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물

에라스무스의 글 >21<

stevision 2012. 12. 3. 09:13

[중재적 견해 그리고 은혜와 자유 선택력에 대한 비유]


그러나 한편 이것, 곧 우리가 대단히 믿음을 격찬하는 중에 자유 선택력을 폐기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제거될 경우 나는 하나님의 의(義)와 자비(慈悲)를 설명할 길을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초대 교부들이 이 난제들에서 벗어날 수 없어서 그들 중 일부는 두 하나님들을 상정(想定)했습니다: 구약성서의 하나님이 그 하나인데, 그들은 그 하나님을 정의로운 분으로 여겼으나 선한 분으로는 여기지 않았고, 다른 하나는 선하지만 정의롭지 못한 신약성서의 하나님입니다. 이런 사악한 주장을 테르툴리아누스가 시원스럽게 타파했습니다. 전술했다시피 마니카에우스는 인간의 두 본성들을 주장했는데, 하나는 죄를 피할 수 없는 본성이고 다른 본성은 선행을 피할 수 없는 본성입니다. 펠라기우스는 하나님의 정의가 훼손됨을 염려하는 가운데 자유 선택력에 너무 많은 것을 돌렸습니다. 인간 의지에 너무 많은 능력을 부여하여, 자신들의 타고난 능력으로 선행들을 통해 그 공로로, 우리가 구원받게 되는 수단이 되는 바로 그 최상의 은혜를 받을 수 있다는 자들이 펠라기우스와 한패입니다. 고넬료가 기도와 구제로 베드로에게 가르침을 받을 자격을 얻고, 내시가 빌립에게 가르침을 받고, 복자(福者) 어거스틴이 그리스도를 만나길 갈망했을 때 바울 서신들에서 그분을 발견할 자격을 얻었듯이, 내가 볼 때 이 자들은 사람에게 구원에 대한 좋은 소망을 제시함으로 더 많은 노력을 하도록 그를 자극하길 원한 것 같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이 하나님께 공로를 돌릴 수 없는 선한 일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도저히 못 받아들이는 자들을 진정시킬 수 있는데, 이는 우리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일이 하나님 덕분에 이룩되고 그분 없이는 우리가 아무것도 못한다는 것과, 자유 선택력의 기여는 극히 작다는 것과, 그 기여 자체도 하나님의 선물의 일부라는 것과, 우리가 은혜와 함께(synergein) 구원과 행위에 관련된 일들에 우리의 영혼을 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할 때 가능합니다.

펠라기우스와 일전(一戰)을 치른 후 어거스틴은 이전보다 더 부당하게 자유 선택력을 다뤘습니다. 한편 루터는 전에는 자유 선택력에 어느 정도 가치를 두었었으나 이제는 너무 심하게 자기 주장을 방어하며 그것을 완전히 퇴출시켰습니다. 술독(毒)에 빠진 자들에게 샘물을 먹도록 허락하여 포도나무를 자를 필요 없이 그런 자들이 생겨나지 않게 하지 않고, 그들을 혐오한 나머지 포도나무를 잘라버리라 명했기 때문에 그리스인들에게 비난받은 자가 바로 뤼쿠르구스라 나는 믿습니다. (식수 대용으로 포도주를 마시다가 술독에 빠진 자들에게 물을 먹도록 조치를 취하면 문제 해결이 되었을 거라는 말. 자유 선택력을 포도나무에 비유하는 것 같음. 즉 자유 선택력은 선용할 대상이지 약간의 부작용이 있다고 해서 폐기할 대상은 아니라는 말임. 역주.)

