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25<

stevision 2012. 12. 6. 15:30

2. The Significance of Christ's Death

2.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public ministry Jesus spoke repeatedly and insistently of the death which He was to suffer at Jerusalem. “From that time,” says Matthew, marking the beginning of a period, “began Jesus to show unto His disciples, that He must go unto Jerusalem, and suffer many things of the elders and chief priests and scribes, and be killed,” 16:21. ... Loving His people with an infinite love, and having come to earth specifically for their redemption, He longed to suffer and to accomplish His appointed work.

예수의 공생애 후반기 동안에 그분께서는 자신이 예루살렘에서 겪게 될 죽음에 대해 거듭하여 지속적으로 말씀하셨습니다. 마태복음 저자는 새로운 시기의 전환점을 지적하며 말합니다. “이때로부터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기가 예루살렘에 올라가 장로들과 대제장들과 서기관들에게 많은 고난을 받고 죽임을 당할 것을 제자들에게 비로소 가르치시니(마16:23).” 자기 백성을 무한히 사랑하셔서 특별히 그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세상에 오셨기 때문에 그분께서는 고난 당함과 자기에게 맡겨진 일을 완수하기를 갈망하셨습니다.

That the specific purpose of Christ's death was to secure forgiveness for others is taught directly in Scripture. “This is my blood of the covenant, which is poured out for many unto remission of sins,” said He as He instituted the Lord's Supper which through all succeeding generations was to be observed as a memorial of His death, Matt. 26:28. “The Son of man came not to be ministered unto, but to minister, and to give His life a ransom for many,” Mark 10:45.


그리스도의 죽음의 특별한 목적이 다른 자들의 죄용서를 얻기 위함이라는 것을 성경이 분명히 가르치고 있습니다. 모든 후세 사람들이 그분의 죽음을 기념하여 행하게 될 성찬식을 제정하실 때 그분께서는 “이것은 죄 사람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마26:28)” 말씀하셨습니다. “인자(예수 그리스도)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막10:45).”

It is not enough to recognize Christ as a teacher while rejecting Him as the atoning Saviour. In the conversation with Nicodemus He promptly brushed aside the complimentary words, “we know that thou art a teacher come form God,” and declared that until one is born anew he cannot even so much as see the kingdom of God. And similarly the pity of the “Daughters of Jerusalem,” although doubtless sincere, was rejected apparently because it did not recognize the fact that His suffering was not for Himself but for others, - “Weep not for me, but weep for yourselves,” Luke 23:28. And the rending of the veil of the temple, which symbolized that the way into the presence of God had been opened for all men, occurred not at His baptism, not at the Sermon on the Mount, but at His death.

그리스도를 속죄하시는 구세주로 인정하지 않고 선생 정도로 인정하는 것은 충분치 못합니다. 네고데모와의 대화에서 그분께서는 “우리는 당신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선생임을 압니다”라는 의례적인 말을 물리치시고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도 없다 하셨습니다. 마찬가지로 “예루살렘의 딸들”의 동정심도, 비록 그게 분명 진심이었겠지만, 명백히 거부되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분의 고통이 자신을 위함이 아닌 다른 자들을 위함이라는 사실을 그 동정심이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나를 위해 울지 말고 너희를 위하여 울라(눅23:28).” 그리고 성전의 휘장이 찢어짐은 하나님의 존전으로 향하는 길을 모든 자들에게 열어 주었음을 상징하는데, 그것은 그분께서 세례 받으실 때나 산에서 설교하실 때가 아니라 그분께서 죽으신 때에 일어났습니다.

“Christ redeemed us from the curse of the law, having become a curse for us,” Gal. 3:13. “Him who knew no sin He [that is, God] made to be sin on our behalf [that is, laid on Him the punishment due for sin]; that we might become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m,” II Cor. 5:21.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갈3:13).”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자로 우리를 대신하여 죄를 삼으신 것은(즉 죄의 형벌을 그분께 부과하심은) 우리로 하여금 저의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고후5:21).”

And in John's Revelation the triumphant Christ is pictured as “arrayed in a garment sprinkled with blood,” 19:13.

그리고 요한 계시록에서 승리하신 그리스도께서는 “피 뿌린 옷을 입으셨다(계19:13)”고 합니다.

Even in the Old Testament this doctrine was clearly anticipated. In the Messianic 53rd chapter of Isaiah we read: “He was wounded for our transgressions, He was bruised for our iniquities; the chastisement of our peace was upon Him; and with His stripes we are healed. All we like sheep have gone astray; we have turned every one to his own way; and Jehovah hath laid on Him the iniquity of us all. ... He bare the sin of many, and made intercession for the transgressors,” vss. 5-12.

구약성경에서도 이 교리(대속의 죽음 교리)는 분명히 예언되고 있습니다. 메시야 예언인 이사야 53장은 말합니다: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서는 우리 무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사53:5-12).”

In appointing the lamb as the principal animal for the morning and evening sacrifice in ancient Israel, God chose the animal which is at one and the same time the most harmless and gentle and the most attractive and pleasing of all the domestic animals, and thus emphasized both the innocence and the inherent value of the victim whose life was taken. The people were thus taught that their sins were forgiven and their lives spared only because another who was innocent and virtuous took their place and died in their stead. The term “Lamb of God,” when applied to Christ, calls to mind the Old Testament sacrifices and invariably refers to His sacrificial death. John the Baptist, for instance, pointed out Jesus as “the Lamb of God, that taketh away the sin of the world,” John 1:29. ...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 redeemed are portrayed as those who have “washed their robes, and made them white in the blood of the Lamb,” 7:14.

고대 이스라엘에서 조석(朝夕)으로 드리는 희생제사의 주요 제물로 어린 양을 지정하셨을 때 하나님께서는 동시에 모든 가축들 중에 가장 무해하고 순하고 사랑스럽고 만족스런 동물로 정하신 것이고, 그리하여 죽임을 당해야 할 희생제물의 순결함과 고유한 가치를 강조하신 것입니다. 그리하여 이스라엘 백성은 오직 무죄하고 덕스런 타자(他者)가 그들의 자리에서 그들을 대신하여 죽음으로 그들의 죄가 용서받고 그들의 목숨을 건지게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하나님의 어린 양”이라는 용어가 그리스도께 적용되었을 때에 그것은 구약성경의 희생제물들을 상기시키고, 어김없이 그분의 희생적 죽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례 요한은 예수를 가리켜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요1:29)”이라 했습니다. ... 요한 계시록에서 구원받은 자들은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한 자들(계7:14)”로 묘사됩니다.

