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23<

stevision 2012. 12. 6. 15:25

To sit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is to occupy the position of honor and power. In these word(Eph. 1:20-23) Paul tells us that Christ, in His theanthropic nature, now presides at the tribunal of heaven, that all creatures, celestial ad terrestrial, admire His majesty, obey His will, and are subject to His power. In the Epistle to the Philippians he declares that “God highly exalted Him, and gave unto Him the name which is above every name; that in the name of Jesus every knee should bow, of things in heaven and things on earth and things under the earth, and that every tongue should confess that Jesus Christ is Lord, to the glory of God the Father,” 2:9-11. In First Corinthians he says that “He must reign, till He hath put all His enemies under His feet,” 15:25. And in First Timothy he declares that Christ is “the blessed and only Potentate, the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6:15.

(예수께서) 하나님 아버지 우편에 앉으셨다는 말은 영광과 권능의 위치에 오르셨다는 것을 말합니다. 바울은 이 말씀(엡1:20-23)을 통해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신인(神人)본성 가운데 이제 하늘나라 법정(法廷)을 주재(主宰)하시고, 하늘과 땅의 모든 피조물들이 그분의 위엄을 칭송하고 그분의 뜻에 복종하고 그분의 권위에 굴복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빌립보서에서 “이러므로 하나님(성부 하나님)이 그(예수님)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빌2:9-11)”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에서 “저가 모든 원수를 그 발아래 둘 때까지 불가불 왕노릇 하시리니(고전15:25)”라고 말합니다. 또 그는 디모데전서에서 그리스도께서 “복되시고 홀로 주권자이시고 왕의 왕, 주의 주(딤전6;15)”라고 했습니다.

The book of Revelation is one sustained hymn of praise to Christ as King, setting forth the glory of His person and the triumph of His kingdom. He is declared to be “the Ruler of the kings of the earth,” 1:5. He has “made us to be a kingdom, to be priests unto His God and Father; to Him be the glory and the dominion for ever and ever,” 1:6. In chapter 5 He is pictured as sitting on the throne and receiving homage and worship from all the hosts of heaven and earth. All opposition is to be utterly crushed: “and out of His mouth proceedeth a sharp sword, that with it He should smite the nations: and He shall rule them with a rod of iron. ... And He hath on His garment and on His thigh a name written,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19:15, 16, - not that He will use violence or military force, but rather that His conquest of the nations is to be accomplished by the preaching of the Gospel, as is indicated by the fact that the sword proceeds “out of His mouth;” and, continuing with the same figure of speech, while it will be an immeasurable pleasure and privilege for His people to be ruled by Him, His rule will be as complete and effective as if enforced with a rod of iron.

요한계시록은 한결같은, 왕 되신 그리스도에 대한 찬양곡이고, 그분의 영광과 그분의 나라의 승리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분께서는 “땅의 임금들의 머리가 되신 분(계1:5)”이시라 합니다. 그분께서는 “우리를 그분의 하나님이시요 아버지이신 분 앞에 나라와 제사장으로 만드셨다”고 합니다. 그리고 계시록 기자는 “그분께 영광과 능력이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노라(계1:6)”라고 했습니다. 계시록 5장에서 그분께서는 보좌에 앉으셔서 하늘과 땅의 모든 자들로부터 존경과 경배를 받으시는 분으로 나옵니다. 모든 적대세력은 철저히 진압될 것이고, “그분의 입에서는 예리한 검이 나와 그것으로 그분께서는 만국을 치실 것이고, 그분께서는 철장(쇠막대기)으로 그것들을 다스릴 것이고, ... 또 그분께서는 옷과 다리에 ‘만왕의 왕이요 만주의 주’라는 이름을 갖고 계십니다(계19:15, 16).” 이는 그분께서 폭력이나 군사력을 사용하실 거라는 말이 아니라 그분의 만국 정벌이 복음 선포를 통해 이뤄진다는 말입니다. 이는 검이 “그분의 입에서” 나온다는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수사법을 사용하자면, 그분께 다스림을 받는다는 것이 그분의 백성에게는 무한한 기쁨과 특권이 될 것이고, 그분의 지배는 철장으로 다스리는 것처럼 완전하고 유력할 것입니다.

The Old Testament too sets forth His kingship. Is. 11:1-10 ; Dan. 7:13, 14 ; Ps. 2:6 ; Ps. 45:6 ; Ps. 2: 8, 9 ; Ps. 110:1.

구약성경도 또한 그분의 왕 되심을 말하고 있습니다: 사11:1-10 ; 단7:13, 14 ; 시2:6 ; 시45:6 ; 시2:8, 9 ; 시110:1.

The inward spiritual nature of His kingdom as well as its present existence was set forth by Christ Himself when, being asked by the Pharisees concerning the time of its appearance, He said, “The kingdom of God cometh not with observation” - that is, not with outward and spectacular signs or events - “neither shall they say, Lo, here! or There! for lo,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Luke 17:21, 22. The kingdoms of this world are established with mighty armies, great conquests, violence and cruelty. But how different was the advent of Jesus, without earthly eminence, without arms, without wealth. Individuals are brought into His kingdom one by one as the holy Spirit regenerates their hearts and implants a new principle of spiritual life. The Christian, although in the world, is no longer of it. Actuated by new motives and new desires and acknowledging Christ as His only Lord and Master, he looks forward to a new heavens and a new earth wherein dwelleth righteousness. Paul fittingly says that “our citizenship is in heaven,” Phil. 3:20.

그리스도의 나라의 내적인 영적 본질과 그 나라의 현존재는 그리스도께서 바리새인들이 그 나라의 등장 시기에 관해 여쭸을 때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즉 외적이고 시각적인 징조나 사건들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눅17:20-21)”라고 친히 말씀하심으로 알려주셨습니다. 이 땅의 나라들은 군사력과 대원정과 폭력과 잔인성의 토대 위에 세워집니다. 그러나 현세적 명성과 군사력과 재력(財力)이 없는 그리스도의 출현은 이 얼마나 다른 모습인가! 성령께서 사람들의 마음을 거듭나게 하시고 새로운 영적 삶의 원리를 심어주심으로 각 개인은 하나 하나 그분의 나라에 합류하게 됩니다. 기독교인은 지금 비록 세상에 살고 있으나 더 이상 세상의 사람이 아닙니다. 기독교인은, 새로운 삶의 동기를 부여받고 그리스도를 자신의 유일한 하나님이요 주님으로 인정하는 가운데, 의(義)가 자리 잡고 있는 새 하늘과 새 땅을 바라봅니다. 바울이 적절한 말을 했습니다.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습니다(빌3:20).”

