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28<

stevision 2012. 12. 6. 15:39

The Westminster Confession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Concerning the extent of the atonement and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elect and the non-elect, the Westminster Confession says: “As God hath appointed the elect unto glory, so hath He, by the eternal and most free purpose of His will, foreordained all the means thereunto. Wherefore they who are elected being fallen in Adam, are redeemed by Christ, are effectually called unto faith in Christ by His Spirit working in them in due season; are justified, adopted, sanctified, and kept by His power through faith unto salvation. Neither are any other redeemed by Christ, effectually called, justified, adopted, sanctified, and saved but the elect only.”


속죄의 범위 그리고 선택된 자와 유기(遺棄)된(버림당한) 자의 구별된 처지에 대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선택된 자를 영광으로 예정하셨듯이, 그분께서는 자신의 영원하고도 가장 자유로운 의지의 목적에 따라 모든 수단들을 그에 맞게 예정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아담 안에서 타락하고 선택된 자들은 그리스도에 의해 구속되어, 때가 이르면 그들 안에서 역사하시는 성령에 의해 그리스도를 믿도록 부름받고, 의롭다 인정받고 양자가 되어 거룩해지고, 성령의 능력으로 믿음을 통해 결국 구원에 이르도록 보존됩니다. 오직 선택된 자만이 그리스도에 의해 구속되어 실제로(결과가 나타나는) 부름을 받고 의롭다 인정되어 양자가 되고, 거룩해져서 구원받습니다."


This does not mean that any poor sinner who desires salvation is rejected, and the attempt to portray it as doing that is nothing but a gross caricature. All those who sincerely desire salvation will certainly be found among the redeemed. None except the regenerate ever have this desire in the first place. Concerning those in the unregenerate state, the Scriptures declare: “The natural man receiveth not the things of the Spirit of God: for they are foolishness unto him; and he cannot know them, because they are spiritually judged,” I Cor. 2:14; “There is none righteous, no, not one; There is none that understandeth. There is none that seeketh after God. ... There is none that doeth good, no, not so much as one. ... There is no fear of God before their eyes,” Rom. 3:10-18; “The word of the cross is to them that perish foolishness, but unto us who are saved it is the power of God,” I Cor. 1:18; “And this is the judgment, that light is come into the world, and men loved the darkness rather than the light; for their works were evil,” John 3:19. on the other hand the Scriptures declare concerning the regenerate: “And you did He make alive, when ye were dead through your trespasses and sins,” Eph. 2:1; “If any man is in Christ, he is a new creature,” II Cor. 5:17; and, “He that heareth my word, and believeth Him that sent me, hath eternal life, and cometh not into judgment, but hath passed out of death into life,” John 5:24. We have the unconditional promise of Christ that every one who hungers or thirsts after righteousness “shall be filled,” Matt. 5:6. “I will give unto him that is athirst of the fountain of the water of life freely,” He declares in Rev. 21:6; and in Rev. 22:17 He again says that “he that will” may “take the water of life freely.” It does not detract in the least from these promises when we give God the glory and say that “he that wills” to take the water of life freely has been made willing by a divine operation - that he who thirsts for the water of life has been made thirsty by the Spirit of God - that those who feel the need of salvation and want deliverance through the great Ransom have been made, by sovereign grace and the regenerating power of the Holy Spirit, to feel their need and to desire this great deliverance.


이 교리는 구원받기 원하는 가련한 죄인이 거부당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닙니다. 그리고 그 교리가 그것(구원을 원하는 자가 버림받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설익은 주장에 불과합니다. 진심으로 구원을 원하는 자들은 다 확실히 구속함을 받을 것입니다. 우선, 거듭난 자들을 제외한 그 누구도 지금까지 이 구원의 욕망을 가진 적이 없습니다. 거듭나지 못한 자들의 상태에 대해 성경이 말합니다: “육에 속한 사람은 하나님의 성령의 일을 믿지 아니하나니 저희에게는 미련하게 보임이요 또 깨닫지도 못하나니 이런 일은 영적으로라야 분변함이니라(고전2;14).”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깨닫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찾는 자도 없고. ... 선을 행하는 자는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 ... 저희 눈앞에 하나님을 두려워함이 없느니라(롬3:10-18).”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얻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전1:18).” “그 정죄는 이것이니, 곧 빛이 세상에 왔으되 사람들이 자기 행위가 악하므로 빛보다 어두움을 더 사랑한 것이니라(요3:19).” 다른 한편, 성경은 거듭난 자들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너희의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그분께서 살리셨도다(엡2:1).”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고후5:17).”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요5:24).” 마5:6에서 우리는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누구나 다 “배부를 것이다”라는 무조건적인 그리스도의 약속을 받았습니다. 계21:6에서 그분께서는 “내가 생명수 샘물로 목마른 자에게 값없이 주리라” 말씀하셨고, 계22:7에서 그분께서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리라” 하셨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영광을 드려, 값없이 생명수를 받기 “원하는 자는” 하나님의 역사하심으로 이미 그 원함의 감정을 갖게 되었다고, 즉 생명수에 목말라 하는 자는 이미 하나님의 성령에 의해 목말라졌다고, 다시 말해 구원의 필요를 느끼고 그리스도의 위대한 구속하심을 통해 구원받기 원하는 자들은 이미 성령의 주권적 은혜와 중생케 하는 능력에 의해 이 위대한 구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그 구원을 열망케 되었다고 해도 그러한 약속들(구원을 갈망하는 자들은 다 값없이 구원을 받으리라는 성경의 약속들)이 조금이라도 훼손되는 게 아닙니다. (즉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사람들이 구원을 갈망하게 되었다’는 말과 ‘갈망하는 자는 누구나 값없이 구원을 받을 것이라’는 성경의 약속은 모순 관계에 있지 않다는 말임. 역주.)


The Atonement Unlimited In Value And Power


가치와 능력이 무한한 그리스도의 속죄


When we speak of the atonement as “limited” we do not mean that any limit can be set to its value or power. Its value is determined by the dignity of the person making it; and since Christ suffered as a Divine-human person the value of His atonement is infinite. It is sufficient for the salvation of the entire race, and might have saved every member of the race if that had been God's plan; but it is efficient only for those to whom it is applied by the Holy Spirit. It is limited only in the sense that it was intended for, and is applied to, particular persons, namely, for and to those who actually are saved. It is indifferently as well adapted to the salvation of one man as to that of another, thus making objectively possible the salvation of all men. But because of subjective difficulties arising out of the inability of fallen men either to see or appreciate the things of God, only those who are regenerated by the Holy Spirit respond to it and are saved. God could change all human hearts by His mighty regenerating and convincing power if He chose to do so. ... But for reasons which have not been fully revealed He does not apply this grace to all.


그리스도의 속죄가 “제한적이다”라고 말할 때 우리가 그것의 가치와 능력에 어떤 제한을 둘 수 있다고 하는 말이 아닙니다. 그것의 가치는 그것을 실현시키신 분의 인격의 존귀함에 따라 결정되고, 그리스도께서 신인격(神人格, 神格 + 人格, 신인(神人)의 인격)으로서 고난 당하셨기 때문에 그분의 속죄의 가치는 무한합니다. 그것은 전(全) 인류를 구원하기에 족하고, 하나님의 계획이 그리했다면 온 인류 각 개인을 다 구원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속죄는 성령에 의해 적용된 자들에게만 효력을 발생시킵니다. 그 속죄가 제한적이라는 말은 그것이 특정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적용이 된다는, 즉 실제로 구원받을 자들을 위하고 그들에게 적용된다는 의미에서 그렇다는 말입니다. 그 속죄는 어떤 자의 구원이나 다른 자의 구원에 공평하게 적용되어 모든 자들의 구원을 객관적으로 가능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타락한 인간들의, 하나님의 일들을 보거나 이해하는 것에 대한 무능력에 기인한 개인적 장애 때문에 오직 성령으로 거듭난 자들만 그 속죄에 응답하여 구원받습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셨다면 그분의 강한 중생과 확신케 하는 능력으로 모든 인간들의 마음을 변화시키실 수도 있으셨습니다. ... 그러나 우리에게 완전히 알려지지 않은 어떤 이유들 때문에 그분께서는 이 은혜를 모든 자들에게 다 베푸시지는 않으셨습니다.


The Gospel is, nevertheless, to be offered to all men, with the assurance that it is exactly adapted to the needs of all men, and that God has decreed that all who place their faith in Christ shall be saved by Him. No man is lost because of any deficiency in the objective atonement, or because God has placed any barrier in His way, but only because of subjective difficulties, specifically, because his own evil disposition and his freely exercised wicked will prevent his believing and accepting that atonement. God's attitude is perhaps best summed up in the parable of the marriage feast and the slighted invitations, where the king sends this message to the invited guests, “I have made ready my dinner; my oxen and my fatlings are killed, and all things are ready; come to the marriage feast,” Matt 22:4.