 

 

Significance of the Term “Blood”


“피”의 의미


The term “blood” as used in theological language is, of course, to be understood as a figure of speech. It is used as a synonym for Christ's atoning death, and it designates the price which He paid for the redemption of His people. There are, as might be expected, many in our day who take offense at the term “blood,” and wish to earn their salvation by their own good works. But the New Testament, as if anticipating this very offense, not only repeatedly asserts that salvation is not by works, but makes direct reference to the “blood” of Christ some thirty-five or forty times and in the Old Testament there are innumerable references to the blood of the animals which were used in the ceremonies and rituals which prefigured the death of Christ. Salvation in all ages has been through Christ alone; and the Old Testament saints who worshipped God in His appointed way of sacrifice and poured out blood looked to the same Saviour as do we who live in the Christian era. “The life of the flesh is in the blood,” said the Lord to Moses, “and I have given it to you upon the altar to make atonement for your souls: for it is the blood that maketh atonement by reason of the life,” Lev. 17:11. When the blood is pured out, the person or animal dies. Under the ceremonial law the blood with which atonement was made was secured in such a way that the life of the victim was always forfeited. In the twelfth chapter of Exodus we are given a account of the Passover, with its sprinkling of blood and the deliverance of all the firstborn of Israel from death. on the day of annual Atonement the high priest was to sprinkle the blood of the bullock and of the goat over the mercy seat and upon the horns of the altar, Lev. 16:1-34. The various Old Testament blood rituals were but prophetic types or prefigurements of the great sacrifice which later was to be made by Christ when He offered Himself for the sins of His people.


신학 용어로 사용된 “피”는 물론 수사적(修辭的)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그리스도의 속죄적 죽음의 동의어로 쓰이고, 그분의 백성들의 구속을 위해 그분께서 치르신 대가를 의미합니다. 우리 시대에 “피”라는 말에 거부감을 느끼고 자신의 선행으로 구원 얻기를 기대하는 자들이 많은데, 희한한 일은 아니지요. 그러나 신약성경은 이러한 거부감을 예견이나 하듯 구원이 행함으로 얻어지는 게 아니라고 거듭 말할 뿐만 아니라 이 그리스도의 “피”를 직접 35-40회 정도 언급하고, 구약성경에서는 그리스도의 죽음을 예표한 의식(儀式)과 제사에 사용된 짐승의 피가 셀 수도 없이 많이 나옵니다. 모든 시대에 구원은 오직 그리스도로 말미암습니다. 그리고 기독교 시대의 우리가 그러하듯, 하나님께서 정하신 방식대로 피 흘리는 희생제사로 하나님을 경배한 구약시대의 성도들도 동일한 구세주를 바라보았습니다. 주께서는 모세에게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내가 이 피를 너희에게 주어 단에 뿌려 너희의 생명을 위하여 속하게 하였나니 생명이 피에 있으므로 피가 죄를 속하느니라(레17:11)” 말씀하셨습니다. 피를 흘리면 사람도 짐승도 죽습니다. 제의법(祭儀法)에서는 항상 짐승의 생명을 희생시켜 나온 피로 속죄가 이루어집니다. 출애굽기 14장에는 유월절이 피뿌림과, 이스라엘 모든 장자들의 죽음에서의 구원과 함께 나옵니다. 속죄일에 대제사장은 속죄소와 제단의 뿔에 황소와 염소의 피를 뿌려야 합니다(레16:1-34). 다양한 구약성경의 피의식들은 후에 그리스도께서 자기 백성을 위해 자신을 드릴 때 행하실 위대한 희생의 예언적 예표 내지는 예시에 불과합니다.


The teaching of the New Testament concerning the blood is very explicit. We have seen that Jesus' own words in instituting the Lord's Supper were, “This is my blood of the covenant, which is poured out for many unto remission of sins,” Matt. 26:28. ... “But now in Christ Jesus ye that once were afar off are made nigh in the blood of christ,” Eph. 2:13. Christ has “made peace through the blood of His cross,” Col. 1:20. ... “For if the blood of goats and bulls, and the ashes of a heifer sprinkling them that have been defiled, sanctify unto the cleanness of the flesh: how much more shall the blood of Christ, who through the eternal Spirit offered Himself without blemish unto God, cleanse your conscience from dead works to serve the living God, Heb. 9:11-14?”


피에 대해 신약성경이 주는 가르침은 매우 분명합니다. 전술했다시피 예수께서 성만찬을 제정하실 때 친히 하신 말씀은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마26:28)”였습니다. ... “전에 멀리 있던 너희가 이제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리스도의 피로 가까워졌느니라(엡2:13).” 그리스도께서는 “자기 십자가의 피로 화평을 이루셨습니다(골1:20).” ... “염소와 황소의 피와 및 암송아지의 재로 부정한 자에게 뿌려 그 육체를 정결케 하여 거룩케 하거든, 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성부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 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못하겠느뇨?(히9:11-14)”


So let no one take offence at the term “blood.” Since salvation was purchased for us by the vicarious suffering and death of Christ, and since that suffering and death is symbolized by the blood, it is but natural that both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 should mention the blood repeatedly.


그러므로 우리가 “피”라는 말에 거부감을 가지면 안됩니다. 그리스도의 대리 고난과 죽음으로 우리가 구원을 얻게 되고 그 고난과 죽음이 피로 상징되므로 자연스럽게 구약과 신약이 피를 거듭하여 말하는 것입니다.


To the unsaved nothing seems more unreasonable and meaningless than the assertion that  salvation is to be obtained through the blood of Christ. ... “The word of the cross is to term that perish foolishness, but unto us who are saved it is the power of God,” I Cor. 1:18.


구원받지 못한 자에게 그리스도의 보혈로 구원받는다는 것보다 더 부당하고 무의미한 말은 없습니다. ...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얻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전1:18).”


And unless Christ did thus give His life a sacrifice for others we are at a loss to know why He died. ... But Christ suffered the penalty of death even though He had no sin of His own. Consequently He must have died for the sins of others. Unless He did thus die, His voluntary surrender to death, and that at the early age of thirty-three, must be looked upon as utter foolishness, as, in fact, criminal suicide.


