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24<

stevision 2012. 12. 6. 15:27

This controversy was brought to a head in the early part of the fourth century by the teaching of Arius, a presbyter in the Church at Alexandria, Egypt. Because of the widespread difference of opinion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an Ecumenical Council was called by the first Christian Emperor, Constantine, for the purpose of formulating a general doctrine which should be accepted by the whole Church. The council met in the year 325, at Nicaea, in Asia Minor, and was attended by bishops and presyters from practically all parts of the empire. The real controversy centered around the question as to whether Christ was to be considered as truly God, or as only the first and greatest creature. The Arians maintained that Christ was not eternal, that He was created by the Father out of nothing and was therefore the first and highest of all creatures, that He in turn created the world, and that because of the power delegated to Him He is to be looked upon as God and is to be worshipped. He was, therefore, to be called God only by courtesy, in much the same way that we give a Lieutenant Governor the title of Governor. His pre-eminence was due to the fact that He alone was created immediately by God and that supernatural power was given to Him, while all other creatures were created by Him. Most of the Arians also held that the Holy Spirit was the first and greatest of the creature called into existence by His power. All of this meant, of course, a God who had a beginning, and who might therefore have an end; for a creature, no matter how highly exalted, must ever remain finite. Hence the Arians, in demanding worship of Christ, were in fact asserting the central principle of heathenism and idolatry, the worship of a creature.

이 논쟁(아리우스 이단 문제)은 4세기 초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사제(presbyter)였던 아리우스의 가르침으로 말미암아 위기로 치달았습니다. (여기서 사제(presbyter)는 장로교의 장로와 다른 것으로, 성직입니다. 역주) 그리스도 위격에 관한 광범위한 견해차 때문에 최초의 기독교인 황제 콘스탄틴은 전(全) 교회가 받아들여야할 공통 교리를 확립할 목적으로 공의회를 소집했습니다. 그 공의회는 325년 소아시아의 니케아에서 개최되었고 사실상 제국 모든 지역의 주교들과 사제(presbyter)들이 참석하였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그리스도께서 정말 신이신가 아니면 유일하게 맨 처음 가장 위대하게 창조된 분이신가였습니다. 아리우스주의자들은 그리스도께서 영원하지 않으시고, 그분께서는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무(無)에서 창조되어 모든 피조물들 중 첫째이시고 가장 높으신 분이시고, 그분께 위임된 능력 때문에 그분께서는 하나님으로 존경을 받고 경배 받으신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므로 그분께서는 우리가 총독 대리를 총독으로 부르는 것과 같은 의미로 단지 존경을 받는 차원에서 하나님으로 불리우신다는 겁니다. 그분의 뛰어나심은 오직 그분께서만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창조를 받으시고 그분께 초자연적 능력이 주어졌다는 사실에 있고, 다른 모든 피조물들은 그분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아리우스주의자들은 성령께서 그분(그리스도)의 능력에 의해 존재로 부름받은 피조물들 중 제일 먼저 창조된 가장 위대한 존재라 생각했습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시작이 있어서 끝도 있을 하나의 신(神)을 의미할 뿐입니다. 왜냐하면 하나의 피조물이 제아무리 높여진들 언제나 유한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아리우스주의자들이 그리스도에 대한 경배를 말하고 있지만 사실은 이교(異敎)와 우상숭배의 중심 원리, 즉 피조물에 대한 숭배를 주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 Arians asserted that Christ was not of the same substance (homo-ousia) with the Father, but of similar substance (homoi-ousia). We may be tempted today to wonder how the whole Christian world could have been convulsed over the rejection of a single letter of the alphabet; but in reality the absence or the presence of the iota signified the difference between a Saviour who is truly God and one who is only a creature, - between a Christianity which is able to save the souls of men and one which can not. In the Council of Nicaea the Church faced what we believe to have been the greatest crisis in the entire history of doctrine. It was, however, in effect, although in a slightly different form, the same question that it faces in the twentieth century dispute between the Evangelical Faith and Modernism.

아리우스주의자들은 그리스도께서 성부 하나님과 동일본질(동일한 신성(실체), homo-ousia)이 아니라 유사본질(유사한 신성, homoi-ousia)이라 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전(全) 기독교가 어째서 알파벳 하나를 빼어버리는 것 가지고 그렇게 호들갑을 떨었는지 의아해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상은 알파벳 i 하나 뻬고 더하는 것은 참 하나님이신 구세주와 피조물일 뿐인 구세주의 차이를 낳고, 인간의 영혼을 구원할 수 있는 기독교와 그러지 못한 기독교의 차이를 낳습니다. 니케아 공의회에서 교회는 전(全) 교리사(敎理史)적으로 가장 큰 위기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형태만 약간 달랐지 20세기의 복음주의 신앙과 현대주의 사이의 논쟁에서 교회가 당면한 것도 그와 동일한 문제입니다.

The noble champion of the orthodox cause was Athanasius, who later became Bishop of Alexandria. Under his influence the Council declared for the full and eternal Deity of Christ, who was declared to be “God of God, Light of Light, Very God of Very God, being of one substance with the Father.” Opposition continued strong for some time after the Council had made this pronouncement, but under the zealous and skillful leadership of Athanasius the doctrine gradually won official acceptance by the entire Church. It was seen that a created Christ was not the Christ of the New Testament, nor could He be the Christ who, by His death and resurrection, became the Author of eternal salvation.

정통신앙의 고귀한 옹호자는 바로 아타나시우스였습니다. 그는 후에 알렉산드리아 주교가 됐습니다. 그의 영향 아래 공의회는 그리스도의 완전하고도 영원한 신성을 선언했고,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신 하나님, 빛에서 나오신 빛, 참 하나님으로부터 나신 참 하나님, 성부 하나님과 한 실체이신 분”으로 선언되셨습니다. 공의회가 이 선언을 한 후 한동안 강한 반대가 계속되었지만 아타나시우스의 열정과 능숙한 지도력 덕분에 그 교리는 점차 전(全) 교회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게 됩니다. 창조된 그리스도는 신약성경의 그리스도가 아니고, 그러한 자는 자신의 죽음과 부활로써 영원한 구원의 주인공이 되신 그리스도일 수 없다고 사람들이 생각했습니다.

(4) APOLLINARIANISM

(4) 아폴리나리우스주의

The next error that the Church had to face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was that of Apollinarianism. This system denied the completeness of His human nature. It acknowledged His true Deity, and also that He possessed a real body and a soul which would continue after death; but it denied that He had a truly human mind, i.e., a reasoning mind that reached conclusions through mental processes as do ours. It asserted in effect that He was simply God masquerading in human flesh, and that ignorance, weakness, obedience, worship, suffering, etc., were to be predicated of the Logos, that is, of the Deity or Divine nature as such. If, by way of comparison, we can imagine a man's mind implanted in the body of a lion and the lion thereafter governed not by lion or animal psychology but by a human mind we shall have something analogous to what the Apollinarian system set forth concerning the incarnation of Christ. Apollinarius was a tricotomist, and his system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ere three elements in man's nature: a material body, an immortal soul, and a reasoning mind. We believe, however, that man is composed of only two elements, body and soul, and that the mind with which man reasons in this life is the same as the soul or spirit which lives on after death. Hence it is evident that, reduced to dicotomist terms, Apollianrianism granted Christ a human body but not a complete human soul. But if Christ was to have a real incarnation it was necessary that He add to His divine nature not merely a human body but also a human mind or soul; for humanity consists not merely in the possession of a body but of a body and soul. Apollinarianism was plainly an inconsistent explanation of the person of Christ, and it was condemned by the Council of Constantinople in the year 381.

