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27<

stevision 2012. 12. 6. 15:35

5. Christ as Our Ransomer


5. 우리의 구속주(救贖主) 그리스도


In numerous placers in Scripture Christ's work of redemption is declared to have been accomplished through the payment of a ransom. Nowhere is this set forth more clearly than in or Lord's own teaching. “The Son of man came not to be ministered unto, but to minister, and to give His life a ransom for many,” said He concerning His own mission, Matt. 20:28. ... Paul doubtless had these words in mind when he declared that Christ “gave Himself a ransom for all,” I Tim. 2:6. To the Corinthians he wrote, “Ye are not your own; for ye were bought with a price,” I Cor. 6:19, 20. The elders from the church at Ephesis were admonished to “feed the church of the Lord which He purchased with His own blood,” Acts 20:28. “Christ redeemed us from the curse of the law, having become a curse for us,” he wrote to the Galatians, 3:13.


성경 곳곳은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이 그분의 몸값 지불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리스도 자신의 가르침에 가장 분명히 나타나 있습니다. 자신의 사명에 관해 그분께서는 “인자(그리스도)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20:28)” 말씀하셨습니다. ... 바울이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을 위하여 자기를 속전으로 주셨으니(딤전2:6)”라고 했을 때, 그는 그 말씀을 염두에 두었음이 분명합니다. 그가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너희는 값으로 산 자들이니 너희는 너희 것이 아니다(고전6:19, 20)”라고 썼습니다. 에베소 교회 장로들은 “주께서 자신의 피로 사신 주님의 교회를 양육하라(행20:28)”는 권고를 받았습니다.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다(갈3:13)”는 편지를 썼습니다.


“Ye were redeemed, not with corruptible things, with silver or gold, from your vain manner of life handed down from the fathers; but with precious blood, as of a lamb without blemish and without spot, even the blood of Christ,” I Peter 1:18,19. And in the book of Revelation praise is ascribed to Christ in the words, “Thou wast slain, and didst purchase unto God with thy blood men of every tribe, and tongue, and people, and nation,” 5:9.


“너희가 너희 조상의 유전한(전승한) 망령된 행실에서 구속된 것은 은이나 금같이 없어질 것으로 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한 것이니라(벧전1:18-19).” 그리고 요한 계시록은 “주께서는 죽임을 당하시어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셨습니다(계5:9)” 말함으로 그리스도를 찬양하고 있습니다.


To “ransom” means specifically to buy back, to deliver by means of purchase; and the kindred expression, to “redeem,” means to deliver by payment of a ransom. ... No person can understand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incarnation and crucifixion of Christ until he grasps this central truth, that Jesus came into the world to give Himself a ransom for others. ... Christ, and Christ alone, was able to pay the price which would free His people from the curse of sin.


“구속(救贖, ransom)하다”는 특별히 다시 사들이는 것과 값을 치르고 구하는 것을 말하고, 같은 표현인 “redeem”은 속전(贖錢)을 치르고 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 우리가 그리스도께서 사람들을 위해 자신을 대속물로 주시려 이 세상에 오셨다는 이 중심 진리를 이해할 때 비로소 그분의 성육신과 십자가형의 목적을 이해하게 됩니다. 그리스도께서, 오직 그 분만이 자기 백성들을 죄의 저주에서 구할 대가를 치르실 수 있으셨습니다.


Dr. D. Martyn - “I do not merely decide that Christ shall be my Lord. He is my Lord, by right. I was slave of sin and Satan, and, try as I would, I could not obtain my freedom. I was never a free man, ‘I was born in sin and shapen in iniquity.’ A slave! And there would I be now, were it not that Christ came and ‘bought me with a price.’ What follows? ‘Ye are not your own.’ I am still not free! I have been bought by a new Master! I am a slave, the bond-servant of Christ! He is my Lord, for He has ought me. He does not merely ‘demand my soul, my life, my all;’ He has bought them, they are His. I am His, because He is my Lord, because He owns me, because He has bought me with His own precious blood.”


마틴 박사의 말입니다. “내가 간단히 그리스도를 내 주님으로 결정하는 게 아니다. 그분께서는 정당한 권리로 내 주님이시다. 나는 죄와 사탄의 노예였고, 내가 노력을 해봤지만 내 자유를 쟁취할 수 없었다. 난 결코 자유인이 될 수 없었고, ‘난 죄 가운데 태어났고 불의 가운데 성장했다.’ 난 노예다!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값을 치르고 나를 사시지’ 않으셨다면 난 지금도 노예일 것이다. 그 결과는? ‘너희는 너희 것이 아니다.’ 난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새 주인께서 나를 사셨다! 나는 그리스도의 노예와 종이다! 그분께서 나를 사셨으므로 그분께서 나의 주님이시다. 그분께서 단순히 ‘내 영혼과 내 생명과 내 모든 것’을 요구하시는 게 아니다. 그분께서 그것들을 사셨고, 그것들은 그분의 것이다. 그분께서 나의 주님이시고, 그분께서 나를 소유하시고, 그분께서 자신의 보혈로 나를 사셨기 때문에 난 그분의 것이다.”


Those Ransomed Must Be Set Free


구속함을 받은 자들은 반드시 풀려나야합니다


Because of what Christ has done for His people, and because of the covenant that exists between Him and the Father, all of those for whom the ransom was paid must be brought to salvation. ... Those who have been given to Christ by the Father invariably receive these influences and are effectively brought to salvation. ... “Who shall lay anything to the charge of God's elect? It is God that justifieth; who is he that condemneth?” Rom. 8:33, 34.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백성들을 위해 하신 일, 또 그분과 성부 하나님 사이에 맺어진 계약 때문에 그분의 대속의 은혜를 받은 자들 모두는 구원받아야만 합니다. ... 성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께 주신 모든 자들은 변함없이 그 (은혜의) 영향 아래에 있으며, 실제로 구원에 이르게 됩니다. ... “누가 능히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을 송사(고발)하리요. 의롭다 하신 이는 하나님이시니 누가 정죄(죄 있다) 하리요(롬8:33, 34).”