그리스도께서 다른 자들을 위한 희생제물로 자기 생명을 바치지 않으셨다면 우리는 왜 그분께서 죽으셨는지 도대체 이해할 수 없게 됩니다. ...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죄가 없으셨으나 죽음의 형벌을 당하셨습니다. 따라서 그분께서는 다른 자들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음이 분명합니다. 그분께서 그 때문에 죽지 않으셨다면 그분의 자발적 죽음은, 더욱이 33세라는 젊은 나이에 죽으셨다는 것은 완전한 어리석음이었고, 사실 자살죄를 범한 것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습니다.


Not Merely a Martyr's Death


단순한 순교자의 죽음이 아님


There are may who deny that the death of Christ had any value as an atonement. The most common alternative view is that He died merely as a martyr. But apart from the fact that a mere martyr's death would leave most of the distinctive Christian doctrines without any adequate foundation, the narratives themselves make it quite clear that something profoundly different was involved. Compare His feeling, in view of death, with that of Paul: “having the desire to depart,” Phil. 1:23; “The time of my departure is come. I have fought the good fight, I have finished the course, I have kept the faith: henceforth there is laid up for me the crown of righteousness, which the Lord, the righteous judge, shall give to me at that day; and not to me only, but also to all them that love His appearing,” II Tim. 4:6-8. Jesus, on the other hand, was filled with anguish. “Now is my soul troubled; and what shall I say? Father, save me from this hour,” John 12:27. We are told that “His sweat became as it were great drops of blood falling down upon the ground,” Luke 22:44. And as He hung on the cross we hear the despairing cry, “My God, my God, why hast thou forsaken me?” Matt. 27:46. As Dr. A. H. Strong has said, “If Christ was simply a martyr, then He was not a perfect example; for many a martyr has shown greater courage in prospect of death, and in the final agony has been able to say that the fire which consumed him was ‘a bed of roses.’ Gethsemane, with its mental anguish, is apparently recorded in order to indicate that Christ's suffering even on the cross were not mainly physical sufferings.”


많은 자들이 그리스도의 죽음이 속죄를 할 가치를 지니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흔한 대안적 견해는 그분께서 단지 순교자로서 죽으셨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단순한 순교자의 죽음이라는 것이 가장 기독교적인 교리들의 적절한 근거를 제거한다는 사실을 차치하더라도, 성경의 기록들은 심오하게 다른 어떤 것이 개입되어 있음을 분명히 말하고 있습니다. 죽음에 대한 그분의 태도와 바울의 태도를 비교해보십시오. “떠나고자(죽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빌1:23).” “관제와 같이 벌써 내가 부음이 되고 나의 떠날 기약이 가까웠도다. 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 날에 내게 주실 것이니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니라(딤후4:6-8).” “지금 내 마음이 민망하니 무슨 말을 하리요? 아버지여 나를 구원하여 이 때를 면하게 하여 주옵소서(요12:27).” 눅22:44에서 우리는 “그분께서 굵직한 핏방울들이 땅에 떨어지듯 땀을 흘리셨다”는 말씀을 접하게 됩니다. 그리고 십자가에서 그분께서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마27:46)”라고 절망적으로 절규하시는 것을 듣습니다. 이와 관련한 스트롱 박사의 말입니다. “그리스도께서 단순히 순교자이셨다면 그분께서는 완전한 순교자의 모범은 아니셨습니다. 왜냐하면 많은 순교자들이 죽음에 대항하여 큰 용기를 보여줬고, 단말마적 고통 가운데 그들은 자신을 태우는 불꽃을 ‘장미가 뿌려진 침상(寢牀)’이라 부를 수 있었습니다. 겟세마네(십자가 죽음 직전 기도 드리신 장소)와 그곳에서의 정신적 고통은 분명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고난의 주된 요인이 육체적 고통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려 기록된 것입니다.”


As Jesus hung on the cross He was, in His human nature, the true sin-offering for His people, and as such, it was necessary that He suffer alone. God can have no association whatever with sin, since in His sight it is infinitely heinous. And, as in the Old Testament ritual for the sin-offering, this as symbolized by the burning of the flesh of the bullock outside of the camp (even the offering itself being treated as offensive and polluted since in the mind of the offerer it stood representative of and was in some way associated with his sin), so Jesus, as He bore in His own body the full weight of the penalty of sin, was temporarily cut off from the Father's presence and paid the entire cost of redemption without help from any other. The darkened havens, and the cry, “My God, my God, Why hast thou forsaken me?” indicate as much. He was acutely conscious not only of the pain from the nails, but also of a break in that intimate and loving fellowship which He had always enjoyed with the Father. ... In contrast with His sufferings, the Christian martyrs deeply conscious of God's presence as they yielded up their lives. If Christ's death was only a martyr's death it might well fill us with terror and despair, for it would show that the holiest man who ever lived was utterly forsaken by God in the hour of His greatest need.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그분의 인성(人性)의 측면에서 보면 그분께서는 자기 백성을 위한 속죄제물이셨고, 그러한 속죄제물로서 그분께서는 오직 홀로 고난을 당하심이 요구되었습니다. 죄는 하나님(성부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무한히 가증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분께서는 어떠한 죄와도 함께 하실 수 없으셨습니다. 그리고 구약의 제사에 쓰인 속죄제물과 같이, 또 진 밖에서 황소를 태우는 것에서 상징되어 있듯이(참고 레6:11), 그리스도께서도 자기 육체에 모든 죄의 삯을 지셨기 때문에 잠시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단절되셨고 다른 그 어떠한 자의 도움 없이 구속의 모든 대가를 다 치르셨습니다. (제물을 바치는 자의 생각에 제물이 자기 죄를 대신하고 어떤 방식으로든 그 죄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물 자체는 불쾌하고도 더러운 것으로 여겨집니다.) 어두워진 하늘, 그리고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라는 절규가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그분께서는 대못이 주는 고통뿐만 아니라 성부 하나님과 항상 유지해왔던 가깝고도 사랑스런 관계의 단절이 주는 고통을 뼈저리게 느끼고 계셨습니다. ... 그분의 고난과 대조적으로 기독교 순교자들은 죽어갈 때 하나님께서 함께 계심을 마음속 깊이 느끼고 있었습니다. 만약 그리스도의 죽음이 단지 순교자의 죽음이었다면 이는 우리에게 공포와 절망을 주는 일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세상에서 가장 의로운 자가 도움이 가장 절실히 필요한 때에 하나님으로부터 완전히 버림을 받았음을 말해주기 때문입니다.


