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멜란히톤(Melanchthon)의 글 >8, 끝<

stevision 2015. 10. 13. 11:42

**-- 회개 --

 

Vivification takes place through the gospel or through absolution. For the gospel is nothing else than absolution.

소생(부활)은 복음을 통하여, 혹은 사면(죄용서)을 통하여 발생한다. 복음은 단지 사면이기 때문이다.

 

What we call "mortification" the Scholastics preferred to call "contrition." I agree to this as long as they are not talking about a sorrow which is feigned through free will (arbitrium) or through human powers.

우리가 “금욕(욕망 억제)”라 하는 것을 스콜라 신학자들은 “회오(죄를 뉘우침)”라 칭하길 좋아한다. 그들이 >자유의지나 인간의 능력을 통한 거짓된 슬픔<을 말하는 게 아니라면 나는 그것에 동의한다.

 

I advise that you avoid like the plague the Scholastic dreams about attrition and about sorrow feigned through free will (arbitrium). ... Do not trust in your sorrow, however, as if your sin were forgiven you because you are sorry; rather, as I shall say below, trust in the absolution and in the Word of God.

여러분에게 권고합니다. ‘>불충분한 회오(attrition)<와 >자유의지를 통한 거짓된 슬픔<에 대한 스콜라 신학자들의 몽상’을 역병을 피하듯 피하십시오. ... 당신이 슬퍼하고 있기에 당신의 죄가 사해지기라도 한 것처럼, 당신의 슬픔을 신뢰하지 마십시오. 그보다는, 내가 다음에 언급하겠지만, (교회의) 사면(赦免)과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십시오.

 

It is certain that the gospel forgives sin not only once but again and again. Therefore baptism pertains not less to the second forgiveness than to the first. For baptism is an earnest and a pledge of the gospel, that is, of the forgiveness of sins.

분명 복음은 한 번 뿐만 아니라 거듭하여 용서한다. 그러므로 세례는 첫 용서 못지않게 그 다음 용서와도 관계된다. 세례가 복음에 대한, 즉 죄용서에 대한 진정성과 보증이기 때문이다.

 

They have divided repentance into contrition, confession, and satisfaction.

그들(스콜라 신학자들)은 회개를 회오(죄를 뉘우침), 고해(죄를 고백함), 보속(죄에 대한 대가를 치름, 참회의 고행)으로 나누었다.

 

That we are made contrite or are mortified by free will (artitrium) without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s far from the truth.

성령의 역사하심 없이도 자유의지로 우리가 죄를 뉘우치고 욕망을 억제한다는 주장은 진실과 거리가 멀다.

 

From one point of view, confession involves acknowledging our sin before God and condemning ourselves.

어떤 관점에서 보면, 고백은 >하나님 앞에 우리의 죄를 인정함<과 >우리 자신을 책망함<을 포함한다.

 

Without this confession there is no forgiveness of sins. on the other hand, when we make a confession in which we accuse and condemn ourselves and attribute to God true glory and righteousness, forgiveness must follow.

이 고백이 없다면 죄의 용서도 없다. 이에 반해 우리가 >자신을 고발하고 정죄하며 참된 영광과 의(義)를 하나님께 돌리는 고백<을 할 때 반드시 용서가 뒤따른다.

 

Viewed from another angle, confession is not only a private acknowledgment of our guilt to ourselves but an accusation of ourselves before others.

다른 관점에서 보면, 고백은 >우리 자신에게 하는 개인적 죄 인정<일 뿐만 아니라 >다른 자들 앞에 우리 자신을 고발함<이기도 하다.

 

--**

 

**-- 사적(私的) 죄의 고백 --

 

Sin is not forgiven unless we make confession to God, that is, until we condemn ourselves and trust that our guilt is forgiven by the mercy of God.

우리가 하나님께 고백하지 않는 한, 즉 우리가 자신을 정죄하고 >하나님의 자비로 우리 죄가 용서받았음<을 믿지 않는 한 죄는 용서받지 못한다.

 

The remaining confessions are traditions of men. For if you offer yourself voluntarily to the congregation and wish to be absolved, whether you have sinned privately or publicly, divine law does not demand a rehearsal of your acts.

