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29, 끝<

stevision 2012. 12. 6. 15:42

9. Erroneous Theories of the Atonement


9. 속죄에 관한 그릇된 이론들


As might have been expected, this great comprehensive doctrine of the atonement which lies at the very heart of the Gospel has not been allowed to go unchallenged. Numerous “theories of the atonement” have emerged from time to time and have been more or less prominent in the Church. Practically all of these with small variations can be included under three main heads: (1) The Moral Influence Theory; (2) The Governmental Theory; and (3) Mystical Theory.


짐작했겠지만, 복음의 핵심 위치에 있는 이 폭넓은 속죄교리는 저항의 기간을 거쳤습니다. 많은 “속죄론들”이 이따금씩 등장했고 다소간 교회 내에서 두각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사실상 약간의 차이점들이 있지만 이 모든 것들은 세 항목으로 분류됩니다: (1) 도덕 감화(感化)설, (2) 통치설, (3) 신비설.


The Moral Influence Theory


도덕 감화설


The most widely held and the most influential of the erroneous theories of the atonement is the moral influence theory. It denies that Christ died to satisfy any principle of divine justice, and holds that His death was designed primarily to impress men with a sense of God's love and thus soften their hearts and lead them to repentance. According to this view the crucifixion was a dramatic exhibition of suffering intended to produce a moral impression in awe-stricken spectators. It represents Christ as suffering for us as a loving father or mother suffers for an ungrateful son or a wayward daughter and with the purpose of moving us so that we will turn and repent. The atonement is then conceived of as directed not toward God, with the purpose of maintaining His justice, but toward man, with the purpose of persuading him to right action. Christ's work on the cross is then made to be a impressive proclamation to the world that God is willing to forgive sin on the sole condition that men turn from it. His suffering and death is explained as merely that of a martyr in the cause of righteousness, and as the natural consequence of His having taken human nature upon Himself. And we in turn are to be inspired by His example so that we too become willing to bear our crosses and give our lives in the service of some good cause, perhaps even in martyrdom, and thus work out our own salvation.


그릇된 속죄론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퍼지고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도덕 감화설입니다. 그것은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공의를 충족시키시기 위해 죽으셨다는 것을 부인하고, 그분의 죽음의 주요 목적이 사람들 안에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키고, 그리하여 그들의 마음을 온유하게 하여 그들을 회개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십자가 사건은 두려움에 사로잡힌 관객들 안에 도덕적 차원의 인상을 주기 위한, 드라마 같은 고난극(苦難劇)의 상연(上演)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그리스도를, 마치 사랑하는 부모님께서 배은망덕한 아들이나 고집불통 딸 때문에 고통 당하듯, 우리를 감화시키셔서 우리를 돌이켜 회개시킬 목적으로, 우리 때문에 고통을 당하신 분으로 묘사합니다. 그러면 속죄는 하나님의 공의를 세울 목적으로 그분께 향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인간에게 바른 행위를 하도록 설득할 목적으로 인간을 향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면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은, 인간이 죄에서 돌이킨다는 유일한 조건하에 하나님께서 죄용서 하시기를 원하신다는, 세상을 향한 감명적인 선언이 되고 맙니다. 그분의 고난과 죽음은 단지 의(義)를 위한 순교자의 고난과 죽음으로, 또 그분께서 자신에게 인성을 취하신 것의 자연스런 결과로 이해됩니다. 그리고 우리도 그분의 행동을 본받아 기꺼이 우리의 십자가를 지고, 선한 일을 위해 목숨을 희생하고, 때론 순교도 마다 않고, 그리하여 우리 자신들의 구원을 이뤄야 합니다.


This means that in the final analysis we are saved by our own efforts, not by Christ's blood. Christ is then not our Saviour in any true sense of the word, but only a friend and example; and the world has had as many saviours as it has had good men and women. It is the same old notion that sinful man can save himself. It is basically the religion of naturalism, decked out in new garments and dishonestly making use of Christian terminology.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결국 우리가 그리스도의 피가 아니라 자신의 노력으로 구원받는다는 것입니다. 그 경우 그리스도께서는 실제적 의미의 우리의 구세주가 아니라 단지 친구요 모범일 뿐입니다. 그리고 세상은 선한 남녀들 수만큼 구세주들을 갖게 되겠지요. 이것은 죄인이 자신을 구원할 수 있다는 케케묵은 사상과 동일합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새로운 옷으로 꾸민, 부정직하게 기독교 용어를 사칭한 자연주의 종교입니다.


This theory rests on the assumption that God is love and only love; and, holding that repentance is the only requirement for forgiveness, it denies the existence of any law which demands that sin shall receive its just punishment. This is really the root of the whole modern assault upon the doctrine of the atonement. Dr. Warfield has very effectively analyzed and exposed this one-sided emphasis on the attribute of love, and we can do no better than to quote his words: “In the attempt to give effect to the conception of indiscriminate and undiscriminating love as the basal fact of religion, the entire Biblical teaching as to atonement has been ruthlessly torn up. If God is love and nothing but love, what possible need can there be of an atonement? ... But the indiscriminate benevolencism which has taken captive so much of religious thinking of our time is a conception not native to Christianity, but of distinctly heathen quality. As one reads the pages of popular religious literature, teeming as it is with ill-considered assertions of the general Fatherhood of God, he has an odd feeling of transportation back into the atmosphere of, say, the decadent heathenism of the fourth and fifth centuries when the gods were dying, and there was left to those who would fain cling to the old ways little beyond a somewhat saddened sense of the benignitas numinis. The benignitas numinis! How studded the pages of those genial old heathen are with the expression; how suffused their repressed life is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kind Deity that dwells above will surely not be hard on men toiling here below! How shocked they are at the stern righteousness of the Christian's God, who loomed before their startled eyes as He looms before those of the modern poet in no other light than as ‘the hard God that dwelt in Jerusalem’! ... Does all this one-sided proclamation of the universal Fatherhood of God import much more than the heathen benignitas numinis? ... The love of God cannot be apprehended in its length and breadth and height and depth - all of which pass knowledge - save as it is apprehended as the love of a God who turns from the sight of sin with inexpressible abhorrence, and burns against it with unquenchable indignation. The infinitude of His love would be illustrated not by His lavishing of His favor on sinners without requiring an expiation of sin, but by His - through such holiness and through such righteousness as cannot but cry out with infinite abhorrence and indignation - still loving sinners so greatly that He provides a satisfaction for their sin adequate to these tremendous demands. It is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Christianity, after all, not that it preaches a God of love, but that it preaches a God of conscience. And a thoroughly conscientious God, we may be sure, is not a God who can deal with sinners as if they were not sinners. In this fact lies, perhaps, the deepest ground of the necessity of an expiatory atonement. ... Nothing, indeed, is more startling in the structure of recent theories of atonement, than the apparently vanishing sense of sin that underlies them. Surely it is only where the sense of the power of sin has profoundly decayed, that men can fancy that they can at will cast it off from them in a ‘revolutionary repentance.’ Surely it is only where the sense of the heinousness of sin has practically passed away, that man can imagine that the holy and just God can deal with it lightly. If we have not much to be saved from, why, certainly a very little atonement will suffice for our needs. It is, after all, only the sinner that requires a Saviour. But if we are sinners, and in proportion as we know ourselves to be sinners, and appreciate what it means to be sinners, we will cry out for that Saviour who only after He was perfected by suffering could become the Author of salvation.”


