 하나님이시고, 그리스도께서는 참 하나님이시고, 성령께서는 참 하나님이시다. 또한 그럼에도 세 사람들이나 세 천사들이나 세 문들과 같이 세 하나님들이나 세 존재들이 계신 것이 아니다.” 

 

 

10. Historical Aspects of the Doctrine

During the first three centuries of the Christian era, theological discussion was centered almost entirely on the relationship subsisting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to the almost neglect of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the nature of the case the development of a formal statement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was a slow process. During the second and third centuries the influence of Stoic and Platonic thought caused some to deny the full Deity of Christ and to attempt to reduce Him to such dimensions as were considered commensurate with a world of time and space. Then against this tendency there arose a reaction, known as Monarchianism, which identified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so completely that they were held to be only one Person who manifested Himself in different capacities.

We are not to infer that the doctrine of the Deity of Christ was a deduction from that of the Trinity, but rather reverse. Because of the claims which Christ made, the authority which he assumed, the miracles which he worked, and the glory which he displayed, particularly in His resurrection, the early Christians were practically unanimous in their recognition of His as truly God. This conviction, together with the inferential statement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e Baptismal Formula and in the Apostolic Benediction, served as their basis in the formulation of the doctrine. But since they were equally convinced that there was but one true God, the difficulty arose as to how to reconcile these two fundamental articles of the faith.

This controversy was settled for the early Church by the Council of Nicaea, in Asia Minor, which met in the year 325. Under the influence of Athanasius, who later became Bishop of Alexandria, the Council declared for the full and eternal Deity of Christ, who was declared to be “God of God, Light of Light, Very God of Very God, being of one substance with the Father.” But so absorbed had the Council been in working out the doctrine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that it omitted to make any definite statement concerning the Holy Spirit. Athanasius had taught the true Deity of the Holy Spirit, but many of the writers of the period identified Him with the Logos or Son, while others regarded Him as but the impersonal power or efficacy of God. The defect of the Nicene Creed was remedied, however, by the Second Ecumenical Council, which met at Constanitnople in 381, and included in its creed the statement : “We believe in the Holy Ghost, who is the Lord and Giver of life, who proceedeth from the Father, who, with Father and Son, together is worshipped and glorified, who spake by the prophets.”


10. 삼위일체 교리의 역사

서기 1에서 3세기 기간에 기독교 신학의 주요 관심사는 성부와 성자간의 관계에 집중되어 있어서 성령에 관한 교리는 거의 관심 밖이었다. 그리하여 삼위일체 교리가 공식화되는 과정은 더디었다. 2에서 3세기 기간에 스토아 철학과 플라톤 철학에 영향을 받은 자들이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부인하고 그분을 시공세계(時空世界)에 적당한 차원들로 끌어내려 했다. 그래서 이러한 풍조에 대항하여 군주신론이** 등장했는데, 이 신론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을 너무 동일시하여 그 세분들께서 상이한 역할(자격)들 안에서 자신을 드러낸 단 하나의 인격이라고 주장한다.

** : mono는 “유일한”이라는 뜻이고, arche는 “시작, 기원, 첫(시작한) 사람이나 사물, 선구자, 기원, 원천, 제1원인, 주권, 통치, 권위”의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monarchia는 혼자서 지배하는 사람이 되어 군주나 왕이 되는 거지요. 그래서 monarchianism은 군주신론으로 번역되었는데 하나님의 단일 신격을 주장하는 이단입니다. 대개 성부 하나님의 신성만 인정하거나 성부, 성자, 성령을 한 신성을 가진 한 신격이 자신을 나타내는 양태들로 보는 이단이지요. 후자를 양태론적 군주신론이라 합니다. 원래의 뜻대로라면 monarchianism은 “단일신격신론(좀 느슨한 표현으로 '단일위격신론'이라 할 수 있음. 느슨하다는 말은 '위격'이 삼위일체 안의 한 신격을 말하기 때문임)” 정도가 되겠지요. 성부, 성자, 성령은 각각 독자적인 신격체이십니다. 그러므로 삼위일체신론을 '삼신격신론'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삼신격신론이라해서 독립적인 세 하나님들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유일하신 한(one) 하나님께서 세 신격체들로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이 삼위일체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신성 교리가 삼위일체 교리로부터 유추한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그 반대다. 그리스도 자신의 주장, 그분의 권위, 그분께서 행하신 기적들, 그분께서 보이신 영광, 특히 그분의 부활이 보여준 영광 때문에 초대교회 성도들은 그분께서 진정한 하나님이시라는 데에 사실상 완전한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이 확신은 세례 의식문과 바울의 축도에서 유추되는 삼위일체와 더불어 삼위일체 교리를 공식화하는 데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참 하나님은 한 분밖에 안 계시다고 동시에 확신하고 있어서 이 두 기초 신앙고백들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고민했다.