그리스도 위격과 관련하여 교회가 만난 그 다음 이단사설은 바로 아폴리나리우스주의입니다. 이 사설(邪說)은 그분의 완전한 인성(人性)을 부인합니다. 이 사설은 그분의 참된 신성을 인정하고, 또한 실제 육체와 죽음 이후에도 계속 있게 될 실제 영을 그분께서 소유하셨음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이 사설은 참된 인간정신, 즉 우리의 정신의 경우처럼 정신운동을 통해 결론에 도달하는 이성작용을 하는 정신을 그분께서 가지셨다는 것을 부인합니다. 사실상 그것은 그분께서 단순히 인간 육체 가운데 변장하고 계신 하나님이시고, 무지, 약함, 순종, 경배, 고난 등이 로고스, 즉 신성이나 신의 본성 자체의 속성을 나타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비유를 들어봅시다. 만약 우리가 사자의 몸에 심겨진 인간의 마음과, 그리하여 사자나 동물의 정신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에게 지배를 받는 사자를 생각해낼 수 있다면, 우리는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관련한 아폴리나리우스주의의 주장과 유사한 비유를 보는 것입니다. 아폴리나리우스는 삼분론자(三分論者)였고, 그의 주장은 인간의 본질에 물질적 육체, 영원한 영, 이성적 정신 이렇게 세 요소들이 있다는 가정에 기초한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인간이 오직 육체와 영 이 둘로만 구성되어 있고, 이 세상에서 인간이 이성활동을 하는 수단인 정신은 죽음 이후에도 계속 살아 있는 영과 같다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아폴리나리우스주의를 이분법적으로 고려할 때, 그것은 그리스도께 인간 육체는 부여하지만 완전한 인간의 영(靈)은 부여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정말 성육신하셨다면 그분께서 자신의 신성에 인간의 육체뿐만 아니라 인간의 정신이나 영혼도 받아들이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인성(人性)은 단순히 육체를 소유함에 있는 게 아니라 육체와 영혼을 소유함에 있기 때문입니다. 아폴리나리우스주의는 명백히 그리스도 위격에 대한 모순된 설명이었고,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정죄되었습니다.

>> 저자는 인간의 정신을 인간의 영이 갖고 있는 하나의 기능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신기능이 제거된 영은 완전한 인간의 영이 될 수 없다는 말이지요. <<

(5) NESTORIANISM

(5) 네스토리우스주의

Another error that had a widespread influence in the early Church, ranking next to Arianism in importance and even resulting in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Church splitting off from the main body, was that of Nestorianism. The error of Nestorius was that he carried the dual nature of Christ too far. This gave Christ a double personality, two natures and two persons instead of two natures and one person. Christ was thus regarded as a man in very close union with God, and Nestorius' favorite analogy to explain the person of Christ was that of the union of the believer with Christ. This, however, gave us not an incarnate God, but only a deified man, - one who came from below, not from above. Far from giving us a real incarnation, this system gave us only an alliance between God and a man. Somewhat after the fashion of the Siamese twins, Chang and Eng, God and man were joined together.

초대 기독교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고, 아리우스주의 다음으로 주요한 이단이었으며, 주류(主流) 교회로부터 상당수의 교회를 분리시킨 이단사설은 바로 네스토리우스주의입니다. 네스토리우스의 오류는 그리스도의 양성(兩性)을 너무 강조하면서 나타났습니다. 이 사설(邪說)은 그리스도께 이중인격을 부여했습니다. 즉 두 본성(신성과 인성)과 한 인격이 아니라 두 본성과 두 인격을 부여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과 매우 밀접히 연합되어 있는 한 인간으로 간주되었고, 네스토리우스가 즐겨 사용한 그리스도 위격에 대한 비유는 바로 신자와 그리스도와의 연합이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성육신하신 하나님이 아니라 신격화된 인간을 우리에게 제시합니다. 그러한 인간은 하늘에서 내려오신 분이 아니라 땅에서 태어난 자입니다. 이 사설은 결코 실제 성육신을 말하지 않고 우리에게 하나님과 인간의 연합만을 말하고 있습니다. 샴 쌍둥이(허리가 붙은 기형 쌍둥이) 창과 엥의 경우처럼 하나님과 인간이 붙어있는 것입니다.

>> 네스토리우스에 대한 교회의 정죄에도 불구하고 계속 그의 사상을 추종한 교회들이 있었는데, 이를 네스토리우스 교회(Nestorian church)라 하고, 이 분열된 교회가 현재까지 이집트에 남아있는데 이를 콥틱(Coptic)교회라고 합니다. <<

We have insisted repeatedly, of course, that Christ is an unique person, that in Him true Deity and true humanity are joined to form one person, and that He is as truly God as is God the Father and as truly man as we are. But we have also pointed out that there is nothing in Scripture to indicate that He was conscious of a double personality. It was not a man but manhood, that is, impersonal generic human nature, that He took into union with Himself. Since He had two natures He also had two wills, the human, however, being always in perfect harmony with and subordinate to the divine. This latter aspect of His personality was best illustrated in His prayer, “Not my will but thine be done.” We are thus able to distinguish, but not to divide, the two natures in Christ. The chief error of the Nestorian system was that in separating the divine and the human natures in Christ it deprived His human sufferings of the value and efficacy that they must have if they are to be sufficient for the redemption of mankind. As we have pointed out earlier, only when His divine and human nature are organically and indissolubly united in one person can the acts of either nature have the value of both. Hence we are always to insist upon His true Deity, His true humanity, and the unity of His person.

물론 우리는 거듭하여 그리스도께서 유일하신 분이시고, 그분 안에서 참 신성과 참 인성이 연합하여 한 인격을 이루고, 그분께서는 성부 하나님과 동등하게 참 하나님이시고 우리와 동등하게 참 인간이심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그분께서 이중인격을 보이신다는 성경의 기록이 전혀 없음을 지적한 바 있습니다. 그분께서 자신의 존재로 취하신 것은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인성(人性), 즉 무인격의 인성이었습니다. 그분께서 두 본성을 갖고 계심으로 그분께서 또한 두 의지(신적 의지와 인간적 의지)를 갖고 계신데, 하지만 인간적 의지는 항상 신적 의지와 완전한 일치 가운데 있고 그 신적 의지에 종속적입니다. 그분의 인격에 관한 이 후반부의 예를 가장 잘 설명해주고 있는 것은 “내 뜻대로가 아니라 아버지 뜻대로 되게 하소서”라는 그분의 기도입니다. 이렇게 우리는 그리스도 안의 두 본성들을 구분할 수는 있으나 분리시킬 수 없습니다. 네스토리우스주의의 주요 오류는 그 사설이 그리스도 안의 신성과 인성을 분리시키면서, 그분의 인성의 고난에서, 인류 구원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꼭 있어야만 하는 가치와 효능을 박탈했다는 데에 있습니다. 전에 언급했다시피, 오직 그분의 신성과 인성이 한 인격 안에 유기적이고 불가분적으로 연합되어 있어야만 신성이나 인성의 한쪽 행위가 양쪽의 가치를 갖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그분의 참된 신성, 그분의 참된 인성, 그리고 그분의 인격의 단일성을 주장하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인성으로 친히 고난을 당하셔야 그 고난이 인류를 구원하기에 합당한 무한한 가치를 지닌다는 말. 역주.)

>> 아리우스의 주요 논적(論敵)이 아타나시우스라면 네스토리우스의 주요 논적은 키릴(Cyril)입니다. 그러니까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께 인간의 정신이 없다는 아폴리나리우스의 주장과 정 반대로 그리스도 안에 신적 인격과 대립되는 독립된 인간 인격을 주장한 것입니다. 그러나 정통 교리는 그리스도 안에 인간의 정신은 있으나 신적 인격에 독립된 인간 인격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키릴은 네스토리우스에 반대하여 실체적(위격적) 결합(hypostatic union)을 주장했습니다. 이는 신성이라는 한 실체(reality)와 인성이라는 한 실체가 연결(conjunction) 상태로 된 게 아니라 연합(union)이 되었는데, 이 연합이 단 하나의 신적(神的) 실체(위격, hypostasis(위격적 실체))가 되도록 결합되었음을 말합니다. 한 실체는 타자(他者)에게 단 하나의 개체로 인정되지요. 그 개체가 인격을 가진 존재라면 한 인격을 보이게 됩니다. 이 연합으로 인해 신성이나 인성이 변질이나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구분되어 있고, 신적 인격이 자신의 완전한 인성을 통해 자신의 인간적 인격이 표현되게 합니다. 그러니까 그리스도의 인간적 정신이나 인간적 의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신적 인격 안에서, 성육신하신 신의 인간인격으로 그 존재를 드러냅니다. 결론적으로 키릴의 주장을 따르자면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영원 전에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그분의 독생자로 태어나셨고, 2000년 전에 성모 마리아로부터 인간으로 태어나셨다”라는 말이 성립될 수 있으나 네스토리우스의 이론대로라면 성립될 수 없습니다.

