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Ordinarily the Old Testament references to the Spirit were so indistinct that they were understood to refer only to an energy or influence which proceeded from God. Nowhere is the Spirit specifically called a person ; yet when He is spoken of it is in terms that may properly be applied to a person. As read in the light of the New Testament,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places in which He is seen to be a distinct Person. examples are : “Who hath directed the Spirit of Jehovah, or being his counsellor hath taught him?” (Isa. 40:13) ; “Thou gavest also thy good Spirit to instruct them” (Neh. 9:20) ; “My Spirit shall not strive with man for ever” (Gen. 6:3) ; “Take not thy holy Spirit from me” (Ps. 51:11) ; “Whither shall I go from thy Spirit?” (Ps. 139:7) ; and in Isaiah 63:7-11 we may say that the Trinity actually comes into view, for here we have a reference to “Jehovah” who is the God of Israel and who bestows great blessings upon His people, to the “angel of his presence” who “was their Saviour,” and to the “holy Spirit” who was in their midst and who was “grieved” at their rebellion. Three times He is called the “holy Spirit” (Ps. 51:11 ; Isa. 63:10,11). Some theologians have understood the threefold ascription of praise in the seraphim's song, “Holy, holy, holy, is Jehovah of hosts ; the whole earth is full of his glory” (Isa. 6:3), with its close parallel in the angelic chorus of Revelation 4:8, “Holy, holy, holy, is the Lord God, the Almighty, who was and who is and who is to come,” as having reference to the Trinity. Certainly the divinely given formula which the priests were to use in blessing the people, “Jehovah bless thee, and keep thee: Jehovah lift up his countenance upon thee, and give thee peace” (Num. 6:24-26), finds its counterpart with explicit reference to the Trinity in the Apostolic Benediction of the New Testament Church : “The grace of the Lord Jesus Christ, and the love of God, and the communion of the Holy Spirit, be with you all” (II Cor. 13:14).
구약성경과 성령
보통 구약성경에서 성령에 대한 언급들은 매우 불분명하여 단지 하나님으로부터 나오는 힘이나 영향력을 가리키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령을 인격체로 분명하게 언급한 곳은 없으나, 성령이 언급이 된 경우에 그 내용들은 한 인격체에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었다. 그런데 그것들을 신약성경의 관점에서 읽으면 성령을 구별된 위격으로 볼 수 있는 구절들이 많이 있다.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누가 여호와의 신(영(靈))을 지도하였으며 그의 모사가 되어 그를 가르쳤으랴(사40:13)”, “주의 선한 신을 주사 저희를 가르치시며(느9:20)”, “나의 신이 영원히 사람과 함께 하지 아니하리니(창6:3)”, “주의 성신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시51:11)”, “내가 주의 신을 떠나 어디로 가겠습니까?(시139:7)”. 또 이사야서 63:7-11에서 우리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시고 자기 백성에게 큰 복을 주시는 “여호와”에 대한 언급과, “구원자인” “그의 앞의 사자”에 대한 언급, 그리고 이스라엘 가운데 계시고 그들의 반역을 슬퍼하시는 “성령”에 대한 언급이 있음을 들어 삼위일체가 등장하시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분은 세 번이나 “성령(성신)”으로 불리신다(시51:11 ; 사63:10,11). 어떤 신학자들은 스랍들의 노래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만군의 여호와여 그 영광이 온 땅에 충만하도다(사6:3)”에 나오는 세 번의 하나님에 대한 찬미가 요한계시록 4장 8절에 나오는 천사들의 찬양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 전에도 계셨고 이제도 계시고 장차 오실 자라”와 짝을 이루고 있어 이 말씀을 삼위일체에 대한 말씀으로 보고 있다. 제사장들이 이스라엘 백성을 향해 축도할 때 사용하게 되는 하나님께서 주신 의식문(儀式文)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로 네게 비취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주시기를 원하노라(민6:24-26)”는 분명 신약성경 시대의 교회에게 선언되는 사도의 축도에서 그 짝을 찾을 수 있는데, 여기에는 삼위일체에 대한 분명한 언급이 있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여러분 모두와 함께 하기를 원하나이다(고후13:13).”
Ordinarily the Old Testament references to the Spirit were so indistinct that they were understood to refer only to an energy or influence which proceeded from God. Nowhere is the Spirit specifically called a person ; yet when He is spoken of it is in terms that may properly be applied to a person. As read in the light of the New Testament,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places in which He is seen to be a distinct Person. examples are : “Who hath directed the Spirit of Jehovah, or being his counsellor hath taught him?” (Isa. 40:13) ; “Thou gavest also thy good Spirit to instruct them” (Neh. 9:20) ; “My Spirit shall not strive with man for ever” (Gen. 6:3) ; “Take not thy holy Spirit from me” (Ps. 51:11) ; “Whither shall I go from thy Spirit?” (Ps. 139:7) ; and in Isaiah 63:7-11 we may say that the Trinity actually comes into view, for here we have a reference to “Jehovah” who is the God of Israel and who bestows great blessings upon His people, to the “angel of his presence” who “was their Saviour,” and to the “holy Spirit” who was in their midst and who was “grieved” at their rebellion. Three times He is called the “holy Spirit” (Ps. 51:11 ; Isa. 63:10,11). Some theologians have understood the threefold ascription of praise in the seraphim's song, “Holy, holy, holy, is Jehovah of hosts ; the whole earth is full of his glory” (Isa. 6:3), with its close parallel in the angelic chorus of Revelation 4:8, “Holy, holy, holy, is the Lord God, the Almighty, who was and who is and who is to come,” as having reference to the Trinity. Certainly the divinely given formula which the priests were to use in blessing the people, “Jehovah bless thee, and keep thee: Jehovah lift up his countenance upon thee, and give thee peace” (Num. 6:24-26), finds its counterpart with explicit reference to the Trinity in the Apostolic Benediction of the New Testament Church : “The grace of the Lord Jesus Christ, and the love of God, and the communion of the Holy Spirit, be with you all” (II Cor. 13:14).