이 논쟁은 초대 교회가 325년 소아시아의 니케아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결말을 지었다. 후에 알렉산드리아 주교가 된 아타나시우스의 영향으로 이 공의회는 그리스도의 완전하고도 영원한 신성을 선언했는데, 그분께서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오신 하나님, 빛으로부터 나온 빛, 참 하나님으로부터 나오신 참 하나님, 성부와 동일본질이시다”고 선언되었다. 하지만 이 공의회가 그리스도의 위격에 관한 교리를 만드는 데에만 열중한 나머지 성령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못했다. 아타나시우스가 성령의 진정한 신성을 가르쳤건만 당시의 많은 자들이 성령을 로고스나 성자와 동일시했고, 다른 자들은 성령을 무인격적(無人格的)인 하나님의 힘이나 영향력 정도로 취급했다. 하지만 니케아 신조의 결점은 381년 콘스탄티노플에서 개최된 제 2차 에큐메니칼** 공의회에서 보완되었다. 이 공의회는 다음의 신조를 삽입했다 : “우리는 성령을 믿습니다. 그분께서는 주님이시고 생명을 주시는 분이시며, 성부로부터 나오신 분이시며, 성부 그리고 성자와 함께 경배와 영광을 받으시는 분이시고, 예언자들을 통해 말씀하시는 분이십니다.”

** : 에큐메니칼(ecumenical)은 “전(全) 기독교적인”이라는 뜻입니다. 당시에는 전 세계에 단 하나의 교파만 있었을 때였고, 요즘은 세상에 여러 교파들이 존재하므로 에큐메니칼은 “초교파적인” 정도의 뜻이 되겠지요. 

 

 

Another heresy which arose was that of Sabellianism. This view held that there was but one Person in the Godhead, and the terms Father, Son and Holy Spirit simply denoted this one Person in different capacities. As Creator of the world He was known as Father; as Redeemer of the race He was known as the Son, and when working in the hearts of men He was known as the Holy Spirit. Some chose to say that it was the same God who in Old Testament times was known as Father, who afterward became incarnate as the Son, and who reveals Himself in the Church as the Holy Spirit. Thes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the same Person were considered analogous to that of a man who is known in his home as father, in the Church as an elder, and in the community as a doctor.

But this view satisfied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Christians in only one regard, namely, in recognizing the true Deity of Christ. Its defects were glaring; for if the phases were successive, then God ceased to be the Father when He became the Son, and ceased to be the Son when He became the Holy Spirit. The incarnation was reduced to a temporary union of the Divine and the human nature in the man Jesus Christ. This view was so out of harmony with the Scriptures that it was soon rejected, and the Church doctrine, which is neither Tritheism nor Sabellianism but the true mean between these errors, was maintained.

또 다른 이단은 사벨리우스주의**이다. 이 이론은 하나님의 신성 안에 단 하나의 위격(인격)만 계시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라는 명칭들은 단지 상이한 자격들 가운데 있는 이 한 위격의 명칭들일 뿐이라고 한다. 세상의 창조자로서 그분은 성부로 칭해졌고, 인류의 구세주로서 그분은 성자로 칭해졌고, 인간의 마음 안에서 역사하시는 분으로서 그분은 성령으로 칭해졌다. 어떤 자들은 구약성서 시대에 성부로 알려진 하나님께서 후에 성자로 성육신하셨고, 그 후 교회에 자신을 성령으로 드러내셨다고 주장했다. 동일한 한 위격이 이러한 상이한 현현들로 나타나신 것을 한 남자가 집에서는 아버지, 교회에서는 장로, 사회에서는 의사가 되는 것에 비유할 수 있겠다.

** : 이것이 바로 양태설적 군주신론이라 할 수 있지요.

그러나 이 주장은 단 한 가지 관점, 즉 그리스도의 참신성(神性)을 인정했다는 점에서만 기독교인들의 신앙의식에 부응했다. 이 이론의 결점은 눈에 확연히 들어온다. 그러한 존재형식들이 연속적 사건이라 하자. 그러면 성부는 성자가 되었을 때 성부이기를 그치고, 성자는 성령이 되었을 때 성자이기를 그치게 될 것이다. 또 성육신은 신성과 인간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의 일시적인 결합밖에 안되었을 것이다. 이 견해는 성서에 너무 위배되어 곧바로 거부되었고, 교회의 삼위일체 교리는 삼신론도 거부하고 사벨리우스주의도 거부하여, 이 두 오류들의 확실한 중간 지점을 잡은 채 존속되었다. 