다른 고백들은 인간들의 전통이다. 왜냐, 당신이 자발적으로 회중 앞에 서서 사면되길 바랄지라도, 당신이 사적으로나 공적으로 죄를 범했든지 간에 하나님의 법은 당신의 행동에 대한 >암송(暗誦)<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Private absolution is thus as necessary as baptism. For although you hear the gospel preached to the whole congregation in general, yet in the end you are certain that it pertains particularly to you when you are privately and individually absolved. He does not thirst for grace who does not desperately desire to hear the divine pronouncement concerning himself. For it is the pronouncement of God and not of men with which you are absolved, provided you believe the absolution. How certain was that sinful woman in Luke 7:36-50 that all her guilt was removed when she heard the voice of Christ saying: "Your sins are forgiven" (v. 48)! So certain are you to be also when you are absolved by a brother, whoever he is. But one is not really absolved unless one hopes and believes one is absolved. Therefore, those who are coerced by the pontifical constitution to feign repentance and confession once a year are not absolved. on the contrary, those who seek the absolution by the compulsion of pontifical law and not because of a longing of the spirit simply make a mockery of Christ.

그리하여 사적(私的) 사면이 세례처럼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당신이 >온 회중에게 선포되고 있는 복음<을 들을지라도, 그럼에도 결국 당신은 >당신이 사적으로, 개인적으로 사면될 때 그것이 특별히 당신과 관련됨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자신에 대한 하나님의 선언을 필사적으로 들으려 하지 않는 자는 은혜를 갈망하지 않는다. 당신이 사면을 믿는다면, 당신을 사면시키는 것은 하나님의 선언이지 인간의 선언이 아니다. 눅:36-50의 죄 지은 그 여인이 “네 죄가 용서받았다(v. 48)”라는 그리스도의 음성을 듣고 >자기의 모든 죄가 사라졌다<고 얼마나 큰 확신을 가졌는가! 당신이 한 형제에게 사면되었을 때에도, 그가 누구이든지 간에, 당신은 그렇게 확신에 찰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이 사면됨을 바라지도 믿지도 않는 자는 실제적으로 사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교황의 법에 의해 강제로 회개를 가장(假裝)하고 일 년에 한 번 죄고백 하는 자들은 사면되지 않는다. 반대로, 영(靈)의 갈망 때문이 아니라 교황의 법의 강요로 사면을 구하는 자들은 순전히 그리스도를 조롱하고 있는 것이다.

 

There is no satisfaction outside the death of Christ. Isa. 53:11 says: "He shall bear their iniquities." But those satisfactions now commanded are nothing but the inventions of men. They have their origin in the penitential canons that were established to deal with the public repentance of days gone by. Because of these false satisfactions, Christ's satisfaction and faith in the word of absolution are completely annihilated. Here and there in Scripture penalties for sins are stated, but they do not cover all sins. Therefore, it is inaccurate to call those penalties "satisfactions." From these satisfactions, indulgences - Romans's merchandise - got their start; the indulgences forgave those canonical penalties entailed in public repentance. Godless men decreed that these indulgences be sold rather than that divine forgiveness be declared, and men came to trust in their word rather than God's.

그리스도의 죽음 밖에서는 보속이 없다. 사53:11은 말한다: “그가 그들의 죄악을 담당하리라.” 그러나 요즘 명해진 저 보속들은 인간들의 창안들일 뿐이다. 그것들의 기원은 >지나간 날들의 공적(公的) 회개를 다루기 위해 제정된 ‘고해성사 교회법들’<이다. 이 그릇된 보속들 때문에 그리스도의 보속(속죄)과 >사죄의 말씀에 대한 믿음<이 완전히 무효가 되었다. 성경 여기저기에 죄에 대한 형벌들이 언급되기는 했으나, 모든 죄들이 해당되는 건 아니다. 그러므로 그 형벌들을 “보속들”이라 하는 것은 부정확한 표현이다. 이 보속들로부터 >로마 카톨릭의 상품<인 면죄(免罪)(대사(大赦))가 시작된다. 대사들은 >공적 회개에 수반하는 저 교회법적 형벌들<을 사면했다. 불경스런 자들이 ‘하나님의 용서가 선언되게’ 하기 보다는 ‘저 면죄들이 판매되게’ 교령을 발했고,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보다 저들의 말을 더 신뢰하게 되었다.