구약성경과 성령
보통 구약성경에서 성령에 대한 언급들은 매우 불분명하여 단지 하나님으로부터 나오는 힘이나 영향력을 가리키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령을 인격체로 분명하게 언급한 곳은 없으나, 성령이 언급이 된 경우에 그 내용들은 한 인격체에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었다. 그런데 그것들을 신약성경의 관점에서 읽으면 성령을 구별된 위격으로 볼 수 있는 구절들이 많이 있다.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누가 여호와의 신(영(靈))을 지도하였으며 그의 모사가 되어 그를 가르쳤으랴(사40:13)”, “주의 선한 신을 주사 저희를 가르치시며(느9:20)”, “나의 신이 영원히 사람과 함께 하지 아니하리니(창6:3)”, “주의 성신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시51:11)”, “내가 주의 신을 떠나 어디로 가겠습니까?(시139:7)”. 또 이사야서 63:7-11에서 우리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시고 자기 백성에게 큰 복을 주시는 “여호와”에 대한 언급과, “구원자인” “그의 앞의 사자”에 대한 언급, 그리고 이스라엘 가운데 계시고 그들의 반역을 슬퍼하시는 “성령”에 대한 언급이 있음을 들어 삼위일체가 등장하시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분은 세 번이나 “성령(성신)”으로 불리신다(시51:11 ; 사63:10,11). 어떤 신학자들은 스랍들의 노래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만군의 여호와여 그 영광이 온 땅에 충만하도다(사6:3)”에 나오는 세 번의 하나님에 대한 찬미가 요한계시록 4장 8절에 나오는 천사들의 찬양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 전에도 계셨고 이제도 계시고 장차 오실 자라”와 짝을 이루고 있어 이 말씀을 삼위일체에 대한 말씀으로 보고 있다. 제사장들이 이스라엘 백성을 향해 축도할 때 사용하게 되는 하나님께서 주신 의식문(儀式文)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로 네게 비취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주시기를 원하노라(민6:24-26)”는 분명 신약성경 시대의 교회에게 선언되는 사도의 축도에서 그 짝을 찾을 수 있는데, 여기에는 삼위일체에 대한 분명한 언급이 있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여러분 모두와 함께 하기를 원하나이다(고후13:13).”
While not fully revealed and not recognized until Pentecost, the Holy Spirit as the executive of the Trinity was from the beginning the sustainer and moulder of the laws of nature, the one who inspired the prophets and who could be sinned against and grieved. Just as electricity was present in nature and played a vitally important part in the lives of men long before they discovered it and learned to make it serve so many wonderful purposes, so the holy Spirit was living and active as a distinct Person in the Godhead from eternity and moulded the affairs of men without His distinct personality being known to them.
Even in the first chapter of Genesis the Spirit of God is represented as the source of all intelligence, order, and life in the created universe; and in the following books of the Old Testament he is represented as inspiring the prophets, giving wisdom, strength, and goodness to statesmen and warriors, and to the people of God. This Spirit is not an agency, but an agent, who teaches and selects; who can be sinned against and grieved ; and who, in the New Testament, is unmistakably revealed as a distinct person. The earliest revelations of this mystery were gradually unfolded, until the Triune God, Father, Son, and Spirit, appear in the New Testament as the universally recognized God of all believers.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 이전까지 성령께서 완전히 계시되지도 않았고 사람들에게 인식되지도 않았지만, 그분께서는 삼위일체의 실행위격(實行位格)으로서 태초부터 자연의 법들을 정하시고 존속시키신 분이셨고(참고. 창1:2), 그분께서는 예언자들에게 영감을 주셨고, 사람들이 그분께 죄를 범하기도 하고 그분께서는 이 때문에 슬퍼도 하셨다. 사람이 전기에 대해 알고 그것을 여러 놀라운 목적들에 사용하는 법을 배우기 오래 전부터 그것이 자연 안에 존재하여 인간의 삶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듯이, 성령께서도 인간들에게 구별된 인격체로 알려지지 않으신 채 영원 전부터 하나님의 신성 안의 구별된 위격으로 살아 계셔 일하셨고 인간의 역사를 정하셨다.
창세기 1장에서부터 성령께서는 피조된 세계 안의 모든 지력과 질서와 생명의 원천으로 묘사되고 있으시며, 계속 이어지는 구약성경에서 그분께서는 예언자들에게 영감을 주시고 정치가들과 군사들과 하나님의 백성에게 지혜와 힘을 주시고 덕을 베푸시는 분으로 묘사되신다. 이 성령께서는 작인(作因, 운동의 원인이 되는 힘)이 아니시다. 그분께서는 가르치시고 선택하시며, 사람이 죄를 범하는 대상이시고 그 죄를 슬퍼하시는 분이시며, 신약에서 그분께서는 분명하게 구별된 인격체로 계시되시는데, 이 성령께서는 바로 (성부와 성자의) 대리자(代理者)이시다. 이 신비가 창세기 첫 장부터 점차 사람들에게 계시되어 마침내 삼위일체 하나님 곧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서 신약에 모든 신자들에게 하나님으로 널리 알려지며 계시가 완성되었다.