이 이론은 하나님께서는 사랑, 오로지 사랑뿐이시라는 가정 위에 세워졌고, 죄는 정당한 형벌을 받아야 한다는 그 어떠한 법도 부인합니다. 이것은 실로 속죄론에 대항하는 현대의 모든 공격들의 뿌리입니다. 와필드 박사가 사랑이라는 속성에 대한 이 일방적인 강조를 매우 잘 분석하고 정체를 밝혀놓았습니다. 그의 말을 인용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겠지요. “무분별하고 무차별적인 사랑이 기독교의 기초로서 유효하다고 보는 시도 가운데 속죄에 대한 성경 전체의 가르침이 무자비하게 찢겨나갔습니다. 하나님께서 사랑이시고, 사랑 외에 그 아무 것도 아니시라면 속죄의 필요성이 어디 있겠는가? ... 그러나 이 시대의 기독교 사상계를 그토록 많이 사로잡고 있는 이 무분별한 자비주의(慈悲主義)는 기독교의 고유 사상이 아니라 분명 이교적(異敎的)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통속적인 기독교 서적을 읽어보면, 거기에 잘못 이해된 하나님의 보편적 부성(父性)에 대한 주장들이 가득 차 있어서, 우리가 4, 5 세기의 퇴폐적인 이교(異敎) 시대의 상황에 옮겨진 기묘한 기분에 빠지게 됩니다. 그 때에 신(神)들은 사라져가고 있었고, 기꺼이 옛 생활 방식을 고집하려 했던 자들에게는 benignitas numinis(신의 관대함)의 약간 한심한 의미보다 나은 그 어떤 것도 거의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신의 관대함이라! 저 상냥한 옛 이교도들의 책 속에 benignitas numinis라는 말이 얼마나 많이 산재해 있는가! 또한 하늘에 사는 인정 많은 신이 분명 이 땅에서 고생하고 있는 인간들에게 강경한 태도를 취하지 않을 거라는 확신이 얼마나 많이 그들의 욕구불만의 삶을 채우고 있는가! 그들이 기독교의 하나님의 지엄한 의(義)를 보고 얼마나 충격을 받았겠는가! 그분께서 다름 아닌 ‘예루살렘에 사시는 지엄하신 하나님’의 모습으로 현대 시인들의 눈앞에 나타나시는 것처럼 그들의 휘둥그레진 눈앞에 모습을 드러내십니다! ...  보편적 하나님의 부성(父性)에 대한 이 한쪽으로 치우친 선언이 이교도들의 benignitas numinis보다 더 나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까? ... 하나님의 사랑은, 형언할 수 없는 반감으로 죄의 모습에서 눈을 돌리시고 죄에 대하여 꺼지지 않는 진노를 불사르시는 그 하나님의 사랑으로 이해되지 않으면, 불가해한 그 길이와 폭과 높이와 깊이를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분의 사랑의 무한함은, 속죄함 없이 죄인들에게 함부로 베풀어진 은혜로가 아니라, 무한한 혐오와 진노로 고함을 지르는 그 거룩과 의(義)를 통과하여 나온, 그 크기가 너무 커서 마땅한 엄청난 죄의 대가를 위한 속죄를 제공하셔야만 했던, 그분의 죄인들에 대한 변함 없는 사랑으로 설명됩니다. 결국 기독교의 독특성은 사랑의 하나님을 설교함에 있지 않고 양심적인 하나님을 설교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확신하길, 온전히 양심적인 하나님께서는 죄인을 죄인이 아닌 것처럼 대하실 수 있는 분이 아니십니다. 바로 이 사실이 속죄적 보상의 필요성의 가장 근본적인 근거가 됩니다. ... 최근의 속죄론들의 구조의 제일 경악할 만한 사실은 그 속죄론들의 근거가 되는 죄에 대한 감각이 명백히 상실되었다는 것입니다. 분명 오직 죄의 권세에 대한 감각이 뿌리까지 썩은 곳에서, 사람들이 ‘혁명적인 회개’로 자신들에게서 그 권세를 떨쳐버릴 수 있다는 망상에 빠집니다. 분명 오직 죄의 흉악함에 대한 감각이 사실상 사라진 곳에서, 사람이 거룩하시고 공의로우신 하나님께서 그 죄를 가벼이 다루신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가 해방되어 구원되어야 할 사항들이 우리에게 적게 있다면, 글쎄요, 분명 우리의 행위들로 인한 매우 작은 속죄로도 충분하겠지요. 결국 구세주를 필요로 하는 자는 오직 죄인뿐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죄인들이라면, 그리고 우리가 자신들이 죄인이라는 것을 알고 죄인이 된다는 게 무슨 뜻인지의 정도에 따라, 우리는, 오직 고난을 당하심으로 완전해진(온전히 자격을 갖추신) 이후에 구원의 주인이 되실 수 있으셨던 그 구세주를 목놓아 부를 것입니다."