A striking illustration and a very clear warning as to what it means to lose the idea of ransoming out of Christianity is afforded in present day German religious life. The so-called “higher criticism,” more appropriately called “destructive criticism,” had its origin in that land. Unfortunately, the language employed in the German translation of the new Testament did not express the idea of ransoming, with the result that there has been a strong tendency to desupernaturalize Christianity and to present it like any other supposedly high grade religion, as merely a religion of deliverance - which deliverance might be accomplished through better morality, enlightenment, altruism, self help, etc. The result is that truly evangelical religion there has been largely dead for three generations; and the leaders of German thought, particularly those in the higher educational circles, turned to humanistic pursuits. ... The German erlosen, Erlosung, Erloser, contain no native suggestion of purchase whatever. ... Thus the German Christians have been habituated to express their conception of Christ's saving act in language which left wholly unnoticed the central fact that it was an act of purchase.


기독교에서 속죄 사상을 제거하는 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한 충격적인 예와 매우 분명한 경고는 현재의 독일 기독교계에서 볼 수 있습니다. 소위 “고등비평”, 좀 더 적절히 말해 “파괴비평”은 독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불행히도 독일어 신약성경에서 사용된 단어는 속죄의 뜻을 담고 있지 않아서 기독교의 초자연성을 제거하고, 기독교를 다른 고등종교와 같은 급으로 제시하여, 기독교를 단순한 구원 종교로 제시하고, 그 구원은 도덕, 계몽, 이타주의, 자조(自助)를 통해 더 잘 달성된다고 주장하는 경향을 강하게 보입니다. 그 결과 세 세대를 거치며 그곳의 참된 복음의 기독교는 전반적으로 죽은 상태가 되었고, 독일 사상계의 지도자들, 특히 고등교육을 받은 자들은 인본주의적 취향에 빠져들었습니다. ... 독일어 erlösen(구원하다), Erlösung(구원), Erlöser(구원자)에는 희생을 치르고 그 무엇을 획득한다는 고유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erlösen은 죄에서 구해내다, 해방시키다는 뜻이 강함. 역주) ... 그리하여 독일 기독교인들은 습관적으로 그리스도의 구원이 대가를 치르고 획득되었다는 중요한 사실을 완전히 간과한 단어를 사용하여 그 구원을 표현합니다. 

 

 

6. The Representative Principle


6. 대표 원리


We have said that at the beginning of the race Adam stood not only for himself but as the federal head and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human race which was to follow, and that Christ in His turn in both His active and passive obedience stood for all of those who were to be saved. This representative principle pervades all Scripture, and is the basis for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for the doctrine of redemption. ... It is as if God had said, If sin is to enter, let it enter by one man, so that righteousness also may enter by one man.


인간이 창조되었을 때 아담이 자신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인류 연합체의 우두머리로서 후에 타나날 온 인류를 대표하여 있었다는 것과, 이제 그리스도 차례가 되어 그분께서 자신의 능동적, 수동적 순종 가운데 모든 구원받을 자들을 대표하여 계셨음을 우리가 알아보았습니다. 이 대표원리가 전(全) 성경에 배어 있고, 원죄 교리와 구속(救贖) 교리의 기초가 됩니다. ... 이는 마치 하나님께서 죄가 세상에 들어올 게 뻔하면 그 죄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들어오게 해서 의(義)도 또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들어오게 하자 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The Scriptures teach that the race is a unit, a family, descended from a common ancestor, and bound together by blood ties.


성경은 인류가 한 사람의 조상에서 유래하고 전체가 한 혈통으로 묶여져서, 단일체요 한 가족이라 가르칩니다.


As originally created, man was perfect of his kind, possessing a positive inclination toward virtue, yet fallible. He was perfect as the bud is perfect and capable of developing into the flower, or as the acorn is perfect and capable of developing into the oak tree. He was not created as a machine or automation, but as a free moral agent who might choose evil and plunge himself and everything connected with him into disaster. It is apparently true, as Dr. Fairbairn has said, that “Moral perfection can be attained, but cannot be created; God can make a being capable of moral action, but not a being with all the fruits of moral action garnered within him.” Had Adam chosen good, then, by that very action he would have produced moral goodness, and God would have confirmed him (that is, made permanent his character) in that goodness as He has confirmed the holy angels in heaven in their goodness.


태초에 창조되었을 때 인간은 선(善)을 향한 적극적 성향을 지닌 완전한 피조물이었음에도 잘못을 범할 가능성이 있는 존재였습니다. 꽃봉오리가 완전하여 꽃으로 자랄 능력을 갖추고, 도토리가 완전하여 떡갈나무로 자랄 능력이 있듯이 인간도 완전했습니다. 인간은 보통 혹은 자동 기계로 피조되지 않고, 악을 선택하여 자기 자신, 그리고 자신과 관계된 모든 것들을 파멸로 이끌 수도 있는, 자유의지를 가진 도덕적 행위자로 창조되었습니다. 패어바이언(Fairbairn) 박사가 진리를 말했습니다. “도덕적 완전은 창조될 수 있는 게 아니라 획득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제 안에 모든 도덕적 행위의 열매들을 저장하고 있는 존재가 아니라 도덕적 행위가 가능한 존재를 창조하실 수 있으시다.” 아담이 선(善)을 택했다면 바로 그 행위로 그는 도덕적 선을 만들어 낸 것이고, 하나님께서도 천국에서 거룩한 천사들의 선함을 인정해 주셨듯이 아담의 선행과 관련하여 아담도 인정해 주실 것입니다(즉, 아담의 성품을 영원히 보존해 주실 것입니다).


In language which is at once childlike and profound the third chapter of Genesis tells us of the fall of the human race. Man had his most fair and favorable chance there in the Garden of Eden; and with his eyes open and in spite of the clearest warning as to what the consequences would be, he chose evil instead of good. The Scriptures assert, and the experience of the race from that hour to this bears witness to the truth of the assertion, that Adam fell and that all of his descendants are born into that same state of moral depravity into which he fell. But they also teach that because of the organic unity of the race it was possible for Christ to enter into a “Covenant of Redemption” with God the Father whereby He should act for His people in precisely the same capacity as Adam had acted for the race, providing, on the one hand, that the penalty for their sin should be laid on Him, and on the other, that the merits of His sinless life and of His suffering should be set to their account.