Even in the first chapter of Genesis the Spirit of God is represented as the source of all intelligence, order, and life in the created universe; and in the following books of the Old Testament he is represented as inspiring the prophets, giving wisdom, strength, and goodness to statesmen and warriors, and to the people of God. This Spirit is not an agency, but an agent, who teaches and selects; who can be sinned against and grieved ; and who, in the New Testament, is unmistakably revealed as a distinct person. The earliest revelations of this mystery were gradually unfolded, until the Triune God, Father, Son, and Spirit, appear in the New Testament as the universally recognized God of all believers.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 이전까지 성령께서 완전히 계시되지도 않았고 사람들에게 인식되지도 않았지만, 그분께서는 삼위일체의 실행위격(實行位格)으로서 태초부터 자연의 법들을 정하시고 존속시키신 분이셨고(참고. 창1:2), 그분께서는 예언자들에게 영감을 주셨고, 사람들이 그분께 죄를 범하기도 하고 그분께서는 이 때문에 슬퍼도 하셨다. 사람이 전기에 대해 알고 그것을 여러 놀라운 목적들에 사용하는 법을 배우기 오래 전부터 그것이 자연 안에 존재하여 인간의 삶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듯이, 성령께서도 인간들에게 구별된 인격체로 알려지지 않으신 채 영원 전부터 하나님의 신성 안의 구별된 위격으로 살아 계셔 일하셨고 인간의 역사를 정하셨다.
창세기 1장에서부터 성령께서는 피조된 세계 안의 모든 지력과 질서와 생명의 원천으로 묘사되고 있으시며, 계속 이어지는 구약성경에서 그분께서는 예언자들에게 영감을 주시고 정치가들과 군사들과 하나님의 백성에게 지혜와 힘을 주시고 덕을 베푸시는 분으로 묘사되신다. 이 성령께서는 작인(作因, 운동의 원인이 되는 힘)이 아니시다. 그분께서는 가르치시고 선택하시며, 사람이 죄를 범하는 대상이시고 그 죄를 슬퍼하시는 분이시며, 신약에서 그분께서는 분명하게 구별된 인격체로 계시되시는데, 이 성령께서는 바로 (성부와 성자의) 대리자(代理者)이시다. 이 신비가 창세기 첫 장부터 점차 사람들에게 계시되어 마침내 삼위일체 하나님 곧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서 신약에 모든 신자들에게 하나님으로 널리 알려지며 계시가 완성되었다.
Jewish Mis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Trinity has been generally misunderstood among the Jewish people, with the result that they believe we worship three Gods. The reason that the Jews have become estranged from the doctrine of the Triune God is found in the teachings of Moses Maimonides. He compiled thirteen articles of faith which the Jews accepted and incorporated into their liturgy. one of them is “I believe with a perfect faith that the Creator, blessed be His name, is an absolute one(Hebrew, Yachid).” This has been repeated daily by Jews in their prayers, ever since the twelfth century, when Moses Maimonides lived. This expression of an “absolute one”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word of God which teaches with great emphasis that God is not a “Yachid,” which means an only one, or an “absolute one,” but “achid,” which means a united one. In Deuteronomy 6:4 God laid down for His people a principle of faith, which is certainly superior to that of Moses Maimonides, inasmuch as it comes from God Himself. We read, “Hear O Israel, the Lord our God, the lord is onE,” stressing the sense of the phrase “one” by using not “yachid,” which Moses Maimonides does, but “achid,” which means a united one.
We want now to trace where these two words, “yachid” and “achid,” occur in the Old Testament and in what connection and sense they are used, and thus ascertain their true meaning. In Genesis I we read, “And there was evening and there was morning, one(achid) day.” Here the word “achid” is used, which implies that the evening and the morning - two separate objects - are called one, thus showing plainly that the word “achid” does not mean an “absolute one,” but a united one. Then in Genesis 2:24 we read, “Therefore shall a man leave his father and his mother and shall cleave unto his wife, and they shall be one(achid) flesh.” Here too the word “achid” is used, furnishing another proof that it means a united one, referring, as it does in this case, to two separate persons.
Now let us see in the Word of God where that expression “yachid,” an “absolute one,” is found. In Genesis 22:2 God says to Abraham, “Take now thy son, thine only(yachid) son.” Here we read the word “yachid.” The same identical word, “yachid,” is repeated in the 12th verse of the same chapter. In Psalm 25:16 it is again applied to a single person as also in Jeremiah 6:26, where we read, “Make thee mourning as for an only(yachid) son.”
Thus we see that Moses Maimonides, with all his great wisdom and much learning, made a serious mistake in prescribing for the jews that confession of faith in which it is stated that God is a “yachid,” a statement which is absolutely opposed to the Word of God. And the Jews, in blindly following the so-called “second Moses” have once more given evidence of their old proclivities of perverting the Word of the living God. The Holy Spirit made that serious complaint against them through Jeremiah the prophet, saying, “For ye have perverted the words of the living God, of the Lord of hosts our God(Jer. 23:36).”