>> 순교자는 의로운 자로서 하나님으로부터 위로를 받으며 죽지만, 예수께서는 죄가 없으시지만 인간의 죄를 위해 죄인이 되시어 죄인으로서 하나님과 사람에게 철저히 버림을 받아 죽으셨다는 말임. 그러므로 그분의 죽음은 순교자의 죽음이 아니라 속죄제물로서 죽으셨다는 말임. <<


>> 성경에 겟세마네 동산에서 예수께서 “이 잔을 피하게 하소서”라는 기도를 드리시고, 십자가 상에서 “아버지여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외치신 것이 나오는데, 혹자는 이것을 예수의 신성과 무관한 인성의 일이라고 봅니다. 또 예수께서 나사로가 묻힌 곳이 어디냐고 물으시는 것도 예수의 신성이 아니라 인성의 측면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전에도 말했다시피 이렇게 예수의 인격을 신성과 인성으로 나누는 것은 네스토리우스적 발상이므로 그릇됩니다. 창세기에서 하나님께서 범죄한 아담에게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 물으셨는데, 하나님이신 그분께서 아담이 실제로 어디 있나 몰라서 그런 질문을 하신 게 아니지요. 이미 하나님께서 다 아시고 계시지만 그렇게 물으신 것은 “아담아, 내 앞에 서거라”라는 말이지요. 아들이 용돈을 나쁜 곳에 다 쓴 것을 알고 있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너 그 돈 어디에 썼냐?”라고 묻는 것은 아들로부터 책임 있는 대답을 듣겠다는 말이지요. 마찬가지로 예수께서 하나님으로서 나사로가 어디 묻혀 있나 다 아시지만 “나사로를 어디에 묻었냐(요11:34)?”라고 물으신 것은 “그곳에 함께 가자”라는 말이지요. “이 잔을 피하게 하소서”라는 말은 “난 죄인이 아니고 원래 죽을 의무도 없습니다”라는 말입니다. 그럼에도 예수께서는 아버지 뜻대로 하시겠다고 하셨습니다. 세상 죄를 지고 십자가에서 죽는 게 정말 싫어서가 아니라 사람들에게 그분께서 죽으시는 이유를 분명히 하시기 위해 그런 말씀을 하신 것이지요. 이러한 예수의 마음은 인성만의 마음이 아니라 신인(神人)의 마음이지요.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라는 말씀은 예수께서 자신의 인성만 버림을 받은 느낌이 들어서 하신 게 아니라 당시에 성자 하나님으로서 성부 하나님께 완전히 버림을 받으셨기에 하신 말씀입니다. 예수의 인격은 신적 인격과 인간적 인격 이 둘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게 아닙니다. <<


>> 어떤 무식한 종교 사기꾼들은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외치신 것을 가지고 그분께서 인류구원에 실패하셨다는 증거로 삼으려 합니다. 그러나 예수의 그 말씀은 성부 하나님께서 그 당시에 정말로 성자 하나님을 철저히 죄인 취급하시어 신적 부자(父子) 관계를 끊으신 상황을 있는 그대로 사람들에게 보여주신 말씀입니다. 그 말씀은 성부 하나님의 마음을 도저히 이해 할 수 없다거나 그렇게 자기가 버림을 받은 것이 정말로 원통해서 하신 말씀이 아닙니다. 그 말씀은 당시의 상황 그대로를 사람들에게 알려주어 나중에 그들이 그분의 십자가 죽음의 참된 의미를 바로 깨닫게 하기 위해 하신 말씀입니다. 즉 위에서 언급한 그대로 예수께서는 자신의 죽음이 순교자의 죽음이 아니라 죄를 감당한 속죄제물의 죽음이심을 사람들이 깨닫게 하시기 위해 당시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사람들에게 알리신 것입니다. 십자가에서 철저히 당신의 독생자를 버리시겠다는 성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게 바로 예수님의 마음이었습니다. 성부 하나님의 그 철저한 버림과 성자 하나님의 고난과 순종 때문에 인류 구원이 완성된 것입니다. 십자가 죽음 이후에 예수께서는 부활하셨고, 성부 하나님께서는 그 부활하신 예수께 큰 위로와 선물을 주셨습니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이러므로 하나님(성부 하나님)이 그(성자 하나님)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빌2:8-11).” 무식한 종교 사기꾼들은 복음서까지만 성경을 제멋대로 대충 읽고 뒤에 나오는 빌립보서까지는 읽지 않아 궤변을 늘어놓습니다. <<


Jesus did not suffer the pangs which are experienced by lost souls in hell, but in paying the penalty for His people, He did suffer death in its most essential nature, which is separation from God. And while His sufferings were not identical, either in intensity or in length of time endured, with those which His people would have suffered had they been left to their own sin, in view of the infinite worth and dignity of the Sufferer they were nevertheless a full equivalent for those sufferings.


예수께서는 지옥에 떨어진 자들이 겪는 고통(불의 고통)을 당하신 게 아니라, 자기 백성의 죗값을 치르시며 가장 본질적인 죽음을 겪으셨는데, 그것은 바로 하나님(성부 하나님)과의 단절이었습니다. 그리고 고통을 당하신 분의 무한한 가치와 존엄을 고려할 때 그 고통의 정도나 기간이 그분의 백성들이 자신들의 죄로 고통을 당할 경우 겪게 될 고통의 정도, 기간과 같지는 않았을지라도, 그분의 고난이 그들이 받아야 할 고통을 완전히 상쇄시킵니다.


Let us keep in mind that it was not Christ's divine nature, but only His human nature, which was subject to suffering and death, as it was only His human nature which was subject to temptation, hunger, thirst, sleep, etc.


명심하십시오. 고난과 죽음을 당한 부분은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이 아니라 오직 그분의 인성(人性)뿐입니다. 시험, 배고픔, 목마름, 수면(睡眠)과 관련된 부분은 오직 그분의 인성이기 때문입니다.