천진난만하고도 심오한 어조로 창세기 삼 장은 우리에게 인류의 타락을 이야기해 줍니다. 인간은 거기 에덴 동산에서 자신에게 가장 공정하고도 유리한 기회를 부여받았지만, 두 눈 시퍼렇게 뜨고 범죄시 결과가 너무나도 확실한 경고도 무릅쓰고 선 대신에 악을 택했습니다. 성경도 말하고 있고 태초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인류 경험이 증언하는 바는, 아담이 타락했고 그의 모든 후손들도 그가 빠졌던 것과 동일한 도덕적 타락의 상태 가운데 태어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이 또한 가르치길, 인류가 유기적 단일체이기 때문에 그리스도께서 성부 하나님과 “구속(救贖) 계약”을 맺으실 수 있으셨고, 그 계약으로 인해 그분께서는 아담이 인류의 대표였던 것처럼 자기 백성을 대표하여 행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때 인류의 죄로 인한 형벌은 그분께 전가되고 그분의 무죄한 삶과 고난의 공로는 인간들의 것이 된다는 조건하에 그런 일이 성사된다고 성경은 가르칩니다.


“... If by the trespass of the one the many died, much more did the grace of God, and the gift of the grace of the one man, Jesus Christ, abound unto the many ... So then as through one trespass the judgment came unto all men to condemnation; even so through one act of righteousness the free gift came unto all men to justification of life. For as through the one man's disobedience the many were made sinners, even so through the obedience of the one shall the many be made righteous,” Rom. 5:12-19. “For as in Adam all die, so also in Christ shall all be made alive,” I Cor. 15:22. (The meaning here, as the context makes clear, is that as all descended from Adam partake of his sin and die, so also all who by faith are “in Christ” shall be made alive. In the writings of Paul to be “in Christ” means to be vitally connected with Him, to be saved. He repeatedly declares that those who are “in Christ” have been made alive spiritually. Those who are not “in Christ” are still spiritually dead.)


“... 한 사람이 범죄하여 많은 자들이 죽는다면 더욱 하나님의 은혜와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선물과 은혜가 많은 자들에게 풍성히 주어집니다. ... 그런즉 한 범죄로 많은 사람이 정죄에 이른 것같이 의(義)의 한 행동으로 말미암아 값없이 주는 은혜로 많은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릅니다. 한 사람의 순종치 아니함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 된 것같이 한 사람의 순종하심으로 많은 사람이 의인이 됩니다. (롬5:12-19).”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고전15:22).” (문맥을 살펴보면 이 말씀의 의미는 모든 아담의 자손들이 그의 죄와 죽음에 참여하듯, 믿음으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자들이 생명을 얻는다는 말입니다. 바울의 글들에서 “그리스도 안에” 있다의 의미는 그분과 생명 관계 가운데 있음과 구원받았다는 의미입니다. 거듭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이 영적으로 살아 있는 자들이라고 선언합니다. “그리스도 안에” 있지 않는 자들은 여전히 영적으로 죽어 있는 자들입니다.)


In Christian theology there are three separate and distinct acts of imputation. In the first place Adam's sin is imputed to all of us, his children, that is, judicially set to our account so that we are held responsible for it and suffer the consequences of it. This is commonly known as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In the second place, and in precisely the same manner, our sin is imputed to Christ so that He suffers the consequences of it. And in the third place Christ's righteousness is imputed to us and secures for us entrance into heaven. ... To reject any one of these three steps is to reject an essential part of the Christian system.


기독교 신학에는 세 가지 각각의 구별된 전가가 있습니다. 첫째로, 아담의 죄는 그의 후손인 우리 모두에게 전가되는데, 즉 그의 죄가 법적으로 우리의 것이 되어 우리가 그 책임을 지고 그 대가를 치르게 됩니다. 이것을 보통 원죄 교리라고 하지요. 둘째로, 정확히 그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리의 죄가 그리스도께 전가되어 그분께서 그 대가를 치르십니다. 셋째로, 그리스도의 의(義)가 우리에게 전가되고, 그분의 의가 우리의 천국길을 마련해줍니다. ... 이 세 단계들 중 어느 하나라도 부인하는 것은 기독교 교리의 핵심을 부인하는 것입니다.


And the writer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after saying that Christ became incarnate in order that He might perform His redemptive work, adds: “For verily not to angels doth He give help, but He giveth help to the seed of Abraham,” 2:16. Since each angel stood his test individually, he is therefore personally and solely responsible for his own condition. But mankind which fell through the act of a representative without personal guilt can be redeemed through the act of a representative without personal merit.


히브리서 기자는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구속사역을 수행하시려 성육신하셨다 하며, 다음의 말을 잇습니다. “이는 실로 천사들을 붙들어 주려 하심이 아니요 오직 아브라함의 자손을 붙들어 주려 하심이라(히2:16).” 각 천사들은 개인적으로 시험대에 서 있어서 자신의 처지에 대해 개인적으로 그리고 유일하게 자신만이 책임을 집니다. 그러나 개인의 죄책과 무관하게 대표의 행위로 타락한 인류는 개인적 공로 없이 대표의 행위로 구원받을 수 있습니다.


The representative principle is certainly not foreign to or way of life, nor is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eople of a state act in and through their representatives in the Legislature. If a country has a good president or king, all of the people share the benefits; if a bad president or king, all suffer the consequences. Children are recognized as the rightful and legal heirs of their parents' wealth and good name, and to a considerable extent inherit even their ment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대표(대리) 원리는 분명 인간의 삶의 방식에 낯선 것도 아니고 이해하기 힘든 것도 아닙니다. 국민은 자신들의 입법부 대리자들(국회의원들) 안에서, 그들을 통하여 행동합니다. 나라의 대통령이나 왕이 선하면 국민 모두가 유익을 함께 나눕니다. 대통령이나 왕이 악하면 모든 자들이 그 때문에 고통을 당합니다. 자식들은 자기 부친의 부(富)와 명예로운 성(姓)을 정당하게 법적으로 물려받는 자들로 인정되고, 아버지의 정신적, 육체적 특징들을 상당량 물려받습니다.