This is therefore the belief of the true Christian. He does not have three gods, but “one,” a Scriptural one, which is in Hebrew “achid,” and which consists of three personal revelations of God.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유태인들의 오해
대개 유태인들은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를 오해하고 있는데, 그들은 우리가 세 하나님들을 섬기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태인들이 삼위일체 교리에서 멀어진 이유가 모세 마이모닛의 교훈에 기인한다. 그는 13개 항의 유태인 신앙고백 조항들을 작성했는데, 이것을 유태인들이 받아들여 그들의 종교에 포함시켰다. 그 조항 중에는 “주님의 이름을 찬양합니다. 나는 창조주 하나님께서 유일하신(야키드) 분이시라는 것을 굳게 믿습니다.” 이 신앙고백이 모세 마이모닛이 생존했던 12세기 이후 매일 유태인들의 기도 때마다 반복되었다. 이 “유일하신 분”이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말씀과 아주 상반된 표현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강조하여 말하길, 하나님께서는 오직 하나 혹은 절대적으로 하나를 뜻하는 “야키드”가 아니라 연합하여 하나가 됨을 뜻하는 “아키드”이시다 라고 한다. 신명기 6장 4절에서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에게 신앙의 원칙을 정해 주셨는데, 그것이 하나님 그분 자신으로부터 나온 말씀이므로 모세 마이모닛의 말보다 훨씬 더 권위가 있음이 분명하다. 내용은 이렇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우리 하나님, 바로 그 주님께서는 한 분(ONE)이시다.” 여기서 하나(one)라는 뜻이 모세 마이모닛이 사용한 “야키드(유일한)”가 아니라 연합하여 하나를 이룸을 뜻하는 “아키드”가 사용되었음을 강조하고 싶다. (** : 히브리 성경 원문에는 여호와(YHWH, Jehovah)로 되어 있으나 이스라엘인들은 이 하나님의 이름을 감히 못 부르고 성경에서 여호와라는 말이 나올 때마다 아도나이(Lord, 주님)로 읽었다. 그래서 여기서 성경 말씀이 여호와 대신에 주님으로 바뀌어 인용된 것이다.)
이제 이 “야키드”와 “아키드”라는 말이 구약성경 어디에 나오고 그 단어들이 어떠한 문맥과 무슨 의미로 사용되는지 알아보아 그것들의 진짜 의미를 확인해보자. 창세기 1장에서 우리는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는 이는 한(아키드) 날이라.” 여기서 “아키드”가 사용되었고, 이는 저녁과 아침이라는 두 구분된 대상들이 하나로 불림을 의미하고, 따라서 “아키드”는 “유일무이한 하나”를 뜻하는 게 아니라 연합된 하나임을 뜻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다음으로 창세기 2장 24절에는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아키드) 몸을 이룰지로다”라는 말씀이 있다. 여기서도 “아키드”라는 말이 쓰였는데, 이로써 그 단어가 연합하여 하나가 됨을 뜻하는 또 하나의 증거가 되고, 바로 이 성경 말씀의 경우는 그 단어가 분리된 두 인격체들이 관련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제 하나님의 말씀 중에서 “야키드”, 곧 “유일한 하나”라는 표현이 나오는 곳을 알아보자. 창세기 22장 2절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네 아들, 네 독자(유일한(야키드) 아들)를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라”라고 명하셨다. 이 “야키드”라는 말이 같은 장 12절에서 다시 쓰인다. 시편 25:16에 이 단어는 한 개인에게 적용되어 있고, 예레미야 6장 26절에는 “독자(야키드 아들)를 잃음같이 통곡할지어다”라는 말씀이 나온다.
따라서 우리는 모세 마이모닛이 지혜와 학식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유태인들에게 신앙고백을 제정해 주면서 심각한 실수를 범했음을 보게 된다. 그 신앙고백에서는 하나님께서 “유일한(야키드) 한 분”임을 고백하는데, 이는 본래 하나님의 말씀과 분명 다른 것이다. 그리하여 유태인들은 소위 “제2의 모세”라고 일컬어지는 이 자를 맹목적으로 따라서 살아 계신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는 그들의 오랜 전통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었다. 성령께서는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해 그러한 유태인들을 향해 한없이 탄식하신다. “너희가 사시는 하나님, 만군의 여호와 우리 하나님의 말씀을 망령되이 씀이니라(렘23:36).”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참된 기독교인의 신앙이다. 참된 기독교인은 세 하나님들을 섬기지 않고 성경이 말하는 “한 분”, 곧 히브리어의 “아키드”가 뜻하는 한 분을 섬기고 있는데, 이 한(아키드) 분께서는 성경에 계시된 세 분의 인격체들로 구성되어 있으시다.
(유대교인들이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는 구약마저도 현재 유대인들의 신앙인 단순한 유일신 사상보다도 현재 기독교인의 신앙인 유일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을 더 지지한다는 말입니다.)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Trinity has been generally misunderstood among the Jewish people, with the result that they believe we worship three Gods. The reason that the Jews have become estranged from the doctrine of the Triune God is found in the teachings of Moses Maimonides. He compiled thirteen articles of faith which the Jews accepted and incorporated into their liturgy. one of them is “I believe with a perfect faith that the Creator, blessed be His name, is an absolute one(Hebrew, Yachid).” This has been repeated daily by Jews in their prayers, ever since the twelfth century, when Moses Maimonides lived. This expression of an “absolute one”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word of God which teaches with great emphasis that God is not a “Yachid,” which means an only one, or an “absolute one,” but “achid,” which means a united one. In Deuteronomy 6:4 God laid down for His people a principle of faith, which is certainly superior to that of Moses Maimonides, inasmuch as it comes from God Himself. We read, “Hear O Israel, the Lord our God, the lord is onE,” stressing the sense of the phrase “one” by using not “yachid,” which Moses Maimonides does, but “achid,” which means a united one.