그러함에도, 복음이 모든 인간들의 필요에 정확하게 적용되고, 하나님께서 자신들의 믿음을 그리스도에 두는 모든 자들이 그분에 의해 구원받을 것을 정하셨다는 확신과 함께 그 복음이 모든 자들에게 전해질 수 있습니다. 그 누구도, 객관적 속죄의 불충분함 때문이나 하나님께서 그분의 길에 어떤 장애물을 두셨기 때문이 아니라, 오직 개인의 곤경들 때문에, 특히 개인의 악한 심성과 자유로이 행해진 악한 의지가 그로 하여금 그 속죄를 믿고 받아들이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멸망당합니다. 하나님의 입장은 아마도 결혼 잔치와 무시당한 초청들 비유에 가장 잘 요약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이야기 속의 왕은 초청한 사람들에게 “내가 오찬을 준비하되 나의 소와 살진 짐승을 잡고 모든 것을 갖추었으니 혼인 잔치에 오소서(마22:4)”라는 전갈을 보냈습니다.


In reality Arminians do limit the atonement as certainly as do Calvinists. For while Calvinists limit its extent in that they say it is not applied to all persons (although they believe that much the greater portion of the human race will eventually be saved), Arminians limit its power or inherent value; for they say that in itself it does not save anybody, that in each individual in order to become effective it must be supplemented by faith and evangelical obedience on the part of the person and that each person is sovereign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he will have faith in Christ. Calvinists limit the atonement quantitatively, but not qualitatively; Arminians limit it qualitatively, but not quantitatively. Calvinists believe in an atonement of high value, - and the emphasis which the Scriptures place on the sovereignty and goodness and holiness of God implies that He will apply it very freely and very widely. Arminians believe in an atonement of wide extension, - an atonement reaching to every individual throughout the entire world, although they are compelled to admit that in many instances its effects are not very potent and that great multitudes, particularly in heathen lands, give very little if any evidence of its effects.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Arminians actually place more severe limitations on the atonement than do Calvinists. ... According to the Arminian theory the atonement has simply made it possible for all men to co-operate with divine grace by doing meritorious works and thus secure their own salvation, - if they will. But in that system salvation can no longer be said to be by grace, but by grace plus works.


사실 칼빈주의자들처럼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도 분명 속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칼빈주의자들이 (결국은 인류 중에 훨씬 더 많은 비율의 구성원이 구원받을 것이라 믿으면서도) 속죄가 모든 자들에게 적용되는 게 아니라고 주장함으로 속죄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은 그 속죄의 능력이나 고유 가치를 제한하기 때문입니다.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이 속죄는 저절로 사람을 구원하지 않고, 각 개인 안에서 그것이 효력을 발생시키려면 인간측의 믿음과 복음적 순종이 보충되어야하고, 각 개인이 그리스도를 믿을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자신이 최고 결정권자라고 말하고 있어서 그렇다는 말입니다. 칼빈주의는 속죄의 양적인 면을 제한하나 질적인 면은 제한하지 않습니다. 반면 아르미니우스주의는 질적인 면을 제한하고 양적인 면을 제한하지 않습니다. 칼빈주의자들은 속죄의 상위(上位) 가치를 중요하게 봅니다. 그런데 성경이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선하심과 거룩하심을 강조한다는 것은 그분께서 매우 자유롭게 또 매우 광범위하게 그 속죄를 적용시키실 것을 의미하지요.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은 속죄의 넓은 영향력을 중시합니다. 비록 그들이 많은 경우 속죄의 효과가 매우 강력하지 않고 많은 사람들에게서 특히 이교도 나라들에서 속죄의 효과가 혹시 있더라도 아주 조금 있는 것을 인정해야 함에도 전 세계 모든 개인들에게까지 다 미치는 속죄를 말합니다. 사실대로 말하자면,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은 사실상 칼빈주의자들보다 더 강하게 속죄에 제한을 가합니다. ... 아르미니우스주의 이론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속죄가 단지 모든 자들이 공로적 일들을 행함으로써 하나님의 은혜와 협력하여 자신의 구원을 이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입니다. 그것도 그들이 그것을 원할 때 그렇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그 이론에서 구원은 더 이상 은혜로 말미암지 않고 은혜와 인간의 행위로 말미암은 것이 됩니다.


>> 칼빈주의는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무한한 사랑과 대립되는 제한적 범위의 예정된 구원을 말하고 있고, 아르미니우주의는 복음을 들은 많은 자들이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현실과 대립되는 온 인류의 구원을 위해 행해진 속죄를 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둘 다 부족한 점이 있지만 그래도 아르미니우스주의가 구원에 있어서 개인의 의지의 결단을 더 앞세워서 더 결함이 있다는 말입니다. 칼빈의 기독교강요를 읽으면 제한적 구원을 말하는 장로교 교리를 일방적으로 그릇된 것이라 매도할 수 없습니다. 나름대로 탄탄한 논리가 있습니다. << 

 

 

General Benefits Received Through Common Grace


일반 은총을 통해 받는 일반 은혜


We do not deny, of course, that all mankind does receive many and important blessings because of the work of Christ. The penalty which would have been inflicted because of sin is temporarily postponed. Fallen man in this would remains on a much higher plane than that of the fallen angels who have been abandoned to evil and who are commonly referred to in Scripture as evil spirits or demons. As the Gospel is preached and the plan of redemption is progressively worked out, mankind at large shares many uplifting influences. The forces of evil are kept within bounds, and incomparably higher standards of moral, social and economic life are maintained. ... God makes His sun to shine on the evil and the good, and sends rain on the just and the unjust. These are the blessings of common grace. ... But in themselves they are not sufficient to bring a single soul to salvation. They are on a entirely different plane from the blessings of special grace, which are regeneration, justification, adoption, sanctification and glorification. ... There is, then, a sense in which Christ died for all men, and we do not reply to the Arminian tenet with an unqualified negative. But what we do maintain is that His death had special reference to the elect, that with the accompanying influences of the Holy Spirit which are secured by it, it is for their salvation, and that the effects which are produced in others are only incidental to this one great purpose.


물론 우리는 온 인류가 그리스도의 사역 덕분에 많은 중대한 복들을 받는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습니다. 죄 때문에 받게 되어 있는 형벌은 잠시 연기되었습니다. 이 세상의 타락한 인간은 성경에 보통은 악령들이나 귀신들로 불리며 버림받아 불운에 내던져진 타락한 천사들보다 훨씬 더 높은 위치에 머물러 있습니다. 복음이 전파되고 구원의 계획이 점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인류 전체는 많은 고귀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악의 세력들이 묶여지고, 비할 데 없이 높은 도덕적, 사회적, 경제적 삶의 수준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태양을 선인과 악인 모두에게 비추시고, 의인과 불의한 자에게 비를 내려주십니다. 이러한 것들이 일반은혜입니다. ... 그러나 그러한 것들 자체는 단 한 사람도 구원하기에 충분치 않습니다. 그것들은 중생(重生), 의인(義認), 양자 삼음, 성화(聖化), 영화(榮化)와 같은 특별은혜와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것입니다. ... 그 경우(악인들도 일반은혜를 누리는 경우. 역주.) 그리스도께서 모든 자들을 위해 죽으셨다는 말이 어떤 점에서는 틀린 게 아니고, 우리는 아르미니우스주의 교리에 무조건적인 반대를 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강조하는 바는 그분의 죽음이 선택된 자들과 특별한 관계 가운데 있고, 그 죽음에 의해 확보되어 동반하는 성령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그 죽음이 그들의 구원을 위한 것이 되며, 다른 자들(버림당한 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그 죽음의) 효과는 이 한 가지 위대한 목적(구원)과 필연적 관계에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버림받은 자들이 누리는 하나님의 일반은혜는 그들의 구원과 직접적 관련이 없다는 말임. 선택받지 못한 자들은 일반은혜만 누리다가 결국은 지옥에 간다는 말임. 역주.)


Moreover, we find that there is marked discrimination between the treatment accorded fallen men and that accorded the fallen angels. For while Christ took upon Himself human nature and provided redemption for fallen men, nothing like what has been done for fallen angels. In the Epistle of the Hebrews we read, “Since then the children are shares in flesh and blood, He also Himself in like manner partook of the same; that through death he might bring to naught him that had the power of death, that is, the Devil; and might deliver all them who through fear of death were all their lifetime subject to bondage. For verily not to angels doth He give help, but He giveth help to the seed of Abraham” (2:14-16).