Dr. Charles Hodge says. “This representative principle pervades the whole Scriptures. The imputation of Adam's sin to his posterity is not an isolated fact. It is only an illustration of a general principle which characterizes the dispensations of God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ld. God declares Himself to Moses as one who visits the iniquity of the fathers upon the children, and upon the children's children unto the third and to the fourth generation, Ex. 34:6, 7. ... The curse pronounced on Canaan fell on his posterity. Esau's selling his birthright shut out his descendants from the covenant of promise. ... God said to Eli that the iniquity of his house should not be purged with sacrifice and offering for ever. To David it was said, ‘The sword shall never depart from thy house; because thou hast despised me, and hast taken the wife of Uriah the Hittite to be thy wife.’ ... When God entered into covenant with Abraham, it was not for himself only but for his posterity. ... And the Jews to this day are suffering the penalty of the sins of their fathers for their rejection of Him of whom Moses and the prophets spoke. ... The punishment of the felon involves his family in his disgrace and misery. ... The idea of the transfer of guilt or of vicarious punishment lies at the foundation of the expiatory offerings under the Old Testament, and of the great atonement under the new dispensation. To bear sin is, in Scriptural language, to bear the penalty of sin. ... That animal must be free from all defect or blemish to make it the more apparent that its blood was shed not for its own deficiencies but for the sin of another. All this was symbolical and typical. ... And this is what the Scriptures teach concerning the atonement of Christ. He bore our sins; He was a curse for us; He suffered the penalty of the law in our stead. All this proceeds on the ground that the sins of one man can be justly, on some adequate ground, imputed to another.”


핫지 박사는 말합니다. “이 대표원리는 성경 전체에 스며있습니다. 아담의 죄가 그의 후손에게 전가되는 것이 전가의 유일한 예가 아닙니다. 그것은 태초부터 계속된 하나님의 법의 시행을 특징짓는 보편원리의 실례(實例)일 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당신 자신을 가리켜 아비의 죄를 자식에게, 손자에게, 삼(三)사(四) 대 자손에게까지 갚아주시는 분이시라 하셨습니다(출34:6, 7). ... 가나안에게 선언된 저주는 그의 후손에 임했습니다. 에서가 자기 장자권을 팖으로 그의 후손이 언약의 후손에 들지 못하게 했습니다. ... 하나님께서는 엘리에게 그의 집안의 죄가 영원히 희생제물이나 헌물로도 사함 받지 못할 것이라 하셨습니다. 다윗은 ‘네가 나를 멸시하여 헷 사람 우리아의 아내를 취해 처로 삼았으니 칼이 영원히 네 집안에서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계약을 맺으셨을 때 그 계약은 아브라함 혼자 만이 아니라 그의 자손들도 위한 것입니다. ... 유태인들은 그들의 조상들이 모세와 선지자들이 예언한 그리스도를 거부한 죄의 형벌을 오늘날까지 감당하고 있습니다. ... 흉악범에 대한 형벌은 그 자의 치욕과 불행을 고려할 때 그의 가족에게까지 부과되는 것입니다. 죄책(罪責)의 전가와 대리형벌 사상은 구약 속죄 제물의 근거요 새 시대 위대한 속죄의 근거가 됩니다. 성경적 표현으로 죄를 감당한다는 것은 죄의 형벌을 감당한다는 말입니다. ... 제물로 쓰이는 동물이 전혀 흠이 없어야 한다는 사실은 그것의 피가 자기의 잘못이 아니라 타인의 죄 때문에 흘려진다는 것을 더욱 분명히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상징적이고 예표적인 것입니다. ... 그리고 이것이 바로 성경이 그리스도의 속죄에 대해 가르쳐주는 내용입니다. 그분께서는 우리를 위해 저주받으시고, 그분께서는 우리를 대신하여 율법의 형벌을 받으셨습니다. 이 모든 것은 한 사람의 죄가 정당하게, 그리고 어떤 적절한 타당성이 있어서 타인에게 전가된다는 근거 하에 이루어집니다. 

 

 

Strange as it may seem, there are many professing Christians in our day who, while readily acknowledging that our salvation comes from Christ, deny that we inherit any guilt and corruption from Adam. Such a position is, of course, utterly inconsistent, and can have no other effect than to undermine true Christianity. If we accept the doctrine of salvation through Christ we have no right to deny the supplementary and equally Scriptural doctrine of condemnation and ruin through Adam. Unless we are fallen in Adam there is, in fact, no reason why we should be redeemed through Christ. ... The Scriptures teach that the principles upon which sin and misery came upon the race through Adam are identical with those upon which righteousness and blessedness come upon the elect through Christ. False views concerning our relation to Adam and the effect that his work has had upon the entire race must inevitably produce false views concerning our relation to Christ and His work of redemption. These two doctrines are strictly parallel, and must stand or fall together. They cannot be separated without destroying the logical consistency of the Christian system.


좀 이상해 보일 수도 있는데, 요즘 우리의 구원이 그리스도로부터 온다고 기꺼이 인정하면서도 우리가 아담으로부터 죄책과 부패를 물려받았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신앙심이 있다하는 기독교인들이 많습니다. 물론 그러한 입장은 완전 비일관적인 것이고, 참된 기독교를 훼손하는 결과만 초래할 뿐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 교리를 받아들인다면 보충적이고 동등하게 성경적인 교리인, 아담을 통한 정죄와 파멸 교리를 부인할 정당성이 없습니다. 우리가 아담 안에서 타락하지 않는다면 사실 우리가 그리스도를 통해 구속함을 받게 된다는 근거가 없습니다. ... 성경은 죄와 불행이 아담을 통해 인류에게 들어온 원리가 그리스도를 통해 의(義)와 복이 선택된 자들에게 임하는 원리와 동일하다고 가르칩니다. 아담과 우리의 관계에 대한, 아담의 행위가 온 인류에게 끼친 영향에 대한 그릇된 견해는 불가피하게 그리스도와 우리의 관계와 그분의 구속사역에 대한 그릇된 견해를 낳게 합니다. 이 두 교리들은 엄격히 공존하며 운명을 같이 합니다. 이 두 교리들이 서로 분리되면 반드시 기독교 진리의 논리적 일관성이 파괴되고 맙니다.