여기서 유티케스 이단과 네스토리우스 이단을 비교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티케스 이단은 그리스도께서 성육신한 이후에 신성과 인성 그 두 가지 본성이 혼합되어 전혀 새로운 하나의 단일한 본성으로 연합되었다는 단성론을 주장했습니다. 교회는 이를 이단으로 규정했습니다. 정통교리는 신성과 인성이 연합했더라도 각각은 변화와 변질이 없이 완전한 상태로 존속한다고 봅니다. 정통교리는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온전히 보전된다는 양성론을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교회는 그리스도의 두 인격을 거부합니다. 교회는 인격의 경우 성육신하셔서 완전한 신성과 인성을 다 갖고 계신 하나님(예수 그리스도)의 단일한 인격만을 받아들입니다. 그러니까 교회는 그리스도 위격 문제에 있어서 단성론을 버리고 양성론을 취한 반면 양인격론(兩人格論)을 버리고 단인격론(單人格論)을 취합니다. ‘위격적 실체’는 ‘창조주 하나님’에서 설명해 놓았습니다. << 

 

(6) EUTYCHIANISM

(6) 유티케스주의

Perhaps the most peculiar of all of the Christological heresies was that of Eutychianism. This teaching deni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ivine and the human nature and held that the two were fused to form a third which was neither divine nor human. Christ was thus supposed to be neither God nor man, but possessed of a nature somewhere between the two. But since the divine nature was the greater it followed that for all practical purposes the human was really absorbed into the divine, but with the effect that the divine was also somewhat changed. Eutyches held that two natures implied two persons. Hence he acknowledged in Christ but one life, one intelligence, and one will. Since Eutychianism denied the human element in Christ it denied the real union of God and man an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an atonement through the human nature. This blending or fusing of the two natures was, of course, the precise opposite of the Nestorian heresy which had so divided the natures as to give a double personality. Eutychianism was too unstable to gain a large following and it was condemned by the Council of Chalcedon in the year 451.

아마 기독론 이단사설들 중 가장 특이한 내용은 유티케스주의에 있을 것입니다. 이 이단의 가르침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구분을 부정하고 그 두 본성이 융합하여 신성도 아니고 인성도 아닌 제 3의 본성을 형성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는 하나님도 아니고 인간도 아닌, 이 둘 사이의 위치에 있는 본성을 소유하신 분으로 여겨지게 됩니다. 그러나 신성이 더 큰 위치에 있으므로, (그러한 주장에) 실용적 목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성이 사실상 신성에 흡수되고, 그리하여 신성도 또한 어느 정도의 변화를 겪게 되는 결과가 초래됩니다. 유티케스는 두 본성은 두 인격을 의미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그리스도 안에 오직 한 생명, 한 지성(知性), 한 의지(意志)만 인정했습니다. 유티케스주의가 그리스도의 인성적 요소를 부인했기 때문에 하나님과 인간의 실제 연합을 부인했고, 그리하여 인성을 통한 속죄 가능성을 부인한 격이 되었습니다. 물론 이 두 본성들의 혼합이나 융합은 정확히 말해 두 본성을 분리하여 이중인격이 되게 한 네스토리우스 이단의 반대입니다. 유티케스주의 또한 폭넓은 지지를 확보하기에는 너무 불확실한 사상이었고,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정죄되었습니다.

In conclusion, then, we would point out that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person of Christ has been the common heritage of the Church since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A.D. It is not a doctrine that was easily arrived at, but one that was worked out only after long and patient study of the Scriptures and after lively debate in the church councils. Numerous other solutions were tried and found wanting. But in this the Church found rest and has continued to rest until our own day. In it alone, it is safe to say, do the Scripture representations of Christ as God and also as man find harmonious adjustment. “To the onlooker from this distance of time,” says Dr. Warfield, “the main line of the progress of the debate takes on an odd appearance of a steady zigzag advance. Arising out of the embers of the Arian controversy, there is first vigorously assertd, over against the reduction of our Lord to the dimensions of a creature, the pure Deity of His spiritual nature (Apollinarianism); by this there is at once provoked, in the interests of the integrity of our Lord's humanity, the equally vigorous assertion of the completeness of His human nature as the bearer of His Deity (Nestorianism); this in turn provokes, in the interest of the oneness of His person, an equally vigorous assertion of the conjunction of these two natures in a single individuum (Eutychianism): from all of which there gradually emerges at last, by a series of corrections, the balanced statement of Chalcedon, recognizing at once in its ‘without confusion, without conversion, eternally and inseparably’ the union in the person of Christ of a complete Deity and a complete humanity, constituting a single person without prejudice to the continued integrity of either nature. The pendulum of thought had swung back and forth in ever-decreasing arcs, until at last it found rest along the line of action of the fundamental force. Out of the continuous controversy of a century there issued a balanced statement in which all the elements of biblical representation were taken up and combined. ... ”

결론적으로 우리는 그리스도 위격에 대한 정통교리가 A.D.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래 교회 공동유산이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쉽게 도달한 교리가 아니라 오랜 세월 인내심을 갖고 성경을 연구하고 활발한 교회 회의를 거친 후에 확립된 것입니다. 수많은 다른 해결책들이 검토되었고 부족함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러나 교회는 이 칼케돈 공의회 교리에서 안정을 찾았고 지금까지 안정을 취하고 있습니다. 오직 그 교리 안에서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이시고 인간이시라는 성경의 증거가 조화로운 조정(調整)에 이르렀습니다. 와필드 박사가 말합니다. “오랜 세월 지나 지금에 이르러 구경꾼의 입장에서 우리가 볼 때, 논쟁의 주요한 맥(脈)은 계속하여 갈지자(之)형의 기이한 길을 지났습니다. 아리우스 논쟁의 잔재로부터 제일 먼저 나온 것은, (아리우스가) 우리 주님을 피조물의 위치에 내려놓은 것에 대항하여, 그분의 영적 본성의 순수한 신성에 대한 강력한 주장입니다(아폴리나리우스주의, 그리스도의 인간 정신을 부인한 이단). 이 주장으로 인해 즉시 주님의 인성의 완전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그분의 신성을 담는 기관으로서의 그분의 완전한 인성이 강력히 주장되었습니다(네스토리우스주의, 그리스도의 독립된 인간 인격을 주장). 계속하여 이 주장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분의 인격의 단일성을 보존하는 데 관심을 두게 하여, 그 두 본질들이 결합하여 된 단 하나의 (융합되어 구분 불가능한) 단일체를 강력히 주장하게 만듭니다(유티케스주의). 마침내 이 모든 주장들로부터 점차 여러 교정들을 거친 후에 균형 잡힌 칼케돈 선언이 등장하게 됩니다. 그것은 ‘혼동됨이 없이, 변화됨 없이, 영원히 그리고 나뉘지 않게’라는 단서를 통해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이 그리스도 위격 안에서 연합되어, 두 본성의 완전성이 유지됨에도 불구하고 단 하나의 인격을 이루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신학) 사상의 진자는 점점 더 작은 호(弧)를 이루며 앞뒤로 움직이다 마침내 중심이 되는 힘이 작용하는 선에서 정지했습니다. 한 세기 동안 계속된 논쟁으로부터 성경 말씀의 모든 부분들이 고려되고 연결되어 있는 균형 잡힌 교리가 나왔습니다. ... ”

The foregoing survey of the erroneous views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would seem to show that history has exhausted the possibilities of heresy and that future denials of the doctrine must be, in essence, only variations of views which have already been advanced and refuted. For, as Dr. A. H. Strong says, “All controversies with regard to the person of Christ must, of necessity, hinge on one of the three points: first, the reality of the two natures; secondly, the integrity of the two natures; thirdly, the union of the two natures in one person. Of these points, Ebionism and Docetism deny the reality of the two natures; Arianism and Apollinarianism deny their integrity; while Nestorianism and Eutychianism deny their proper union. In opposition to all these errors, the orthodox doctrine held its ground and maintains it to this day.”