The advocates of the moral influence theory are never tired of ridiculing the idea that God must be propitiated. ... They see no impassable gulf between the holy God and sinful man, and, consequently, they see no reason why satisfaction should be made to divine justice. ... But the Scriptures teach, on the one hand, that the justice of God must be vindicated, and on the other, that an internal action of the Holy Spirit upon the human heart is necessary before man can comprehend spiritual truth, or repent, and that this gift of the Spirit has been purchased for the believer by the sacrifice of Christ. Paul very explicitly grounds the necessity for the atonement, not in the love of God, but in His righteousness or justice, declaring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tonement was “that He might be just, and the justifier of him that hath faith in Jesus,” Rom. 3:26.


도덕 감화설의 주창자들은 하나님께서 화해되셔야 한다는 사상을 조소하는 데 항상 열을 냅니다. ... 그들은 거룩하신 하나님과 죄인인 인간 사이의 건널 수 없는 구렁텅이를 보지 못하고, 그리하여 그들은 하나님의 공의에 배상을 해야 하는 이유를 깨닫지 못합니다. ... 그러나 성경은, 한편으론 하나님의 공의는 지켜져야 한다고 가르치고, 다른 한편으론 인간이 영적 진리를 알거나 회개하려면 먼저 인간의 마음에 내적으로 성령께서 역사하시는 게 필요하다는 사실과 이 성령의 은사(선물)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값으로 치르고 신자들을 위해 구입되었다는 사실을 가르칩니다. 바울은 매우 분명하게 속죄의 필요성의 근거를 하나님의 사랑에 두지 않고 그분의 의(義)와 공의에 둡니다. 그는 속죄의 궁극적 목적은 “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니라(롬3:26)”고 선언합니다. 

 

 

The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atonement shows how very difficult it is to maintain belief in the Deity of Christ in connection with the moral influence theory. on the basis of this theory the example of a human Christ who, supposedly, is nearer to us, serves as well or even better than a divine Christ. Most modern books on the atonement refuse to impute to man either the sin of Adam or the righteousness of Christ, and so they logically deny both the fall of the race in Adam and the redemption of the race in Christ. They see in Jesus only a great teacher and friend, and consequently their religion tends downward toward the level of humanism.


속죄 교리의 역사는 도덕 감화설이 그리스도의 신성 신앙을 유지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줍니다. 이 이론을 따르자면 아마 우리에게 좀 더 가까운 인간 그리스도라는 모범이 신적인 그리스도 못지 않거나 더 잘 일을 감당합니다. 대부분의 속죄에 관한 현대 서적들은 인간에게 아담의 죄도 그리스도의 의(義)도 전가시키길 거부하고, 그리하여 논리상 아담 안에서의 인간의 타락과 그리스도 안에서의 인간의 구원을 부인합니다. 그 사람들은 예수 안에서 위대한 선생과 친구만 발견하고, 그리하여 그들의 종교는 추락하여 인본주의 수준에 머물러있습니다.


The far-reaching effect of the moral influence theory and the thoroughness with which it disrupts the whole Christian system has been well stated by Dr. A. h. Strong, who declares that “logically it necessitates a curtailment or surrender of every other characteristic doctrine of Christianity - Inspiration, sin, the Deity of Christ, justification, regeneration, and eternal retribution.”


도덕 감화설의 광범위한 영향과 그것이 기독교 체계 전체를 철저히 혼란에 빠뜨린 정도는 스트롱 박사가 잘 지적했습니다. 그는 “그것은 필연적으로 영감, 죄, 그리스도의 신성, 의인(義認), 중생(重生), 그리고 영벌(永罰)과 같은 다른 모든 기독교 핵심 교리의 축소나 포기를 요합니다"라고 말합니다. 


We readily acknowledge that the surpassing love of God as displayed in the death of Christ on the cross should cause men to forsake their sin and return to God; but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this kind of an appeal does not and cannot touch the unregenerate heart. The experience of New England Unitarianism and of present day Modernism makes it perfectly clear that the moral influence theory of the atonement is morally powerless, - and that for the reason that it puts man back on the plane of the so-called natural religions. It takes from Christ His own garment (the garment which the writer of the book of Revelation says is “sprinkled with blood,” which has inscribed on it His name, “Ko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19:13, 16), and puts on another, divests Him of His glory, and proceeds to proclaim, not the Gospel of the New Testament, but a man-made gospel, which has no power to move sinners to repentance.


우리는 십자가상(十字架上)의 그리스도의 죽음에서 드러난 하나님의 큰 사랑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죄를 버리고 하나님께 돌아가게 함을 흔쾌히 인정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類)의 감화(感化)는 거듭나지 못한 마음을 움직이지도, 움직일 수도 없다는 게 현실입니다. 뉴잉글랜드 유니테리안주의와 오늘날의 현대주의를 겪고 나서 분명해진 사실은 도덕감화설적 속죄론은 도덕적 능력이 없으며, 그것도 그러한 사상이 인간을 이른바 자연종교의 위치로 내려놓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입니다. (계시록 기자는 예수의 옷이 “피로 뿌려졌고”, 거기에 “만왕의 왕이요, 만주의 주”가 씌어졌다고 합니다(계19:13, 16).) 그런데 도덕 감화설은 그리스도에게서 그분의 옷을 벗기고 다른 옷을 입히고, 그분에게서 영광을 벗겨내고, 더 나아가 신약성서의 참 복음이 아니라 죄인들을 회개시킬 능력이 없는, 인간이 만든 사이비 복음을 선포합니다.


Furthermore, it should be realized by all that a tragedy gotten up for the transparent purpose of affecting our feelings, having no inherent principle or necessity in itself, necessarily defeats itself and produces only disgust. An unjust punishment is a crime in itself. To hang an innocent man for the good of the community is both a crime and a blunder. only when the hanging is justified by the ill-desert of the person can it be seen by all the community as either just or necessary.


더욱이 우리 모두가 깨달아야 할 사실은,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끼칠 분명한 목적으로 계획된 비극(예수의 십자가의 비극, 역주)은 내적 원칙도 없고 자체의 필연성도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자기모순에 빠지고 혐오감만 불러일으킨다는 것입니다. 부당한 형벌은 그 자체로 범죄입니다.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무죄한 자를 죽이는 것은 범죄이고 큰 실수입니다. 그 자가 받은 부당한 형벌이 그 사형을 정당화 할 때에만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그 사형을 정당하고 필요한 것이라 여길 수 있습니다.