We want now to trace where these two words, “yachid” and “achid,” occur in the Old Testament and in what connection and sense they are used, and thus ascertain their true meaning. In Genesis I we read, “And there was evening and there was morning, one(achid) day.” Here the word “achid” is used, which implies that the evening and the morning - two separate objects - are called one, thus showing plainly that the word “achid” does not mean an “absolute one,” but a united one. Then in Genesis 2:24 we read, “Therefore shall a man leave his father and his mother and shall cleave unto his wife, and they shall be one(achid) flesh.” Here too the word “achid” is used, furnishing another proof that it means a united one, referring, as it does in this case, to two separate persons.
Now let us see in the Word of God where that expression “yachid,” an “absolute one,” is found. In Genesis 22:2 God says to Abraham, “Take now thy son, thine only(yachid) son.” Here we read the word “yachid.” The same identical word, “yachid,” is repeated in the 12th verse of the same chapter. In Psalm 25:16 it is again applied to a single person as also in Jeremiah 6:26, where we read, “Make thee mourning as for an only(yachid) son.”
Thus we see that Moses Maimonides, with all his great wisdom and much learning, made a serious mistake in prescribing for the jews that confession of faith in which it is stated that God is a “yachid,” a statement which is absolutely opposed to the Word of God. And the Jews, in blindly following the so-called “second Moses” have once more given evidence of their old proclivities of perverting the Word of the living God. The Holy Spirit made that serious complaint against them through Jeremiah the prophet, saying, “For ye have perverted the words of the living God, of the Lord of hosts our God(Jer. 23:36).”
This is therefore the belief of the true Christian. He does not have three gods, but “one,” a Scriptural one, which is in Hebrew “achid,” and which consists of three personal revelations of God.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유태인들의 오해
대개 유태인들은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를 오해하고 있는데, 그들은 우리가 세 하나님들을 섬기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태인들이 삼위일체 교리에서 멀어진 이유가 모세 마이모닛의 교훈에 기인한다. 그는 13개 항의 유태인 신앙고백 조항들을 작성했는데, 이것을 유태인들이 받아들여 그들의 종교에 포함시켰다. 그 조항 중에는 “주님의 이름을 찬양합니다. 나는 창조주 하나님께서 유일하신(야키드) 분이시라는 것을 굳게 믿습니다.” 이 신앙고백이 모세 마이모닛이 생존했던 12세기 이후 매일 유태인들의 기도 때마다 반복되었다. 이 “유일하신 분”이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말씀과 아주 상반된 표현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강조하여 말하길, 하나님께서는 오직 하나 혹은 절대적으로 하나를 뜻하는 “야키드”가 아니라 연합하여 하나가 됨을 뜻하는 “아키드”이시다 라고 한다. 신명기 6장 4절에서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에게 신앙의 원칙을 정해 주셨는데, 그것이 하나님 그분 자신으로부터 나온 말씀이므로 모세 마이모닛의 말보다 훨씬 더 권위가 있음이 분명하다. 내용은 이렇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우리 하나님, 바로 그 주님께서는 한 분(ONE)이시다.” 여기서 하나(one)라는 뜻이 모세 마이모닛이 사용한 “야키드(유일한)”가 아니라 연합하여 하나를 이룸을 뜻하는 “아키드”가 사용되었음을 강조하고 싶다. (** : 히브리 성경 원문에는 여호와(YHWH, Jehovah)로 되어 있으나 이스라엘인들은 이 하나님의 이름을 감히 못 부르고 성경에서 여호와라는 말이 나올 때마다 아도나이(Lord, 주님)로 읽었다. 그래서 여기서 성경 말씀이 여호와 대신에 주님으로 바뀌어 인용된 것이다.)
이제 이 “야키드”와 “아키드”라는 말이 구약성경 어디에 나오고 그 단어들이 어떠한 문맥과 무슨 의미로 사용되는지 알아보아 그것들의 진짜 의미를 확인해보자. 창세기 1장에서 우리는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는 이는 한(아키드) 날이라.” 여기서 “아키드”가 사용되었고, 이는 저녁과 아침이라는 두 구분된 대상들이 하나로 불림을 의미하고, 따라서 “아키드”는 “유일무이한 하나”를 뜻하는 게 아니라 연합된 하나임을 뜻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다음으로 창세기 2장 24절에는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아키드) 몸을 이룰지로다”라는 말씀이 있다. 여기서도 “아키드”라는 말이 쓰였는데, 이로써 그 단어가 연합하여 하나가 됨을 뜻하는 또 하나의 증거가 되고, 바로 이 성경 말씀의 경우는 그 단어가 분리된 두 인격체들이 관련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제 하나님의 말씀 중에서 “야키드”, 곧 “유일한 하나”라는 표현이 나오는 곳을 알아보자. 창세기 22장 2절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네 아들, 네 독자(유일한(야키드) 아들)를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라”라고 명하셨다. 이 “야키드”라는 말이 같은 장 12절에서 다시 쓰인다. 시편 25:16에 이 단어는 한 개인에게 적용되어 있고, 예레미야 6장 26절에는 “독자(야키드 아들)를 잃음같이 통곡할지어다”라는 말씀이 나온다.