The visible representation of the kingdom on earth is, of course, the Church, in so far as the Church is composed of true believers.

물론 교회가 참된 신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한 이 땅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가시적(可視的) 표현은 교회입니다.

In order to make clear the nature of Christ's kingdom in its broadest outlines it probably can be best presented under three heads: The Kingdom of Power; The Kingdom of Grace; and, The Kingdom of Glory.

그리스도 왕국의 특성을 가장 폭넓게 규정하여 명시하려면 우리는 다음의 세 항목들로 나눠야 할 것입니다: 권능의 왕국, 은혜의 왕국, 영광의 왕국.

(1) Christ's Kingdom of Power relates to the universe at large as, by virtue of His Divine nature and His work of creatorship, He upholds (that is, preserves in existence) all things visible and invisible, governs (throughout the realm of nature as well as in the affairs of men), and passes final judgment on the entire race of men. That He was the active agent, although not the exclusive agent, in the creation of all things is repeatedly taught in Scripture: “All things were made through Him; and without Him was not anything made that hath been made ... the world was made through Him,” John 1:3, 10; “Through whom also He made the worlds,” Heb. 1:2; “All things have been created through Him, and unto Him; and He is before all things, and in Him all things consist,” Col. 1:16, 17. He rules or governs all things, for the glory of God and the effective execution of the divine plan: “All authority hath been given unto me in heaven and on earth,” Matt. 28:18. ... “And He put all things in subject under His feet, and gave Him to be head over all things to Church,” Eph. 1:19-22. “For in that He subjected all things unto Him. He left nothings that is not subject to Him. But now we see not yet all things subject to Him. But we behold ... Jesus ... crowned with glory and honor,” Heb. 2:8, 9. And that He is to be the final Judge of all men is set forth with equal clearness: “But when the Son of Man shall come in His glory, and all the angels with Him, then shall He sit on the throne of His glory: and before Him shall be gathered all the nations. ... ,” Matt 25: 31-41. His conquest of the nations, which is to be accomplished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Gospel, and His effective government of them in righteousness is foretold in figurative language in the book of Revelation: “ ... Upon His head are many diadems. ... And the armies which are in heaven followed Him upon white horses, clothed in fine linen, pure and white. And out of His mough proceedeth a sharp sword, that with it He should smite the nations: and He shall rule them with a rod of iron. ... And He hath on His garment an on His thigh a name written,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19:12-16. This His kingdom of power embraces the material world, the course of history, and all angels and men.

(1) 그리스도의 권능의 왕국은 온 우주에 미치는데, 그분께서는 자신의 신적 본성과 창조주로서의 창조사역을 통해 모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붙드시고(즉 존재를 유지시키시고), (인간사(人間事)와 자연을 통틀어) 지배하시고, 온 인류에게 최후 심판을 내리십니다. 그분께서 만물의 창조에 있어 (삼위일체 안에서) 독점적이지는 않았지만 능동적인 행위자이셨음이 성경이 거듭하여 가르치고 있습니다: “만물이 그(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 세상은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되(요1:3, 10).” “저로 말미암아 모든 세계를 지으셨느니라(히1:2).”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그에게 창조되고, 또한 그가 만물보다 먼저 계시고 만물이 그(그분) 안에 한께 섰느니라(골1:16, 17).” (여기서 ‘그에게(unto Him)’는 철학적 사고에서 나온 것으로, 만물의 목적인(目的因)을 그리스도로 보고, 만물이 그분께서 정하신 목적에 따라 움직이고 있음을 말함. 따라서 국역성경 ‘그에게’는 ‘그분의 목적을 이루도록’으로 해야 됨. ‘그로 말미암아(through Him’는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이성(Reason, 말씀(Logos))으로 보고 하나님께서 그 합리적 이성을 따라 세상을 합리적인, 즉 질서와 조화가 있는 세계로 만드셨음을 보여주는 말임. 물론 이는 기독교가 철학적 언어와 논리를 사용하여 진리를 말한 경우임.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철학에서 말하는 목적인이나 세계 안의 합리적 이성과 동일시 될 수 없습니다. 다만 성경은 이 세상이 무한한 합리적 이성을 지니신 그리스도를 통해, 그분의 창조목적에 따라 지어졌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역주.) 그분께서는 하나님의 영광과 하나님의 계획의 효과적인 수행을 목표로 만물을 다스리시고 지배하십니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마28:18).” ... “또 만물을 그 발 아래 복종하게 하시고 그를 만물 위에 교회의 머리로 주셨느니라(엡1:19-22).” “만물을 그 발 아래 복종케 하셨느니라 하였으니, 만물로 저에게 복종케 하셨든즉 복종치 않은 것이 하나도 없으나 지금 우리가 만물이 아직 저에게 복종한 것을 보지 못하고, ... 영광과 존귀로 관 쓰신 예수를 보니(히2:8, 9).” 또한 그분께서 만민의 최후 심판자가 되실 것임이 분명히 나와 있습니다: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 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마25:31-41).” 복음 선포를 통해 이룩될 그분의 만국 정복과 의(義)로 행해지는 그분의 효과적인 만국 통치는 요한계시록에 비유로 예언되어 있습니다: “... 그 머리에 많은 면류관이 있고, ... 하늘에 있는 군대들이 희고 깨끗한 세마포를 입고 백마를 타고 그를 따르더라. 그의 입에서 이한 검이 나오니, 그것으로 만국을 치겠고 친히 저희를 철장으로 다스리며, ... 그 옷과 그 다리에 이름 쓴 것이 있으니 ‘만왕의 왕이요 만주의 주’라 하더라(계19:12-16).” 그분의 이 권능의 왕국은 세계와 역사와 모든 천사와 인간을 다 포괄합니다.