내 생각에 자유 선택력은, 우리가 이미 언급했던 사항들을 포함함이 없이, 또 루터가 소중히 보았던 은혜들을 잃음이 없이, 우리의 공로에 대한 확신과 루터가 피하려 했던 다른 위험들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확립될 수도 있었습니다. 내 생각에 그러한 방향이 바로, 은혜에 영혼을 움직이는 제1의 추진력의 역할을 온전히 부여하면서도, (의지의) 수행에 있어서는 스스로를 하나님의 은혜에서 벗어나게 하지 않은 인간 선택력에 무언가를 부여하는 자들의 견해가 갖고 있는 장점입니다. 시작과 과정과 완성이라는 세 단계들이 있어서 그들은 처음과 마지막을 은혜에 돌리고, 오직 과정에만 자유 선택력에 어느 정도의 역할을 돌립니다. 그런데 그들은, 이 때 각 개인 행위가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의지 이 두 원인들이 함께 등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은혜가 주(主)원인이고 인간의 의지가 부차적 원인인 가운데 진행된다고 봅니다. 또 그들은 그 때에 주원인이 그 자체로 충분한 원인이기 때문에 그 주원인 없이 부차적 원인은 아무 것도 할 수 없다고 봅니다. 이는, 불이 본래의 힘으로 타오르지만 주원인은 불을 통해 행동하시는 하나님이시고, 이 주원인 자체로 충분한 것이고, 하나님께서 그 불에서 떠나실 경우 그 불은 그 주원인 없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이 좀 더 융통성이 있는 견해에는 인간이 자신의 모든 구원을 하나님의 은혜에 빚지고 있다는 것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에 따르면 이와 관련하여 자유 선택력의 힘은 극히 미약하고, 그 자유 선택력이 행할 수 있는 바로 그 일이 먼저 자유 선택력을 창조하시고 후에 그것을 해방시키시고 고치신 하나님의 은혜가 행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또 그리하여 그들이 달램을 받을 마음가짐이 되어 있다면 우리는 인간이 하나님께 빚지지 않은 어떤 선한 것을 소유해야 한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는 자들을 달랠 수 있습니다. 마치 상속이 모든 자들의 보통 권리이기 때문에 자녀들에게 법적으로 주어진 상속이 자선으로 불리지 않듯 실로 인간은 그분께 이 선한 것을 단지 다른 방식과 다른 명칭으로 그분께 빚지고 있습니다. 관습법의 범위를 넘어 어떤 것이 제공되면 그것을 자선(benevolence)이라 칭하는데도, 그러함에도 자녀들이 그들의 아버지께 받은 것은 상속으로 칭해지지요.

우리의 견해를 비유로 말해봅시다. 매우 건강한 인간의 눈이 어둠 속에서는 아무 것도 못보고, 먼 눈은 빛 가운데에서도 아무 것도 못 봅니다. 이처럼 의지(意志)가 비록 자유롭긴 해도 은혜가 그것과 함께 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빛이 들어와도 성한 눈을 가진 자가 보지 않기 위해 사물에 대한 시각을 차단할 수 있고, 시선을 다른 데로 돌려 지금까지 보았던 것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자가 전에 결함이 있어 멀었던 눈을 가졌으나 지금은 볼 수 있을 경우 그는 더 큰 감사를 드려야 합니다. 먼저 그는 그의 창조자께 감사를 드리고, 다음으로 의사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죄 이전에 우리의 눈이 건강했다면 이제 그것은 죄 때문에 손상되었습니다. 그러니 눈으로 보는 자 그 누가 자기를 자랑할 수 있습니까? 그럼에도 그가 신중히 (죄에 대해, 역주) 눈을 감거나 (하나님께, 역주) 눈을 돌린다면 자기에게 어떤 공로를 돌릴 수 있습니다. 예를 하나 더 들지요: 아무리 힘써도 걸을 힘이 없는 넘어진 애를 아버지가 일으킵니다. 그리고 그 애에게 그 애 앞에 놓여있는 사과를 보게 합니다. 그 아이는 뛰어가기를 원하나, 그 아버지가 그 애 손을 잡고 그 애의 걸음마를 굳세게 하지 않으면 다리에 힘이 없어 넘어질 것이므로, 그 아이는 아버지의 인도함을 받아 그 아버지가 걸음마한 보상으로 기꺼이 그 아이의 손에 쥐어주고자 했던 그 사과를 얻게 됩니다. 아버지가 일으켜 세우지 않았다면 그 아이는 일어설 수 없었을 것이고, 아버지가 사과를 보여주지 않았다면 그 사과를 볼 수 없었을 것이고, 아버지가 시종일관 아이의 약한 다리를 돕지 않았다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을 것이고, 아버지가 아이의 손에 사과를 건네주지 않았다면 그 사과를 잡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도대체 그 아이가 자신의 것이라 주장할 수 있는 게 무엇이지요? 그렇지만 그 아이는 뭔가를 행했습니다. 그러나 그 아이는 자신의 능력이라며 자랑할 게 하나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아이는 자기 자아를 아버지로부터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 비유를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에 적용해봅시다. 여기서 그 아이가 한 일은? 그 아이는 온 힘을 다해 자기를 일으킨 분을 의지했고, 최선을 다하여 자신의 힘없는 발걸음을 자기를 인도해주는 분께 순응시켰습니다. 분명 그 아버지는 아이의 의지에 반(反)하여 잡아끌 수도 있었고, 그 아이는 건네진 사과를 거부함으로 저항할 수도 있었습니다. 그 아버지는 그 아이가 사과를 얻으려 다가가는 것 없이 그 사과를 줄 수도 있었으나, 그렇게 하는 것이 아이에게 더 유익이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사과를 주기를 더 원했습니다. 나는 영생을 얻으려 애쓴 우리의 노력이 그 아이가 아버지의 손 쪽으로 달려간 행위보다 기여한 바가 더 적다고 기꺼이 인정하는 바입니다.