더구나 우리는 타락한 인간에 대한 처분과 타락한 천사에 대한 처분에 현저한 차별이 있음을 발견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친히 인성(人性)을 취하시고 타락한 인간들을 위해 구원을 베푸셨지만, 이는 타락한 천사들에게 취하신 태도와 전혀 다른 것입니다.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 “자녀들은 혈육에 함께 속하였으매 그(그리스도)도 또한 한 모양으로 혈육에 함께 속하심은 사망으로 말미암아 사망의 세력을 잡은 자 곧 마귀를 없이 하시며, 또 죽기를 무서워하므로 일생에 매여 종노릇하는 모든 자들을 놓아주려 하심이니, 이는 실로 천사들을 붙들어 주려 하심이 아니요 오직 아브라함의 자손을 붙들어 주려 하심이라(히2:14-16).”


It is indeed hard to see in what sense redemption can be said to be general or universal when so many people through all the ages have been left in total ignorance concerning it.


도대체 무슨 근거로 수많은 자들이 그토록 오랜 세월 구원에 대해 완전 무지한 가운데 있었음에도 구원이 일반적이고 만인을 위한 것이라고 하는지 (아르미니우스주의 자들의 주장이) 이해가 안 갑니다.


Leaving aside the views of unbelief, there are in the final analysis just two views of the atonement which are held by Christians: the Calvinistic and Arminian. We have presented the Calvinistic view, and we insist that it alone is consistent with Scripture. It sets forth an atonement which is definite and explicit; and its inevitable corollary is a satisfied, because fully triumphant, Saviour, since His work is effective and all those for whom He died are saved. The Arminian view presents an atonement which is indefinite and intangible; and its inevitable corollary is a disappointed, because defeated Saviour, since a large portion of those on whose behalf He died and for whom He hoped do nevertheless perish. The Calvinistic view was taught by Augustine, Wycliffe, Luther, Calvin, Knox, Jonathan Edwards, Whitfield, Spurgeon, Hodge, Kyper and Warfield; the opposing view by men who in most cases were good and honorable men but who as theologians possessed only a fraction of their ability and understanding. We acknowledge evengelical Arminianism to be Christian, but we believe that it is not in full harmony with Scripture and that it is a compromise toward naturalism and self-salvation. Let us remember that “Gospel” etymologically is the good news of what God has done to save His people, and not merely good advice as to what they should do to save themselves. It is the glad tidings, the evangel, that heaven is ours through Him who loved us and gave Himself for us.


불신앙적 견해들을 논외로 하면 결국 기독교인들이 생각하고 있는 두 가지 속죄론인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가 남게 됩니다. 우리는 칼빈주의 견해를 이미 제시했고, 오직 그 교리만이 성경과 일치함을 주장하는 바입니다. 그것은 분명하고도 명확한 속죄를 제시하고, 그 교리의 필연적 결과는 완전한 승리로 인해 만족스러워하시는 구세주입니다. 왜냐하면 그분의 사역은 효과를 발휘하고, 그분께서 위하여 죽어주셨던 모든 자들이 구원받기 때문입니다. 아르미니우스주의 견해는 불확실하고 막연한 속죄를 제시하고, 그 필연적 결과는 실패로 인해 실망하시는 구세주입니다. 왜냐하면 그분께서 위하여 죽어주셨고 (구원받을 것을) 기대하셨던 자들 중 많은 자들이 결국 멸망하기 때문입니다. 칼빈주의적 견해는 어거스틴, 위클리프, 루터, 칼빈, 낙스, 조나단 에드워드, 윗필드, 스펄전, 핫지, 키퍼, 와필드와 같은 자들이 가르쳤습니다. 이와 반대되는 견해는 대부분 선하고도 존경받을 만한 자들이었지만 신학자로서는 단편적 능력과 이해력을 지닌 자들이 가르쳤습니다. 우리가 복음주의적 아르미니우스주의(예를 들면 감리교 창시자 웨슬리의 견해)를 기독교로 인정하지만, 그것은 성경과 완전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타협주의에 빠져 자연주의와 자력구원 쪽으로 흘러갔습니다. 명심합시다. 어원적으로 “복음”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구원하기 위해 무엇을 행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단지 좋은 조언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그분의 백성들을 위해 하신 일에 관한 좋은 소식입니다. 복음은 우리를 사랑하여 자신을 주신 그분을 통해 하늘나라가 우리 것이 되었다는 기쁜 소식 즉 희소식입니다. 

 

 

8. Old Testament Ritual and Symbolism


8. 구약의 제의(祭儀)와 상징


Many people, as they look back at the Old Testament period with its elaborate system of sacrifices, offerings, rituals and ceremonies, are puzzled to know the meaning of such things. We must bear in mind, however, that that was an age of symbolism.


많은 자들이 동물제사와 헌물(獻物)과 제의와 의식(儀式)의 정교한 체계를 지닌 구약성경을 뒤돌아보며 그것들의 의미를 알려고 머리를 쥐어짭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시대가 상징의 시대였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The priestly and sacrificial system was designed primarily to center the attention of the people on the coming Messiah, and to teach that there was a way of pardon and access to God. Like shadows of coming events, the sacrifices and rituals of the old system shortened up into definiteness of outline, then vanished completely when the full meridian splendor of the Sun of Righteousness appeared. What our fathers saw only dimly and at a distance we now see in broad daylight.


제사장과 희생제사 제도는 주로 사람들의 관심을 오실 메시야에 집중시키고, 용서와 하나님께 이르는 길이 있음을 가르쳐 줄 목적을 지니고 있습니다. 장래의 일들의 그림자처럼 구약의 희생제사와 제의들은 함축적으로 분명한 윤곽만 보여주고, 그 후에 태양이신 분(그리스도)의 정오와 같은 광채가 온전히 나타났을 때 사라졌습니다. 우리의 신앙의 선조들이 멀리서 단지 희미하게 보았던 것을 우리는 지금 대낮처럼 밝은 곳에서 보고 있습니다.


“The sacrifices of bulls and goats were like token-money, as our paper-promises to pay, accepted at their face-value till the day of settlement. But the sacrifice of Christ was the gold which absolutely extinguished all debt by its intrinsic value. Hence, when Christ died, the veil that separated man from God was rent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supernatural hands. When the real expiation was finished, the whole symbolical system representing it became functum officio, and was abolished. Soon after this, the temple was razed to the ground, and the ritual was rendered forever impossible.”  - Dr. A. A. Hodge.


핫지 박사의 말입니다. “황소와 염소 희생제사는, 사람들의 지급보증 서면약속처럼, 결산 날까지 액면가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인정되는 명목화폐와 같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희생은 자체의 무한한 가치로 모든 빚을 완전히 갚는 금(金)입니다. 따라서 그리스도께서 죽으셨을 때 초자연적 손에 의해 하나님과 인간을 갈라놓았던 성전휘장이 위에서 아래까지 찢어졌습니다. 실제 속죄가 완수되었을 때 그것을 나타냈던 모든 상징체계는 functum officio(임무완수)가 되어 폐지되었습니다. 곧이어 성전은 완전 파괴되었고(A.D. 70년 로마의 침공 때를 말함. 역주.) 제사제도는 영원히 불가능한 것이 되었습니다.”


And John Calvin has this to say concerning the temporary and provisional character of the sacrificial system: “What could be more vain and frivolous than for men to offer the fetid stench arising from the fat of cattle, in order to reconcile themselves to God? or to resort to aspersions of water or of blood, to cleanse themselves from pollution? ... This may be likewise evinced by His nature; for as He is a Spirit, He is pleased with none but spiritual worship. Testimonies of this truth may be found in the numerous passages of the Prophets, in which they reprove the stupidity of the Jews for supposing that sacrifices possess any real value in the sight of God. ... ”


또한 칼빈도 제사제도의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면에 대해 이와 같이 말합니다: “사람이 하나님과 화해하기 위해 짐승의 기름에서 나는 역겨운 악취로 제사드리고, (죄의) 더러움을 씻어내 위해 물이나 피를 뿌리는 것이 얼마나 공허하고 경박스러운 것인가? ... 마찬가지로 이것은 그분의 본성이 분명히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 근거는 그분께서 영(靈)이시기 때문에 그분께서는 바로 영적 예배를 기뻐 받으신다는 것입니다. 이 진리에 대한 증거들은 많은 예언서 말씀들에서 발견됩니다. 그 말씀들은 유대인들이 희생제사가 하나님 보시기에 어떤 실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미련한 생각이라고 나무랍니다. ...”


With this background concerning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Old Testament sacrifices and rituals we are now ready to ask, What did the ceremonial system of ancient Israel teach concerning the atonement? Under the Old Testament ritual, atonement for sin was made by the sacrifice of an animal. The animal, whether lamb, bullock or goat, had to be perfect, without spot or blemish of any kind. In the law concerning sacrifices special emphasis was placed on the blood. Concerning it God said: “The life of the flesh is in the blood; and I have given it to you upon the altar to make atonement for your souls: for it is the blood that maketh atonement by reason of the life” Lev. 17:11.