(2) The Kingdom of Grace. Christ's Kingdom of Grace is that spiritual kingdom in which He rules in the hearts and lives of believers. It is a kingdom which is here and now: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Luke 17:21. ... It is kingdom which is in the world but not of it: “They are not of the world, even as I am not of the world,” John 17:16; “If ye were of the world, the world would love its own; but because ye are not of the world, but I chose you out of the world, therefore the world hateth you,” John 15:19; “My kingdom is not of this world: if my kingdom were of this world, then would my servants fight, that I should not be delivered to the Jews: but now is my kingdom not from hence,” John 18: 36. It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are not earthly or carnal: “For the kingdom of god is not eating and drinking, but righteousness and peace and joy in the Holy Spirit,” Rom. 14:17. It is made effective, not by any external display of power or magnificence, but by a divine work of the Holy Spirit as He regenerates the hearts and gives spiritual insight to the minds of men: ... “Except one be born anew, he cannot see the kingdom of God,” John 3:3; “Not by works done in righteousness, which we did ourselves, but according to His mercy He saved us, through the washing of regeneration and renewing of the Holy Spirit,” Titus 3:5.

(2) 은혜의 왕국. 그리스도의 은혜의 왕국은 그분께서 신자들의 마음과 삶을 지배하시는 영적 왕국을 말합니다. 그것은 지금 여기에 있는 왕국을 말합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다(눅17:21).” ... 그것은 세상 안에 있지만 세상에 속한 왕국이 아닙니다: “내가 세상에 속하지 아니함같이 저희도 세상에 속하지 아니하였삽나이다(요17:16)”; “너희가 세상에 속하였으면 세상이 자기의 것을 사랑할 터이나 너희는 세상에 속한 자가 아니요 도리어 세상에서 나의 택함을 입은 자인 고로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느니라(요15:19)”;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라. 만일 내 나라가 이 세상에 속한 것이었더면 내 종들이 싸워 나로 유대인들에게 넘기우지 않게 하였으리라. 이제 내 나라는 여기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요18:36).” 이 왕국의 특징은 세상적이거나 육적이지 않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이니라(롬14:17).” 그 왕국은 외적인 과시나 힘이나 장엄으로써가 아니라, 성령께서 사람의 마음을 거듭나게 하시고 그 마음에 영적 통찰을 주실 때, 즉 성령의 거룩한 역사로써 이룩됩니다: ...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느니라(요3:3)” ; “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의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좇아 중생(거듭남)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딛3:5).”

Christ's kingdom of grace embraces all types of men, recognizing no distinctions of nationality, color, class, rank, person or sex. “There can be neither Jew nor Greek, there can be neither bond nor free, there can be no male and female; for ye are all one man in Christ Jesus” says Paul, Gal. 3:28. That it was not intended for the Jews alone but for all nations and races was set forth clearly in the Old Testament Messianic passages and was repeatedly emphasized in the New Testament: “Ask of me, and I will give thee the nations for thine inheritance, And the uttermost parts of the earth for thy possession,” Ps. 2:8; “I will also give thee for a light to the Gentiles, that you mayest be my salvation unto the end of the earth,” Is. 49:6. ... “A light for revelation to the Gentiles, And the glory of thy people Israel,” Luke 2:32. ... “Is God the God of Jews only? is He not the God of Gentiles also? yea, of Gentiles also,” said Paul, Rom. 3:29. And the last command of Christ to His disciples was, “Go ye therefore, and make disciples of all the nations,” Matt. 28:19.

그리스도의 은혜의 왕국은 모든 부류의 사람들을 다 포괄합니다. 그것은 국적, 인종, 사회계급, 지위, 인품, 성(性)의 구분을 따지지 않습니다.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남자나 여자 없이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갈3:28)”라고 바울이 말합니다. 그 왕국이 유대인만을 고려치 않고 모든 나라와 민족을 다 포괄함이 구약성경의 메시야 관련구절들에서 분명히 밝혀지고 있고 신약성경에서 거듭 강조되고 있습니다: “내게 구하라. 내가 열방을 유업으로 주리니 네 소유가 땅 끝까지 이르리로다(시2:8)” ; “내가 또 너로 이방의 빛을 삼아 나의 구원을 베풀어서 땅 끝까지 이르게 하리라(사49:6).” ... “이방을 비추는 빛이요, 주의백성 이스라엘의 영광이니이다(눅2:32).” ... “하나님은 홀로 유대인의 하나님뿐이시뇨? 또 이방인의 하나님은 아니시뇨? 진실로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시느니라(롬3:29)”라고 바울이 말했습니다. 그리고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주신 마지막 명령은 바로 “그러므로 너희는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라(마28:19)”였습니다.

Since the Kingdom of Grace is not terrestrial or carnal, but spiritual, we must not be surprised if during our course through a world in which there still remains so much that is evil we often suffer persecutions, sickness, poverty, cold, hunger, and other disagreeable circumstances. ... We have the assurance of our King that He will never forsake us - “Lo, I am with you always, even unto the end of the world” - and that He will supply, not our every desire, but our “every need ... according to His riches in glory,” Phil. 4:19. Being truly united with Christ and depending on the power of His Spirit, we shall not doubt that we shall be finally victorious over the Devil and every kind of evil that he can bring against us. We look upon science, education, invention, art, music, commerce, statesmanship, sociology, etc., each in its own field so far as it is based on truth, as a revelation of the wisdom and glory of Christ, who is the Light of the world and the Ruler of the nations. ... Let us ever remember that Christ is our King here and now, that He is ruling and overruling through the whole course of human history, making the wrath of men to praise Him and able even to bring good out of that which men intend for evil.