 

 

One other trinitarian heresy that we should notice was that of the Socinians. They held that Christ was only a man, a very good man to be sure, in fact the best of men because more fully animated and controlled by the power of God than any other had ever been, but who had no existence until he was born by ordinary generation of Joseph and Marry. They acknowledged that he possessed a more advanced revelation from God than had been given to any of the earlier prophets or teachers. They perceived the impropriety of worshipping a creature as the Arians had done, regardless of how high he might be exalted; and while less orthodox than the Arians, they were at this point more consistent. This view was, of course, condemned by the Church, but it has continued as a heresy on the outskirts of true religion down through the ages. Present-day Modernism, which is essentially a denial of the supernatural in religion, also carries on the Socinian tradition with more or less consistency.

To Augustine belongs the credit for having made a considerable adva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and for centuries his book, on The Trinity, remained the standard work on the subject. While Athanasius had secured the acceptance by the Church of the true personality and Deity of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he did allow that the Son and the holy Spirit were subordinate to the Father in order and dignity. Augustine did away with the idea of subordination by stressing the numerical unity of their essence, and through his powerful influence the doctrine was accepted by the Church in fact as well as in theory. Both Luther and Calvin refused to go beyond the simple statements of Scripture, although it did fall to Calvin to reassert the self-existence and the full equality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with the Father against those who taught that the generation of the Son and the procession of the Holy Spirit denoted perpetual communication of essence from the Father and therefore dependence.

우리가 눈여겨보아야 할 삼위일체와 관련된 이단에는 소시니우스주의자들도 있다. 이들은 그리스도께서 단지 인간, 확실히 아주 선한 인간, 사실상 세상에서 가장 선한 인간일 뿐이라 했다. 그 이유는 그분께서 세상 모든 사람들보다 더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득 차 있고 그 능력에 이끌려 활동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분께서는 요셉과 마리아의 정상적인 출산과정으로 태어나시기 전에는 존재하지 않으셨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리스도께서 이전의 그 어떤 선지자들이나 선생들보다 더 진전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다고 인정한다. 그들은, 아리우스주의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그분께서 아무리 높여진 분이라 하더라도 피조물을 경배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보았고, 그들은 아리우스주의자들**보다 더 정통에서 멀어졌고, 이 점에(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는 것에) 있어서 더 일관적이었다. 물론 이 견해는 교회에 의해 정죄되었으나, 정통교회의 주변에 자리 잡은 이단으로 남아 지금까지 긴 세월을 존속해 왔다. 요즘의 현대주의는 근본적으로 기독교의 초자연적인 면을 부인하는데, 이 사상도 다소의 일관성을 보이며 소시니우스주의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 : 아리우스 이단은 하나님께서 창세 이전에 먼저 그리스도를 무에서 창조하셨다고 주장합니다. 이 그리스도는 인간보다 훨씬 뛰어난 거의 신적인 존재로 피조되었다고 그들은 주장합니다.

어거스틴은 삼위일체 교리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찬사를 받고 있다. 또한 그의 책 「삼위일체에 관하여」는 수세기 동안 삼위일체론의 표준이 되었다. 아타나시우스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참인격과 참신성을 교회로 하여금 받아들이게 했으나, 그는 서열과 존엄에 있어서 성자와 성령을 성부보다 낮게 보는 가능성은 열어두었다. 어거스틴이 세 위격들의 실체의 수적(數的) 단일성을 강조함으로 이 종속론을 제거했고, 그의 강력한 영향력 때문에 이 삼위일체 교리는 이론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실로도 교회가 받아들였다. 루터와 칼빈**은 순수한 성서 말씀 그 이상 넘어서기를 거부했다. 그러면서도 칼빈은, (성부로부터) 성자의 태어나심과 성령의 나오심이 성부로부터 영원히 존재를 부여받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종속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는 자들에 맞서, 성자와 성령이 성부와 함께 자존하시고 성부와 완전히 동등한 분들이심을 거듭 강조했다.

** : 좀 유식한(?) 분들께서는 칼뱅이라고도 합니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14<  (0) 2012.12.06
신학 & 영어 >13<  (0) 2012.12.06
신학 & 영어 >11<  (0) 2012.12.06
신학 & 영어 >10<  (0) 2012.12.06
신학 & 영어 >9<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