7. The Extent of the Atonement


7. 속죄(구속)의 범위


One further important question which presets itself in connection with the doctrine of atonement is this: Did the death of Christ have special reference to particular individuals who had been given to Him by the Father and who were therefore definitely foreknown as His people; or was it intended for the whole race alike, for every individual without distinction or exception? Or in other words, Was the death of Christ designed to render certain the salvation of particular individuals, or was it designed merely to render possible the salvation of all men? These divergent views have usually been discussed under the terms Calvinism and Arminianism, - Calvinists holding that in the intention and secret purpose of God Christ died only for His people, His elect, and that His death had only an incidental reference to others in so far as they are partakers of common grace, while Arminians hold that He died for all men alike.


또 다른 중요한 질문은 속죄 교리와 관계되어 자신의 위치를 잡고 있는 바로 이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죽음이 특별히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그분께 주어진, 그리하여 그분의 백성으로 분명히 예지(豫知)된 특정인들에게만 해당되나?’, 아니면 ‘그분의 죽음이 동일하게 모든 인류, 차별이나 예외 없이 모든 자들을 위한 것인가?’ 환언하여, 그리스도의 죽음이 특정 개인들의 구원만을 확실히 보장하나, 아니면 그저 모든 사람들의 구원을 가능케 하기 위함인가? 이러한 다양한 견해들은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토론되었습니다. 칼빈주의는 하나님의 의도와 목적 가운데 그리스도께서 오직 그분의 백성, 그분의 선민(選民)만을 위해 죽으셨고, 그분의 죽음은 그 외의 사람들에게는, 그들이 일반 은혜만의 수혜자인 한, 우연한 관계에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아르미니우스주의는 그분께서 동일하게 모든 자들을 위해 죽으셨다고 주장합니다.


>> 특별은혜는 그리스도의 대속의 은총과 하나님 아버지의 자녀로서 받는 은총을 말하며, 일반은혜는 창조주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고 인간들 모두에게 생명을 유지하고 살 수 있도록 베푸신 복을 말합니다. <<


He may save few, many, or all members of the human race as He sees fit. That He does not save all is clearly evident both from the teaching of Scripture and from what we see taking place in the world about us. Just why He does not save all when the sacrifice of Christ is in itself objectively sufficient to save all and He has the power to work mightily in the hearts of all so that they would be save, we are not able to say.


그분께서는 소수의 사람들만, 혹은 많은 사람들을, 혹은 그분께서 괜찮다고 여기실 경우 온 인류를 구원하실 수 있으십니다. 그분께서 모든 자들을 구원하지 않으셨다는 것은 성경의 가르침과 우리가 보고 있는, 주위의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고려할 때 분명합니다. 그리스도의 희생 자체가 객관적으로 온 인류를 구원하기에 충분하고, 하나님께서 모든 자들의 마음에 강하게 역사하시어 그들을 구원받게 하실 능력이 있으심에도 그분께서 모든 자들을 다 구원하시지 않는 이유를 우리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But as relates to the extent of the atonement, the doctrine of the foreknowledge of God is in self sufficient to prove that in the plan of God Christ died only for those who are actually saved. For does not God have exact foreknowledge of all things? Is not His ability to predict even the details of history thousands of years in advance based on His foreknowledge? That He does have the foreknowledge is admitted by evangelical Arminians as well as by Calvinists. And since He does have this foreknowledge He could not have sent Christ with the intention of saving those who He positively foreknew would be lost. For as Calvin remarks, “Where would have been the consistency of God's calling to Himself such as He knows will never come?” That a man's accomplishments oftentimes do not measure up to his expectations is due to his lack of foresight or to his lack of ability to accomplish what he purposes. But even a man does not expect what he knows will not be accomplished. If he knows, for instance, that out of a group of thirty persons who might be invited to a banquet a certain twenty will accept and ten will not, then, even though he may still make his invitation broad enough to include the thirty, he expects only the twenty, and his work of preparation is done only on their behalf. ... They do but deceive themselves who, admitting God's foreknowledge, say that Christ died for all men; for what is that but to attribute folly to Him whose ways are perfect? To represent God as earnestly striving to do what He knows He will not do is to represent Him as acting foolishly.


하지만 속죄의 범위에 관해서라면 하나님의 예지(豫知) 교리가 그 자체로 하나님의 계획 가운데 그리스도께서 실제로 구원받는 자들만을 위해 죽으셨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충분합니다. 그 이유를 따지자면, 하나님께서 만유(萬有)에 대한 정확한 예지를 갖고 있지 않으시나요? 수천 년을 앞서 상세한 역사를 예견하시는 그분의 능력이 그분의 예지에 기초해 있지 않나요? 그분께서 예지를 갖추고 계시다는 사실은 칼빈주의자들 뿐만 아니라 복음주의적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분께서 이 예지를 갖추고 계시므로 그분께서 분명 딴 길로 갈 자들로 알고 계신 자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셨을 리가 없습니다. 칼빈의 말입니다. “하나님께서 아시고 계시기에 절대 돌아오지 않을 자를 그분께서 자신에게로 부르신다는 것에 무슨 일관성(타당성)이 있습니까?” 자주 인간의 업적이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것은 그의 예지력 결핍과 그가 목적한 바를 성취할 능력의 부족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간이라도 자신이 알기로 성취될 수 없는 일은 기대하지도 않습니다. 예를 들어, 그가 잔치에 초대될 삼십 명의 사람들 중에 어떤 이십 명은 초대에 응하고 열 명은 거절할 것임을 알고 있다면, 그 경우 그가 광범위하게 삼십 명을 초대할지라도 오직 이십 명만 올 것을 기대하고 잔치 준비도 그들만을 위해 할 것입니다. ... 하나님의 예지를 인정하면서도 그리스도께서 모든 자들을 위해 죽으셨다고 주장하는 자들은 스스로를 속이고 있을 뿐입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생각이 행동 방식이 완전하신 분께 어리석음이라는 속성을 부여하는 게 아니고 무엇입니까? 자신이 알기로 자신이 하지 않을 일을 열심히 이루려 애쓰는 분으로 하나님을 묘사하는 것은 그분을 어리석게 행동하는 분으로 묘사하는 것입니다.