 

There is no other sign of repentance but Baptism.

세례 외에 다른 회개의 징표는 없다.

 

--**

   

**-- 성만찬 참여 --

 

Participation in the Lord's Table, that is, eating the body and drinking the blood of Christ, is a certain sign of grace.

 

성만찬 참여, 곧 그리스도의 몸을 먹고 피를 마시는 것은 확정된 >은혜의 징표<다.

 

When you celebrate Communion, you should be reminded of the gospel or the remission of sins. It is not, therefore, a sacrifice if it was given only as a sure reminder of the promise of the gospel. Nor does participation in the Supper destroy sin, but faith destroys it, and faith is strengthened by this sign. The sight of Christ did not justify Stephen when he was on the point of death, but it strengthened the faith through which he was justified and made alive. Likewise, participation in the Supper does not justify, but it strengthens faith, as I hae said above. All Masses are godless, therefore, except those by which consciences are encouraged for the strengthening of faith. A sacrifice is what we offer to God, but we do not offer Christ to God. But he himself offered up himself once for all. Therefore, those who perform Masses in order to do some good work or offer Christ to God for the living and the dead with the ideas that the oftener this is repeated, the better they become, are caught in godless error. I think that for the most part these errors must be blamed on Thomas who taught that a Mass benefits others besides the one who partakers.

 

(카톨릭에서는 미사 때 사제(신부)가 빵과 포도주를 “이것은 그리스도의 살과 피다”라고 선언 할 때 그것들이 실제로 그리스도의 살과 피의 실체로 바뀌고, 사제가 >겉모양만 빵과 포도주이나 실제는 그리스도인 그 그리스도를< 하나님께 희생제물로 바친다고 믿고 있습니다.) 성찬식을 거행할 때 우리는 복음을 즉 죄용서를 상기해야 한다. 그러므로 성찬식이 >복음의 약속을 분명히 상기시키는 것<으로만 주어졌다면, 희생제물이 아니다. 또한 성만찬 참여가 죄를 없애는 게 아니라 믿음이 죄를 없애고, 믿음은 이 징표(성만찬)를 통해 강화된다. 스테반이 죽기 직전에 그가 본 그리스도의 모습이 그를 의롭게 한 게 아니었고, 그 봄(sight)이 >그를 의롭게 하고 그를 살리는 믿음<을 강화했다. 마찬가지로 성만찬 참여는 의롭게 하지 않고, 전술(前述)했다시피 믿음을 강화한다. 그러므로 >믿음의 강화를 위하여 양심을 격려하는 것들<을 제외한 모든 미사들은 불경스럽다. 우리가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제물이나, 우리는 그리스도를 하나님께 바치지 않는다. 하지만 그분(그리스도)께서는 단 한 번으로 영원히 자기 자신을 제물로 바치셨다. 그러므로 >좀 더 자주 선행을 하거나 그리스도를 하나님께 제물로 바칠수록 산 자들과 죽은 자들의 형편이 더 나아질 것이라는 생각에< 그 일을 하기 위해 미사를 행하는 자들은 불경스런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잘못들이 >미사는 그 참석자들뿐만 아니라 다른 자들에게도 은혜를 끼친다<고 가르친 토마스 아퀴나스 책임이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The function of this sacrament is to strengthen us whenever our consciences otter and whenever we have doubts concerning God's will toward us.

 

이 성례전(성만찬)의 기능은 >우리의 양심이 비틀거릴 때마다, 우리가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뜻에 의심을 품을 때마다< 우리에게 힘을 주는 것이다.

 

(이어지는 글에서 멜란히톤은 confirmation(견진(堅振)성사), unction(병자(病者)성사), marriage(혼인(婚姻)성사), ordination(성품(聖品)성사)을 성례전으로 인정 안 하고 있음.)