따라서 우리는 모세 마이모닛이 지혜와 학식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유태인들에게 신앙고백을 제정해 주면서 심각한 실수를 범했음을 보게 된다. 그 신앙고백에서는 하나님께서 “유일한(야키드) 한 분”임을 고백하는데, 이는 본래 하나님의 말씀과 분명 다른 것이다. 그리하여 유태인들은 소위 “제2의 모세”라고 일컬어지는 이 자를 맹목적으로 따라서 살아 계신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는 그들의 오랜 전통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었다. 성령께서는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해 그러한 유태인들을 향해 한없이 탄식하신다. “너희가 사시는 하나님, 만군의 여호와 우리 하나님의 말씀을 망령되이 씀이니라(렘23:36).”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참된 기독교인의 신앙이다. 참된 기독교인은 세 하나님들을 섬기지 않고 성경이 말하는 “한 분”, 곧 히브리어의 “아키드”가 뜻하는 한 분을 섬기고 있는데, 이 한(아키드) 분께서는 성경에 계시된 세 분의 인격체들로 구성되어 있으시다.
(유대교인들이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는 구약마저도 현재 유대인들의 신앙인 단순한 유일신 사상보다도 현재 기독교인의 신앙인 유일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을 더 지지한다는 말입니다.)
5. one Substance, Three Persons
Much of the opposition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as arisen because of a misunderstanding of what it really is. We do not assert that one God is three Gods, nor that one person is three persons, nor that three Gods are one God. God is not three in the same sense in which He is one. To assert that He is would, indeed, make the doctrine what the Unitarians are ever fond of declaring it to be, mathematical absurdity. We assert rather that within the one Divine “substance” or “essence” there are three mutually related yet distinct centers of knowledge, consciousness, love and will. “Substance” or “essence” is that which the different members of the Godhead have in common, that in which the attributes and powers of Deity inhere; “person” is that in which they differ.
Yet while there are three centers of knowledge, consciousness, love and will, each of the Persons possesses in toto the one indivisible, incorporeal substance of Deity in which the attributes and powers inhere, and therefore possesses the same infinite knowledge, wisdom, power, holiness, justice, goodness and truth. They work together or co-operate with such perfect harmony and unity that we are justified in saying that the Triune God works with one mind and one will. What the one knows, the others know; what the one desires, the others desire; and what the one wills, the others will. Independence and self-existence are not attributes of the individual persons, but of the Triune God; hence there are not three independent wills, but three dependent wills, if we may so speak, each of which is exercised for the honour and glory and happiness of the other two.
5. 한 실체, 세 위격들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많은 비판들은 그 교리가 무엇을 말하는지 바로 이해하지 못함에 기인한다. 우리는 한 하나님께서 세 하나님들이시다라고도 안하며, 한 인격이 세 인격들이라고도 안하며, 세 하나님들이 한 하나님이시다라고도 안 한다. 하나님은 한 분이시다라고 말할 때와 하나님은 셋이시다라고 말할 때의 수는 같은 차원의 쓰임새에 있지 않다. 하나님께서 개체수 차원에서 세 분들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진정 삼위일체 교리를, 유니테리안 교도들이** 규정하고 싶어하는 것, 즉 수학적 불합리로 만들뿐이다. 우리가 주장하는 바는 이것이다. 단일한 하나님의 “실체(實體)” 또는 “본질(本質)” 안에 상호 연관을 맺으면서도 구분되어 계신, 지식과 의식(意識)과 사랑과 의지(意志)의 (정신적) 중심들이 존재하신다. “실체”나 “본질”은 하나님의 신성 안의 서로 다른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이고, 하나님의 속성들과 능력들이 내재해 있는 곳이다. “위격”은 구성원들을 서로 구분시켜 주는 차원의 것이다.
(** : 유니테리안 이단교파는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하나님의 단일 인격을 믿음)
지식과 의식과 사랑과 의지의 세 중심들이 있음에도 각각의 위격들께서는 완전한 하나의 불가분적이고 비물질적인 신적 실체를 소유하시는데, 바로 이 실체 안에 속성들과 능력들이 내재하며, 따라서 각 위격들께서는 무한한 지식, 지혜, 능력, 거룩, 의로우심, 선하심과 진리를 지니신다. 세 위격들께서는 완전한 조화와 일치 가운데 함께 사역하시거나 협력하시어서,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단 하나의 마음과 단 하나의 의지를 지닌 채 사역하신다고 해도 맞는 말이 된다. 한 위격께서 아시는 것을 다른 두 위격들께서도 아시며, 한 위격께서 원하시는 것을 다른 두 위격들께서도 원하시고, 한 위격께서 하시고자 하는 일을 다른 두 위격들께서도 하시고자 하신다. 독자성과 자존성은 각 위격들의 개별적 속성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이다**. 따라서 (하나님 안에는) 독자적인 세 의지(意志, will)들이 있는 게 아니라 세 상호 종속적인 의지들이 있는데, 예를 들자면, 한 위격의 의지는 다른 두 위격들의 명예와 영광과 행복을 위해 행사된다.
(** : 생명체의 경우 독자성의 범주는 그 생명 전체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람에게 눈이 두 개 있다고 두 사람이라고 안 한다. 눈은 온전한 한 인간 안의 부분실체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한 분이시라고 말하고, 그분께서는 독자적이시고 자존적인 존재라고 말할 때, 이는 하나님의 전체 실체(삼위일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세 위격들께서는 이 전체 실체 안에 존재하시는 세 인격들이시다.)