그리스도 위격에 관한 이단 사설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개관(槪觀)은 과거 역사 가운데 모든 가능한 이단들이 다 나타났음을 보여주고, 그리하여 정통교리에 대한 장래의 부인들은 본질적으로 이미 나타났다가 거부당한 견해들의 변종들일 것임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A. H. Strong(스트롱) 박사가 말합니다. “그리스도 위격과 관련된 모든 논쟁들은 필연적으로 다음의 세 관점들에 관한 것입니다: 첫째는 두 본성들의 진정성, 둘째는 두 본성들의 완전성, 셋째는 두 본성들의 한 인격으로의 연합. 이러한 관점들 중에서, 에비온주의와 도케티즘은 두 본성들의 진정성을, 아리우스주의와 아폴리나리우스주의는 두 본성들의 완전성을, 네스트로우스주의와 유티케스주의는 두 본성들의 바른 연합을 부인했습니다. 이러한 모든 오류들과는 달리 정통교리는 자신의 근거를 갖고 있고 오늘까지 그것을 지니고 있습니다.”

>> 정통 교리는 물론이고 위와 같은 이단사설들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던 무식한 종교 사기꾼들은 예수님에 대한 아주 황당무계한 주장들을 펼치며 궤변(詭辯)과 무식(無識)의 대양(大洋)에서 표류하며 수많은 헛소리를 늘어놓았습니다. 내 말은, 지금까지 살펴본 이단들은 그나마 예수님을 유일하신 구세주로 믿고, 비록 이단사설이라도 어느 정도 합리성을 내포한 주장들을 펼쳤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ㅁㅅㅁ을 비롯한 사이비 종교 교주들은 저질 종교 소설(예수님을 만났다는 주장)을 써가며 무식한 소리를 늘어놓는 추태를 보였다는 것입니다. 아주 격이 낮은 저질 사이비 교주들이라는 말이지요. 세상에 본래 똥싸는 인간으로 태어나 스스로를 신격화하는 자가 있다면 이 얼마나 미련하고도 저질적인 교주입니까? 전에 동토마(동아 시사발언대)에서 어떤 무식한 ㅌㅇ교(ㄱㅈ교회) 교인이 “기독교는 예수를 그에 대한 조작된 교리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는 무식한 말을 해대서 나는 “ㅌㅇ교는 ㅁㅅㅁ을 그에 대한 조작된 교리(종교 사기꾼을 신격화한 교리)에서 해방시켜줘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 바보는 종교 사기꾼 ㅁㅅㅁ이가 얼마나 거짓과 사기로 자기를 치장하고 있나 모르는가봅니다. <<

>> 그리스도의 참된 신성에 대해 좀 더 생각해봅시다. 혹자는 태양을 성부 하나님,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성자 하나님, 사람이 느끼는 햇빛의 온기를 성령 하나님으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동일한 신성을 지니셨습니다. 햇빛이나 온기가 태양과 동일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비유는 바른 비유가 아닙니다. 굳이 태양을 비유로 들자면, 삼위일체 하나님은 똑같은 세 태양들로 비유됩니다. 본래의 태양을 성부 하나님이라고 하면, 그 성부로부터 독생의 과정을 통해 나오신 분이 바로 성자 하나님(완전한 태양)이시고, 성부와 성자로부터 발출(발생)의 과정을 통해 나오신 분이 바로 성령 하나님(완전한 태양)이십니다. 즉 성부(태양)께서 빛과 열기를 내신다면, 성자(태양)와 성령(태양)도 동일하게 빛과 열기를 내신다는 말이지요. 결정적으로 세 태양들이 각각의 원자들을 갖고 있듯 성부와 성자와 성령 각자는 신적 실체들이시라는 것입니다. 즉 삼위일체 안의 각각의 위격들께서는 동일한 신성과 동일한 능력을 소유하신다는 말입니다. 성자와 성령은 성부의 제 2 자아와 제 3 자아이십니다. 성령은 또한 성자의 제 2 자아이시기도 하지요. 인간을 비롯한 피조물과는 달리 하나님께서는 영원 전부터 동시에 완전한 세 자아들로 계시며 동시에 세 삶들을 사십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한 하나님께서 동시에 세 자아들(위격적 실체들)로 존재하실 수 있는 능력이 있으시기 때문입니다. 환언하여, 하나님의 제 1 자아는 성부 하나님이시고, 제 2 자아는 성자 하나님이시고, 제 3 자아는 성령 하나님이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제 2 자아이신 성자 하나님께서 완전한 인성을 입으시어 성육신하신 하나님이십니다. <<

>> 성령께서 성부와 성자로부터 발출하신다는 교리(필리오케)를 세운 곳은 동방 기독교가 아니라 서방 기독교였습니다. 동방 기독교는 성령께서 오직 성부로부터만 발출하신다고 보았습니다. 그 후 동방 기독교 지역은 이슬람에게 정복되어 힘을 못쓰고, 서방 기독교가 지금에 이르기까지 세계 복음화를 이끌었습니다. 진리를 소유한 단체가 하나님의 귀한 도구가 되어 귀히 쓰임을 받습니다. 불완전하고도 그릇된 복음(?)을 갖고 있는 단체들은 제아무리 예수님을 주님으로 믿는다고 해도 성령께서 그들의 번성함을 허락지 않으십니다. <<

>> ‘enhypostasia’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위격(hypostasis)내(en)(位格內)’라는 뜻입니다. 이는 정통교리로 확정된 칼케돈 신조가 명확히 무슨 내용을 의미하는지 그 해석을 덧붙인 것입니다. 한 마디로 그리스도의 인성은 독자적 인격을 구성하지 않고 그리스도 위격 내에서, 그 위격을 통해 인성과 인간적 인격이 드러난다는 말입니다.

레온티우스(Leontius)의 말입니다. “The human nature of Christ - a full and complete human nature - was not anhypostatic (impersonal), nor personal in itself, but enhypostatic, which means “personalized in the person of another.” “그리스도의 인성은 충만하고도 완전한 인성인데, 그 인성은 anhypostatic(무인격(無人格))도 아니고, 자체의 인격도 아니라, enhypostatic(위격내) 인격이다. ‘위격내’는 다른 인격 안에서 인격화 됨을 말한다.” << 

 

>>보충설명:

υποστασις(휘포스타시스)는 실체(實體)를 뜻합니다. 여기서 실체란 완전한 본질(본성)을 갖춘 한 개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김종택은 (인격은 완전하다 할 수 없지만) 한 인간실체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 hypostasis는 실체, 위격(삼위일체 안의 세 신격들, 곧 성부, 성자, 성령), 사람, 개체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한 인격체(a person)'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en(엔)은 in을 뜻하는 접두어이고, an(안)은 무(無)나 비(非)를 뜻하는 접두어입니다.

 

기독교 신학은 성육신하신 성자를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을 소유하신 완전한 신인(神人)으로 규정합니다. 이때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완전한 신성의 인격과 완전한 인성의 인격을 지니신 단 하나의 인격을 보이신다고 합니다. 즉 예수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정신이 결여되어 있는 인간 육체’와 ‘신성의 정신’을 갖춘 분이 아니시고, 한 몸에 머리 둘이 달린 기형 인간처럼 신성의 정신과 인성의 정신이 독자적으로 작동하는 체계를 갖춘 분이 아니시라는 말입니다.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인격은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영과 혼과 몸)을 갖추신 한 분의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이라는 말입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자신(하나의 주체)의 완전한 신적 인격과 완전한 인간적 인격을 보이시는 분이십니다. 비유로 말씀드리자면, 아버지였던 자가 아버지의 인격만 보이다가, 어느 날 학교 선생님이 되면 아버지의 인격과 선생님의 인격을 동시에 ’소유‘하듯, 영원 전부터 완전한 신성을 지니시고 계셨던 성자 하나님께서 2천 년 전에 성육신하시어 완전한 인성을 자신의 존재로 취하신 후 ’신적 인격‘과 ’인간적 인격‘을 동시에 소유하시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이 상황을 hypostatic union(휘포스타시스적(的) 결합, 실체결합 혹은 위격적 결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enhypostasis는 ‘위격(位格) 내(內) 인격체(人格體)’라고 정의해야 함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리하여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은 ‘위격 내 인격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3. Conclusion

23. 결론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hat we have right views concerning His person and work. Otherwise we shall never be able to render Him that honor and respect and devotion that He properly deserves, nor shall we be able to understand the system of truth that He has set forth.