 

The words "bishop," "presbyter," and "deacon," have nothing to do with the word "priest." For Scripture uses the word "priest" in connection with sacrifice and intercessory prayer. We Christians are all priests because we offer a sacrifice, namely, our body. Apart from this, there is no place for sacrifice in Christianity, and we have the right to pray to God and even to placate him. The thought of Peter is relevant here: "You are ...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I Peter 2:9). For we Christians are kings because through Christ we are free from all created things, we rule over life, death, and sin, as I said above. We are priests because we offer ourselves to God and because we importune forgiveness for our sins ... Bishops, presbyters, and deacons are simply those who teach, baptize, bless the Supper, and distribute alms. The priests of the Mass are prophets of Jezebel, that is, of Rome.

 

“주교”, “사제 (presbyter)”, “부제”는 “제사장(사제)”이라는 단어와 전혀 상관없다. 성경은 “제사장”이라는 단어를 희생제물과 중보기도와 관련해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우리 모든 기독교인들은 제사장들(사제들)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제물을, 즉 우리 몸을 바치기 때문이다. 이게 아니라면 기독교에서 제물이 들어설 자리는 없고, 우리는 하나님께 기도드리고 심지어 그분의 노를 진정시킬 권리가 있다. 여기서 베드로의 생각이 적절하다: “너희는 왕 같은 제사장이요 거룩한 나라다(벧전2:9).”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가 모든 피조물들로부터 자유롭고, 전술한 바와 같이 우리가 삶과 죽음과 죄를 다스리기에 우리 기독교인들은 다 왕들이다. 우리가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고, 우리 자신의 죄의 용서를 끈덕지게 조르기에 우리는 제사장들이다. ... 주교와 사제(presbyter)와 부제는 단지 가르치고 세례를 베풀고 성만찬을 축성(祝聖)하고 의연금을 배분하는 자들이다. 미사의 사제들(priests)은 이세벨의, 즉 로마 카톨릭의 선지자들이다.

 

(여기서 presbyter는 직제상 >deacom(부제) - presbyter(사제) - bishop(주교)<라는 일련의 성직 계열에 속해 있는 것으로, 성직자 계층에 속한다. 개신교에서는 deacom을 집사, presbyter를 장로로 칭하여 평신도 직분에 포함시킨다. 로마 카톨릭에서는 자신들의 성례전에 대한 자신들만의 믿음과 논리를 갖추고 있으며, 본질적으로는 성경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고 있다. 로마 카톨릭의 성례전을 덮어놓고 이단시하면 안 된다.)

 

--**

  

**-- 사랑 --

 

How can a man is justified by his own virtues and efforts. We have taught that he is justified by faith alone, that is, that the righteousness of Christ is ours through faith, and that our works and efforts are nothing but sin.

어떻게 사람이 의로워질 수 있나? 철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은 >사람이 자신의 덕행과 노력으로 의로워진다< 가르쳤다. 우리는 >사람이 오직 믿음으로 의로워진다고, 즉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의(義)가 우리의 의가 되고, 우리의 행위와 노력은 죄일 뿐이라고< 가르쳤다.

 

Love for God is the fruit of faith, for one who grasps the mercy of God in faith cannot help loving God in return. Therefore, love for God is a fruit of faith. Out of love for God is born love for our neighbor also, when we desire to serve God in all his creatures.

하나님께 대한 사랑은 믿음의 열매다.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비를 붙잡는 자는 그 보답으로 하나님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 가운데에서 그분을 섬기길 원할 때, 하나님께 대한 사랑으로부터 우리의 이웃에 대한 사랑도 생기게 된다.

 

Christ commands that we love strangers and enemies just as we love our friends (Matt. 5:44).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친구를 사랑하듯 모르는 자들과 원수들도 사랑하라 명하셨다(마5:44).

 

--**

 

**-- 지배자들 --

 

In the first place, if rulers command anything that is contrary to God, they must not be obeyed. (Acts 5:29)

첫째로, 지배자들이 하나님의 뜻에 반(反)하는 그 어떤 것을 명하면, 그들에게 복종하면 안 된다.

 

In the next place, if they command anything that is for the public good, we must obey them in accordance with Rom.

다음으로, 그들이 공익을 위해 어떤 것을 명하면, 우리는 롬13:5에 따라 그들에게 복종해야 한다.

 

Finally, if anything is commanded with tyrannical caprice, we must bear with this magistracy also because of love, since nothing can be changed without a public uprising or sedition.