이제 이러한 구약의 희생제사와 의식들의 본질과 목적을 배경으로 우리는 속죄에 대해 고대 이스라엘의 제의가 무엇을 가르치는지 물을 준비가 되었습니다. 구약의 제의에서 속죄는 동물의 희생에 의해 이룩되었습니다. 새끼 양이나 황소나 염소든지 간에 짐승은 그 어떤 흠이나 결점이 없이 완전해야 했습니다. 희생제사법은 특히 피를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하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내가 이 피를 너희에게 주어 단에 뿌려 너희의 생명을 위하여 속하게 하였나니 생명이 피에 있으므로 피가 생명을 속하느니라(레17:11).”


The Day of Atonement


속죄일(레16장)


Once each year, on the day of atonement, a special sin-offering was made for the nation of Israel, and the full doctrine was exhibited more fully than was possible in the individual offering. Two he goats were taken from the congregation. Lots were cast to determine which one was to be put to death. When it was slain some of its blood was carried even into the Holy of Holies and sprinkled over the mercy seat. The other goat was not slain. Instead the high priest placed his hands upon its head, confessed over it the sins of the people, symbolically transferring them to it, and then sent it away by the hand of an attendant into the wilderness or solitary place where it would be lost. This goat was to “bear upon him all their iniquities unto a solitary land,” Lev. 16:22. In the death of the first goat, which through no fault of its own poured out its soul unto death and thus paid the prescribed penalty for sin, the people were taught that the penalty for their sin was laid on another, on their legal substitute. The animal actually received what the people deserved, that is, death.


매년 한 번 속죄일에 이스라엘 국가를 위한 특별한 속죄제물이 드려지고, (여기에) 완전한 속죄 교리가 개인 제사의 경우보다 훨씬 더 잘 나타나 있습니다. 회중으로부터 숫염소 두 마리가 취해집니다. 제비를 뽑아 어느 것을 죽일지 정합니다. 그것을 죽여 그 피 얼마를 지성소로 가져가 자비소(慈悲所(자비의 자리), 한국어 성경은 ‘속죄소’라 함)에 뿌립니다. 다른 염소는 죽이지 않습니다. 대신 대제사장이 그것의 머리에 안수하고, 그것 위에서 백성의 죄를 자백하여 상징적으로 그 죄가 그 염소에게 전가되게 하고, 그리고는 한 참석자로 하여금 그것을 광야 한적한 곳으로 몰고 가게 해서 거기서 (길을 잃고) 죽게 합니다. 이 염소는 “그들의 모든 불의를 지고 무인지경에 이릅니다(레16:22).” 첫째 염소는 자기의 무죄의 효력으로 자기 생명(피)을 흘려 죽어 (인간의) 죄에 대해 규정된 형벌을 치르고, 그 염소의 죽음을 통해 백성들은 그들의 죄의 형벌이 다른 대상, 즉 그들의 법적 대리에 지워졌음을 배웁니다. 그 짐승은 실제로 그 백성들이 받아야 할 것, 즉 죽임을 당했습니다.


Dr. John D. Davis has pointed out that through the ritual connected with the second goat the people were “taught by symbolical act that their sins have been carried away, and removed from the sight and presence of themselves and of Jehovah who dwells in their midst. The two goats together constituted one sin offering. Two were necessary, because of the physical impossibility of setting forth by one goat the two elements to be exhibited. one object was attained. The life of the holy thing was placed before God, and the sin was thereby removed from the camp. God then treated the congregation as without sin; not merely as though He could not see their sin, but as though it were actually removed. It was not only covered and hidden, so that God did not see it; but it was no longer in the camp, it had been removed, never to return. Such was the symbolical teaching. In the full sense, atonement had been secured the sin was expiated, and the sinner was accepted as righteous.”


데이비스 박사는 두 번째 염소와 관련된 의식(儀式)을 통해 사람들이 그 상징행위로 다음의 것을 배운다고 지적합니다. “그들의 죄가 다른 곳으로 치워졌고 그들 자신들과 그들 중에 거하시는 여호와의 시야와 면전에서 제거된다. 그 두 염소들은 함께 하나의 속죄제를 구성한다. 둘이 다 필요한데, 그 이유는 제공되어야 할 두 항목들을 한 마리의 염소로 제공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목적이 달성되었다. 그리하여 거룩한 제물의 생명이 하나님께 바쳐졌고 이로써 죄가 이스라엘 회중에서 제거되었다. 이제 하나님께서는 그 회중을 무죄하다 인정해주신다. 이는 그분께서 마치 그들의 죄를 보실 수 없는 것처럼이 아니라 실제로 그것이 제거 된 것처럼 여기신다는 말이다. 그 죄는 덮여지고 가려져 하나님께서 보실 수 없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 회중 가운데 존재하지도 않고 이미 제거되어 절대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 상징이 주는 교훈이 바로 이러하다. 완전한 의미로 속죄가 행해졌고, 죄가 속함 받았으며, 죄인이 의롭다 인정되었다.”


The idea of vicarious and expiatory sacrifice, or in other words, the doctrine of substitution by blood atonement, is woven into the very warp and woof of both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 It is set forth with special clearness in the book of Leviticus and in other parts of the priest's code. It is nowhere contradicted, although the prophets gave repeated warnings that the mere performance of the ceremony without a truly penitent heart could avail nothing to the offerer.


대리적이고 속죄적인 희생제사, 환언하여 피를 통한 대속 교리는 구약과 신약의 날실과 씨실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매우 분명히 레위기와 제사법전의 기타 부분들에 나와 있습니다. 비록 예언자들이 진정 회개하는 마음 없이 단순한 의식 거행만으로는 제물을 바치는 자에게 아무런 유익이 못된다고 누누이 경고했지만, 그 대속 교리는 그 어느 것과도 모순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The Tabernacle And Its Ritual


성막과 그 제의(祭儀)


In the structure and ritual of the tabernacle there is revealed a most remarkable symbolism, through which the people were given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great redemptive truths of the faith. ... The tabernacle - and later the temple, which was built on the same plan - was  designed to teach God's willingness to dwell with His people, and the condition on which this great blessing can be secured.


성막의 구조와 제의에 가장 주목할만한 상징이 드러나 있습니다. 그 상징을 통해 사람들은 위대한 구속의 신앙진리를 분명히 이해하게 됩니다. ... 성막은,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건설된 후대의 성전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백성과 함께 사시기를 원하신다는 것과 이 위대한 복을 받기 위한 조건을 가르쳐 주기 위해 계획된 것입니다.


As the tabernacle was set up, God was in the Holy of Holies, man is outside of the enclosure, and the way is explained step by step as we go from the door back into the holiest of all, to the ark and the mercy seat and the shekinah light which was the visible presence of God. Here the mystery as to how a holy God can dwell with sinful man, and how sinful man is enabled to come into the presence of a holy God, is solved. The tabernacle was a ten, God's tent, pitch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outside the camp, - about two-thirds of a mile. God called the people to Him. But to get to Him they had to come out from the camp. The corresponding truth is that God dwells in Christ, and to get to Him we have to come out from the “world” with its sinful ways and practices. Christ is our tabernacle, - “And the Word became flesh, and dwelt [the Greek says, tabernacled] among us, and we beheld His glory, glory as of the only begotten of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1:14. Speaking of His body Jesus said, “Destroy this temple, and in three days I will raise it up,” John 2:19. The body of Christ is the dwelling place of God.


성막이 세워졌을 때 하나님께서는 지성소에 계셨고, 사람은 성막 울타리 밖에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문에서 시작하여 지성소 안쪽으로 들어가 법궤와 자비소(속죄소)와 하나님의 시각적 현존인 쉐키나 빛에 이르는 길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게 됩니다. 여기서 어떻게 거룩하신 신께서 죄 있는 인간과 함께 거하실 수 있으시고, 어떻게 죄 있는 인간이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계신 곳에 다가갈 수 있는지 그 비밀이 풀립니다. 성막은 장막, 곧 하나님의 장막이었고, 사람들의 거처에서 상당히 먼 곳, 약 1km 정도 떨어진 곳에 세워졌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을 당신께 부르셨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그분께 가려면 자신들의 거처에서 나와야만 했습니다. 이것이 말하는 진리는 바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고, 우리가 그분께 다가가려면 “세상”에서, 그 세상의 죄악 된 길과 행위에서 빠져나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성막이십니다. “말씀(로고스(Logos), 하나님의 제2 위격을 말함. 역주)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요1:14).” (여기서 ‘거하시매’는 그리스어로 ‘장막을 치셨으매’입니다.) 예수께서 자신의 육체를 가리켜 “너희가 이 성전을 헐라 내가 사흘 동안에 일으키리라(요2:19)” 말씀하셨습니다. 그리스도의 몸은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곳입니다.