은혜의 왕국이 현제적이거나 육적이지 않고 영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수많은 악이 여전히 남아 있는 세상을 살면서 자주 핍박, 질병, 가난, 추위, 굶주림과 그 외 불편한 환경들을 겪게 되는 것에 놀라서는 안됩니다. ... 우리는 우리의 왕께서 결단코 우리를 버리지 않으실 것을 확신합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날 까지 항상 너희와 함께 있으리라.” 또한 우리는 그분께서 우리의 욕망대로가 아니라 “그분의 영광 가운데 그분의 풍성함을 따라 모든 우리의 쓸 것을(빌4:19)” 채워주실 것을 확신합니다. 우리가 진실로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있고 그분의 영의 힘을 의지하고 있으므로, 우리가 마귀와 마귀가 우리를 대적하여 일으킨 모든 악을 이겨 최후 승자가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과학, 교육, 발명, 예술, 음악, 상업, 정치적 수완, 사회학 등이 각각의 영역에서 진리에 기초하고 있는 한 우리는 그것들을 그리스도의 지혜와 영광의 계시로 간주합니다. 그분께서는 세상의 빛이시고 열방의 지배자이십니다. ... 그리스도께서 지금 여기에서 우리의 왕이시고, 인류역사 전체에 걸쳐 다스리시고 지배하심을 항상 잊지 맙시다. 그분께서는 인간의 분노가 변하여 그분께 대한 찬양이 되게 하시며(이 부분의 번역이 좀 확실치 않습니다, 애매모호), 인간이 악을 행하기 위해 계획한 것에서 선을 이끌어내실 수도 있으십니다. 

 

And since Christ is thus our King it is our duty in every sphere of life's activity to render to Him that homage and obedience which is His due. ... It is important that we note the all-inclusiveness of Christ's rule. Not only does He demand obedience from all men; He demands obedience from them in all things. ... There is no sphere of life conceivable where Jesus does not maintain His demand that He be honored and obeyed. As King, therefore, Christ ought be supreme in our private lives. ... As King, Christ's will ought, also, to be supreme in our social and business lives. Within these spheres we should be guided by the golden rule: we should place the emphasis upon our duties rather than upon our rights. Still further, as King, Christ's will ought to be supreme in our political lives. To deny this is tantamount to saying that politics ought to be Christless. This does not say that the Church, as an institution, ought to mix in politics, but it is to say that, if we are Christians, our Christianity will manifest itself in the sphere of politics as well as in the other spheres of life.

그리고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왕이시므로 우리의 모든 삶 가운데 그분께 대한 마땅한 경의와 복종은 우리의 의무입니다. ... 우리가 그리스도 통치의 포괄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분께서는 모든 자들에게 복종을 요구하실 뿐만 아니라 모든 일에 있어서 그들로부터 복종을 요구하십니다. ... 사람들이 그분께 존경을 표하고 복종을 해야 한다는 그분의 요구가 무시될 수 있는 삶의 영역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왕이신 그리스도께서는 우리 개인의 삶에 지존(至尊)이시어야 합니다. ... 이러한 삶의 영역 가운데 우리는 다음의 황금률을 따라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권리보다 우리의 의무에 중점을 둬야 합니다. 또한 왕이신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정치(政治)마당에서도 최고 주권자(主權者)이셔야 합니다. 이를 부정하는 것은 정치가 그리스도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이는 교회가 하나의 기관으로서 정치에 끼여들어야 한다는 말이 아니라, 우리가 기독교인이라면 우리 기독교가 다른 삶의 영역들뿐만 아니라 정치 분야에도 자기를 드러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Furthermore, whether in human or divine affair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subjects is a reciprocal relation. Not only do the subjects have obligations towards their king, but the king also has obligations toward his subjects. ... Christ has placed Himself under obligations to us. As subjects of the King we do, indeed, owe Him homage and obedience. At the same time, however, He, as our King, grants us support and protection. What holds good for our relations to the State holds good, in a true sense, of our relations to King Jesus. As long as we obey the laws of the State, the State will protect and defend us. If others seek to take away our life, our liberty or our possessions we are not dependent upon our own resources: all the resources of the State are pledged for the support and defense of even the weakest and most insignificant of its citizens. And so as long as we serve Jesus as King, all His power and strength is pledged to our support and defense. No matter how weak and helpless we may be in ourselves; no matter how strong and reliant they may be who are against us, we need not fear, for greater is He that is for us than they that be against us. ... Unto Him that watches over us and defends us has been committed all power and authority in heaven and on earth.

더욱이 인간 관계든 하나님과의 관계든, 왕과 백성은 상호 호혜적입니다. 백성에게 자신들의 왕에 대한 의무만 있는 게 아니라 왕도 또한 자기 백성에 대한 의무가 있습니다. ...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에 대한 의무를 지고 계십니다. 왕이신 그분의 백성인 우리는 진실로 그분을 경외하고 복종해야 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우리의 왕이신 그분께서는 우리의 후원자와 보호자가 되십니다. 우리와 국가 사이에 성립되는 관계 그대로 우리와 왕이신 그리스도 사이의 관계가 성립됩니다. 우리가 국법을 준수하면 나라는 우리를 보호하고 지킵니다. 다른 무리가 우리의 생명과 자유와 재산을 침해하려 할 때 우리는 우리의 소유에 의지하지 않습니다. 국가의 모든 소유는 가장 약하고 비천한 국민까지도 지원하고 지키는데 사용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예수님을 왕으로 섬기는 한 그분의 모든 권세와 능력은 우리를 지원하고 지키는 데 쓰도록 되어 있습니다. 우리 자신이 아무리 약하고 의지할 데 없더라도, 우리의 대적자들이 아무리 강하고 믿는 구석이 있더라도, 우리는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를 위하시는 분께서 우리를 대적하는 자들보다 크시기 때문입니다. ... 우리를 살피시고 지켜주시는 그분께 하늘과 땅의 모든 힘과 권세가 주어졌습니다.

Today Christ's kingship is, of course, widely ignored. ... Let no one suppose that Jesus' right to rule rests on the consent of men, that He exercises rightful authority only over those who acknowledge His lordship. ... His kingdom is not confined to any special territory. Go where we may, we are still within His jurisdiction and answerable to His authority. We might as well suppose that we can go where the law of gravitation does not operate as suppose we can go where Christ does not hold sway. Hence just as it is the part of wisdom to adjust ourselves to the law of gravitation so that it will operate for our advantage and not to our disadvantage it is the part of wisdom to adjust ourselves to the Lord Jesus in such a way that His rule will bring us weal not woe, gain not loss, life not death.