>> 예정에 관한 제 의견은 전에 “성경적 예정론”이라는 제하의 글을 올려놓은 적이 있습니다. << 

 

In accordance with this obvious truth the Scriptures teach that Christ died specifically for His people; and nowhere do they teach, either directly or by good and necessary inference that He died for all men alike. Those for whom He died are referred to as His people, my people, the sheep, the church, many, or other terms which mean less than the entire human race: e.g., Thou shalt call His name Jesus; for it is He that shall save His people from their sins, Matt. 1:21. He was cut off out of the land of the living for the transgression of my people to whom the stroke was due, Is. 53:8. I lay down my life for the sheep, John 10:15. The Good shepherd layeth down His life for the sheep, John 10:11. To the unbelieving Jews Jesus said, Ye believe not, because ye are not of my sheep, John 10:26. It was the church of the Lord, which He purchased with His own blood, Acts 20:28. Christ loved the church and gave Himself up for it, Eph. 5:25. He bare the sin of many, Is. 53:12. Christ was once offered to bear the sins of many, Heb. 9:28. I pay not for the world, but for those whom thou hast given me; for they are thine, John 17:9. The high priest of ancient Israel offered sacrifice, not for the whole world, but only for the penitent children of Israel. And under the symbolism of the bride and the Lamb the book of Revelation portrays Christ's peculiar and electing and discriminating love for His people, 21:2, 9.

 

이 분명한 진리(예수께서 구원받을 자들만을 위해 죽으셨다는 사실)와 일치되게 성경은 그리스도께서 특별히 그분의 백성들을 위해 죽으셨다고 가르치고, 성경 그 어느 곳도 직접적으로나, 훌륭한 그리고 필요한 추론을 하여 그분께서 차별 없이 모든 자들을 위해 죽으셨다고 가르치지 않습니다. 그분께서 위하여 죽어주셨던 자들은 그분의 백성, 내 백성, 그 양들, 그 교회, 많은 자들, 혹은 온 인류보다 규모가 작은 자들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여 칭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마1:21). 그가 산 자의 땅에서 끊어짐은 마땅히 형벌 받을 내 백성의 허물을 인함이라(사53:8). 나는 양(the sheep, 대상이 정해진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노라(요10:15).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린다(요10:11). 믿지 않는 유대인들에게 예수께서는 너희가 내 양이 아니므로 믿지 아니하는도다(요10:26)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주께서 자기 피로 사신 교회는 바로 주님의 교회였습니다(행20:28).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시어 교회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셨습니다(엡5:25). 그분께서 많은 사람들의 죄를 담당하셨습니다(사53;12). 그리스도께서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시려고 단번에 드리신 바 되셨습니다(히9:28). 내가 비옵는 것은 세상을 위함이 아니요 아버지께서 내게 주신 자들을 위함이니이다. 저희는 아버지의 것이로소이다(요17:9). 옛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은 전세계 사람들을 위함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회개하는 자들만을 위해 희생제사를 드렸습니다. 신부와 양의 상징을 통해 요한 계시록은 그리스도의 자기 백성에 대한 특별하고도 선택적이고도 차별적인 사랑을 기록하고 있습니다(계21:2, 9).

 

(That) Christ's death had special reference to His people is set forth when He is said to have been a ransom, - The Son of man came not to be ministered unto, but to minister, and to give His life a ransom for many, Matt. 20:28. The nature of a ransom is such that when paid and accepted it automatically frees those for whom it was intended. No further obligation can be charged against them. If the death of Christ was a ransom for all men alike, if by His death He purchased all mankind, then the regenerating and cleansing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He purchased for them must then be communicated not merely to some but to all alike, and the penalty of eternal punishment cannot be justly inflicted on any. If, as we have said, God is so just that He cannot pardon sin without an atonement, He would certainly be most unjust if He demanded the penalty twice over, once from the Substitute and again from the persons themselves.

 

그리스도의 죽음이 그분의 백성과 특별한 관련이 있었다는 사실은 그분께서 대속물이셨다는 데에서 분명해집니다. 인자(그리스도)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20:28). 대속물은 제공되고 받아들여졌을 때 자동적으로 그것으로 구하려 했던 자들을 해방시켜주는 특성이 있습니다. 더 이상 해방된 자들에게 그 어떤 요구도 할 수 없습니다. 만약 그리스도의 죽음이 동일하게 모든 자들을 위한 대속물이었고, 자신의 죽음으로 그분께서 온 인류를 사셨다면, 그분께서 그들을 위해 대가를 치르고 확보하셨던 성령의 중생과 씻음의 능력이 일부 사람들에게만이 아니라 동일하게 모든 자들에게 주어져야 하고, 영원한 형벌의 죗값은 그 어떤 자들에게도 정당하게 부과될 수 없을 것입니다. 전술했다시피 하나님께서 의로우셔서 속죄 없이 죄를 용서하실 수 없으시다면 그분께서 두 번의 죗값을, 한 번은 대리자에게 또 한 번은 당사자들에게 거듭 부과하실 경우 분명 가장 불의한 분이 되실 것입니다.

 

The notion that God has ever striven to accomplish a purpose and has failed, particularly the notion that He can be defeated by the will of puny man, is contradicted by the strong emphasis that the Scriptures place on the sovereignty of God. To cite only a few examples: He doeth according to His will in the army of heaven, and among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and none can stay His hand, or say unto Him, What doest thou?, Dan. 4:35. ... Jehovah of hosts hath sworn, saying, Surely, as I have thought, so shall it come to pass; and as I have purposed, so shall it stand. ... For Jehovah of hosts hath purposed, and who shall annul it? and His hand is stretched out, and who shall turn it back? Is. 14:24, 27. ... Is anything too hard for Jehovah? Gen. 18:14. ... All authority hath been given unto me [Christ] in heaven and on earth, Matt. 28:18.