우리가 그분의 인격과 사역을 바로 아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그분께 마땅히 드려야 할 영광과 존귀와 충성을 드리지 못하고, 그분께서 주신 진리를 이해할 수 없게 됩니다.

What we think of Christ is of supreme importance because our destiny is determined by our attitude toward Him. ... Scripture and experience unite in affirming that there is no saving knowledge of God apart from Christ, and that all who enter heaven do so only through the atonement that He has provided.

그분께 대한 우리의 태도가 우리의 운명을 결정지으므로 우리가 그분을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가장 중요합니다. ... 성경과 경험이 공히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찾을 수 없고,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속죄를 통하지 않고는 그 누구도 천국에 갈 수 없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Nothing is more clear than that Christ cannot be explained by any humanistic system. He does not fit into any theory of natural evolution, for in that case the perfect flower of humanity should have appeared at the end of human history and not in the middle of it. Unquestionably His advent was thousands of years too soon to fit that theory. He differs from all other men not only in degree but also in kind. He is, of course, the central figure in the New Testament, and also in the Old when it is read in the light of the New. No explanation other than that He was Deity incarnate is 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majesty of His person and the uplifting influences that have followed wherever His Gospel has been made known.

가장 확실한 것은 그 어떤 인간 학문도 그리스도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분께서는 그 어떤 진화론에도 맞지 않으십니다. 왜냐하면 진화론대로라면 완전한 인간성의 꽃이 인간 역사의 중간이 아니라 맨 끝에 나타나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를 역사 중간 지점에 나타난 완전한 인간성의 꽃으로 저자가 생각하고 있음. 역주.) 분명 그분의 등장은 그 이론이 제시하는 시기를 수천 년 앞선 것이었습니다. 그분께서 다른 모든 인간들과 다르심은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 본질의 차이입니다. 물론 그분께서는 신약성경의 중심인물이셨고, 신약성경의 관점에서 봤을 때 구약성경의 중심인물이시기도 합니다. 그분의 인격의 위엄과 그분의 복음이 전파된 곳마다 나타난 그분의 숭고한 영향력에 대한 만족할만한 설명은 그분께서 성육신 하신 하나님이시라는 것뿐입니다.

The advent of Christ has proved to be the central event in all history. Time before His birth is recorded as B. C. (before Christ), and time since as A. D. (Anno Domini, in the year of Our Lord).

그리스도의 등장이 온 역사의 중심적인 위치에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그분께서 나시기 전의 시대를 B. C.(그리스도 이전)라 하고 그 이후를 A. D.(우리 주님의 시대)라 합니다.

A mere glance at the course of history is sufficient to show that at a particular time in the affairs of men a new influence began to be felt and that, despite the slowness with which men have responded, in the midst of all the other kingdoms of the world there has been implanted this ethical and spiritual kingdom which gradually is pervading society and sweetening all its varied forms of life. The contrast between the Christian era and the preceding era has been well expressed by Dr. C. E. Macartney in the following words: “Do not be misled or deceived by Satanic outbursts of animalism and tyranny and human ferocity, which curse and shadow our world today. In spite of all that, as compared with ‘that hard pagan world’ into which the Gospel first came, the world today is a world that has been ‘turned upside down.’ Is the world's labor done today by slaves? Is one-half the population of the world salves? Are prisoners when taken in battle put to the sword? Are little children exposed and left to die by their parents on the hillsides, and in the forests? Is woman a plaything and chattel of mankind? To ask these questions is to answer them. The power that wrought this great change was the Gospel of Christ. Call up one by one the systems of darkness and tyranny and superstition which have cursed the earth, and which have long since disappeared. Call them out of their graves and ask them, ‘Who smote you? What made you pass?’ And one by one they answer, ‘Christ smote us and we died.’”

역사의 과정을 잠시 살펴보는 것만으로 밝히 알 수 있는 것은, 인간사(人間事) 어느 특정한 시기에 어떤 새로운 영향력이 감지되기 시작했고, 사람들이 굼뜨게 반응을 했을지라도 세상의 다른 모든 나라들 한가운데, 점차적으로 사회에 배어들어 그 사회의 모든 영역의 삶들을 감미롭게 만든, 이 윤리적이고 영적인 왕국이 심겨졌다는 것입니다. 마카르트니 박사는 기독교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잘 지적했습니다: “동물적 생활과 폭정과 인간의 잔학성과 같은 악마적 난동으로 인해 그릇된 길을 가거나 속지 마십시오. 그것들은 오늘날 우리의 세상을 괴롭히고 어둡게 하고 있습니다.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복음이 처음 들어간 ‘저 냉혹한 이교(異敎) 세계’와 비교할 때 오늘의 세계는 ‘천지개벽된’ 세상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세상의 노동이 노예들이 한 것입니까? 세계 인구의 절반이 노예들입니까? 전쟁 포로가 죽임을 당합니까? 아이들이 친부모들에 의해 산이나 숲에 죽도록 버려집니까? 여자가 인간의 노리개요 물건입니까? 답이 뻔한 질문이지요. 이 위대한 변화를 일으킨 힘은 바로 그리스도의 복음입니다. 세상을 괴롭혔었고 오래 전에 사라져 없어진 흑암과 폭정과 미신의 세력들을 하나하나 소환해 보십시오. 그것들을 무덤에서 불러내 ‘누가 너를 쳤냐? 너 왜 죽었냐?’ 물어보십시오. 그것들은 한결같이 ‘그리스도가 우리를 쳐서 우리가 죽었습니다’라고 대답합니다.”

We sometimes hear Christ mentioned along with Socrates, Plato, Buddha, Confusius, Mohammed, etc., as if He were only one of a class of outstanding leaders or reformers. But even the veriest amateur in spiritual things should know better than to pull Him down to the level of those men. Socrates, perhaps the greatest of the Greeks, was guilty of sinful excesses, even living in open sin with a harlot, and on his death-bed with cold indifference kept his family waiting outside the room while he discussed speculative philosophy with some of his associates. As for Plato, read his Republic and discover how low and degrading were his views in regard to the family, slavery, the treatment that men should accord women, etc. Or consider Buddha, withdrawing from mankind instead of sharing their hardships, spending his life in the objective contemplation of the world's ills, and giving rise to a system of morals which are so low that to this day in all Buddhistic countries human values have remained very cheap. Or Confucius, collecting and summarizing the wisdom of the past but essentially atheistic in his outlook and completely lacking of any true appreciation of spiritual values. Or Mohammed, with his well-known polygamous practices, his fiendish cruelty in war, his disdain for all people who were not of his following, and his atrocious system of morals which still lays as a blight on all Moslem lands. No, Christ cannot be put in the same class with the world's supposedly great men. He demands a special category, and cannot be explained on any other grounds than that He was the pure, radiant Son of God. ... When we compare Christian ethics with the best of the code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the Greek, Roman, Chinese, or any other non-Christian philosophers or teachers we see immediately how great is the contrast.