The moral influence theory furnishes no proper explanation of the suffering and death of Christ, but rather makes absurd if not even criminal His voluntary acceptance of such suffering and death in the very prime of His manhood. Furthermore, if He died simply as a martyr instead of the sin-bearer for His people, it is utterly impossible to explain why in His deepest suffering He was utterly forsaken by the Father.


도덕감화설은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주지 못하고, 도리어 인생의 황금기에 그러한 고통과 죽음을 자발적으로 수용한 것을, 죄 되게 하지는 않을지라도, 불합리하게 만듭니다. 더욱이 그분께서 그분의 백성들의 죄를 담당하신 분이 아니라 단지 순교자로서 죽으셨다면, 왜 그분께서 가장 큰 고난 가운데 성부 하나님께 완전히 버림받으셨는지 그 이유를 절대 설명할 수 없습니다.


The Governmental Theory


통치설


The governmental theory of the atonement holds that because of His absolute sovereignty God is able to relax at will the demands of the law and to forgive men freely without any expiation or sacrifice for sin, but that in order to preserve a fair degree of discipline and respect for law so that men shall not be encouraged to believe that they can commit sin with impunity, He must at the same time give some exhibition of the high estimate which He sets upon the law. The primary purpose in the suffering of Christ then was, not to satisfy any eternal principle of divine justice as the satisfaction view holds, nor to break down man's opposition to God by a manifestation of His love as in the moral influence theory, but to secure man's reformation by inducing in him a horror for sin through the awful spectacle of Christ on the cross. With that spectacle before their eyes men were to be made to understand what a serious things sin really is, that it will not be allowed to go unpunished, and so induced to maintain respect for divine government even in the face of repeated acts of executive clemency. The governmental theory does not hold that Christ suffered the precise penalty which was originally attached to the law, nor even an equivalent of that penalty, but something much less, which God in His sovereignty is at liberty to accept as a substitute for that penalty. Having given this exhibition of His displeasure with sin, God is now able to offer salvation on much easier terms than those originally announced. Instead of demanding perfect obedience He now demands only faith and a reasonable degree of good works, all of which is, of course, worked out by the person himself.


통치설적 속죄론은 하나님께 절대주권이 있어서 그분께서 맘대로 율법의 요구사항을 느슨하게 하실 수 있으시고, 죄에 대한 속죄나 희생제물 없이 자유로이 인간들을 용서하실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이 이론이 믿는 바는, 꽤 높은 수준의 훈육(訓育)과 율법에 대한 존중심을 유지케 해서 사람들이 벌받지 않고 죄를 지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시에 그분께서는 그분의 율법에 대한 높은 평가를 실례(實例)로 보여주셔야만 했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고난의 주목적(主目的)은 충족설처럼 영원한 하나님의 법의 원칙을 충족시킴에 있지 않고, 또 도덕감화설처럼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하나님에 대한 저항을 꺾는 것도 아니라, 바로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처참한 모습을 통해 인간 안에 죄에 대한 혐오심을 심어주어 인간을 개혁하는 것이 됩니다. 사람들은 그 광경을 보고 죄가 정말 심각한 것이라는 것과 죄는 반드시 형벌을 받는다는 것을 깨닫고, 그리하여 계속되는 감형(減刑)을 체험하면서도 하나님의 통치를 존중하는 마음을 품게 된다는 거지요. 통치설은 그리스도께서 정확히 원래 율법이 정한 형벌을 받으셨다는 것을 믿지 않고, 그 형벌에 상응한 것을 당하셨다고도 믿지 않고, 그보다 훨씬 작은 고난을 당하셨다고 믿습니다. 그런데 그 고난을 하나님께서 당신의 절대주권 가운데 율법에 정해진 형벌을 대체(代替)하는 것으로 맘대로 받아들이셨다는 겁니다. 하나님께서 죄에 대한 자신의 불쾌감을 이런 식으로 보여주시고 나서 그분께서는 이제 원래 규정된 조건들보다 훨씬 더 쉬운 조건으로 구원을 베푸실 수 있게 되셨습니다. 완전한 순종 대신에 이제 그분께서는 오로지 믿음과 어느 정도의 선행만을 요구하시는데, 물론 그러한 모든 것(믿음과 선행)은 한 개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지요.


The governmental theory makes no provision for, and in fact it denies the possibility of, the imputation of the sinner's guilt to Christ or of Christ's righteousness to us. ... This theory fails to recognize the extreme heinousness of sin, and assumes that sin can be adequately punished with a penalty less than that which God Himself originally set against it. But if that is true and if God in His sovereignty is at liberty to assign whatever value He pleases to every created thing presented to Him, then the blood of bulls and goats could just as well have taken away sins, - the sufferings of Christ were superfluous, and He died in vain. This theory assumes that man has the power to change his moral nature at will and that to accomplish this he needs only to be surrounded by good influences, whereas the Scriptures teach that he needs a complete change of nature, or regeneration, which benefit was purchased for him by Christ and can be made effective only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nd finally, the light view of sin which this theory holds fails utterly to show forth the deep love of God for His people; for it has no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cost involved when God Himself - not a mere man, but God Himself in the person of Christ - took our place on the accursed tree.


이 통치설은 죄인들의 죄가 그리스도께 전가되는 것과 그리스도의 의(義)가 우리에게 전가되는 결과에 이르지 않고, 사실상 그 가능성을 부인합니다. ... 이 이론은 죄의 극악한 면을 인식하지 못하고, 원래 하나님께서 친히 죄에 대해 정하셨던 형벌보다 더 작은 형벌을 받고 죄가 적당히 그 대가를 치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만약 그게 사실이고, 또한 하나님께서 그분의 절대주권 가운데 맘대로 그분께 제시된 모든 피조물에 자신이 원하는 가치를 부여하신다면, 소나 염소의 피도 죄를 없앨 수 있었을 것이고, 그러면 그리스도의 고난은 꼭 필요한 게 아니었고, 그분께서는 헛되이 죽으셨겠지요. 이 이론은 인간이 자기 의지로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변화시킬 능력이 있고 또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그에게 필요한 것은 단지 좋은 영향들로 둘러싸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성경이 가르치길 인간은 완전한 본성의 변화, 즉 거듭남이 필요하고, 그러한 은총은 그리스도께서 그를 위해 구입해 놓으셨고 또 그 은총은 오직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만 현실화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이론이 품고 있는 죄에 대한 경박한 견해는 하나님의 그분의 백성에 대한 깊은 사랑을 보여주는데 완전히 실패했습니다. 왜냐하면 그 이론은 하나님 스스로가 (단순한 인간이 아니라 그리스도 인격 안에 계신 하나님 자신께서) 저 저주스런 나무(십자가)에서 우리를 대신하여 치르신 대가를 온전히 이해 못하기 때문입니다. (십자가는 예수의 죽음으로 인해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세상에서 제일 가는 자랑거리가 되었습니다. 역주.)