 

하나님께서 어떤 목적을 이루시려 애쓰셨음에도 실패하셨다는 생각, 특히 그분께서 하찮은 인간의 의지로 인해 실패하셨다는 생각은 성경이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강조한 것에 상치합니다. 몇 가지 예만 들어보지요. 하늘의 군사에게든지 땅의 거민에게든지 그는 자기 뜻대로 행하시나니 누가 그의 손을 금하든지 혹시 이르기를 네가 무엇을 하느냐 할 자가 없도다(단4:35). ... 만군의 여호와께서 맹세하여 가라사대 나의 생각한 것이 반드시 되며 나의 경영한 것이 반드시 이루리라. ... 만군의 여호와께서 경영하셨은즉 누가 능히 그것을 폐하며 그 손을 펴셨은즉 누가 능히 그것을 돌이키랴(사14:24, 27). ... 여호와께 능치 못한 일이 있겠느냐(창18:14). ...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그리스도)게 주셨으니(마28:18).

 

Certainly these verses teach that God is the sovereign Ruler of heaven and earth, that the entire course of events is under His providential control, and that nothing does or can occur except by either His decretive or permissive will. Since the atonement was worked out by God Himself we may rest assured that it is therefore fully adequate to accomplish the purpose for which it as intended. That any particular person fails to be saved by it can be no other rason than that he was not included in the plan of redemption. For if pardon has been purchased for all, then of necessity all would have been saved; for universal redemption means universal salvation.

 

분명 이러한 성경 구절들은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의 최고 통치자이시고, 일들의 모든 과정은 그분의 섭리하에 있고, 모든 일은 그분의 명령적 또는 허용적 의지에 의해서만 일어나고 있고, (그 의지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속죄가 하나님 자신에 의해 이룩된 것이므로 우리는 그 속죄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완전 충분한 것이었다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어느 특정 개인이 그 속죄에 의해 구원받지 못한다는 사실은 그가 구속의 계획에서 제외되어 있었다는 말 밖에 안됩니다. 왜냐하면 용서가 모든 자들을 위해 값을 치르고 확보되었다면 필연적으로 모든 자들이 구원받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보편(만인) 속죄가 보편 구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God has lost none of His power, and it is highly dishonoring to Him to suppose that He is struggling along with the human race doing the best He can but unable to accomplish His purposes. The Arminian idea which assumes that the serious intentions of God may in some cases be defeated, and that man, who is not only a creature but a sinful creature, can exercise veto power over the plans of Almighty God, is in striking contrast with the Biblical idea of His immeasurable greatness and exaltation by which He is removed from all the weakness of humanity. ... To suppose that His plans fail and that He strives to no effect, is to reduce Him to the level of His creatures.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권세를 잃으신 적이 없으십니다. 그리고 그분께서 최선을 다해 인간과 겨뤘지만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셨다는 망상은 그분께 매우 큰 모욕입니다. 하나님의 진지한 의도가 어떤 경우에는 실패할 수 있고, 피조물일 뿐만 아니라 죄인이기도 한 인간이 전능하신 하나님의 계획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의 생각은 인간의 모든 약점을 초월하는 그분의 무한한 위대성과 높으심을 말하는 성경의 가르침에 반대됩니다. ... 그분의 계획이 실패하고 그분께서 헛되이 힘을 쓰신다는 생각은 그분을 그분의 피조물들의 수준으로 끌어내리는 짓입니다.

 

The Scriptures teach that from all eternity the Father gave to the Son a people, the elect, an innumerable multitude, for whom the Son on His part met the requirements of justice at the appointed time. There are, of course, some who, either because they are not acquainted with the Scripture, or because they have never given the matter serious study, deny that there has been any such things as an election at all. They start at the very word as though it were a spectre just come from the shades and never seen before. Yet, in the New Testament alone, the words ekletos, ekloga, and eklego, elect, election, choose, are found some forty-seven or forty-eight times. Five times in the seventeenth chapter of John Jesus refers to those given [Him] by the Father. In writing to the saints at Ephesus Paul declares that God chose us in Him [Christ]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that is, in eternity] ... having foreordained us unto adoption as sons through Jesus Christ unto Himself, according to the good pleasure of His will, Eph. 1:4, 5. The love which caused God to send Christ into the world to suffer and die was not a general and indiscriminate and ineffectual love of which all persons equally are the objects, but a peculiar, mysterious, infinite love for His elect, His chosen.

 

성경은 영원 전에 성부 하나님께서 성자 하나님께 한 백성, 선민들, 수많은 자들을 주셨고, 성자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위해 정해진 때에 공의가 요구하는 바를 충족시키셨다고 가르칩니다. 물론 성경을 모르거나 그러한 문제에 대해 결코 진지한 접근을 하지 않아서, (하나님의) 선택이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러한 단어가 마치 전에 결코 본 적이 없는, 으슥한 곳에서 뛰쳐나온 유령이라도 되는 양 그 단어를 (공격의) 시작점으로 삼으려 합니다. 그러나 신약 성경만 보더라도 ekletos, ekloga, eklego, 선택하다, 선택, 택하다라는 단어들이 47이나 48회 정도 나옵니다. 요한복음 17장에서 예수께서는 아버지께서 [자기에게] 주신 자들이라는 말을 다섯 번이나 하셨습니다. 에베소 교회 성도들에게 쓴 편지에서 바울은 하나님께서 창세 전에(즉 영원 전에) 그분(그리스도) 안에서 택하시어 ...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다(엡1:4, 5)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으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보내시어 고난 받고 죽게 하신 그 사랑은 모든 자들을 대상으로 한 일반적이고 무차별적이고 비효과적인 사랑이 아니라 그분의 선민들, 그분의 택함을 받은 자들을 향한 특별하고도 신비롭고도 무한한 사랑입니다.

 

 

The Universalistic Passages


보편구원론적 성경구절들


There are, of course, a considerable number of Scripture references which are often quoted to prove that Christ died for all men alike. But none of them definitely teach universal redemption. When in Col. 1:28, for example, Paul refers to his work of “admonishing every man and teaching every man in all wisdom, that we may present every man perfect in Christ,” he could not have meant that he expected every man in the world to be made perfect in Christ. Evidently the wards “every man” refer to those spoken of in the immediate context, namely, to “His saints” mentioned in verse 26, to whom he says God was pleased to reveal these things. ... When we read the historic words, “England expects every man this day to do his duty,” we readily understand that Admiral Nelson had in mind not every man throughout the world, nor even every Englishman, but only those who were about to engage on the side of england in the battle of Trafalgar.