때론 그리스도께서 위대한 개혁가들 중 한 사람이라도 되는 양 사람들이 그분을 소크라테스, 플라톤, 부처, 공자, 마호메트 등과 같은 부류의 사람으로 취급합니다. 그러나 영적인 문제에 관한 가장 초보적인 아마추어라도 그분을 그러한 자들의 수준으로 끌어내릴 정도로 어리석으면 안되지요. 소크라테스가 아마 그리스인들 중에 가장 위대하겠지만 도가 지나쳐 죄가 될 정도의 사항이 있었고, 심지어 공공연하게 창녀와 놀아난 죄가 있었고, 죽어가는 자리에서 차가운 무관심을 보여 자기 가족은 문밖에서 기다리게 했으면서도 몇몇 동료들과는 사변철학에 관해 토론했습니다. 플라톤으로 말하자면, 그의 국가론을 읽어보시고 가족, 노예, 남자의 여자에 대한 처신에 관한 그의 견해가 얼마나 저급하고 치사한지 확인해보십시오. 혹은 부처를 생각해보십시오. 그는 인간들의 삶의 역경을 함께 나누지 않고 속세를 떠나 세상의 불행에 대한 객관적 사색으로 일생을 보냈고, 윤리 체계를 하나 세워 놓았는데, 그 윤리는 너무 수준이 낮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모든 불교 국가들에서 인간의 가치관은 매우 저차원적입니다. (세상과 인간이 하나라는 불교의 세계관 때문에 인간의 가치관의 차원이 낮다고 말하는 것 같음. 역주.) 공자를 살펴봅시다. 그는 옛적부터 전해 내려온 지혜를 수집하고 요약해 놓았으나 영적 가치들에 대한 그의 견해와 그것에 대한 참된 이해가 그에게 전무함을 볼 때 그는 근본적으로 무신론자였습니다. 마호메트를 살펴볼까요. 소문난 그의 일부다처주의 삶, 전쟁에서의 그의 극악한 잔인성, 자기를 따르지 않는 모든 자들에 대한 그의 경멸, 여전히 모든 이슬람 국가에 해악으로 작용하고 있는 그의 잔학한 윤리 체계를 보십시오. 아니지요. 그리스도께서 소위 세상의 위대한 자들과 같은 등급으로 취급되실 수 없으시지요. 그분께서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호칭으로 불리우시길 바라시고, 그분께서는 순수하시고 찬란하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라는 해명 외에 그 어떤 것으로도 설명이 불가능한 분이십니다. ... 그리스, 로마, 중국, 또는 그 어떤 비기독교인 철학자들이나 선생들이 세운 가장 우수한 법체계와 기독교 윤리를 비교하면 우리는 그 차이가 얼마나 엄청난지 즉각 알 수 있습니다.

Through all the weary centuries man apart from God has never been able to find peace. But in Christ he does find peace and is acutely aware that he has passed out of death into life. The tragic fact, however, is that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materialistic evolution, and so-called higher criticism many of our present day churches have lose much of their witnessing power. ... American Christianity recovered from that disaster only by vigorously asserting the authority of Christ and the inspiration of the Scriptures. ... Without a revival of this faith our churches will become secularized, mission enterprise will die out, and the candlestick will be removed out of its place as it was with the seven churches of Asia, and as it has been with the apostate churches of New England.

고단한 수많은 세월 내내 하나님을 떠난 인간은 결코 평화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은 평화를 찾았고, 자기가 죽음을 벗어나 생명으로 들어갔음을 실제로 깨닫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현대주의, 유물론적 진화론, 그리고 소위 고등비평이라는 것의 영향 아래 오늘날 많은 우리의 교회들이 자신들의 증거능력을 상실했습니다. ... 미국의 기독교는 오직 그리스도의 권위와 성경 영감설을 강력히 주장함으로 그 재난에서 회복되었습니다. ... 이 믿음이 되살아나지 않으면 우리의 교회들은 세속화될 것이고, 선교활동은 사멸할 것이고, (요한 계시록의) 아시아 일곱 교회와 뉴 잉글랜드의 배교한 교회들처럼 촛대가 옮겨질 것입니다.

It is both our duty and privilege to tell others of this wonderful Saviour and of the redemption that has been purchased for them by Him. For His Gospel is the answer to all of the world's ills; and above and beyond that it is the power of God unto salvation to every one that believeth, our ground of comfort and our hope of glory. Would that this vision might be clearly presented to every human being on the whole face of the earth, and that mankind in general might come to realize the poverty that is theirs without Christ and the joy that might be theirs with Christ.

이 놀라운 구세주와 그분께서 사람들을 위해 이룩해 놓으신 구원을 다른 자들에게 전해주는 것이 우리의 의무요 특권입니다. 왜냐하면 세상의 모든 고통에 대한 해답이 바로 그분의 복음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고통을 넘고 초월하여 그 복음은 모든 믿는 자들에게 구원에 이르는 하나님의 능력이고 우리의 위로와 우리의 영광의 소망에 대한 근거가 됩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이 꿈같은 사실이 분명히 전달되었으면 좋으련만! 또한 모든 인류가 그리스도 없이 당하는 그들의 빈곤과 그리스도와 함께 누리게 될 그들의 기쁨을 깨닫게 된다면 참으로 좋으련만! 

 

                                                             V. The Atonement

                                                              V. 속죄

1. The Atonement

1. 속죄

The two great objectives to be accomplished by Jesus Christ in His mission to this world were, first, the removal of the curse under which mankind labored as a result of the disobedience and fall, and second, the restoration of men to the image and fellowship of God. Both of these were essential to salvation. The work of Christ in reconciling God and men we call the Atonement; and this doctrine, we believe, lies at the very heart of the Christian system.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 오셔서 이룩하셔야 했던 큰 목적 둘은, 첫째는 인간의 불순종과 타락의 결과로 인류에게 임한 저주를 제거하는 것이고, 둘째는 하나님의 형상과 하나님과의 교제를 인간에게 회복시켜 주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는 구원에 꼭 필요한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하나님과 인간의 화해 사역을 속죄라 하고, 우리가 보기에 이 교리는 기독교의 핵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We cannot rest content with teaching that leaves the central doctrine of our faith shrouded in mystery and uncertainty. This does not mean that all mystery can be removed. But the Scriptures do supply the interpretation of the death of Christ that the inquiring mind legitimately asks for, and the salient factors concerning it should be known by all Christian people.

우리 신앙의 핵심 교리를 신비와 불확실성에 묻어 놔두는 가르침에 우리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 이는 모든 신비가 다 제거될 수 있다는 말이 아닙니다. 그러나 성경은 의문을 갖고 있는 자가 정당하게 요구하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해석을 확실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와 관련된 중요한 사항들을 모든 기독교인들이 알아야 합니다.

We cannot expect to give a full explanation of the Atonement any more than we can give a full explanation of the nature of electricity, or of the force of gravity, or of our own mental and physical processes. But the main outlines of the plan of salvation are clearly revealed in the Scriptures, and it is both or privilege and our duty to acquaint ourselves with as much of that plain as God has seen fit to reveal. We are told, for instance, in broad terms that we are members of a fallen race, that God has given His only-begotten Son for our redemption, and that salvation is through Him and not through any works which we ourselves are able to do. Certainly anyone who accepts these facts and acts upon them will be saved.

전기, 중력, 우리의 정신적 육체적 생명현상의 본질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우리가 해줄 수 없듯 우리가 그리스도의 속죄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해줄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구원계획의 주요 윤곽은 성경에 분명히 제시되어 있고,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적당한 정도로 계시하신 것에 대해서만큼은 우리가 아는 것이 우리의 특권이요 의무입니다. 예를 들어 대충 살펴보아, 우리가 타락한 종족의 구성원들이고, 하나님께서 우리의 구원을 위해 당신의 독생자를 주셨고, 구원은 우리들 자신이 할 수 있는 그 어떤 행위로가 아니라 그분으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우리는 들어 알고 있습니다.

By way of background for this subject we are to remember that after God had created man He established certain moral laws by which man was to be governed, and solemnly announced that disobedience to these laws would bring an awful punishment. As a pure test of obedience man was given permission to eat of every tree of the garden excep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 But man deliberately and defiantly disobeyed that command. ... This disobedience was especially heinous; because through it man in effect transferred his allegiance from God to the Devil.