>>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이 취한 인성을 통해 친히 고난을 받으셨다고 해야 옳습니다. 신성(神性)이 고난을 당한 것은 아니지만 신성의 주체이신 신적 인격께서 자신이 취한 인성을 통해 고난을 받으셨다고 해야 옳습니다. 고난을 당한 부분은 인성이지만 고난의 주체는 신적 인격이십니다. 예수께 인간적 인격이 있는 것은 확실하나 어디까지나 그것은 신적 인격의 인간적 인격입니다. 고통의 부분이 인성이라는 말은 맞지만 고통의 주체가 인성이라 하면 인간적 인격을 독립하여 생각한 경우이므로 옳은 표현이 못됩니다. <<


It seems quite evident that the work of redemption, which together with its wider effects may also be designated as the spiritual re-creation of the souls of men, was a greater work than the original creation of the universe. When the starry heavens were brought into existence and spread throughout the vast bounds of space, that work, while requiring great power and wisdom, was accomplished at God's spoken command. Such creation was comparatively easy, and is referred to as but “the work of His finger,” Ps. 8:3. “He spake, and it was done; He commanded, and it stood fast,” Ps. 33:9. But when the work of redemption was to be accomplished, God, in the person of Christ, took upon Himself human nature with its attendant weaknesses, was born a helpless babe in low condition, underwent the hardships of this life, was scoffed at and rejected by the religious and political rulers of the nation, suffered the cruel pain and cursed death of the cross, was buried, and continued under the power of death for a time. While the work of creation was accomplished through a mere exercise of power and wisdom, the work of redemption was accomplished only at an infinite cost of suffering on the part of God Himself. As man's soul is of incomparably greater value than his body, so the redemption of the souls of men was an incomparably greater work than the original creation of the universe. Christ's work of redemption is now seen to have been the central event of all history.


분명한 것은, 구속사역이 그 광범위한 영향력으로 인해 인간의 영적 재창조로 불리울 수 있고, 그것이 본래의 온 우주 창조 사역보다 더 위대한 사역이었다는 것입니다. 별들이 있는 하늘이 존재에로 명을 받아 광활한 우주에 펼쳐졌을 때 이 창조사역은, 엄청난 능력과 지혜를 요하긴 했어도, 하나님의 명령의 말씀으로 이룩되었습니다. 그러한 창조는 상대적으로 손쉬운 일이었고, 단지 “하나님의 손가락의 작품(시8:3)”으로 불리웁니다. “저가 말씀하시매 이루었으며 명하시매 견고히 섰도다(시33:9).” 그러나 구속사역이 성취될 때에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위격 안에서 인성(人性)을 그 약점들과 함께 취하셨고, 의지할 데 없는 낮은 신분의 아이로 태어나셔서 삶의 역경을 감당하셨고, 나라의 종교와 정치 지배자들에게 조롱을 받고 거부 당하셨으며, 무자비한 고통과 저주받은 십자가 죽음을 당하셨고, 땅에 묻히셔서 한동안 죽음의 세력하에 계셨습니다. 창조 사역은 단지 능력과 지혜를 사용하심으로 완수되었으나, 구속사역은 오직 하나님께서 친히 고난이라는 무한한 대가를 치르심으로 완수되었습니다. 인간의 영(靈)이 몸보다 무한히 더 귀하듯 인간 영혼의 구원이 우주의 원창조(原創造)보다 무한히 더 큰 사역입니다. 이제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이 온 역사의 중심사건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습니다.


The great purpose of His coming, that of making men subjectively just and holy, was not yet fulfilled. As the work of providence follows the work of creation, so the subjective cleansing of the sinner is a continuing process as the redemption which was purchased by Christ is applied by the Holy Spirit to those for whom it was intended. Here enter the works of regeneration, justification, adoption, sanctification, and glorification.


그분께서 오신 원대한 목적은 바로 개인의 주체적 의(義)와 거룩이었는데, 이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섭리사역이 창조 사역 다음에 이어지듯, 죄인의 개인적 죄씻음도, 그리스도께서 이룩하신 구속이 성령으로 말미암아 구속의 은총을 받을 자에게 적용됨으로, 중단 없는 과정이 됩니다. 여기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중생(重生, 거듭남), 의인(義認, 의롭다 인정함), 양자로 삼음, 성화(聖化), 그리고 영화(榮化)입니다.


Thus the death of Christ emerges as the central truth in the Christian doctrine of redemption. ... It is hardly seems possible that, with this central truth written so plainly and so repeatedly across the pages of Scripture, any honest or serious minded persons could arise, as do the Unitarians and Modernists, and declare that the essence of Christianity consists in our following the example of Christ in lives of social service, or that the chief purpose of the Church is to build a new social order in this world.


따라서 그리스도의 죽음은 기독교 구속 교리의 핵심 진리로 부각됩니다. ... 이렇게 분명히 그리고 거듭하여 성경 전체에 걸쳐 기록된 이 중심 진리를 대하고도, 유니테리안 교도들이나 현대주의자들처럼, 정직하고도 경건하다는 자들이 들고일어나 기독교의 본질이 사회봉사의 삶에서 그리스도를 본받아 따르는 것이라고 한다거나, 교회의 제일의 목적이 이 세상에 새로운 사회질서를 세우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3. The Satisfaction View of the Atonement


3. 속죄의 충족론(만족설)적 측면


Perhaps the best known formal definition of sin is that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which says, “Sin is any want of conformity unto, or transgression of the law of God.” The law of God is moral in the highest sense, and has been given for the good of mankind. It is a revelation of, or a transcript of, God's own character, and is therefore perfect and immutable.


아마도 가장 많이 알려진, 죄에 대한 공식적 정의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나와 있는 “죄는 하나님의 법을 따르지 않거나 그것을 범함을 말한다”일 것입니다. 하나님의 법은 최고의 도덕이고, 인간의 유익을 위해 제공된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 자신의 인격을 드러내 보인 것, 즉 그분의 인격을 베껴 적어 놓은 것이고, 그러므로 그것은 완전하고 불변합니다.


The person who commits sin transfers his allegiance from God to the Devil, although but few seem to realize that they are actually serving the Devil. But the Scripture says, “He that doeth sin is of the Devil,” I John 3:8. Paul was divinely appointed to preach to the Gentiles, “to open their eyes, that they may turn from darkness to light and from the power of Satan unto God,” Acts 26:18. We have the word of Jesus that “Every one that committeth sin is the bondservant of sin” John 8:34; and to the Pharisees who maliciously opposed Him He said, “Ye are of your father the Devil, and the lusts of your father it is your will to do,” John 8:44.