God's dwelling place is separate, holy, shut off from the rest of the world and from sin. At the front of the court (facing eastward) there is an entrance, the only entrance, with a curtain of blue and scarlet and purple, probably symbolical of the heavenly, the earthly, and the kingly. In a peculiar sense God dwelt within the tabernacle in the Holy of Holies, His presence there being symbolized by the shekinah light.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장소는 세상과 분리되어 있고, 거룩하며, 밖의 세상과 죄가 차단된 곳입니다. 성막 뜰 앞에 (동쪽으로) 입구가 하나 있는데, 그것은 유일한 통로이고, 청색과 진홍색과 자색의 장막으로 되어 있고, 이는 아마도 하늘과 땅과 왕을 상징하는 것 같습니다. 특별히 하나님께서는 성막 안의 지성소에 거하시고, 그분께서 거기 거하시는 것은 쉐키나 빛으로 상징됩니다. 

 

 

As we pass through the tri-colored door into the sacred enclosure, very near the entrance and directly before us we find a brazen box or altar, seven and a half feet square and four and a half feet high. It is hollow, made of wood and overlaid with brass. At each corner is a projection or horn, to which the animals for sacrifice might be tied. This is the largest and most prominent piece of furniture in the enclosure. It occupies the foremost place and is very important. No priest could enter the tabernacle except he first placed a sacrifice upon this altar, and the high priest could not go into the Holy of Holies until he had placed his sacrifice there. No teaching could be plainer than this: there can be no access of the sinner to God without an atoning sacrifice. Not only the glory within the veil, but the bread and the light and the privileges of the altar of incense or prayer, were closed until the sacrifice was offered. How forcefully it teaches the lesson that before the sinner can taste of the heavenly bread, or see the heavenly light, or pray acceptably, he must be truly repentant and must avail himself of the atonement God has provided in Christ, the Lamb of God! The tabernacle thus declares that God can be approached only through Calvary. And the great underlying doctrine of the New Testament is that we are accepted only through Christ. The fire on the altar was kindled first from heaven, and was never allowed to go out. As the people journeyed from place to place it was carried in a vessel, symbolizing the perpetuity of the atonement. In a ceaseless rotation the morning sacrifice was followed by the evening sacrifice, and the evening by the morning. The altar was the people's meeting place with God. Even the vilest, if truly repentant, was welcome and could present his offering. In the new Testament “he that will” may come; and we have the promise of Christ that “him that cometh to me I will in no wise cast out,” John 6:37.


삼색문(三色門)을 지나 거룩한 구내(構內, 성막 뜰)로 들어가면 정면에 가로 세로 7.5피트 높이 4피트의 놋 상자 즉 제단(祭壇)이 있습니다. 그것은 속이 비었고,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놋으로 덧입혀져 있습니다. 각 모퉁이에는 돌출부 즉 제단 뿔이 있는데, 아마 거기에 희생제물로 사용될 짐승이 묶인 것 같습니다. 이것이 바로 성막 뜰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성물입니다. 그것은 맨 앞에 자리 잡고 있고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그 어떤 제사장도 먼저 이 제단에 희생제물을 드리지 않고는 성막 안으로 들어갈 수 없고, 대제사장은 자기 제물을 그곳에 드리지 않고는 지성소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가장 분명한 가르침은 바로 이것입니다: 속죄의 희생제사 없이는 죄인이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다. 휘장 안의 영광뿐만 아니라 떡(진설병)과 등불과 분향단의 특권 즉 기도도 희생제사가 드려지기 전에는 인간에게 닫혀져 있습니다. 그것이 매우 강조하여 가르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죄인이 하늘의 떡을 먹거나 하늘의 빛을 보거나 하나님께 상달되는 기도를 드리기 전에 먼저 진실 된 회개를 해야 하고, 그가 하나님께서 그분의 어린양 그리스도 안에서 허락하신 속죄를 자기 것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성막은 이처럼 오직 갈보리(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곳)를 통하여 하나님께 다가갈 수 있다고 선언합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의 근본적인 위대한 가르침은 바로 우리가 오직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 받아들여진다는 것입니다. 처음에 하늘로부터 번제단에 불이 내렸고(레9:24), 이후로 절대 그 불이 꺼지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백성이 이곳저곳으로 이동할 때 그것도 그릇에 담겨 옮겨졌고, 이는 속죄의 영속성을 말합니다. 끊임없이 아침 제사 다음으로 저녁 제사가 이어졌고, 저녁 제사 다음에 아침 제사가 드려졌습니다. 제단은 하나님과의 만남의 장소였습니다. 가장 사악한 자일지라도 진정 회개하면 환영받고 자기 제물을 바칠 수 있었습니다. 신약성경에서는 “원하는 자는” 그분께 갈 수 있고, 우리는 “내게 오는 자를 나는 결코 내쫓지 않을 것이다(요6:37)”라는 그리스도의 약속을 받아놓았습니다.


The animal used in sacrifice was domestic - never the wild animals, but those closely associated with men - without blemish, and perfect of its kind. It was not the sinner's gift- there were other offerings which were presented as gifts - but his representative, his substitute. The man laid his hands on its head and confessed his sin over it, thus signifying the transfer of his guilt to it. It was then slain and its blood sprinkled. The teaching is very clear that the way to fellowship with God for guilty human beings can be found only through an avenue of death. How effectively it testifies to the sinfulness of sin, its fatal consequences, and the need of atonement before God can be approached! Yet it also testifies that God has provided an atonement, a way back to Himself for all who will accept it.


제물로 사용된 짐승은 가축입니다. 그것은 결코 야생동물이 아니라 인간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짐승입니다. 그것은 흠이 없고 완전한 것입니다. 선물로 드려지는 다른 제물들도 있었지만, 그것(희생제물)은 죄인이 바치는 선물이 아니라 그 죄인의 대리이고 대용입니다. 죄인이 그 제물의 머리에 손을 얹고 그것 위에서 자기 죄를 고백하여 자기 죄가 그것에게 전가됨을 나타내게 합니다. 그리고 나서 그것을 죽여 피를 뿌립니다. 이것의 가르침은 매우 분명한데, 즉 죄 있는 인간에게 하나님과의 교제로 인도하는 길은 오직 죽음의 길을 통해서만 발견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참으로 효과적으로 죄의 죄됨과 죄의 참혹한 결과를 증거하고, 하나님께 다가가기 전에 속죄가 필요함을 증거합니다! 그럼에도 이것은 하나님께서 속죄를 제공하셨음을 증거합니다. 그 속죄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자 모두에게 있어서 하나님께 이르는 길입니다.


As we proceed from the altar toward the tabernacle we find the laver midway between the altar and the tabernacle. This bowl-shaped structure was filled with water which was used by the priests to wash their hands and feet before they entered the tabernacle for service. As the altar represented justification putting away sin, or pardon, the laver represents sanctification, or the acquiring of holiness, - “without which no man shall see the Lord,” Heb. 12:14; “Who shall ascend into the hill of Jehovah? And who shall stand in His holy place? He that hath clean hands, and a pure heart,” Ps. 24:3, 4.


번제단에서 성막 쪽으로 가다보면 번제단과 성막 사이에 물두멍이 있습니다. 이 그릇 모양의 성물(聖物)에는 제사장들이 직무를 보기 위해 성막으로 들어가기 전에 손과 발을 씻는 물이 채워져 있습니다. 번제단이 죄를 제거하는 의인(義認), 즉 용서를 의미한다면 물두멍은 성화(聖化), 즉 거룩해짐을 의미합니다. “이것(거룩함)없이는 아무도 주를 보지 못하리라(히12:14).”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 누구며 그 거룩한 곳에 설 자가 누군고?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한 자로다(시24:3, 4).”