이 주제(속죄)의 배경으로 우리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지으신 후 인간이 지켜야할 도덕률을 제정하셨고, 이 법을 어길 시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엄중히 선언하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순종에 대한 순수한 시험으로 인간은 선악과를 제외한 에덴 동산의 모든 실과를 먹는 게 허락되었습니다. ... 하지만 사람은 고의로 또 반항적으로 그 명령에 불순종했습니다. ... 이 불순종은 특히 흉악한 것이었는데, 그 이유는 그 불순종을 통해 인간은 사실상 자신의 충성심을 하나님으로부터 마귀에게로 돌렸기 때문입니다.

Moreover, by his fall Adam corrupted not only himself but all of his posterity, since by divine appointment in this test he acted as their federal head and representative. Had man been left to suffer the penalty alone, he would have experienced not only physical death, but spiritual death as well, which menas eternal separation from God and, therefore endless progress in sin and suffering. Like the Devil and the demons, who also are fallen creatures and who have been abandoned to their fate, man was morally polluted and guilty and had neither the desire nor the ability to reform himself. Furthermore, it is very evident that no member of this fallen race was capable of paying the debt owed by any other, since each one was preoccupied with his own sin. Even if it had been possible to have found a truly righteous man who was also willing to bear the penalty for others, he could at most have delivered but one other person since he himself was only a man.

더구나 아담은 자신의 타락으로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든 후손들까지 타락시켰는데, 그 이유는 그 시험에서 그는 하나님의 정하심으로 그들의 성약(聖約) 머리요 대표자로 행동했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그 형벌을 홀로 당하게 되어 있었다면 그는 육체의 죽음뿐만 아니라 영의 죽음도 맛보아야 했을 것이고, 그것은 하나님과의 영원한 단절을 의미하며, 따라서 끊임없는 죄와 고통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타락한 피조물들이고 자신들의 운명에 내쳐진 마귀나 귀신들처럼 인간은 도덕적으로 더럽혀졌고 죄 가운데 있으며 또한 스스로를 개혁할 의지도 능력도 없습니다. 더구나 분명한 것은 이 타락한 종족의 그 어느 구성원도 타인의 죗값을 지불할 능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각자는 자신의 죄만으로도 벅차기 때문입니다. 타인의 죗값을 감당할 의향이 있는 정말로 의로운 자를 우리가 찾을 수 있더라도 그는 한 인간에 불과하므로 기껏해야 다른 사람 하나만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But fortunately for man there was one both able and willing to perform that service. It was for this purpose that the Lord Jesus Christ,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became incarnate and performed for man a double service, discharging, in the one hand, the penalty through His own suffering and death, and one the other, restoring to man holiness and life through His perfect obedience to the moral law. ... “Blessing, and glory, and wisdom, and thanksgiving, and honor, and power, and might, be unto or God for ever and ever,” Rev. 7:12.

그러나 인간에게 천만다행히도 그 구원의 사역을 감당하실 수도 있고 감당코자 원하는 분이 계십니다. 이를 위해 삼위일체의 제2 위격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육신 하시어 인간을 위해 두 가지, 즉 첫째는 자신의 고난과 죽음을 통해 죗값을 치르시고, 둘째로 스스로 하나님께서 세우신 도덕률에 완벽하게 순종하심으로 인간에게 거룩과 생명을 회복시키셨습니다. ... “찬송과 영광과 지혜와 감사와 존귀와 능력과 힘이 우리 하나님께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나이다(계7:12).” 

 

The Infinite Value of Christ's Sacrifice

그리스도 희생의 무한한 가치

The chief mystery in regard to the Atonement appears to lie in the fact that God chooses to accept the unmerited suffering of Christ as a just equivalent for the suffering due to sinners. The question then arises, How can the suffering of an innocent person be set to the account of a guilty person in such a way that the guilty person is freed from the obligation to suffer? Or, to state the question more specifically, How can the suffering which was endured by Christ be set to the credit of His people, and how can that suffering suffice to save the millions of mankind, or even all of the people of this world if they would but trust Him? Or again, as it is sometimes asked although somewhat erroneously, How can God, the first person, take the sin of a guilty man, the second person, and lay it on Christ, an innocent third person?

속죄와 관련된 가장 큰 수수께끼는 아마 하나님께서 죄 없이 당한 그리스도의 고난을 죄인들이 받아야 할 고난과 같은 분량으로 삼아 정당하게 받아들이셨다는 데에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제기됩니다. 어떻게 무죄한 사람의 고난이 죄인의 것으로 되어 그 죄인이 고난 당할 책임에서 해방되나? 혹은 좀 더 자세히 말해, 어떻게 그리스도께서 당하신 고난이 그분의 백성의 것으로 되며, 어떻게 그 고난이 수백만의 인류를, 또는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분만을 믿겠다면 모든 인류까지 다 구원하기에 충분하나? 다시 말해, 간혹 약간 그릇되게 하는 질문이지만, 어떻게 첫째 당사자이신 하나님(성부 하나님)께서 두 번째 당사자인 죄인의 죄를 죄 없는 제삼자(第三者)이신 그리스도(성자 하나님)께 전가시키실 수 있나?

When God, the first person, takes the sin of a guilty man, a second person, and lays it on Christ, He lays it not on a third person but on Himself. There is no third person in this transaction, because Christ is God, Deity incarnate. ... If God had taken the sin of one man and laid it on another mere man, that would indeed have been a flagrant violation of justice as the Unitarians and Modernists charge.

첫째 당사자이신 하나님(성부 하나님)께서 둘째 당사자인 죄인의 죄를 그리스도(성자 하나님)께 전가시키실 때 그분께서는 그 죄를 제삼자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전가시키신 것입니다. 이 거래에서 제삼자는 없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즉 성육신 하신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 만약 하나님께서 한 사람의 죄를 다른 자에게 전가시키셨다면, 이는 유니테리안교도나 현대주의자들의 비난처럼 진정 극악한 정의훼손일 것입니다.

>> 이런 내용은 삼위일체를 이해하고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것이지요. <<

In view of the fact that Christ is God, and therefore a Person of infinite value and dignity, we have no hesitation in saying that the crucifixion of Christ was not only the world's worst crime, but that it was a worse crime than that which would have been committed if the entire human race had been crucified. Isaiah tells us that in comparison with man God is so great that even “the nations are as a drop in a bucket, and are accounted as the small dust of the balance,” 40:15. ... For sinful man thus to crucify his God was an infinitely heinous crime. Whatever may be said about the Atonement, it certainly cannot be said that the debt paid by Christ was of lesser value than that which would have been paid if all of those for whom He died had been left to suffer their own penalty.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이시고, 그러므로 무한한 가치와 존엄을 지니신 삼위일체의 한 위격이심을 고려할 때 우리는 즉시 그리스도를 십자가에서 죽인 것이 세상에서 가장 지독한 범죄일 뿐만 아니라 전(全) 인류를 다 십자가에 못박는 것보다 더 악한 죄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인간과 비교 되셨을 때 하나님께서는 너무나 위대한 분이셔서 “그분께 열방은 통의 한 방울 물 같고 저울의 작은 티끌 같다(사40:15)”고 했습니다. ... 죄인이 그렇게 자기 하나님을 십자가에 못박는 것은 무한히 극악한 범죄였습니다. 속죄에 대해 그 무슨 말이 나왔던지 간에, 그분의 죽음에 덕을 본 모든 자들이 자신들의 형벌을 스스로 받게 됐을 때 받는 죗값보다 그리스도께서 치르신 죗값이 더 작다고 절대 말할 수 없습니다.

In order to illustrate a little more clearly the infinite value of Christ's atonement we should like to use a very simple illustration. Doubtless all of us, for instance, have killed thousands of insects such as ants, beetles, grasshoppers. Perhaps we have even killed millions of them if we have plowed a field or set a large brush fire. Or perhaps we have killed a considerable number of birds or animals, either for food or because they had become pests. Yet we suffer no accusing conscience. But if we kill just one man we do have an accusing conscience which condemns us bitterly; for in that case we have committed murder. Even if we could imagine a whole world full of insects or animals and if we could kill them all at one stroke, we would have no accusing conscience.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that man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is therefore if infinitely greater value than the insects or animals. Now in a manner similar to this, Christ, who was God incarnate, was not only of greater value than a man but was of greater value than the sum total of all men; and therefore the value of His suffering and death was amply sufficient to redeem as many of the human race as God sees fit to call to Himself. Christ did not, of course, suffer eternally as men would have done, nor was His pain as great as the sum total of that which would have fallen on man; but because He was a Person of infinite value and dignity His suffering was what God considered a just equivalent for that which was due to all of those who were to be redeemed.