물론 요즘 그리스도의 왕직(王職)은 많은 자들에게 무시되고 있습니다. ... 그 누구도 그리스도의 통치권이 인간의 동의(同意)를 받아야 한다거나 그분께서 오직 그분의 지배를 인정하는 자들에게만 적법하게 권위를 행사하신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 그분의 나라는 특정지역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어디를 가든 우리는 그분의 지배권을 벗어날 수 없고 그분의 권위 앞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지배가 없는 곳에 가는 것보다 차라리 중력법칙이 작용하지 않는 곳에 가는 것이 더 쉬울 겁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중력법칙에 순응하여 그것이 우리에게 해가 되지 않고 유익이 되도록 하는 것이 지혜이듯, 우리가 그리스도께 순응하여 그분의 지배가 우리에게 화가 되지 않고 복이 되고, 손해가 되지 않고 이익이 되며, 죽음이 되지 않고 생명이 되게 하는 게 지혜입니다.

That Christ does exist as King is recognized by Roman Catholics as well as by Protestants - a fact which could hardly be denied since it is set forth so clearly in Scripture - although they differ quite radically in regard to the manner in which He exercises His authority. Roman Catholics hold that He has appointed the Pope as His vice-regent on earth, and that His kingly authority is thus exercised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human being. We hold, however, with the whole Protestant world that not only is there no Scripture authority to support such a claim but that such a claim is contrary to the plain teaching of Scripture, and that the authority by which the Pope presumes to speak and act in the name of Christ is simply usurped authority. We hold that every believer is directly responsible to King Jesus Himself, and that it is our God-given right to go directly to Him in prayer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ny earthly pope or hierarchy.

그리스도께서 왕으로 계신다는 것을 개신교뿐만 아니라 로마 카톨릭도 인정하고 있고, 그 사실은 성경에 너무 분명히 나와 있어 누구도 부인 못합니다. 하지만 양측은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권위를 행사하시는 방식에 있어 극단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로마 카톨릭은 그분께서 이 땅에서의 자신의 대리자로 교황을 세우셨고, 그분의 왕권은 인간 대리자를 통해 행사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개신교들과 더불어 그러한 주장에 대한 성서적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주장은 성경의 분명한 가르침에 위배되고, 교황이 외람 되게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말하고 행한 그 권위가 순전히 도적질한 권위라 생각합니다. 우리는 모든 신자가 왕이신 예수 바로 그분께 직접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며, 우리가 이 땅의 그 어떤 교황이나 성직자계급의 중개 없이 기도로 그분께 직접 다가갈 수 있는 권리를 하나님께 받았다고 믿습니다. 

 

(3) The Kingdom of Glory. Christ's Kingdom of Glory is that state in which He rules over the redeemed in heaven and over the holy angels. It began with His ascension, and it reaches its consummation and completion at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final judgment. Entrance into the Kingdom of Glory is through the Kingdom of Grace; and it grows and develops as the members of the Church Militant, one by one, are translated into the Church Triumphant. In anticipation of his estate in this kingdom Paul wrote to the Philippians, “For me to live is Christ, and to die is gain,” 1:21; and in the same connection he declared that he had “the desire to depart and to be with Christ,” which, said he, “is very far better,” Phil. 1:23. John pronounces blessed those who are privileged to share in the glories of this kingdom: “Blessed are the dead who die in the Lord,” Rev. 14:13. In the highly figurative passage of Rev. 20:4-6 John gives us an insight into the joys experienced by those who are privileged to share in this kingdom as, released from all earthly cares and limitations, they “lived, and reigned with Christ a thousand years,” - which period of time, we believe, is to be understood not as an exact one thousand years but a comparatively long period, specifically, as relates to each individual, the period between his death here and the consummation of the kingdom at the end of the world. ... It is inestimable privilege to share in this intermediate reign, and those who are thus privileged are described as “blessed and holy.” “Over these,” John tells us, “the second death” - by which he evidently means the state of torture into which the wicked are to be cast - “hath no power; but they shall be priests of God and of Christ, and shall reign with Him a thousand years,” Rev. 20:6. Furthermore, when seen in this light death should hold no horrors for the Christian, but should be looked upon primarily as a transition from this world to Christ's Kingdom of Glory, or as the gateway through which he enters a far better and more glorious life than can ever be attained here.

(3) 영광의 왕국. 그리스도의 영광의 왕국은 그분께서 천국에 있는 구원받은 자들과 거룩한 천사들을 다스리시는 통치를 말합니다. 그 나라는 그분의 승천과 함께 시작되어 세상 종말과 최후 심판 때에 종결되어 완성됩니다. 우리는 은혜의 왕국을 통하여 이 영광의 왕국에 들어서게 되고, 이 왕국은 투쟁 중의 교회(이 땅에서 마귀 왕국과 싸우고 있는 교회, 역주.)의 성도들이 하나 하나 승리한 교회(천국 교회, 역주.)에 들어감에 따라 성장하고 발전합니다. 이 왕국에서의 자신의 신분을 기대하며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에게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 죽는 것도 유익함이니라(빌1:211)”라고 했고, 같은 맥락에서 그는 “떠나서 그리스도와 함께 있을 맘을 가지는 것이 더욱 좋다(빌1:23)”라고 했습니다. 요한은 이 왕국에서의 영광에 참여하는 특권이 부여된 자들을 복되다 했습니다: “주 안에서 죽는 자들은 복이 있도다(계14:13).” 고도의 상징적 언어로 쓰여진 계20:4-6에서 요한은, 성도들이 “세상 걱정과 어려움에서 해방되어 살며 그리스도와 함께 천 년 동안 다스릴(왕노릇 할) 때” 이 왕국의 영광에 동참하는 특권을 받은 그들이 경험할 기쁨에 대해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 천 년이라는 기간은 정확한 일천 년이라기보다는 상당히 긴 기간, 특히 각 개인과 관련하여, 이 땅에서의 그의 죽음과 세상 종말에 있을 그 왕국의 완성 사이의 기간을 말한다고 우리는 봅니다. ... 이 중간시기의 통치에 참여하는 것은 헤아릴 수 없는 특권이고, 그런 특권이 부여된 자는 “복되고 거룩하다”고 합니다. “둘째 사망(요한은 분명 이것이 악인들이 겪게 되는 고통의 상황이라 말하고 있음)이 그들을 다스리는 권세가 없고 도리어 그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어 천 년 동안 그리스도로 더불어 왕노릇 하리라(계20:6).” 더욱이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죽음은 기독교인에게 두려움이 되지 않고 본질적으로 이 땅에서 그리스도의 영광의 왕국에로의 이동으로 이해되며, 이 땅에서 한 번도 누리지 못했던 훨씬 좋고 영광스런 삶으로 들어가는 문으로 이해됩니다.