죄를 범하는 자는 하나님께 드렸던 충성을 마귀에게로 바치게 되는데, 단지 극히 일부의 사람들만 사실상 자신들이 마귀를 섬기고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죄를 짓는 자는 마귀에 속하나니(요일3:8)”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그 눈을 뜨게 하여 어두움에서 빛으로, 사단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가게(행26:18)” 하기 위해 이방인들에게 말씀을 선포하도록 하나님께 임명받은 자입니다. 우리는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요8:34)”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알고 있고, 악랄하게 그분을 대적했던 바리새인들에게 그분께서는 “너희는 너희 아비 마귀에게서 났으니 너희 아비의 욕심을 너희도 행하고자 하느니라(요9:44)” 하셨습니다.


The nature of sin being what it i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penalty that God has established against it is severe. That penalty is death. “In the day that thou eatest thereof thou shall surely die,” Gen. 2:17 was the clearly announced penalty spoken to Adam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race. It was repeated by the prophets, e.g., “The soul that sinneth, it shall die,” Ezek. 18:4; and in the New Testament, “The wages of sin is death,” Rom. 6:23.


죄의 본질이 이러하므로 하나님께서 죄에 대하여 정하신 형벌이 가혹하다는 게 놀라운 일이 못됩니다. 그 형벌은 바로 사망입니다. 인간이 창조된 바로 그 때에 “네가 (선악과를)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창2:17)”라는 말씀은 아담에게 분명하게 선언된 형벌이었습니다. 그것은 선지자들에 의해, 예를 들어 “범죄하는 그 영혼이 죽으리라(겔18:4)”라는 말씀과 신약성경 말씀 “죄의 삯은 사망이다(롬6;23)”에서 반복되고 있습니다.


We have already pointed out that death in this sense included a great deal more than physical death, which is the separation of the soul from the body, that it was primarily spiritual death, or the eternal separation of the soul from God. In this broader sense death means an abandoned spiritual condition such as that of the Devil and the demons. It involves the immediate loss of the divine favor, the sense of guilt, the corruption of the moral nature (resulting of course in the commission of other and more flagrant transgressions), and the pains of hell. The reward promised for obedience, as is clearly implied in the Genesis account and in later Scripture, was life, the exact opposite of the penalty threatened, not merely physical life as we know it, but eternal life such as is enjoyed by the holy angels. And since Adam by divine appointment stood representative for all of those who were to come after him by natural descent and acted precisely as they would have acted under similar circumstances, the reward for his obedience or the penalty for his disobedience was designed to fall not only on him but equally on them. Thus situated, Adam made his choice, - and fell. The results were disastrous, for by that fall he brought himself and his descendants into a state of depravity, guilt, and condemnation, a state in which the intellect is blinded to spiritual truth, the affections corrupted, and the will enslaved. From that condition there was no possible way of escape - except by divine grace.


이미 지적했다시피 이러한 사망은 몸과 영혼의 분리인 육체적 죽음보다는 일차적으로 영적인 죽음, 즉 하나님과 인간의 영과의 영원한 분리를 주로 의미합니다. 이 넓은 의미의 죽음은 마귀와 귀신들의 처지와 같은 영적 유기(遺棄) 상태(버림받은 상태)를 말합니다. 그것은 즉각적인 하나님의 은혜의 상실, 죄책감, (다른 더 악한 죄들을 범하도록 하는) 윤리적 본성의 부패, 그리고 지옥의 고통을 포함합니다. 창세기 이야기와 그 후의 성경 말씀에 분명히 명시되어 있듯이 순종에 대한 보상으로 약속된 것은 바로 생명이었고, 이는 엄중한 경고로 제시된 형벌과는 정 반대의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단순히 알고 있는 육적(肉的) 생명이 아니라 거룩한 천사들이 누리고 있는 영생(永生)입니다. 아담이 하나님의 정하심에 의해 그의 후손으로 태어날 모든 자들의 대표로 지정되었고, 그들이 같은 환경에서 행하고자 했을 경우와 동일하게 행했으므로 순종에 대한 그가 받을 상급과 불순종에 대한 형벌은 그에게 뿐만 아니라 그들 모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러한 상황하에서 아담은 자신의 결단으로 타락했습니다. 그 결과는 비참했습니다. 왜냐하면 그 타락으로 인해 그는 자신과 자신의 후손들을 타락, 죄책, 유죄판결에 들어서게 했고, 그러한 상태에서 지성(이성)은 영적 진리에 눈이 멀고, 감정은 부패해졌고, 의지는 노예상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고는 인간이 그러한 상태를 벗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습니다.


That the penalty for sin did relate primarily to man's spiritual nature is seen in the fact that Adam did not die a physical death for 930 years after he had disobeyed, although he died spiritually and felt himself estranged from God the very instant he sinned. It is also shown by the fact that Adam's unregenerate posterity since that time have invariably and persistently gone the way of evil, displaying the same aversion to righteousness and the same affection for sin.


죄의 형벌이 주로 인간의 영적 본성에 관련되었다는 것은, 아담이 죄를 범한 즉시 영적으로 죽고 스스로 하나님으로부터 단절되었음을 감지했지만, 그가 불순종한 후에 930년 동안 육체적 죽음을 당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나타나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그 이후 거듭나지 못한 아담의 자손들이 줄곧 변함없이 악의 길로 갔고, 의에 대한 동일한 거북함과 죄에 대한 동일한 사랑을 보이는 데에서 알 수 있습니다.


Unchangeable Nature of the Law Against Sin


죄에 대한 율법의 입장에 변함이 없음


The moral law which God gave to man in the beginning was no arbitrary or whimsical pronouncement, but an expression of His being. It showed man what the nature of God was, and was designed to bring man's nature into closer conformity with His nature. It was very explicit, both in its command and in its threatened penalty. Now sin is the absolute contradiction of that nature, and cannot therefore be lightly set aside. In all of His dealings God reveals Himself as a holy, just, and truthful God. As a holy God He hates sin and burns against it with a consuming zeal. As a just God He scrupulously rewards righteousness and punishes sin, for strict justice is as insistent in its demand that sin shall be punished as it is in its demand that righteousness shall be rewarded. God cannot give the reward of obedience for disobedience. The same God who is a God of mercy and who in virtue of His mercy desires to save human souls, is also a God of justice and in virtue of His justice must punish sinners. And as a truthful God He must put into effect the penalty which He has said would be enforced against transgressors. For Him to fail to punish sin would be for Him to remove the penalty against it, to consent to it or to become partaker in it, and therefore to violate His own nature and to destroy the moral order of the universe. Consequently when sin is committed it simply cannot be ignored or cancelled out with mere pardon. The penalty must be paid. God's honor and justice are at stake. However much God in His love might have desired to have saved man, it was not possible for Him to do so until satisfaction was made to the divine law. Hence the truth of the Scripture statement: “Apart from shedding of blood [i.e., the payment of the prescribed death penalty] there is no remission” (of sin), Heb. 9:22.