그리스도의 속죄의 무한한 가치를 좀 더 분명히 설명하기 위해 아주 간단한 비유를 하나 들겠습니다. 예를 들어 분명 우리 모두는 개미, 딱정벌레, 메뚜기와 같은 수천의 곤충들을 죽였을 것입니다. 아마 우리가 밭을 갈아엎거나 큰 숲에 불을 질렀다면 수백만의 곤충들을 죽였겠지요. 혹은 아마도 우리가 수많은 새들과 동물들을 잡아먹기 위해서나 그것들이 해로운 것들이어서 죽였겠지요. 그럼에도 우리는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단 한 사람이라도 죽이면 우리는 심한 양심의 가책을 받는데, 그 이유는 그 경우 우리가 살인죄를 지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곤충들과 동물들로 가득 찬 세계를 가정하고 우리가 단번에 그 모든 것들을 죽인다 해도 우리는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이러한 차이가 있는 이유는 바로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고, 그러므로 벌레나 동물보다 무한히 더 가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하나님의 성육신이신 그리스도께서는 한 인간보다 더 가치 있으신 분일 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들을 합친 것보다 더 가치가 있으신 분이십니다. 그리하여 그분의 고난과 죽음의 가치는 하나님께서 온당히 당신께로 부르신 모든 인간들을 구속(救贖)하기에 충분합니다. 물론 그리스도께서는 인간들이 당했어야 하는 것처럼 영원히 고난을 당하시지도 않으셨고, 그분의 고통이 사람에게 임했어야 할 모든 고통의 합과 같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분께서는 무한한 가치와 위엄을 지니신 삼위일체의 한 위격이셨기 때문에 그분의 고난은 하나님(성부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모든 구원받을 자들이 당해야 할 고난을 대신할 정당한 분량이었습니다.

In order for us to understand how it was possible for Christ to have accomplished this work of redempt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keep in mind the fact that He possessed two natures, one Divine and the other human, and that it was in His human nature that He suffered on the cross. But in our own persons - which are composed of two natures in vital union, the spiritual and the physical - whatever can be affirmed of either of our natures can be affirmed of us as persons. ... Our spiritual nature is the more important, more dominant and controlling; yet what happens to either of our natures happens to us as persons. In a similar manner, Christ's Divine nature was the more important, more dominant and controlling; but since the two natures were vitally united what He experienced in either He experienced as a Person. Hence His suffering on the cross was God's suffering, and His death was in a real sense God's death for His people. This means that the death of Christ, through which the Atonement was accomplished, was a stupendous event; the most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the universe, the central event in all history.

우리가 그리스도께서 어떻게 이 구원사역을 완수하셨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분께서 신성과 인성 두 본성들을 소유하셨고, 그분께서 자신의 인성을 통해 십자가에서 고난을 당하셨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런데 영과 육이라는 두 본성들이 한 생명으로 연합된 우리 자신의 인격체의 경우 우리의 두 본성들 중의 한 본성에 관계된 모든 사항은 인격체인 우리에게 관계된 것입니다. ... 우리의 영적 본성이 더 중요하고 더 지배적이고 주도적이지만 우리의 두 본성들 중 한 곳에 일어난 일은 인격체인 우리에게 일어난 일입니다.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의 신성이 (그분의 인성보다) 더 중요하고, 더 지배적이고 주도적이지만, 두 본성들이 한 생명으로 연합되어 있어서 한 본성을 통해 그분께서 경험하신 것은 한 위격(인격체)으로서 경험하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십자가에서의 그분의 고난이 하나님의 고난이었고, 그분의 죽음은 실제로 자기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죽음이었습니다. 이는 속죄의 수단이었던 그리스도의 죽음이 엄청난 사건, 즉 온 우주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고, 전(全) 역사의 중심사건이었음을 의미합니다.

The justice of God demands that sin shall be punished as definitely as it demands that righteousness shall be rewarded. God would not be just if He failed to do either. ... The idea of vicarious suffering underlay the entire sacrificial system of the Jews, impressing upon them the fact that a righteous God could make no compromise with sin, and that sin must be and eventually would be punished with its merited recompense, death.

하나님의 공의는 반드시 의(義)를 보상하듯 반드시 죄를 벌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 둘을 다 충족시키지 못하면 하나님께서는 의로운 분이 아니시겠지요. ... 대신 당하는 고난이 유대인들의 모든 희생제물 제도의 근본 사상이고, 그 사상은 유대인들에게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죄와 타협하지 않으시고 죄는 마땅히 그리고 궁극적으로 당연한 죗값인 죽음으로 벌을 받는다는 것을 마음에 심어주었습니다.

No Injustice Done When Our Penalty Was Laid on Christ

우리의 형벌이 그리스도께 전가됨에 불의가 없음

Unitarians and Modernists sometimes object to this doctrine on the grounds that it is unjust to punish one person for the sins of another, and assert that the idea of vicarious suffering is abhorrent. We reply that there can be no injustice or impropriety connected with it when the person who suffers is the same one who, having made the law that such and such an offense should be followed by such and such a penalty and himself actuated by love and mercy, steps in and receives the penalty in his own person while at the same time he makes provision for the reformation of the offender. In financial matters we readily see that there is no injustice when a creditor remits a debt, provided that he assumes the loss himself. Now what God has done in the sphere of redemption is strictly parallel to this. He has assumed the loss Himself and has set us free. In this case God, who is the offended party, took the initiative and (1) permitted a substitution, (2) provided a substitute, and (3) substituted Himself.

유니테리안 교도들이나 현대주의자들은 타인의 죄 때문에 어느 한 사람을 벌하는 것이 불의하다는 근거를 들어 때때로 이 대속의 교리를 반대하고, 대속의 고난 사상을 혐오스럽다 합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 불의함이나 부당함이 있을 수 없다고 대답해줍니다. 즉, 고난을 받는 자가 이런저런 죄에 대해 이런저런 벌을 줘야한다는 법을 정한 자 자신이고 그 자가 사랑과 자비로 스스로 나서서 자신의 인격으로 그 벌을 받고, 동시에 죄인을 개조할 준비를 한 경우 그렇다는 말입니다. 상업거래에 있어서도 우리는 채권자가 스스로 손해를 보며 빚을 면제해 줄 때 불의함이 없다는 것을 쉽게 이해합니다. 자, 구속사역 가운데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이 바로 이와 같다는 것입니다. 그분께서는 스스로 손해를 보시며 우리를 해방시키셨습니다. 이 경우 피해를 당한 당사자이신 하나님께서 주도적으로 (1) 대리고난자(代理苦難者)를 두도록 허락하셨고, (2) 대리고난자를 제공하셨으며, (3) 자신이 대리고난자가 되셨습니다.

Unless Christ was both Divine and human, the whole Christian system is reduced to foolishness. Had Christ been only a man He no more could have saved others than could Stephen, or Huss, or Lincoln, or any other martyr. God cannot take the sins of a criminal and lay them on a good man, but He can take them and lay them on Himself; and that is what the doctrine of the Atonement teaches us that He has done.

그리스도께서 동시에 하나님이시고 인간이 아니셨다면 전(全) 기독교 체계는 어리석은 사상이 되고 말았을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단지 인간이셨다면, 스테반, 후스, 린콜른이나 다른 순교자처럼 타인을 구원하지 못하셨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죄인의 죄를 의인에게 전가시킬 수 없으시나 그 죄를 자기 스스로에게 전가시킬 수는 있으시고, 이게 바로 그분께서 이룩하신 속죄에 대한 교리가 우리에게 주는 가르침입니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26<  (0) 2012.12.06
신학 & 영어 >25<  (0) 2012.12.06
신학 & 영어 >23<  (0) 2012.12.06
신학 & 영어 >22<  (0) 2012.12.06
신학 & 영어 >21<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