Much of the opposition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as arisen because of a misunderstanding of what it really is. We do not assert that one God is three Gods, nor that one person is three persons, nor that three Gods are one God. God is not three in the same sense in which He is one. To assert that He is would, indeed, make the doctrine what the Unitarians are ever fond of declaring it to be, mathematical absurdity. We assert rather that within the one Divine “substance” or “essence” there are three mutually related yet distinct centers of knowledge, consciousness, love and will. “Substance” or “essence” is that which the different members of the Godhead have in common, that in which the attributes and powers of Deity inhere; “person” is that in which they differ.
Yet while there are three centers of knowledge, consciousness, love and will, each of the Persons possesses in toto the one indivisible, incorporeal substance of Deity in which the attributes and powers inhere, and therefore possesses the same infinite knowledge, wisdom, power, holiness, justice, goodness and truth. They work together or co-operate with such perfect harmony and unity that we are justified in saying that the Triune God works with one mind and one will. What the one knows, the others know; what the one desires, the others desire; and what the one wills, the others will. Independence and self-existence are not attributes of the individual persons, but of the Triune God; hence there are not three independent wills, but three dependent wills, if we may so speak, each of which is exercised for the honour and glory and happiness of the other two.
5. 한 실체, 세 위격들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많은 비판들은 그 교리가 무엇을 말하는지 바로 이해하지 못함에 기인한다. 우리는 한 하나님께서 세 하나님들이시다라고도 안하며, 한 인격이 세 인격들이라고도 안하며, 세 하나님들이 한 하나님이시다라고도 안 한다. 하나님은 한 분이시다라고 말할 때와 하나님은 셋이시다라고 말할 때의 수는 같은 차원의 쓰임새에 있지 않다. 하나님께서 개체수 차원에서 세 분들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진정 삼위일체 교리를, 유니테리안 교도들이** 규정하고 싶어하는 것, 즉 수학적 불합리로 만들뿐이다. 우리가 주장하는 바는 이것이다. 단일한 하나님의 “실체(實體)” 또는 “본질(本質)” 안에 상호 연관을 맺으면서도 구분되어 계신, 지식과 의식(意識)과 사랑과 의지(意志)의 (정신적) 중심들이 존재하신다. “실체”나 “본질”은 하나님의 신성 안의 서로 다른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이고, 하나님의 속성들과 능력들이 내재해 있는 곳이다. “위격”은 구성원들을 서로 구분시켜 주는 차원의 것이다.
(** : 유니테리안 이단교파는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하나님의 단일 인격을 믿음)
지식과 의식과 사랑과 의지의 세 중심들이 있음에도 각각의 위격들께서는 완전한 하나의 불가분적이고 비물질적인 신적 실체를 소유하시는데, 바로 이 실체 안에 속성들과 능력들이 내재하며, 따라서 각 위격들께서는 무한한 지식, 지혜, 능력, 거룩, 의로우심, 선하심과 진리를 지니신다. 세 위격들께서는 완전한 조화와 일치 가운데 함께 사역하시거나 협력하시어서,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단 하나의 마음과 단 하나의 의지를 지닌 채 사역하신다고 해도 맞는 말이 된다. 한 위격께서 아시는 것을 다른 두 위격들께서도 아시며, 한 위격께서 원하시는 것을 다른 두 위격들께서도 원하시고, 한 위격께서 하시고자 하는 일을 다른 두 위격들께서도 하시고자 하신다. 독자성과 자존성은 각 위격들의 개별적 속성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이다**. 따라서 (하나님 안에는) 독자적인 세 의지(意志, will)들이 있는 게 아니라 세 상호 종속적인 의지들이 있는데, 예를 들자면, 한 위격의 의지는 다른 두 위격들의 명예와 영광과 행복을 위해 행사된다.
(** : 생명체의 경우 독자성의 범주는 그 생명 전체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람에게 눈이 두 개 있다고 두 사람이라고 안 한다. 눈은 온전한 한 인간 안의 부분실체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한 분이시라고 말하고, 그분께서는 독자적이시고 자존적인 존재라고 말할 때, 이는 하나님의 전체 실체(삼위일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세 위격들께서는 이 전체 실체 안에 존재하시는 세 인격들이시다.)
The error of the Unitarians is that while they construct of doctrine of the Divine unity they do so at the expense of the Divine personality. They look upon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as but three successive aspects or modes in which God reveals Himself, comparable to that of a man who is known in his own family as father, in the business world as a banker, and in the Church as an elder. Such a view gives us only a modal Trinity. Any statement of the doctrine which fails to set forth both the unity and the tri-personality of the Godhead falls short of the Scripture teaching.
Since the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possess the same identical, numerical substance or essence, and since the attributes are inherent in and inseparable from the substance or essence, it follows that all of the Divine attributes must be possessed alike by each of the three Persons and that the three Persons must be consubstantial, co-equal and co-eternal. Each is truly God, exercising the same power, partaking equally of the Divine glory, and entitled to the same worship. When the word “Father” is used in our prayers, as for example in the Lord's prayer, it does not refer exclusively to the first person of the Trinity, but to the three Persons as one God. The Triune God is our Father.
The doctrine of the Trinity cannot lead to Tritheism; for while there are three Persons in the Godhead, there is but one substance or essence, and therefore but one God. It is rather a case of the one life substance, Deity, existing consciously as three Persons. The three Persons are related to the divine substance not as three individuals to their species, as Abraham, Isaac and Jacob to human nature; they are only one God, - not a triad, but a Trinity. In the inmost depths of their being they are inherently and inescapably one.