The mediatorial reign of Christ closes with His second coming and the final judgment. The work of redemption then will have been completed, divine grace will have been fully manifested, and the fate of all men, good or bad, fixed forever. Then Christ, having gained the complete victory and having reigned till He has put all His enemies under His feet, shall deliver up the kingdom to God the Father, “ ... that God may be all in all,” I Cor. 15:23-28. This does not mean that from that time on Christ will cease to have any part in the kingdom, but that, the work of redemption having been completed and the elect gathered in, it will cease to be pre-eminently His kingdom, that He will return to the original relationship which He had with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and that the triune God will reign eternally over the perfected kingdom.

그리스도의 중재적 통치는 그분의 재림 그리고 최후심판과 함께 막을 내립니다. 그 때에 구속사역은 완결되고, 하나님의 은총은 완전히 드러나고, 선인과 악인 모두의 운명은 영원히 결정지어집니다. 그 때에 그리스도께서는 완전한 승리를 거두시고 그분의 모든 원수들을 그분의 발아래 두시기까지 다스리셨으므로, “... 하나님께서 만유 안에 계시게 하기 위해” 그 왕국을 성부 하나님께 바치실 것입니다(고전15:23-28). 이것은 그 시기 이후에 그리스도께서 그 왕국에서 어느 역할도 맡지 않으신다는 말이 아니라, 구속사역이 완성되었고 선민들이 한 자리에 불러모아진 후이기 때문에 그 왕국이 특별히 그리스도(성자 하나님)의 왕국이기를 그치게 될 것이고, 그리스도께서 성부 또 성령과 가지셨던 원래의 관계로 되돌아갈 것이고, 그리하여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완성된 왕국을 영원히 다스리실 것이라는 말입니다.

In conclusion, then, Christ is at one and the same time our Prophet, our Priest, and our King. This is the terminology under which His work is set forth in Scripture. It is to John Calvin that we are indebted for developing more clearly than anyone else has done this threefold nature of the work of redemption. But while we use this terminology we are not to assume that these are separate offices as are those of President, Chief Justice and Senator in the affairs of State, or that these functions are performed successively and in isolation. Rather they are concurrent and mutually imply one another as do lungs, heart and brain in the human body - functionally distinct, yet interdependent and together constitution the one life.

결론적으로 그리스도께서는 동시에 우리의 선지자, 우리의 제사장, 우리의 왕이십니다. 성경이 제시하는 그분의 사역은 이 용어로 규정됩니다. 이 구원사역의 삼중성 교리를 그 누구보다도 더 명쾌하게 발전시킨 자가 칼빈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이 직임들이 국정(國政)에 있어서 대통령, 대법원장, 상원과 같이 세 독립된 직분들이라고 생각하거나, 이 직분들이 시간적 순서에 따라 따로따로 수행된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그게 아니고, 인체의 폐, 심장, 뇌가 기능상 다르지만 상호 의존적이고 합하여 한 생명을 이루듯, 그 직임들은 동시에 수행되고 상호 내포하고 있습니다.

As the Old Testament prophets were types of the great Prophet, and the Old Testament priests were types of the great Priest, so were the Old Testament kings types of the great King. The three functions which ran in separate though parallel lines during Old Testament times were thus merged and brought to perfection in Christ. But even in Him the emphasis on the three offices still fell in the historical order, so that during His public ministry He acted primarily as Prophet; in His suffering and death on the cross and in His intercession for us before the throne of God, He acted primarily as Priest; and in His Kingdom of Grace and His Kingdom of Glory He has revealed Himself primarily as King.

구약의 선지자들이 크신 선지자님의 예표였고 구약의 제사장들이 크신 제사장님의 예표였듯, 구약의 왕들도 크신 왕의 예표였습니다. 구약시대에 분리되어 평행선을 달렸던 세 직분들은 그렇게 그리스도 안에서 합쳐지고 완성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분의 경우에도 역사적 순서에 따라 세 직무들이 부각되기도 하는데, 그분의 공생애 기간에 그분께서는 주로 선지자로 활동하셨고, 그분의 십자가에서의 고난과 죽음 가운데 그리고 하나님의 보좌 앞에서 우리를 위한 그분의 중보기도 가운데 그분께서는 주로 제사장으로 활동하셨으며, 그분의 은혜의 왕국과 그분의 영광의 왕국에서 그분께서는 자신을 주로 왕으로 나타내셨습니다.

Furthermore, as a result of Christ's work of redemption, all believers, under the new Covenant, are made prophets, priests and kings. We are constituted prophets in that we are commanded to proclaim the Gospel and to show forth the excellencies of Him who called us out of darkness into His marvelous light (Matt. 28:18-20). Peter sets forth the priesthood when he says, “Ye are an elect rac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a people for God's own possession,” I Peter 2:9, and likewise John when he says, “He made us to be a kingdom, to be priests unto His God and Father,” Rev. 1:6. And the kingly estate of the Lord's people is set forth when Peter declares that believers are a “royal” priesthood, and when John declares that those in the intermediate state “shall reign with Him a thousand years,” Rev. 20:6, and that those in heaven “shall reign for ever and ever,” Rev. 22:5. Thus the three offices which for centuries ran parallel in Israel and then were united in the Lord Jesus Christ reappear in all those who believe in Him.