Then we come to the Tabernacle, which was a tent within tents. The outer covering was of badger's skin, a strong, stout leather to turn off the rain; the next, of goat's hair, a cloth of which all tents in the east are made; then a ram's skin covering dyed red; and underneath this covering of beauty was the tabernacle, divided into two parts, the holy place and the Holy of Holies, with its ceiling of blue and its walls of purple and scarlet. As we enter the tent we find a single curtain the type of Christ, who is the door. Inside, we find three articles of furniture. on the left hand side is the golden candlestick, with its seven branches, the only source of light since the tabernacle had no windows, and typifying Christ who is the light of the world, the only spiritual light in this world of darkness. on the right hand side stood the table of shewbread(=showbread), or bread of the presence, as it was called, a table of gold, holding twelve loaves, one for each of the tribes, and representing the communion and fellowship of the soul in the worship of God, just as we have fellowship with our neighbor when we enter his house and sit down as his guest at his table and eat with him, - the bread being a type of Christ, the bread that came down from heaven, upon whom our souls feed and find life, who says, “I am the bread of life.” And mid way between the candlestick and the table of shewbread stood the altar of incense, a gold-covered box, made of thornwood, wit a golden bowl at the top containing the incense which was compounded of four sweet herbs which when burned gave forth a perfumed smoke that was pleasant to inhale, and which was a type of the merits of Christ, upon which our prayers are borne up acceptably before God. The formula for compounding this incense was originally given by God, and any attempt on the part of private individuals to make incense like it was a capital offense. It thus symbolized that nothing but the merits of Christ will avail for our salvation, and that for us to trust to our own good works, or to anything else except Christ's blood and righteousness, is offensive to God and brings death to the soul.


이제 우리는 성막에 이릅니다. 그것은 장막 안의 성막입니다. 웃덮개는 비를 막는 강하고 질긴 가죽인 오소리 가죽(성경에는 해달 가죽)이었고, 그 다음은 동방의 모든 장막들의 재료였던 염소털이었고, 그 다음은 붉은 물을 들인 숫양 가죽 덮개였고, 이 아름다운 덮개 아래에는 청색 천장과 자색과 진홍색 벽으로 된, 성소와 지성소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는 성막이 있습니다. 우리가 성막으로 들어갈 때 문이신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단 하나의 막을 보게 됩니다. 안으로 들어서면 우리는 세 성구(聖具)들을 봅니다. 왼편으로는, 일곱 가지로 된, 성막에 창이 없어서 유일한 광원(光源)이 된 금등대가 있습니다. 그것은 세상의 빛이시고, 이 어둠의 세상에 유일한 영적 빛이 되시는 그리스도를 상징합니다. 우측에는 진설병(showbread), 즉 말 그대로, 차려놓은 떡을 놓는 상이 있고, 그 상은 금으로 되어 있으며, 각 지파를 나타내는 열 두 덩이들을 진설(珍說)해 놓았습니다. 그리고 그 떡들은, 우리가 이웃집에 가서 손님으로서 집주인과 함께 식사를 할 때 그와 함께 교제를 나누는 것처럼, 하나님께 경배 드리는 중에 그분과 함께 영적 교통과 교제를 나누는 것을 나타내줍니다. 그 떡은 그리스도를 상징합니다. 그분은 하늘에서 내려오신 떡이십니다. 우리의 영이 그 떡을 먹고 생명을 얻습니다. 그분께서는 “나는 생명의 떡이다(요6:35)”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등대와 떡상 사이에는 가시나무(성경에는 조각목)로 된, 금으로 입혀진, 상자형의 분향단이 있는데, 맨 위에는 네 가지 향료를 섞어 만든 향을 담은 금그릇이 있습니다. 그 향을 태울 때 기분 좋은 냄새를 풍기는 연기가 납니다. 그리고 그것은 그리스도의 공로를 상징합니다. 그분의 공로로 인하여 우리의 기도가 하나님께 상달되어 받아들여집니다. 이 향의 제작법은 맨 처음 하나님께서 알려주신 것이었고, 어느 개인이 그와 같은 향을 만드는 것은 사형죄에 해당합니다. 이는 그리스도의 공로 외 그 어떤 것도 우리의 구원에 적합지 못하고, 우리가 자신의 선행을 의지하거나 그리스도의 피와 의(義) 외에 그 어떤 것을 의지하는 것이 하나님께 불쾌한 일이며 영혼에 죽음을 초래함을 상징합니다.

 

Now we come to the last room in the tabernacle, the Holy of Holies, God's dwelling place among men. It was a cube, which is a symbol of perfection, fifteen feet long, wide, and high. In the description of heaven given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 city lies four square. This room had no windows, no candle, no light, yet it was the one place in all the world where there was no darkness. For the glory of God shone continually from above the mercy seat, - and of heaven we read, “The city hath no need of the sun, neither of the moon, to shine upon it; for the glory of God did lighten it, and the lamp thereof is the Lamb ... for there shall be no night there,” Rev. 21:23-25. Into this room no one was ever permitted to enter except the high priest, and he but once a year, and then only after the most solemn service on the day of atonement.

 

 

>> 법궤와 그 위의 자비소(속죄소). 사진 출처: 김영은 목사의 "성막은 예수 & 하나님"<<

 

 

이제 성막의 마지막 방인, 하나님께서 인간들 가운데 거하시는 장소인 지성소로 가봅시다. 그것은 가로, 세로, 높이가 15피트인 정육면체이고, 이는 완전을 상징합니다.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천국묘사에서 그 성은 네모 반듯합니다(참고: 계21:16. 거기에 묘사된 천국은 장광고(長廣高: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약 2,200 km 되는 정육면체형입니다. 역주.). 이 방에는 창도 없고, 등도 없고, 빛도 없으나 세상 가운데 어둠이 없는 유일한 곳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영광이 자비소(자비의 자리, 속죄소) 위로부터 항상 비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천국에 대한 글 “그 성은 해나 달의 비췸이 쓸데없으니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비취고 어린 양이 그 등이 되심이라. ... 거기는 밤이 없음이라(계21:23-25)”를 읽습니다. 이 방은 대제사장 외에 그 누구도 들어감이 허락되지 않았고, 그 제사장도 일년에 단 한 번만 들어갔고, 속죄일에 가장 엄숙한 제사를 드리고 났을 때였습니다.


In the Holy of Holies there was but one article of furniture - the ark. This was a small, gold-covered box, forty-five inches long, twenty-seven inches wide, and twenty-seven inches high, with perhaps more resemblance to a cedar chest without a top than to anything else with which we are familiar. In it were kept the two tablets of stone on which were written the Law, that is, the Ten Commandments. Over the ark was the mercy seat, a cover of solid gold, forty-five inches long and twenty-seven inches wide, at each end of which was a golden cherub, facing each other and covering the mercy seat with their wings. These symbolized the presence and unapproachableness of God. The mercy seat was the only seat in the tabernacle, and it was God's seat, the throne of God. It was over the law, thus symbolizing that God's kingdom is founded on holiness. on the day of atonement the high priest took the blood from the sacrifice and sprinkled it seven times over the mercy seat, thus covering or blotting out the law, thereby making atonement first for himself and then for the people. (See Leviticus, Chapter 16). “When God looked down toward His law,” says Dr. A. A. Hodge, “on which rests His throne, and which called for the execution of the penalty upon every transgression, His eye rested first on the covering bearing the sacrificial blood; the sins were therefore covered, and God was reconciled.” By that ritual we are taught that we can draw near to God, not by our own good works in keeping the law, but only through mercy which forgives the transgressions of the law. Yet while we cannot gain access to God through any righteousness of our own, we must have a hungering and thirsting after righteousness. Had the tables of the law been placed at the threshold instead of in the innermost shrine, we might have thought that we could gain access to God by keeping the law. As actually arranged the teaching is not “keep the law and God will let you in,” but “come in and God will give you grace to keep the law.” The New Testament statement of the same truth is: “By grace have ye been saved through faith; and that not of yourselves, it is the gift of God; not of works, that no man should glory. For we are His workmanship, created in Christ jesus for good works, which God afore prepared that we should walk in them,” Eph. 2:8-10.