물론 성경에는 그리스도께서 차별 없이 모든 자들을 위해 죽으셨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인용되는 구절들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구절들 중 명확히 보편구원을 가르치는 구절은 하나도 없습니다. 예를 들어 골1:28에서 바울이 “각 사람(every man, 각각의 모든 사람)을 권하고 모든 지혜로 각 사람을 가르침은 각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 함이니”라고 했을 때 그가 의미했던 것은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다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해지기를 바란다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분명 “각 사람”이라는 단어는 문맥상 직접적 관계에 있는 자들, 곧 26절에 나온 “그의 성도들”을 말하고 있고,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이러한 것들을 계시해 주시기를 기뻐하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 “영국은 각자 모든 자들이 오늘 자신의 임무를 다 해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라는 역사적인 말을 읽을 때 우리는 넬슨 제독이 전 세계 사람들 전체나 영국 사람들 전체를 염두에 두지 않고 이제 막 영국 군인으로서 트라팔가 전투에 임하는 자들을 생각하고 있었을 거라고 쉽게 이해합니다.


In a number of the supposedly universalistic passages in which “all” or “all men” are mentioned, the reference is not to all men individually, but to “all kinds of men,” Jews and Gentiles, without reference to nationality, color, or social position, and to women and children as well. In some fifty places throughout the new Testament the words “all” and “every” are used in a limited sense, e.g.: “Ye shall be hated of all men for my name's sake,” Matt. 10:22. “All hold John as a prophet,” Matt. 21:26. “There went out a decree from Caesar Augustus, that all the world should be enrolled ... and all went to enroll themselves, every one to his own city,” Luke 2:1-3.


“모든”이나 “모든 자들”이 나오는 이른바 보편구원론적 구절들의 상당수에서 그 단어가 뜻하는 바는 개인적으로 모든 자들이 아니라 “모든 부류의 사람들”, 즉 국적, 피부색,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또 여자나 아이 됨과 관계없이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을 말합니다. 신약성경을 통틀어 50여 군데에서 “모든”과 “각각의 모든”이라는 단어는 제한적 의미로 쓰였습니다. 예를 들어, “너희는 내 이름으로 인해 모든 자들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다(마10:22).” “모든 자들은 요한을 선지자로 여긴다(마21:26).”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천하의 모든 자들은 호적하라 명을 내렸고 ... 모든 자들은 각자 다 자기 고향에 가서 호적했다(눅2:1-3).”


In not one of the foregoing instances does the word “all” mean all men without exception living on the earth at the time the words were spoken, much less does it mean all who had lived in the past, together with all who were to live in the future. Clearly the doctrine of universal redemption cannot be based on the words “all” or “every” or the phrase “all men.”


위에 언급된 예들 중 그 어느 하나도 “모든 자들”이라는 단어를 그 단어가 말해질 당시의 세상 사람들 전체를 뜻하는 말로 쓰지 않았고, 더더욱 그 이전이나 이후의 사람들 전체를 다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분명 “모든”이나 “각각 모두”나 “모든 자들”이라는 단어들은 보편구원론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Nor does John 3:16 teach universal redemption as is so generally assumed, -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begotten Son, that whosoever believeth on Him should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In the first place this verse teaches that the redemption which the Jews thought to monopolize is universal as to space. God so loved the world, not just a little portion of it, nor one small nation, but the world as a whole, Jews and Gentiles, white and colored, brown and yellow, rich and poor, free and slave, that He gave His only begotten Son for its redemption. And not only the extensity, but the intensity of God's love is made plain by the little word “so”, -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begotten Son to die for it. Moreover it is the world that is to be redeemed or Christianized. While numerous individuals are lost, in the final analysis the great majority of the human race is to be found among the saved. This verse does not say that God gave His Son that none should perish, or that all should have eternal life, but that those who believe on Him should be saved, - and from other Scripture we learn that only a portion of those who hear the message do believe, and that those believe only because divine grace causes them to believe: “Except one be born anew (marginal reading: born from above), he cannot see the kingdom of God,” John 3:3. “No one can come to me, except the Father that sent me draw him,” John 6:44. Nowhere does Scripture either directly assert or imply that Christ died in the stead of all men, or with the purpose of saving all men.


요3: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so)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라는 말씀도 매우 많은 자들이 생각하듯 보편구원을 가르치고 있는 게 아닙니다. 먼저 이 구절은 유대인들이 독점하고 있다고 여겨졌던 구원이 지역의 측면에서 보편적인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하나님께서는 단지 세상의 작은 일부분이나 하나의 소국(小國)을 그처럼 사랑하시는 게 아니라 유대인과 이방인, 흑인과 백인, 갈색인종과 황인종, 부자와 가난한 자, 자유자나 노예 이렇게 세계 전체를 이처럼 사랑하시어 그들을 구원하시려 독생자를 주셨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사랑의 범위뿐만 아니라 그 크기도 이 짧은 단어 “이처럼”에 분명히 나타나 있습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시어 세상을 위하여 죽게 하셨습니다. 또 구원받거나 기독교화 될 존재는 바로 그 세상입니다. 수많은 개인들이 지옥에 가겠지만 결국 대단히 많은 인류가 구원받을 것입니다. 이 성경구절은 하나님께서 그 어떤 자도 멸망당하지 않거나 모든 자들이 영생을 얻도록 자기 아들을 주셨다고 말하지 않고 그분(독생자 그리스도)을 믿는 자가 구원받을 거라 합니다. 그리고 다른 성경 말씀을 통해 우리는 복음을 듣는 자들 중 일부만 믿고, 그 믿는 자들도 오직 하나님의 은혜가 믿도록 역사했기 때문에 믿게 되었다는 것을 배웁니다. “사람이 거듭나지(방주(旁註):위로부터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느니라(요3:3).” “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 이끌지 아니하면 아무라도 내게 올 수 없다(요6:44).” 성경 그 어느 곳도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 그리스도께서 모든 자들을 대신하여 혹은 모든 자들을 구원할 목적으로 죽으셨다 말하지 않습니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29, 끝<  (0) 2012.12.06
신학 & 영어 >28<  (0) 2012.12.06
신학 & 영어 >26<  (0) 2012.12.06
신학 & 영어 >25<  (0) 2012.12.06
신학 & 영어 >24<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