또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결과로 새 계약 가운데 있는 모든 신자들은 선지자, 제사장, 왕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복음을 선포하고 우리를 어둠에서 당신의 찬란한 빛으로 불러내신 그분의 놀라운 면을 증거하도록 명을 받았으므로 우리는 선지자로 임명받은 것입니다(마28:18-20).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니(벧전2:9)”라고 베드로가 말했을 때 그는 제사장직을 의미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요한이 “그 아버지 하나님을 위하여 그분께서 우리를 나라와 제사장으로 삼으셨다(계1:6)”고 했을 때 제사장직을 두고 한 말이지요. 그리고 베드로가 신자들이 “왕 같은” 제사장이라 하고, 요한이 중간시대의 신자들이 “그분과 함께 천 년 간 다스릴 것이다(계20:6)”라고 하고 그들이 천국에서 “영원히 다스릴 것이다(계22:5)”라고 했을 때 주의 백성의 왕적(王的) 신분이 언급된 것입니다. 이처럼 수세기 동안 이스라엘에서 평행선을 그리며 왔고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합쳐졌던 세 직무들이 그분을 믿는 모든 자들에게 재등장합니다.

22. Erroneous Views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22. 그리스도 위격에 대한 이단사설(異端邪說)

As a matter of historical record the full statement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was arrived at only after protracted and violent controversies, during the course of which every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data was examined, its elements of truth sifted out and preserved while the elements of error which deformed it were exposed and discarded.

역사 기록에 비추어 볼 때 그리스도 위격에 대한 완전한 설명은 오랜 기간 지속된 험악한 논쟁들 이후에 비로소 확립되었습니다. 그 기간 중에 성경 말씀에 대한 모든 가능한 해석이 정밀히 검토되었고, 그 해석의 진리 부분은 정선(精選)되어 보존되었지만 진리를 변형시킨 오류 부분은 색출, 제거되었습니다.

(1) EBIONISM

(1) 에비온주의

The earliest heretical view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was that known as “Ebionim.” In the interests of a supposedly pure monotheism the Ebionites denied the Deity of Christ and held that He was merely a man on whom the Spirit of God rested in its fulness. God and man were regarded as always external to each other. It denied the possibility of a union of the divine and the human nature and so ruled out the doctrine of the Incarnation. Some Ebionites acknowledged His supernatural birth, while others rejected it and held that His baptism marked the time at which He was especially endowed with the Holy Spirit. All agreed that after His death He was exalted to kingship. But this means that they acknowledged Him only as a great prophet or teacher during His earthly career and so definitely a part of the creaturely existence, - all of which in turn means that the worship paid Him by the Church was simply idolatry. They held that the old Jewish law was still obligatory upon the Lord's people. Hence their system appears to have been simply Judaism within the pale of the Christian Church.

그리스도 위격에 대한 최초의 이단사설은 바로 “에비온주의”입니다. 소위 순수 일신론에 관심을 둔 에비온주의자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고 그분을 단지 성령께서 완전한 분량으로 임하여 계신 한 사람으로 보았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과 인간이 항상 서로에 대해 외적인 존재들이라 보았습니다. 에비온주의는 신성과 인성의 연합 가능성을 부인했고 그리하여 성육신 교리를 거부했습니다. 일부 에비온주의자들은 그리스도의 초자연적 출생을 인정했으나, 다른 자들은 그것을 부인했고 그분의 세례가 특별히 그분께서 성령을 받으신 때였다고 합니다. 모든 에비온주의자들은 그분의 죽음 후에 그분께서 왕으로 높여지셨다는 데에는 같은 생각이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바로 그들이 그분의 지상생애 당시의 그분을 위대한 선지자나 선생 정도로만 보고 있고 그리하여 분명 그분을 피조물의 일부분으로 보았다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다 의미하는 바는 교회가 그분께 드린 경배가 단지 우상숭배였다는 것 밖에 안됩니다. 그들은 옛 유대인 율법이 여전히 주님의 백성에게 부과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그들의 종교는 단지 기독교 교회 안의 유대교였던 것 같습니다. 

 

(2) DOCETISM

(2) 도케티즘(가현설(假現說) 이단)

Chronologically, the next important error to develop concerning the person of Christ was Docetism. This term was derived from the Greek word dokeo, meaning to “seem,” or to “appear.” While the Ebionites believed that Christ had only a human nature, the Doceti held precisely the opposite error, asserting that He had only a divine nature and that His appearance in this world was only an illusion, or, more correctly, a theophany. According to this view He did not have a real human body and therefore could not have had a real human life. This meant further that He suffered no real pain and died no real death.

연대순으로 볼 때 에비온주의 다음으로 나타난, 그리스도 위격에 관한 주요 이단사설은 도케티즘입니다. 이 용어는 “...인 것 같다”나 “...처럼 보인다”라는 뜻을 지닌 헬라어 dokeo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에비온주의자들이 그리스도께서 오직 인성(人性)만을 소유하고 계신다고 믿는 반면 도케티즘 신봉자들은 정반대의 오류에 빠져 그분께서 오직 신성(神性)만 가지셨고 그분의 세상출현은 단순히 환상, 혹은 좀 더 정확하게 말해 하나의 신현(神現, 신의 출현)이라 했습니다. 이 주장대로라면 그분께서는 실제 육체를 가지지 않으셨고, 그리하여 실제 인간의 삶을 살지 않으신 것입니다. 더 나아가 이는 그분께서 실제 고난을 당하지 않으셨고 실제 죽음을 당하지 않으셨다는 말이 됩니다.

This peculiar belief was based on the philosophical assumption that matter is inherently evil. Since Christ was acknowledged to be altogether pure they could not admit that He was in any way connected with a physical body. Docetism was therefore simply pagan philosophy within the Church. It appeared quite early, about the year A.D. 70, and continued for approximately a century. The Patripassion and Sabellian heresies which appeared later may well be considered sects of the Docetic heresy since they too denied any real humanity in Christ.