마지막으로, 폭군과 같은 제멋대로의 기분에서 어떤 것이 명해지면, 우리는 사랑 때문에, 그리고 공적(公的) 반란과 선동 없이는 아무것도 바뀌는 것이 없기에, 그러한 지배도 견뎌야 한다.

 

But you can escape without offense and public disturbance , do so.

그러나 당신이 범법이나 사회혼란 없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라.

 

As far as ecclesiastical magistrates are concerned, first, we think that bishops are servants and neither powers nor magistrates. Secondly, the bishops have no right to establish laws, since they have been enjoined to preach only the Word of God, not that of men, as we have said above.

교회의 지배자들의 경우, 첫째로, 우리는 주교들이 권세자들이나 지배자들이 아니라 종들이라 생각한다. 둘째, 전술했다시피 주교들이 인간들의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만을 전하도록 명을 받았기에, 법들을 제정할 권한이 없다.

 

1. Therefore, in the first place, if they teach Scripture, they are to be heard as if Christ himself were speaking. (Luke10:16)

그러므로 첫째로, 그들이 성경을 가르치면 그리스도께서 친히 말씀하시는 것으로 알고 그들의 말을 듣는다. (눅10:16)

 

2. Secondly, if they teach anything contrary to Scripture, they must not be listened to. (Acts 5:29, Matt 15:6)

둘째, 그들이 성경에 위배되게 가르치면 그들의 말을 들으면 안 된다. (행5:29, 마15:6)

 

3. In the third place, if they decree anything that goes beyond Scripture in order to bind consciences, they must not be listened to. For nothing but divine law obligates the conscience. Pau. was speaking about this in I Tim. 4:1 ff., where he calls the law of celibacy and of forbidden foods "doctrines of demons." ... Celibacy and abstaining from meat are not evil in themselves. But these rules are ungodly if you think you are committing sin by not keeping them. ... A bishop cannot bind a Christian conscience.

셋째, 그들이 양심을 속박하기 위해 성경의 범위를 벗어난 것을 명할 때 그들의 말을 들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오직 하나님의 법만이 양심에 의무를 지우기 때문이다. 바울이 딤전4:1 이하에서 이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여기서 그는 독신(獨身)과 >음식을 금하는 것<을 “귀신들의 가르침”이라 했다. ... 독신과 >육식(肉食)을 삼감< 그 자체는 악하지 않다. 그러나 >이 규정들을 지키지 않음으로 당신이 죄를 범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그 규정들은 불경스럽다. ... 주교는 기독교인의 양심을 속박해서는 안 된다.

 

4. In the fourth place, if you do not want to burden the conscience with the law of a bishop but interpret his command only as an external obligation (as spiritual men and those usually do who understand that the conscience can be bound by no human law), you will consider the law of a bishop to be on a par with the tyranny of a civil magistrate. For whatever the bishops command that goes beyond Scripture is tyranny, since they do not have the right so to command.

넷째, (영적인 자들이나 >인간의 법으로 양심이 속박되어선 안 된다 생각하는 자들<처럼) 당신이 주교의 법으로 양심에 짐 지우기를 원치 않고 그의 명령을 오직 외적(外的) 의무로만 해석한다면, 당신은 주교의 법을 >세상 지배자의 폭정<과 같은 것이라 판단할 것이다. 주교들은 성경을 벗어난 그 어떤 명령도 할 권한이 없기에 그들의 그러한 명령은 다 폭정이기 때문이다.

 

The rule and direction of all human laws are under faith and love, and especially under necessity. Necessity liberates from all traditions if at any point either the soul or the life of the body has fallen into danger through tradition.

모든 인간의 법들의 규정과 지시는 믿음과 사랑 아래, 특히 필요성 아래 있다(종속되어있다). 어떤 점에서든 영(靈)이나 >육의 생명<이 전통으로 인해 위험에 처하면 필요성은 모든 전통들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준다.

 

--**

 

**-- 법(法) 위반 --

 

Faith and love are the models of all human activities, but of these faith is the more important.

믿음과 사랑은 인간의 모든 활동의 모범인데, 이 둘 중에서 믿음이 더 중요하다.