The governmental theory is, of course, an inconsistent and unstable theory, and it is held by only a comparatively small number of people. It was invented by a prominent Dutch theologian and jurist of the seventeenth century, Hugo Grotius, who approached the subject from the judicial standpoint. He held that in the forgiveness of sin God is to be regarded primarily as a moral governor or ruler who must act, not according to His emotions or desires, but with a view to the best interests of all of those under His authority. The work of Christ was thus conceived of as purely didactic, and the cross was but a symbol, designed to teach, by way of example, God's hatred for sin.


물론 통치설은 비일관적이고 불안정한 이론이고, 상당히 적은 무리의 사람들만 주장했습니다. 그것은 17세기의 저명한 화란 신학자요 법학자인 휴고가 고안해 낸 것입니다. 그는 이 속죄 문제를 법률적 관점에서 접근했습니다. 그는 죄용서에 있어서 하나님께서 일차적으로, 자신의 감정이나 희망에 따르지 않고 자신의 권세 아래 있는 모든 자들의 최선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셔야만 하는 도덕적 통치자나 지배자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사역은 순전히 교육적인 것으로 여겨졌고, 그분의 십자가는 죄에 대한 하나님의 미움을 가르쳐주기 위해 예(例)로 보여준 하나의 상징이 되어버렸습니다. 

 

 

The Mystical Theory


신비설(神秘說)


In this theory the human race is looked upon as a mass or unit or organism rather than as individuals, and the seeds of death and corruption which were introduced into the race through the sin of Adam are counteracted and overcome by the principles of the life and immortality which Christ is supposed to have introduced into the race through His incarnation. Redemption is regarded as having been accomplished not by anything that Christ taught or did, but by the incarnation in which Deity was infused into or united with humanity. According to some advocates of this theory, in the incarnation, Christ assumed human nature as He found it, that is, fallen human nature, and not only kept it from sinning but purified it by the power of His own divine nature; and men are saved as, by faith, they become partakers of this purified humanity. According to others, the original depravity which the race inherited from Adam was supposed to have been gradually overcome during the earthly life of Jesus until at the time of His death human nature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glory and fellowship with God. According to some, humanity is finally to be deified. Redemption is thus conceived of as terminating physically on man in that the transforming essence of Deity was put into the mass of humanity as leaven into a lump of dough. Christ is regarded as having taken into union with Himself not a real and separate human body and soul, but humanity as a generic substance; and the result was a blood brotherhood in which Christ's inner spiritual life was communicated to man, awakening in him the dormant God-consciousness and enabling him to overcome the sensuous world-consciousness.


이 이론에서 인류는 개인들이 아니라 하나의 집단이나 단일체나 유기적 조직체로 이해됩니다. 또한 이 이론에서 아담의 죄로 인해 인류에 들어온 죄와 타락의 씨앗들은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성육신을 통해 인류 안으로 들여오신 생명과 불멸(不滅)의 원리들로 인해 중화(中和)되고 극복됩니다. 구원은 그리스도께서 가르치시고 행하신 일로가 아니라, 신성이 인성 안으로 주입되거나 인성과 합쳐지게 되는 성육신으로 이룩됩니다. 이 이론을 주장하는 몇몇 사람들에 따르면, 성육신 때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이 본 그대로의 타락한 인성(人性)을 취하시어 그 인성이 죄를 짓지 못하게 지키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성(神性)의 능력으로 그것을 정화(淨化)하셨습니다. 그리고 인간들은 믿음으로 자신들이 이 정화된 인성을 함께 나누는 자가 될 때 구원받는다고 합니다. 다른 자들에 의하면 인류가 아담으로부터 물려받은 원타락(原墮落)은 예수의 지상 생에 동안 점차 극복되어 마침내 그분의 죽음 때에 인성이 자체의 본래의 영광과 하나님과의 우호관계로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어떤 자들에 의하면 인성은 결국 신격화된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반죽덩어리에 들어간 누룩(효모)처럼, (인성을) 변화시키는 신적 실재가 인간집단에 주입되었다는 점에서 구원은 자연적 인간의 종식(終熄)으로 이해됩니다. 그리스도는 실제적이고 단독적인 육체와 영을 가진 인간과 자신을 연합시키시지 않고 하나의 속적(屬的) 실체로서의 인성(人性)과 자신을 연합시킨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러한 결과는 피를 나눈 형제관계인데, 그 관계 안에서 그리스도의 내적인 영적 생명이 인간에게 전해지게 되고, 그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은 그 사람 안에서 잠자고 있는 하나님 의식을 깨우고 그 사람으로 하여금 감각적 세상 의식을 극복하게 합니다.


>> 보통 생물은 ‘종-속-과-목’으로 분류하지요. 순서를 거꾸로 하고 범위를 좀 더 넓히고, 현생인류만을 생각하여 어느 한 개인을 살펴봅시다. 그러면 [존재 - 생물 - 동물 - 포유류 - 인간 - (흑인종, 홍인종, 백인종, 황인종) - 한 개인] 이렇게 됩니다. 그런데 한 개인은 존재라는 본질, 생물이라는 본질, 동물이라는 본질, ... , 어느 한 인종이라는 본질을 자신 안에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철학에서는 그러한 본질들이라는 것들을 단순한 개념적 존재가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실체적 존재로 간주합니다. 속적(屬的) 실체(a generic substance)는 속 단계의 실체를 말합니다. 그러니까 위의 신비설은 예수께서 한 개인을 자신의 존재로 취하신 게 아니라 인류의 모든 인종들을 다 포함하는 속 단계의 인간 실체를 자신의 존재로 취하셨고, 그리하여 속 단계의 인간실체가 그분의 신성과의 결합 때문에 원죄와 타락에서 깨끗하게 되어 모든 인종들에 속한 모든 개인들이 구원을 받게 된다는 이론입니다. 왜냐하면 신비설의 논리를 따르자면 한 개인은 앞서 있는 본질들을 자신의 존재로 삼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 인간이 인성(人性)이라는 본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인성이 그리스도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되었으니 한 인간이 원상태로 회복된다는 말이지요. <<


The mystical theory has never been hel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lthough it has persisted since the early Greek Fathers and has been held by widely separated groups. Its strength lies in the fact that it lays stress on an important truth, namely, the fact that all believers are in a true sense united with Christ and partake of a new nature. But we hold that this union is made effective, not through the incarnation, but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in individuals rather than in humanity as a mass. This theory is also commendable in that it ascribes redemption to divine grac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oly living.