유니테리안 교도들의 오류는 이것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단일 개체성을 주장하면서 하나님의 인격을 훼손하는 우를 범했다. 그들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을 단순히 하나님께서 연속적으로 자신을 드러내 보이시는 국면들이나 양태들로 보았는데, 이는 마치 한 사람이 집에서는 아버지, 직업 세계에서는 은행가, 교회에서는 장로인 것과 같은 거라는 주장이다. 이러한 견해를 양태적 삼위일체라고 한다. 하나님의 단일성과 세 인격을 동시에 제시하지 못하는 교리는 성경의 가르침에 미치지 못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 위격들께서 내용과 정도(程度)에 있어서 동일한 실체 혹은 본질을 지니셨고, 속성들이 그 실체 혹은 본질에 내재해 있고 거기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각각의 위격들께서 다같이 하나님의 모든 속성들을 소유하시며 세 위격들께서는 동일본질이시고 동등하시고 동등한 영원성을 지니신다. 각 위격께서는 동일한 능력을 행하시고 동일한 영광 가운데 계시고, 동일한 경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완전한 신이시다. 우리가 기도 중에, 예를 들자면 주기도문에서, “아버지”라고 부를 때, 이는 배타적으로 삼위일체의 첫째 위격(성부)만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한 하나님으로 존재하시는 세 위격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삼위일체 교리가 삼신론으로 귀결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신성 안에 세 위격들께서 존재하시지만 오직 한 실체 혹은 본질만 존재할 뿐이며, 따라서 오직 한 하나님만 계신 것이다. 이를 의식적 차원에서 세 위격들로 존재하는 하나의 생명실체 곧 한 신성으로 표현하는 게 좋을 것이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 대한 인간의 본질의 경우처럼 세 사람들이 개인자격으로 그들의 종(種)과 관계를 맺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세 위격들께서 신적 본질(실체)과 관계하신다. 그분들께서는 오직 한 하나님이시다. 세 하나님들이 아니라 한 분의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이 세 분들의 존재 가장 깊은 면을 고려하면 그분들께서는 원래 분리 불가능한 한 분이시다.
Since the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possess the same identical, numerical substance or essence, and since the attributes are inherent in and inseparable from the substance or essence, it follows that all of the Divine attributes must be possessed alike by each of the three Persons and that the three Persons must be consubstantial, co-equal and co-eternal. Each is truly God, exercising the same power, partaking equally of the Divine glory, and entitled to the same worship. When the word “Father” is used in our prayers, as for example in the Lord's prayer, it does not refer exclusively to the first person of the Trinity, but to the three Persons as one God. The Triune God is our Father.
The doctrine of the Trinity cannot lead to Tritheism; for while there are three Persons in the Godhead, there is but one substance or essence, and therefore but one God. It is rather a case of the one life substance, Deity, existing consciously as three Persons. The three Persons are related to the divine substance not as three individuals to their species, as Abraham, Isaac and Jacob to human nature; they are only one God, - not a triad, but a Trinity. In the inmost depths of their being they are inherently and inescapably one.
유니테리안 교도들의 오류는 이것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단일 개체성을 주장하면서 하나님의 인격을 훼손하는 우를 범했다. 그들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을 단순히 하나님께서 연속적으로 자신을 드러내 보이시는 국면들이나 양태들로 보았는데, 이는 마치 한 사람이 집에서는 아버지, 직업 세계에서는 은행가, 교회에서는 장로인 것과 같은 거라는 주장이다. 이러한 견해를 양태적 삼위일체라고 한다. 하나님의 단일성과 세 인격을 동시에 제시하지 못하는 교리는 성경의 가르침에 미치지 못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 위격들께서 내용과 정도(程度)에 있어서 동일한 실체 혹은 본질을 지니셨고, 속성들이 그 실체 혹은 본질에 내재해 있고 거기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각각의 위격들께서 다같이 하나님의 모든 속성들을 소유하시며 세 위격들께서는 동일본질이시고 동등하시고 동등한 영원성을 지니신다. 각 위격께서는 동일한 능력을 행하시고 동일한 영광 가운데 계시고, 동일한 경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완전한 신이시다. 우리가 기도 중에, 예를 들자면 주기도문에서, “아버지”라고 부를 때, 이는 배타적으로 삼위일체의 첫째 위격(성부)만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한 하나님으로 존재하시는 세 위격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삼위일체 교리가 삼신론으로 귀결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신성 안에 세 위격들께서 존재하시지만 오직 한 실체 혹은 본질만 존재할 뿐이며, 따라서 오직 한 하나님만 계신 것이다. 이를 의식적 차원에서 세 위격들로 존재하는 하나의 생명실체 곧 한 신성으로 표현하는 게 좋을 것이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 대한 인간의 본질의 경우처럼 세 사람들이 개인자격으로 그들의 종(種)과 관계를 맺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세 위격들께서 신적 본질(실체)과 관계하신다. 그분들께서는 오직 한 하나님이시다. 세 하나님들이 아니라 한 분의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이 세 분들의 존재 가장 깊은 면을 고려하면 그분들께서는 원래 분리 불가능한 한 분이시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12< (0) | 2012.12.06 |
---|---|
신학 & 영어 >11< (0) | 2012.12.06 |
신학 & 영어 >9< (0) | 2012.12.06 |
신학 & 영어 >8< (0) | 2012.12.06 |
신학 & 영어 >7< (0) | 201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