지성소 안에는 단 하나의 성구 법궤만 있었습니다. 이것은 작은, 금으로 입혀진 상자인데, 길이 45 인치 폭이 27 인치, 높이가 27인치였습니다. 아마 뚜껑(덮개) 없는 삼나무 궤가 그것과 제일 비슷할 겁니다. 거기에는 율법 즉 십계명이 기록된 돌판 두 개가 보관되어 있습니다. 법궤 위에 있는 것이 자비소(속죄소)인데, 그것은 길이 45인치 폭 27인치의 순금 덮개입니다. 그것의 양단(兩端)에 서로 마주보며 날개로 자비소를 덮고 있는, 금으로 된 그룹들(천사들)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자비소는 법궤의 뚜껑 부분인데 그 위에 두 그룹들이 날개를 펼치고 있다는 말입니다. 역주.) 이것들은 하나님의 현존(現存)과 그분께로의 접근 불가능성을 상징합니다. 이 자비소는 성막 안에서 단 한 군데만 있는 자리이고, 그것은 하나님의 자리이고, 하나님의 보좌입니다. (참고: “그러므로 우리가 긍휼하심(mercy)을 받고 때를 따라 돕는 은혜(grace)를 얻기 위하여 은혜의 보좌(the throne of grace) 앞에 담대히 나아갈 것이니라(히4:16).”) 그것은 율법 위에 있었고, 그리하여 하나님의 나라가 거룩 위에 세워졌음을 상징합니다. 속죄일에 대제사장은 희생제물의 피를 취하여 그 자비소(속죄소)에 일곱 번 뿌리고, 그리하여 율법을 덮거나 감춰 보이지 않게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먼저는 자기 자신을 위하여 그 다음에는 백성을 위해 속죄를 행합니다. (레위기 16장을 보시오.) 핫지 박사의 말입니다: “하나님의 보좌가 그 위에 놓여져 있고 모든 죄에 대해 형벌의 실행을 요구하는 그분의 율법을 그분께서 내려다보실 때, 그분의 눈은 맨 먼저 희생제물의 피가 묻어있는 덮개(자비소)에 머뭅니다. 그리하여 죄가 가려졌고, 하나님과의 화해가 이루어졌습니다.” 이 제의(祭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우리가 하나님께 다가갈 수 있음은 율법을 지키는 우리의 선행으로가 아니라 오직 율법을 위반한 것을 용서하는 자비를 통해서라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우리 자신의 의를 통해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지만 우리는 의(義)를 향한 굶주림과 목마름이 있어야 합니다. 율법을 기록한 석판(石板)이 성소의 제일 안쪽에 있지 않고 문지방에 있었다면 우리는 율법을 행함으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었겠지요. 실제 배치상황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르침은 “율법을 지켜라. 그리하면 하나님께서 들어와라 하실 것이다”가 아니라 “들어와라. 그리하면 하나님께서 율법을 지킬 은혜를 네게 주실 것이다”입니다. 신약성경이 말해주는 동일한 진리는: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이것이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이는 누구든지 자랑치 못하게 함이니라. 우리는 그의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이 일은 하나님이 전에 예비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하심이니라(엡2:8-10).”


Separating the holy pace from the Holy of Holies there was hung, according to the directions given Moses, “a veil of blue, and purple, and scarlet, and fine twined linen; with cherubim the work of the skilful workman,” Ex. 26:31. This veil typified the human nature of Christ, adorned with excellent gifts and graces, by which He opened a way for us into heaven, so that Paul says we “have boldness to enter into the holy place by the blood of Jesus, by the way which He dedicated for us, a new and living way, through the veil, that is to say, His flesh,” Heb. 10:19, 20. When Christ died on the cross “the veil of the temple was rent in two from the top to the bottom,” Matt. 27:51, signifying that God was leaving His temple, and that all legal and ceremonial worship was at an end.


모세가 준 지침에 따르면, 성소와 지성소를 나누는 “청색 자색 홍색실과 가늘게 꼰 베실로 짜서 장을 만들고 그 위에 그룹들을 공교히 수놓은 것(휘장)이(출26:31)” 걸려 있습니다. 이 휘장은 뛰어난 은사(선물)와 은혜를 지닌 그리스도의 인성(人性)을 상징하고, 그 인성으로 그분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하늘의 길을 여셨고, 그리하여 바울은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롭고 산(살아 있는) 길이요, 휘장은 곧 저의 육체니라(히10:19, 20)”라고 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셨을 때 “성소 휘장이 위로부터 아래까지 찢어졌고(마27:51)”, 이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성전을 떠나셨음과, 모든 율법적이고 의식적(儀式的)인 경배는 끝이 났음을 상징합니다.


We must notice one more very remarkable phenomenon in the tabernacle: the furniture is arranged in the shape of a cross. The brazen altar is the base, the laver is the stem, the table of shewbread is the right arm, the candlestick is the left arm, the altar of incense is at the center where the shoulders touch, and the ark is the head. This design was hidden by the veil until the hour when Christ died, at which time the rending of the veil, not by human hands but by God himself, laid open the Holy of Holies. Then standing at the brazen altar and looking toward the ark, the cross stood out clear and distinct.


우리는 성막의 놀랄만한 면을 하나 더 살펴봐야 합니다: 성구들은 십자가 모양으로 배치되었습니다. 놋 번제단은 기초이고, 물두멍은 기둥이고, 진설병 상은 오른팔이고, 등대는 왼팔이고, 분향단은 어깨가 닿는 중심부분이고, 법궤는 머리입니다. 예수께서 죽으실 때까지 이 구도(構圖)는 휘장에 가려졌습니다. 그분께서 죽으셨을 때, 인간의 손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친히 장막을 찢으셔서 지성소가 개방되었습니다. 그 때 번제단에 서 있으며 법궤를 향해 있는 십자가의 모습이 분명하고도 확실해졌습니다.


Thus in the structure and ritual of the tabernacle there is presented the Gospel in picture. The brazen altar, representing Calvary, is at the very entrance; and the blood from this is sprinkled on all things back to the mercy-seat. As the worshipper passes along this wondrous path he beholds the name of Jesus stamped on all he meets. This was the visible representation kept before the people from the time of Moses until the death of Christ. And Christ Himself during His early career, while recognizing the temporary and provisional character of the ceremonial law, rendered it unfailing obedience; for it was abrogated only by His death. The rituals and ceremonies were like the moon shining in the night, not with their own but with reflected or borrowed light foreshowing the Sun of Righteousness which was soon to appear. And when the reality appeared and accomplished the work to which the types and ceremonies of Judaism had pointed, these latter disappeared, as the petals fall away when the fruit appears, or as the moon and stars fade out when the sun arises.


이처럼 성막의 구조와 제의에 복음이 그림으로 제시되었습니다. 갈보리를 나타내는 놋제단은 바로 입구에 있으며, 이곳의 피는 자비소(속죄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들에 뿌려집니다. 예배자가 이 경이로운 길을 지날 때 만나는 것마다 거기서 예수의 이름이 찍혀진 것을 봅니다. 이것이 바로 모세 시대로부터 그리스도의 죽음 때까지 사람들 앞에 제시된 가시적(可視的) 메시지입니다. 그리스도 그분께서도 초기 사역 기간에 제의법의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면을 아셨지만 철저히 거기에 복종하셨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오직 그분의 죽음으로만 폐지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제의와 의식은 밤에 빛나는 달과 같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빛이 아니라, 곧 나타나실 의로운 해(말4:2, 그리스도)를 예시(豫示)하는, 반사하거나 빌린 빛입니다. 그리고 실체가 나타나 유대교의 예표와 의식들이 지시한 사역을 완성했을 때, 열매가 나타나면 꽃잎이 떨어지듯 혹은 태양이 떠오르면 달과 별들이 사라지듯, 그러한 예표와 의식들은 사라졌습니다.


Christ the Fulfillment of Old Testament Ritual


구약 제의(祭儀)의 성취이신 그리스도


To us who are privileged to study the Old Testament in the light of the New it is abundantly clear that Christ was the reality toward which the types and rituals pointed. So overwhelming is the evidence that such is usually acknowledged to be the case, even by those who reject its validity. Christ is everywhere presented as our sacrifice. The Old Testament saints looked forward to the same sacrifice as that to which we look back. Their whole system was a build-up for the coming Messiah. Dr. A. H. Strong has observed that “Just as gravitation kept the universe stable, long before it was discovered by man, so the atonement of Christ was inuring to the salvation of men long before they suspected its existence. This light had been shining throughout the ages, but ‘the darkness apprehended it not’” (John 1:5). The trail of sacrificial blood that appears just outside the gates of Eden leads unerringly to the cross of Calvary, where “once at the end of the ages hath He been manifested to put away sin by the sacrifice of Himself,” Heb. 9:26. In that transaction Christ was at one and the same time the sacrifice and the Priest who offered it. We personally had nothing to offer and no hand or part in the offering - we simply stand aside under guilt and condemnation, helpless and hopeless. Hence the Scriptures declare that “While we were yet weak, in due season Christ died for the ungodly,” Rom. 5;6; and again, “While we were enemies, we were reconciled to God through the death of His Son,” Rom. 5:10.