신비설은 초기 그리스 교부 시대부터 널리 개별 단체들에게 퍼져 있었음에도 많은 자들에게 받아들여진 적이 절대 없습니다. 이 이론의 강점은 중요한 진리, 즉 모든 신자들이 실제로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있고 새로운 본성을 함께 나눈다는 진리를 강조함에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연합이 그분의 성육신을 통해서가 아니라 성령의 사역을 통해서 현실화되고, 한 단체로서의 인성(혹은 인류) 안에서가 아니라 개인들 안에서 현실화된다고 믿습니다. 이 이론은 또한 구원을 하나님의 은혜로 돌리고 거룩한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칭찬할 만 합니다.


But there are serious objections against it. In the first place it contradicts the plain teaching of Scripture. It asserts that Christ's suffering and death form no essential part of His redemptive work, while the Scriptures strongly emphasize His suffering and death as the basis for the remission of sin. Nowhere in Scripture are we told that Christ became incarnate in order that He might infuse divine life into humanity. Rather we are told that He assumed human nature in order that in it He might suffer the penalty which was due to His people and thus free them from the obligation which rested upon them.


그러나 이 이론에는 심각한 반대들이 있습니다. 먼저 그 이론은 성경의 분명한 가르침에 모순됩니다. 성경이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을 죄 사함의 근거로 강조하고 있음에도, 그 이론에는 그분의 고난과 죽음이 그분의 구속사역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지 않습니다. 성경 그 어디를 보더라도 그리스도께서 신적 생명을 인간성에 주입하시기 위해 성육신하셨다고 가르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그분께서 인성(人性) 안에서 그분의 백성들로 인해 부과된 형벌을 당하시어 그들에게 부과되었던 죄책에서 그들을 해방시키시기 위해 그 인성을 취하셨다는 말씀을 읽습니다.


The mystical theory is essentially pantheistic in its tendency. Its assertion that divine life was infused into the human in order to purify and lift the human to the divine breaks down the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God and man, and leaves the way open for a pantheistic interpretation of life. Its logical corollary is that ultimately the entire human race which has lived since the time of Christ will be transformed and restored to holiness and God.


신비설은 그 방향이 본질적으로 범신론입니다. 신적 생명이 인간성을 정화(淨化)하고 신성에로 고양(高揚)시키기 위해 인간성에 주입되었다는 그 이론의 주장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근본적 구분을 철폐하고, 그리하여 범신론적 인생관의 길을 열어 놓습니다. 그것의 논리적 결론은 그리스도 이후에 태어난 모든 인류가 변화되고 회복되어 궁극적으로 거룩해지고 하나님이 된다는 것입니다.


It leaves unexplained the redemption of the saints who died before the time of Christ, since the subjective and somewhat mechanical process through which redemption is supposed to have been accomplished could not have affected them. Some of its advocates have gone so far as to say that there was no salvation before the time of Christ and that all of the patriarchs perished.


신비설에는, 구원이 성취되는 수단인, 주관적이고 어느 정도 자동적인 과정이 그리스도 이전의 성도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없었으므로, 그들의 구원 문제가 미해결로 남아 있습니다. 이 이론을 주장하는 몇몇 사람들은 도가 지나쳐 그리스도 이전 시대에는 구원이 없었고 모든 유대 민족의 조상들이 멸절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In concluding this study we should observe that each of the erroneous views errs by defect. Each substitutes for the chief aim of the atonement one which is subordinate and incidental. But at no time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has any one of these been able to displace the doctrine of “satisfaction,” either in the creeds or in the hearts of believers. In the final analysis no one of them makes any provision for the satisfaction of divine justice, and therefore offers nothing that can honestly be called an atonement.  The burden of the apostolic preaching was not that Christ's death was designed primarily to move men by a transcendant display of God's love, nor that it was designed to induce respect for some general or abstract principle of law, nor that all mankind was to be reunited to God by some mysterious union of the divine and human, but rather that He “was delivered up for our trespasses and was raised for our justification” (Rom. 4:25). Very few earnest Christians can ever be persuaded to believe that the life and death of Christ was only “a liturgical service, a chant and a dirge, to move the world's mind; a pageant with a moral.”


이 연구(그릇된 속죄론들에 관한 연구)를 마치며 우리는 각각의 오류에 빠진 견해들은 결함 때문에 그릇되었다는 것을 지적하고자 합니다. 각각은 속죄의 제일의 목적을 부차적이고 지엽적인 것으로 대체해놓았습니다. 그러나 교회사 그 어떤 시기에도 이 이론들 중 그 어떤 것도 신조들이나 성도들의 마음 가운데 “충족” 교리를 대신하지 못했습니다. 결론은 이것들 중 그 어떤 것도 하나님의 공의를 충족시킬 준비를 갖추지 못했고, 그러므로 정직하게 속죄라 불릴 만한 그 어떤 것도 제공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사도적 가르침의 내용은 그리스도의 죽음이 주로 하나님의 사랑의 초월적 전시로 인간을 감동시키기 위해 계획되었다는 것도 아니었고, 그 죽음이 율법의 일반적 혹은 이상적 원리에 대한 존중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계획되었다는 것도 아니었고, 모든 인류가 신성과 인성의 어떤 신비한 연합에 의해 하나님과 재연합된다는 것도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 때문에 내어줌이 되시고 우리의 의(義)를 위해 부활하셨다는 것(롬4:25)”입니다. 참된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이 단지 “세상 사람들의 마음에 감동을 주는, 성가나 장송가와 같은 하나의 예배행위, 혹은 윤리를 소재로 한 하나의 야외극”이라는 말에 넘어가지 않습니다.