이 특이한 믿음은 물질은 본질적으로 악하다는 철학적 가정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완전히 순결한 분이시라고 그들이 믿었기 때문에 그들은 그분께서 그 어떤 방식이든 물질적 육체와 연관이 있으시다 인정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도케티즘은 단지 교회 안의 이교철학이었습니다. 그것은 기원 후 약 70년 경 아주 이른 시기에 나타나 약 1세기 정도 존속했습니다. 후에 나타난 성부수난설과 사벨리우스주의 이단들은 도케티즘적 소종파들로 간주될 수 있는데, 이는 그들도 그리스도의 실제 인성을 부인했기 때문입니다.

>> ‘사벨리우스주의’는 양태론 이단으로 하나님께 단 하나의 신적 인격체만 있다고 보고, 그 하나님께서 구약 시대와 예수님 시대와 그 후 교회 시대에 각각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으로 활동하셨다는 주장입니다. 그럴 경우 십자가에 못박히신 분께서 실제는 구약의 성부 하나님이셨다는 말이 성립되어 이를 ‘성부수난설’이라고 합니다. 물론 이런 주장들은 다 이단사설입니다. 역주. <<

The Scripture refutation of Docetism is found in John's declaration that “The Word became flesh, and dwelt among us (and we beheld His glory, glory as of the only begotten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1:14; and also in the unequivocal statement of Heb. 2:14: “Since then the children are sharers in flesh and blood, He also Himself in like manner partook of the same.” Incidentally we may add that the early appearance of Docetism with its strong emphasis on the Deity of Christ is eloquent testimony showing that the impression made upon those who saw and heard Him in the flesh was that He was a supernatural Being.

도케티즘에 대한 성서의 논파(論破)는 “말씀(Logos)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요1:14)”는 요한의 말과, 히2:14의 분명한 말씀 “자녀들은 혈육에 함께 속하였으매 그도 또한 한 모양으로 혈육에 함께 속하심은(히2:14)”에서 발견됩니다. 그런데 한 마디 덧붙이자면,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강조를 강하게 주장하며 이른 시기에 등장한 도케티즘은 육체 중에 계신 그분을 보고 들은 자들이 받은 인상이 그분께서 초자연적 존재이셨다는 것을 멋지게 증명하고 있습니다.

>> 도케티즘이 그리스도의 인성을 부인한 것은 비난받을 만한 일이지만, 그리스도의 신성만큼은 확실히 믿은 것은 옳다 할 수 있다는 말임. 역주. <<

(3) ARIANISM

(3) 아리우스주의

A third error that arose in the early Church, more serious than either of the preceding ones, was Arianism. This view denied the true Deity of Christ and held rather that He occupied a position somewhere between that of God and man, that He was the first created being and the creator of all other creatures. He was thus regarded not as possessing absolute Deity, but only as the highest of created beings. Because of the claims which He made, the authority which He assumed, the miracles He worked, and the glory He displayed particularly in His resurrection, the great majority of the early Christians recognized Him as truly God. The Arians, however, misinterpreted certain Scripture statements relating to His state of humiliation and assumed that temporary subordination to the Father meant original and permanent inequality. Origen, the most outstanding of the early church fathers, in connection with his doctrine of the eternal generation of the Son, had taught inherent subordination. Arius carried this idea much farther and declared that the generation of the Son had taken place in time, thus definitely making Him a creature.

초대교회 시대에 나타난 세 번째 이단사설은 이전의 두 사설(邪說)들보다 훨씬 더 많은 폐해를 끼쳤는데, 바로 아리우스주의입니다. 이 이단사설은 그리스도의 참된 신성(神性)을 부인하고, 그분께서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위치에 계신 분이라고 했고, 그분께서 제일 먼저 창조된 피조물이면서 다른 모든 피조물들의 창조자라 했습니다. 그리하여 그분께서는 절대신성(絶對神性)을 소유하신 게 아니라 단지 모든 피조물들 중에 가장 높은 자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분께서 하신 주장, 그분께서 보이신 권위, 그분께서 행하신 기적, 특히 부활을 통해 보이신 그분의 영광 때문에 초대교회 성도들 대부분은 그분을 참 하나님으로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아리우스주의자들은 그분의 비하 신분과 관련된 몇몇 성경말씀을 잘못 해석하여 성부 하나님께 대한 그분의 일시적 종속관계가 원래부터 있었던 영원한 불평등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초대 교회 가장 뛰어난 교부들 중 하나였던 오리겐은 그의 ‘성자의 영원 발생설’과 관련하여 (성부에 대한 성자의) 본질적 종속을 가르쳤습니다. 아리우스는 이 사상을 더 발전시켜 성자의 발생(發生)이 시간 안에서 일어났고, 그리하여 명백히 그분을 하나의 피조물이 되게 했습니다.

>> ‘성자의 영원한 발생’이라 함은 태양이 옛날부터 계속 빛을 발생시키고 있듯 성부 하나님께서 영원히 성자를 발생시키고 계신다고 보는 주장입니다. 이는 성자의 존재를 성부께 종속시키는 것이어서 종속론이라 합니다. 역주. <<

>> 옛날 사람들의 시간관은 시간을 영원(eternity)과 세상의 시간(time)으로 나눴습니다. 이러한 시간관은 어거스틴의 글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영원은 과거, 현재, 미래의 구분이 없는 영원한 현재이고 신(神)의 시간인 반면, 지금 인간이 느끼는 시간은 신께서 천지를 창조하심으로 나타난 시간으로 보았고, 이는 과거, 현재, 미래의 구분이 있는 세상의 시간입니다. 아리우스가 성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시간 안에서(in time)’ 창조하셨다는 것은 그분을 분명 피조물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그러한 시간 구분은 현재의 우리의 의식수준에서 보면 맞지 않는 것이지요. 역주 <<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25<  (0) 2012.12.06
신학 & 영어 >24<  (0) 2012.12.06
신학 & 영어 >22<  (0) 2012.12.06
신학 & 영어 >21<  (0) 2012.12.06
신학 & 영어 >20<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