 

An offense is an injury by which either our neighbor's faith or his love is harmed. If anything different from Holy Scripture is taught, the faith of our neighbor is hurt. All Scholastic doctrine is an offense of this kind, since it approves of satisfactions and works of free will (arbitrium) and obscures grace. Christ speaks of this type of offense in Matt. 16:6.

범죄란 우리 이웃의 믿음이나 그의 사랑을 훼손하는 위해(危害)다. 성경과 다른 그 어떤 것이 가르쳐진다면, 우리의 이웃의 믿음이 훼손된다. 모든 스콜라 신학의 교리가 이러한 유(類)의 범죄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보속들과 자유의지의 공로(행위)를 인정하고 복음을 흐리기 때문이다. 그리스도께서 마18:6에서 이런 유의 범죄를 말씀하셨다.

 

Love is harmed if one does not help a brother in need or if one disturbs the public peace.

우리가 궁핍에 처한 형제를 돕지 않거나 공공의 안정을 해치면 사랑이 훼손된 것이다.

 

1. As for that which is demanded by divine law, what is so demanded must be obeyed, done, and taught without respect to offense. For faith must always be preferred to love. Acts 5:29 applies here: "We must obey God rather than men." Christ says: "I have not come to bring peace, but a sword" (Matt. 10:34).

하나님의 법이 요구하는 것의 경우, 위법과(위법의 여부와) 상관없이 그 법이 명하는 것은 복종하고, 행하고, 가르쳐야 한다. 항상 믿음이 사랑보다 우선되기 때문이다. 행5:29이 여기에 적용된다: “우리는 사람보다 하나님께 복종해야 한다.” 그리스도께서는 “나는 평화가 아니라 검을 주러 왔다(마10:34)” 말씀하셨다.

 

2. As for what is in the sphere of human law, so-called intermediate matters such as celibacy and abstaining from meats, human tradition does not obligate in case of necessity. For Christ dispenses with the divine law in case of necessity, as in Matt. 12:1, where we read of the disciples plucking the ears on the Sabbath. How much more is it permissible to violate human traditions if the necessity of life demands it!

인간의 법의 영역에 속하는 것의 경우, 필요할 경우 이른바 독신이나 육식(혹은 음식) 절제와 같은 중간의 문제들을 인간의 전통이 의무로 지우지 않는다. 그리스도조차 마12:1에서처럼 필요한 경우 하나님의 법을 정지시키셨다. 그 성경말씀에서 우리는 안식일에 제자들이 곡식 이삭을 따는 것을 본다. 삶(생명)에 필요하다면 인간 전통을 어기는 것쯤이야 얼마나 더 정당한가!

 

3. In the presence of Pharisees who demand the observance of their traditions as if they were necessary for salvation, these traditions should be violated without regard for offense.

>‘자신들의 전통들을 준수하는 것’을 마치 그것들이 구원에 필요한 것처럼 요구하는 바리새인들<의 면전에서 위반 문제를 신경쓸 필요 없이 그것들을 지키지 말아야 한다.

 

4. For the sake of freedom we must teach that human traditions may be violated so that the inexperienced understand that they do not sin even if they permit something contrary to the traditions of men.

자유를 위하여 우리는 ‘인간의 전통들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가르쳐서, 무경험자들이 >그들이 인간의 전통에 반(反)하는 것을 허용할지라도< 죄를 범하는 게 아님을 깨닫게 해야 한다.

 

5. As over against the weak and those who have not heard the gospel, the duty of love must be performed and human traditions must be kept, provided that we do nothing against divine law. (Acts 21:24 ff., Rom. 14:1)

(믿음이) 약한 자들과 복음을 듣지 않은 자들과 관련하여 말하자면, 하나님의 법에 어긋나지 않는 한, 사랑의 의무가 수행되어야 하고, 인간의 전통이 지켜져야 한다. (행21:24ff, 롬14:1)

 

--**

 

(사실 로마 카톨릭의 많은 전통들과 교리들이 처음에는 교회의 필요에 의해 좋은 뜻으로 제정되었으나, 시간이 흘러 시대 상황이 바뀌고, 교회법을 악용하는 종교인들이 생겨나며 비판의 대상이 된 것이다. 초심을 잃는 게 문제고, 본래의 취지를 망각하는 게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