Neither the moral influence nor the governmental nor the mystical theory finds any support in the sacrificial system of ancient Israel. In no instance is there the slightest indication that any Old Testament sacrifice was ever designed to produce a moral influence on the offerer, or to teach a general respect for law or government, or to illustrate the infusion of the divine nature into the human. Always the immediate and primary end sought in sacrifice was forgiveness; and the effect is said to be “to make atonement for sin,” Lev. 4:20, 26, 31 ; 6:30 ; II Chr. 29:24.


도덕 감화설도, 통치설도, 신비설도 옛 이스라엘의 희생제사 제도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어떤 구약의 제사가 제물을 바치는 자에게 도덕적 감화를 주기 위해서나, 율법이나 통치에 대한 보편적 존중심을 가르치기 위해서나, 신성이 인성에 주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계획되었다는 말씀이 전혀 없습니다. 언제나 희생제사에서 추구되었던 직접적이고도 일차적인 목적은 죄용서였고, 그 희생제사의 효과는 바로 “죄를 속하기 위함(레4:20, 26, 31; 6:30; 고후29:24)”이라 했습니다.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the satisfaction view sets forth much more profoundly and effectively the elements of truth which each of these theories embraces, while at the same time it refutes and excludes their erroneous elements. In revealing to us the infinite love of God for His people and showing at what great cost our redemption was purchased it far excels the moral influence theory in producing in us the particular moral effect which that theory was designed to produce, while at the same time it avoids the error of assuming that the sufferings of Christ were designed primarily to influence men rather than to satisfy divine justice. In revealing to us the true nature of the law of God as a transcript of the divine nature, which therefore is perfect and holy and immutable, it far excels the governmental theory in producing respect for that law, while it avoids the errors of assuming that punishment laid on an innocent person can of itself produce a good reaction in human society. And in revealing to us how we are legally and representatively united with Christ so that our sin and punishment becomes His while His righteousness and inheritance and glory becomes ours, it far excels the mystical theory in portraying the true nature of our union with Him, while it avoids the error of assuming that sinful human nature is cleansed by an infusion of divine life such as that theory supposes to have occurred at the incarnation.


사실인즉 충족설은 각각의 그러한 이론들이 내포하고 있는 진리의 요소들을 훨씬 더 심오하고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동시에 그것들의 그릇된 부분들을 논박하고 배제시키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그분의 백성들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우리에게 계시하는 가운데, 그리고 얼마나 엄청난 대가를 치르고 우리의 구원이 이룩되었는지를 보이는 가운데 충족설은 도덕 감화설이 얻고자 했던 특별한 도덕적 효과를 우리 안에 생성함에 있어 그 도덕 감화설을 훨씬 능가하고, 동시에 그 충족설은, 그리스도의 고난이 하나님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것보다는 일차적으로 인간들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 계획되었다는 오류를 피합니다. 하나님의 율법의 참된 본질이 하나님의 본성의 사본(寫本)이므로 그 율법은 완전하고 거룩하고 불변(不變)한 것인데, 그처럼 율법의 참된 본질을 하나님의 본성의 사본으로 우리에게 계시하는 가운데 충족설은 그 율법에 대한 존중심을 일으킴에 있어 통치설을 훨씬 능가하고, 그 충족설은 무죄한 자에게 가해진 형벌이 그 차제로부터 인간 사회 안에서 좋은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오류를 피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법적으로 또 대리적으로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우리의 죄와 형벌이 그분의 것이 되고 그분의 의와 상속(相續)과 영광이 우리의 것이 되는지 우리에게 보여주는 가운데 그 충족설은 우리의 그분과의 연합의 참된 본질을 말해줌에 있어 신비설을 훨씬 능가하고, 그 충족설은 그 신비설이 성육신 때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신적 생명의 주입으로 죄된 인간 본성이 깨끗해진다는 오류를 피합니다.


                               Conclusion


                               결  론


Quite often we hear it said that it makes little difference what “theory” of the atonement we hold.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it makes all the difference in the world. If when we contemplate the cross of Christ we see there the eternal Son of God who loved us and gave Himself for us, who assumed the curse and bought us with His own most precious blood, we shall have the supernatural Christian faith which is set forth in the Scriptures. But if in the suffering of Christ we see only a noble example of self-sacrifice which we in turn are to emulate as well as we can and so work out our own salvation, we shall have only a  man-made naturalistic religion such as has deluded so many multitudes down through the ages.


우리는 아주 빈번히 우리들이 어떤 속죄 “이론”을 갖고 있는가는 중요치 않다는 소리를 듣습니다. 사실인즉 그것은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문제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바라보며 우리를 사랑하시어 우리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신, 저주를 자신이 받으시고 자신의 가장 귀한 보혈로 우리를 사신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을 본다면, 우리는 성경에 제시된 초자연적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고난에서 우리가 우리측에서 최선을 다하여 흉내내서 우리 자신들의 구원을 이룩하게 되는 하나의 고상한 자기 희생의 본보기만을 본다면 우리는 수많은 세월 수많은 사람들을 속여먹은 종교와 같은 한낱 인조(人造) 자연주의 종교만 갖게 될 것입니다.


With so much of the world in confusion and men's souls so sorely tried as they are today, this certainly is no time to talk of bloodless atonement. The truly penitent soul, conscious of the burden of sin and guilt, cries out for redemption and refuses to be satisfied with anything else. Others may build on the sands of human speculation if they wish. We are convinced that Christ's death is the only means of salvation, and that where it is unknown or neglected or rejected the soul perishes. The distinction is indeed vital. It is the most momentous that can confront any person.


세상이 큰 혼란에 처해 있고, 요즘 보는 바와 같이 사람들의 영혼이 큰 시련 가운데 있음을 고려할 때, 지금은 분명 피 없는 속죄를 말할 때가 아닙니다. 진정 회개하는 영혼은 죄와 죄책의 짐을 의식하며 구속을 소리 높여 외치고, 그 외의 것으로 만족해하길 거부합니다. 어떤 자들은 자신들이 원한다면 인간의 사색(思索)이라는 모래 위에 건축을 하겠지요. 우리는 그리스도의 죽음이 유일한 구원의 수단이고, 그 사실이 안 알려졌거나 간과되거나 거부되는 곳에서는 인간의 영혼이 파멸함을 확신합니다. 이 차이는 실로 중대한 것입니다. 그것은 어느 한 개인에게 닥칠 수 있는 가장 중대한 일입니다.