태초에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도덕률은 독단적이고 변덕스런 선언이 아니라 그분의 본성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것은 인간에게 하나님의 본성을 보여주고, 인간의 본성을 그분의 본성에 일치시킬 목적으로 제정되었습니다. 그 법의 명령과 그 법의 위협적 형벌은 매우 분명히 명시되었습니다. 이제 죄는 그 하나님의 본성과 절대적 정반대의 위치에 있고, 그러므로 간단히 처리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 모든 일에 있어 하나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거룩하시고 공의로우시고 신실하신 하나님으로 계시하십니다. 거룩하신 하나님으로서 그분께서는 죄를 미워하시고 불같은 열정으로 그것을 대적하십니다. 공의로우신 하나님으로서 그분께서는 꼼꼼히 의에 상을 주시고 죄에 벌을 내리십니다. 왜냐하면 엄밀한 정의(正義)는 의에 상을 줘야 하듯 죄를 벌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불순종한 것에 대해 순종한 대가의 상을 주실 수 없으십니다. 자비의 하나님이시고 자신의 자비로 말미암아 인간을 구원하기를 원하시는 바로 그 하나님께서는 또한 공의의 하나님이시고 그분의 공의로 말미암아 죄인들을 벌해야만 하시는 분이십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으로서 그분께서는 죄인들을 향하여 선언하신 형벌을 실행에 옮기셔야만 합니다. 그분께서 죄를 벌하지 않으심은 죄에 대한 형벌을 제거하시는 것이고, 이는 죄에 동의하는 것, 즉 죄에 동참하는 것이며, 그러므로 자신의 본성을 어기는 것과 온 세상의 도덕 질서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죄가 행해지면 그것은 단순히 무시되거나 간단한 용서로 상쇄될 수 없습니다. 반드시 형벌이 가해져야 합니다. 하나님의 명예와 공의가 달린 문제입니다. 아무리 하나님께서 자신의 사랑 가운데 인간을 구원하기 원하시더라도 하나님의 법이 요구하는 것이 충족되지 않으면 그분께서 그 일을 하실 수 없으십니다. 그러므로 성경이 진리를 말합니다: “피흘림이 없은즉(율법에 규정된 사형(死刑)에 해당하는 죗값이 지불되지 않으면) 죄사함이 없느니라(히9:22).”


Hence even if man possessed the power to repent and turn to God, forgiveness could not be granted on the basis of mere repentance. For repentance does not expiate crime, even under civil government. The fact that the murderer, or robber, or adulterer, or liar is sorry does not excuse him from obligation. He must restore what he has taken. He must make right what he has made wrong. Otherwise the injury remains. We instinctively feel that wrong-doing must be balanced by a corresponding penalty. This feeling is especially noticeable after a particularly atrocious crime has been committed. We say that the crime calls for vengeance, and that a moral order which would allow it to go unpunished would not be right. The truly penitent man never feels that his repentance constitutes a ground of acceptance, either with God or with his fellow men. The more sincerely he repents the more truly he recognizes his need of reparation and expiation.


그러므로 인간이 회개하여 하나님께 나아갈 능력이 있다 하더라도 용서는 단순한 회개를 근거로 주어지는 게 아닙니다. 왜냐하면 회개는 죄를 속(贖)할 수 없기 때문이고, 이는 국가의 통치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살인자나 강도나 간음한 자나 거짓말 한 자가 후회한다고 해서 그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지요. 그는 자기가 강탈한 것을 보상해야만 합니다. 그는 자기가 그릇되게 해 놓은 것을 바로잡아놓아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피해가 계속 남아 있습니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악행이 그에 합당한 형벌에 의해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특히 흉악한 범죄가 저질러졌을 때 현저해집니다. 우리는 범죄가 보복을 초래하고, 범죄를 처벌하지 못하도록 하는 도덕 질서는 정당한 것이 못된다고 말합니다. 진심으로 뉘우치는 자는 절대 자신의 뉘우침이 하나님이나 동료 인간들이 자기를 용납해야하는 근거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가 더 깊게 뉘우칠수록 그는 배상과 속죄의 필요를 더 절실히 느낍니다. 

 

 

Fortunately for us, God meets the demands of His own holiness and justice and of man's conscience by Himself providing an atonement, a satisfaction. He does not forgive sin merely because He cares so little about it, nor because He is so exclusively the God for love that all other considerations fall into insignificance beside it; but in His own person and by the sacrifice of Himself He pays the penalty which frees man from obligation and provides that righteousness which alone admits him into heaven. For as Dr. Wm. C. Robinson has recently said, “The cross is not a compromise, but a substitution; not a cancellation, but a satisfaction; not a wiping off, but a wiping out in blood and agony and death.” Thus mercy does not cheat justice. Holiness is rewarded, sin is punished, and the moral order of the universe is maintained in its perfection.


우리에게 다행스럽게도, 하나님께서는 자신이 죗값, 즉 배상을 제공하심으로 자신의 거룩과 공의와 인간의 양심이 요구하는 것을 충족시키셨습니다. 그분께서 죄를 용서하심은 단순히 죄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으시거나, 오로지 사랑의 하나님이셔서 사랑 외에 다른 모든 것들은 중요치 않아 그분의 관심 밖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분 자신의 인격으로 그리고 자기 자신을 희생제물로 삼으셔서 그분께서 인간의 책임을 면케 해주는 죗값을 지불하시고 인간을 천국으로 가게 해주는 유일한 수단인 의(義)를 제공하셨기 때문입니다. 이는 최근에 로빈슨 박사가 한 말과 같습니다. “십자가는 화해가 아니라 대속(代贖)이고, (형벌의) 취소가 아니라 배상(賠償)이고, 피와 고뇌와 죽음으로 (죄를) 덮는 게 아니라 (죗값을) 완전히 청산한 것입니다.” 이 자비는 정의(正義)를 무시하지 않습니다. 거룩은 보상받아야 하고, 죄는 벌을 받아야 하며, 우주의 도덕률은 그 완전함을 잃지 않아야 합니다.