신약의 빛에서 구약을 공부하는 특권을 지닌 우리에게 그리스도께서 예표들과 제의들이 지시했던 실체이셨음은 지극히 분명한 것입니다. 이 증거가 너무 분명하여 그것의 효력을 부인하는 자들조차도 대개 그건 그렇다고 합니다. 모든 곳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희생제물로 제시됩니다. 구약의 성도들은 우리가 뒤돌아보고 있는 바로 그 희생제물을 바라보았습니다. 그것들의 전(全) 체계는 오실 메시야를 위해 축적된 것들입니다. 스트롱 박사의 말입니다: “중력(重力)이 인간에게 발견되기 오래 전부터 우주의 안정을 유지시켰듯이, 그리스도의 속죄도 인간이 그것의 존재를 알아채기 오래 전부터 인간의 구원에 효력을 발생시키고 있었습니다. 이 빛이 온 시대를 통하여 비추고 있었으나 ‘어둠이 그것을 깨닫지 못했습니다(요1:5).’” 에덴의 문 바로 밖에서 시작된 희생의 핏자국은 정확히 갈보리 십자가에 이르렀고, “그분께서 자기를 단번에 제사로 드려 죄를 없게 하시려고 세상 끝에 나타나셨느니라(히9:26).” 그 사역을 행하심에 있어 그리스도께서 동시에 제물이셨고 그 제물을 바치는 제사장이셨습니다. 우리는 그 제사 때 개인적으로 뭘 바치거나 도움을 주거나 역할을 한 게 없습니다. 우리는 단지 죄와 정죄와 속수무책과 절망 가운데 옆으로 비켜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이 “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에 기약대로 그리스도께서 경건치 않은 자를 위하여 죽으셨도다(롬5:6)”라고 하고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 그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으로 더불어 화목되었다(롬5:10)”고 선언합니다.


We have said that Christ was a priest, specifically, that He was our great High Priest. A priest is one who represents man before the throne of God, one who is able to make a sacrifice to God on man's behalf and who on the basis of that sacrifice can intercede for man. A prophet, by way of distinction, is God's representative, God's spokesman, to man. Christ exercised, of course, not only the office of priest, but also those of prophet and king. ... Christ alone has the qualifications of a real Priest, and is able to mediate with God. And with His coming and the accomplishment of His work the Levitical priesthood, together with all of its sacrifices and rituals, was forever abolished.  ... We therefore reject all merely human and earthly priests, whether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or in heathen religions, and look upon their continued practice as simply an attempt to usurp divine authority.


전술했다시피 그리스도께서는 제사장이시고, 특히 그분께서는 우리의 대제사장이십니다. 제사장은 하나님의 보좌 앞에서 인간을 대표하는 자이고, 인간을 위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릴 수 있는 자이고, 그 제사를 근거로 인간을 위해 중보기도 할 수 있는 자입니다. 이와 달리 선지자는 인간에 대하여 하나님의 대리인이고 대변인입니다. 물론 그리스도께서는 제사장직뿐만 아니라 선지자와 왕의 직분도 수행하셨습니다. ... 오직 그리스도께서만 실제 제사장 자격이 있으시고, 하나님 앞에 중보자가 되실 수 있으십니다. 그리고 그분의 출현, 그분의 사역의 완수와 함께 레위지파의 제사장직과 그에 따른 모든 제사와 제의들이 영원히 폐지되었습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로마 카톨릭교회이든 이방 종교들의 경우든지 간에, 단지 인간적이고 현세적인 모든 제자장들을 거부하고, 그들의 계속된 제사장 노릇을 순전히 하나님의 권위를 강탈하려는 시도로 간주합니다.


When the whole race was shut out from God by its sin, God was pleased to choose the Israelites as a priestly nation, then to appoint Levi as the priestly tribe, then to appoint the family of Levi as the priestly family, and finally, narrowing down the choice still further, to appoint a succession of individuals from this family as a type of the great High Priest, Jesus Christ.


온 인류가 자신들의 죄로 인하여 하나님으로부터 단절되었을 때 그분께서는 기쁜 맘으로 이스라엘을 제사장 나라로 택하셨고, 그 다음에 레위 지파를 제사장 지파로 삼으셨고, 그 다음에는 레위 지파의 한 집안을 제사장 집안으로 삼으셨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선택의 폭을 훨씬 더 좁혀, 위대하신 대제사장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로 그 집안에서의 개인적 (대제사장직) 승계를 정하셨습니다.


“But now once at the end of the ages hath He been manifested to put away sin by the sacrifice of Himself,” Heb. 9:26. “For our passover also hath been sacrificed, even Christ,” I Cor. 5:7. “Behold the Lamb of God, that taketh away the sin of the world,” John 1:29. “Christ gave Himself up for us, an offering and a sacrifice to God for an ordor of a sweet smell,” Eph. 5:2. In instituting the sacrament of the Lord's Supper, Christ set forth His death in sacramental terms, saying of the bread, “This is my body which is given for you,” Luke 22:19; and of the wine, “This is my blood of the covenant, which is poured out for many unto remission of sins,” Matt. 26:28.


“그러나 이제 자기를 단번에 제사로 드려 죄를 없게 하시려고 세상 끝에 나타나셨느니라(히9:26).”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고전 5:7).”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요1:29).”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자신을 버리사 향기로운 제물과 생축으로 하나님께 드리셨느니라(엡5:2).” 성찬식을 제정하시는 가운데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죽음을 제의(祭儀)용어로 설명하시어, 떡에 대해서는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다(눅22:19)” 하셨고, 포도주에 대해서는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마26:28)” 하셨습니다.


Even in the Old Testament, in the celebrated prophecy of Isaiah, the vicarious atonement of the coming Messiah is set forth in graphic language: “Surely he hath borne our griefs, and carried our sorrows; yet we did esteem Him stricken, smitten of God, and afflicted. But he was wounded for or transgressions, he was bruised for our iniquities; the chastisement of our peace was upon Him; and with His stripes we are healed. ... He bare the sin of many, and made intercession for the transgressors,” 53:4-12.


구약에서도 유명한 이사야 예언에서 오실 메시야의 대속(代贖)이 생생한 언어로 묘사됩니다: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우리는 생각하기를 그는 징벌을 받아서 하나님에게 맞으며 고난을 당한다 하였노라. 그러나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사53:4-12).”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 join together in perfect harmony, the former being prophetic, while the latter is descriptive, of Christ's person and work; and in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the transition from the Old to the New was smooth and natural as is the transition from the bud to the flower.


구약과 신약은 완전한 조화 가운데 하나가 됩니다. 구약은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의 예언이고 신약은 그것의 기술(記述)입니다. 그리고 꽃봉오리에서 꽃으로의 변화처럼, 교회가 발전하며 옛것에서 새것에로의 전환이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습니다.


When the veil of the temple was opened it was symbolically taught that God was leaving His temple and that all ceremonial worship was at an end. “Behold, your house is left unto you desolate,” said Jesus in anticipation of His death and the end of the old order, Matt. 23:38. In destroying Jesus the Jews not only proved themselves utterly unfit to further administer the things of God, but also (and that without the faintest idea of what they were doing) destroyed the entire Levitical system to which, for commercial and selfish reasons, they were so blindly devoted. The Apostle Paul speaks of the veil of ignorance, blindness and hardness of heart which keeps the Jews from understanding the spiritual sense and meaning of the law, and from seeing that Christ is the end of the law for righteousness to them that believe; “For unto this very day at the reading of the old covenant the same veil remaineth, it not being revealed to them that it is done away in Chrst. But unto this day, whensoever Moses is read, a veil lieth upon their heart.” And then he adds, “But whensoever, it [or, marginal reading: a man] shall turn to the Lord, the veil is taken away,” II Cor. 3:14, 15.


성전 휘장이 열렸을 때, 그것이 주는 교훈은 그 때 하나님께서 그분의 성전을 떠나가셨고 모든 의식적(儀式的) 예배는 종말을 맞았다는 것입니다. 예수께서 자신의 죽음과 옛 질서의 종말을 예언하시어 “보라 너희 집이 황폐하여 버린 바 되리라(마23:38)” 하셨습니다. 유대인들이 예수를 죽임으로 자신들이 계속하여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에 전혀 부적합하다고 증명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무슨 짓을 하는지도 전혀 모른 채) 상업적이고 이기적인 이유로 그들이 그렇게도 맹목적으로 헌신했던 레위인의 제도(제사장 제도) 전체를 무너뜨렸습니다. 유대인들로 하여금 율법의 영적 감각과 뜻을 이해 못하게 하고, 그리스도께서 믿는 자들의 의(義)를 위하여 율법의 마침이 되셨다는 것을 이해 못하게 하는 무지와 눈멂과 굳은 마음의 수건(베일)에 대해 사도 바울이 말합니다: “저희 마음이 완고하여 오늘까지라도 구약을 읽을 때에 그 수건(베일)이 오히려 벗어지지 아니하고 있으니, 그 수건은 그리스도 안에서 없어진다는 게 그들에게 계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늘까지 모세의 글을 읽을 때에 수건이 오히려 그 마음을 덮었도다.” 그리고 그가 말을 잇기를, “그러나 언제든지 그것이(혹은 방주(旁註)에는 ‘사람이’) 주께로 돌아가면 그 수건이 벗어지리라(고후3:14, 15)” 했습니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거스틴의 글 >1<  (0) 2012.12.06
신학 & 영어 >29, 끝<  (0) 2012.12.06
신학 & 영어 >27<  (0) 2012.12.06
신학 & 영어 >26<  (0) 2012.12.06
신학 & 영어 >25<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