That the doctrine of the atonement has been neglected and obscured in our day is very evident. only rarely do we hear a sermon or see an article printed on it. Yet it is the very heart of the Christian message and without it the Gospel is powerless. ... No doubt much of the lack of spiritual power and warmth so frequently charged against the religious life of our day is due in large measure to the neglect of this cardinal truth in so many churches.


오늘날 속죄론이 간과되고 모호해졌다는 것은 매우 분명합니다. 아주 드물게 우리는 그 주제에 관한 설교나 글을 봅니다. 그럼에도 그것은 바로 기독교 메시지의 핵심이고, 그게 없다면 복음은 무력(無力)합니다. ... 분명 오늘날 그토록 빈번히 우리의 신앙생활을 방해하는, 영적 능력과 열심의 결핍은 대부분 수많은 교회들에서 이 핵심 진리를 무시함에 기인합니다.


While the satisfaction view was in substance the view held by the Church from the earliest days, it was not analyzed and set forth in systematic form until the eleventh century, when Anselm, Archbishop of Canterbury, set it forth in his epoch-making book, Cur Deus homo. Since that time it has been an essential part of the creeds and doctrines of all Christian churches, Catholic and Protestant.


실질적으로 충족설(만족설)은 초대교회 시대부터 교회가 지녔던 사상이었지만, 그것은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름이 그의 획기적인 저작 Cur Deus homo(왜 하나님께서 인간이 되셨나?)에서 그것을 말한 11 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설명이 되고 체계적 형식을 갖춰 제시되었습니다. 그 이후 충족설은 카톨릭과 개신교를 포함한 모든 기독교 교회들의 신조와 교리의 핵심 부분이 되었습니다.


At the time of the Reformation the Protestant theologians put the strongest emphasis on the doctrine of the atonement. Calvin in particular in his Institutes worked it out broadly in all of its implications. The result was a dynamic and evangelistic faith. A return to that emphasis probably would do more to re-vitalize the Church and to restore its evangelistic zeal than anything else that could possibly be done. The hierarch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been quick to realize that their main hold on the minds and hearts of the plain people through all the centuries has been the Mass, which is the visible re-enactment, by the use of symbols, of the suffering and death of Christ. Even the pagan religions, with their elaborate temple services and systems of sacrifice, are witnesses to the fact that something more than a lovely system of ethics or a winsome example of fine behaviour is needed to lift the burden of sin from the human soul.


종교개혁 시대에 개신교 신학자들은 속죄론에 가장 큰 중점을 두었습니다. 칼빈은 특히 그의 기독교강요에서 그것의 모든 내포된 의미들을 폭넓게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역동적이고 복음적인 신앙이 탄생했습니다. 교회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 교회의 복음적 열정을 회복시키는 데에는 다른 그 어떤 가능한 방법보다 속죄론을 다시 강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을 것입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 성직자들은 오랜 세기 동안 평신도들의 정신과 마음에 대한 그들의 주요한 지배력이 미사였음을 즉시 간파했는데, 그 미사는 상징들을 동원한,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의 가시적(可視的) 재현이었습니다. 이방 종교들조차도 그들의 공들인 성전 예배와 희생제사 제도를 통해 사람들의 영혼을 죄의 짐으로부터 해방하기 위해서는 감미로운 윤리체계나 매력적이고 훌륭한 행위의 모범 그 이상이 필요함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The doctrine of the atonement thus emerges as a vital doctrine in the Christian system. on no other basis than that of Christ's redemptive work is any one warranted in calling himself a Christian. ... The validity of Christianity as a God-given supernatural system of redemption from sin is bound up with the truth or falsity of its distinctive doctrine of the atonement. ... At a minimum Christianity involves (1) acknowledgment of one's sin (2) sorrow for that sin; and (3) trust in Christ as one's only Redeemer from sin. The doctrinal content of Christianity has been fixed by Christ, either personally or through His Apostles, and has been unchangeably recorded in the Bible. For any one to call himself a Christian only because it is popular to do so, or because he approves of the general moral or social life that is founded in a Christian community, is as dishonest and unethical as it would be for him to call himself a Mormon or a Mohammedan only because he likes certain outward features in one of those systems. We are not at liberty to call anything “Christianity” unless it conforms to the system of doctrine that was established by Christ Himself.


이처럼 속죄론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 등장합니다. 그리스도의 구속사역 외에 그 어떤 것도 한 사람이 기독교인으로 칭함 받게 되는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믿는 자만이 기독교인이라는 말임, 역주). ... 하나님께서 주신, 초자연적인, 죄로부터의 구원 체계로서의 기독교의 유효성은 기독교의 독특한 속죄론의 진위(眞僞)에 달려 있습니다. ... 기독교라면 최소한 (1)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2) 그 죄를 마음 아파하며, (3) 그리스도를 죄에서 구원할 자신의 유일한 구세주로 믿는 게 있어야 합니다. 기독교 교리의 내용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말씀하셨든 혹은 그분의 사도들을 통해서였든지 간에 그리스도에 의해 확정되었고, 변경 불가능하게 성경에 기록되었습니다.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부르는 것이 하나의 유행이라는 이유만으로, 혹은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도덕적 혹은 사회적 삶을 자신이 용인한다는 이유만으로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부르는 것은, 몰몬교나 마호멧교의 어느 특정한 외적인 특성들을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을 몰몬교도나 마호멧교도로 부르는 것처럼, 부정직하고 부도덕한 것입니다. 우리는 어떠한 것이든 그리스도께서 친히 세우신 교리 체계에 맞지 않을 때에 함부로 그것을 “기독교”라 하면 안됩니다.


>> Ad majorem Dei gloriam. 하나님께 무한한 영광을! 아멘. <<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거스틴의 글 >2<  (0) 2012.12.06
어거스틴의 글 >1<  (0) 2012.12.06
신학 & 영어 >28<  (0) 2012.12.06
신학 & 영어 >27<  (0) 2012.12.06
신학 & 영어 >26<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