Years ago in England and in our own country there were debtor's prisons in which those who could not pay their debts were incarcerated. The law was inexorable. The man who had borrowed money and squandered or mismanaged it had to go to prison. He could not make things right merely by saying that he was sorry. Some one had to stand the loss, either the borrower or the person from whom it had been borrowed. But if a wealthy friend of the borrower came forward and paid the debt he was set free. In fact, in such a case his freedom became mandatory, for the law was satisfied. And so it is with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atonement. Christ has done for His people exactly what a man does for his friend, - He has paid the debt for them. That is the meaning of the cross. God Himself assumed man's nature, and in that nature took man's place before His own law, suffered its penalty, and saved man through pure grace.


몇 년 전 영국과 우리나라(미국)에는 빚을 갚지 못한 자들이 투옥되는 빚쟁이 감옥이 있었습니다. 법은 냉혹했습니다. 돈을 꿔서 탕진하거나 잘 못 관리해 날려버린 자는 감옥에 가야 했습니다. 그런 자는 단지 미안하다고 말하는 것 가지고 사태를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 채무자나 채권자 중 누군가가 그 손해를 감당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채무자의 부자 친구가 나타나 빚을 갚아주면 그는 석방되었습니다. 사실상 그러한 경우 그의 석방은 반드시 행해져야 하는데, 왜냐하면 법이 정한 것이 충족되었기 때문입니다. 기독교 속죄론이 바로 이와 같습니다. 어떤 자가 친구에게 했던 일과 동일한 것을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백성에게 행하셨습니다. 즉, 그분께서는 그들의 빚을 갚아주셨습니다. 이게 바로 십자가의 의미입니다. 하나님께서 스스로 인성(人性)을 취하시고, 그 인간본성 안에서 그분 자신의 법 앞에 인간 대신 서셨고, 그 법이 정한 형벌을 받으셨고, 그리하여 순수 은혜로 인간을 구원하셨습니다.


It must be perfectly evident to every one that if God allowed sin to go unpunished, or if He dealt with it in a free and loose manner, it would mean that justice had been cast to the winds and that He was governed by weak sentimentality. In the original creation God made man in His own image and implanted in him a deep sense of moral responsibility. He would be unfaithful to Himself if after having implanted that great principle He did not rule in accordance with it. For He is not only a loving Father, but also a righteous Judge. He cannot permit His righteous laws to be violated with impunity. If the sinner is to be forgiven, then for his own sake as well as for the sake of truth and righteousness, that forgiveness must not come in such a way as to diminish or benumb his sense of guilt. While God's love and tenderness are manifested in His forgiveness of sin, that forgiveness must not be accomplished in a manner which fails to show sin to be what it really is, something hateful and painful to God, diametrically opposed to His holy nature and subversive of His rule throughout the universe. Otherwise man will be misled into an easy-going, good-natured carelessness, and will have no adequate understanding or appreciation of the favor that has been granted to him.


하나님께서 죄가 벌을 받지 않는 것을 허용하셨다면, 혹은 그분께서 죄를 허술하게 다루셨다면, 이는 분명 정의가 무시되고 그분께서 심약(心弱)한 분이심을 나타내 보이는 것입니다. 태초에 하나님께서 인간을 당신의 형상대로 창조하셨고 인간에게 깊은 도덕적 책임감을 불어 넣으셨습니다. 그분께서 그 위대한 도덕률을 부여하시고 그것에 따라 다스리지 않으시면 그분께서는 자신에 대해 불성실한 분이 되실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분께서는 사랑의 하나님이실 뿐만 아니라 공의로우신 재판관도 되시기 때문입니다. 그분께서는 그분의 의로운 법을 범한 자가 벌을 안 받는 것을 허용하실 수 없으십니다. 죄인이 용서받아야 한다면, 그 경우 진리와 의(義)뿐만 아니라 그 자 자신을 위해서라도, 그 용서가 그의 죄에 대한 책임의식을 감소시키거나 그것에 대한 무감각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게 하면 안 됩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다정다감이 그분의 죄용서 가운데 나타날 때 그 용서는 죄의 실체를, 즉 그것이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것이고 그분께 고통을 주는 것이며, 그분의 거룩한 본성에 정반대되는 것이고, 온 세상을 다스리는 그분의 법을 뒤엎는 것임을 못 보게 하는 방식으로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인간은 그릇되게 태평스럽고 온후한 경솔한 자들이 될 것이고, 자기에게 주어진 은혜에 대한 참 뜻과 가치를 모르게 될 것입니다.


For the righteousness of God is not, as so many people seem inclined to believe, mere disinterested benevolence which can pass lightly over sin. It is rather a distinct and separate attribute of the divine nature which demands that sin shall receive its adequate punishment. We regret that so much of our modern theological literature shows an almost complete lack of any adequate sense of the heinousness and guilt of sin. It is only when men hold superficial views of sin and think that it can be cast off by simple repentance that they deny the need of an expiatory atonement. But in proportion as an aroused conscience tells us that we are sinners we realize how deep is our guilt and cry out for that Saviour who alone is “able to save to the uttermost them that draw near unto God through Him.”


하나님의 의(義)는, 많은 자들이 믿고 싶어 하듯, 단순히 죄를 가볍게 눈감아주는 무관심한 자비가 아닙니다. 그 의(義)는 죄를 적절히 벌하기를 요구하는, 그분만의 독특한 신적 본성의 속성입니다. 유감스런 것은, 우리의 수많은 현대신학 사상 작품들이 죄의 흉악함과 죄의 책임성에 대한 적절한 감각을 거의 완전 상실했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죄를 갚는 속죄의 필요를 부인하게 되는 유일한 경우는 바로 그들이 죄에 대한 피상적 견해에 사로잡혀 간단한 회개로 그 죄를 떨쳐버릴 수 있다고 생각할 때입니다. 그러나 깨어 있는 양심이 우리가 죄인이라고 우리에게 알려줄수록 우리는 죄에 대한 우리의 책임이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깨닫게 되고, 홀로 “자기를 통해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들 모두를 구원하실 수 있는” 바로 그 구세주를 찾게 됩니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27<  (0) 2012.12.06
신학 & 영어 >26<  (0) 2012.12.06
신학 & 영어 >24<  (0) 2012.12.06
신학 & 영어 >23<  (0) 2012.12.06
신학 & 영어 >22<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