(에라스무스는 인간의 순수한 능력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공로를 확보한다는 것도 거부하고, 루터처럼 인간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만한 아무 것도 행한 것이 없다는 것도 거부하는 것 같습니다. 그는 인간의 구원을 이룩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자유 선택력이 하나님의 이끄심에 순응한다고 했고, 그 순응하는 것이 인간의 공로로 인정 될 수 있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에라스무스는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라고 주장합니다. 역자.)


A Mediating View, and a Parable of Grace and Free Choice


But this, meanwhile, is to be avoided, that while we are wholly absorbed in extolling faith, we overthrow free choice, for if this is done away with I do not see any way in which the problem of the righteousness and the mercy of God is to be explained. Since the Early Fathers could not extricate themselves from these difficulties, some of them were driven to posit two Gods: one of the Old Testament, whom they represented as just, but not as good; another of the New Testament who was good but not just - whose wicked opinion Tertullian sufficiently exploded. Manichaeus, as we have said, dreamed of two natures in man, one which could not avoid sin, and another which could not avoid doing good. Pelagius, while he feared for the justice of God, ascribed too much to free choice, and those are not so far distant from him who ascribe such power to the human will that by their own natural strength they can merit, through good works, that supreme grace by which we are justified. These seem to me, through showing man a good hope of salvation, to have wished to incite him to more endeavor, just as Cornelius by his prayers and alms deserved to be taught by Peter, and the eunuch by Philip, and as the blessed Augustine when he avidly sought Christ in the letters of Paul deserved to find him. Here we can placate those who cannot bear that man can achieve any good work which he does not owe to God, when we say that it is nevertheless true that the whole work is due to God, without whom we do nothing; that the contribution of free choice is extremely small, and that this itself is part of the divine gift, that we can turn our souls to those things pertaining to salvation, or work together (synergein) with grace.

After his battle with Pelagius, Augustine became less just toward free choice than he had been before. Luther, on the other hand, who had previously allowed something to free choice, is now carried so far in the heat of his defense as to destroy it entirely. But I believe it was Lycurgus who was rebuked by the Greeks because, in his hatred of drunkenness, he gave the order for the vines to be cut down, when he should rather, by giving access to the fountains, have excluded drunkenness without destroying the use of wine.

For in my opinion free choice could have been so established as to avoid that confidence in our merits and the other dangers which Luther avoids, without counting those which we have mentioned already, and without losing those benefits that Luther admires. That is to my mind the advantage of the view of those who attribute entirely to grace the first impulse which stirs the soul, yet in the performance allow something to human choice which has not withdrawn itself from the grace of God. For since there are three stages in all things - beginning, progress, and end - they attribute the first and last to grace, and only in progress say that free choice achieves anything, yet in such wise that in each individual action two causes come together, the grace of God and the will of man: in such a way, however, that grace is the principal cause and the will secondary, which can do nothing apart from the principal cause, since the principal is sufficient in itself. Just as fire burns by its native force, and yet the principal cause is God who acts through the fire, and this cause would of itself be sufficient, without which the fire could do nothing if he withdrew from it.

On this more accommodating view, it is implied that a man owes all his salvation to divine grace, since the power of free choice is exceedingly trivial in this regard and this very thing which it can do is a work of the grace of God who first created free choice and then freed it and healed it. And so we can appease, if they are capable of being appeased, those who cannot bear that man should own anything good which he does not owe to God. He owes Him this indeed but otherwise and under another name, just as an inheritance which legally comes to children is not called a benevolence because this is a common right of all men; but if something is given beyond the bounds of common law, it is called a benevolence, and yet the children's debt to their parents is called inheritance.

Let us try to express our meaning in a parable. A human eye that is quite sound sees nothing in the dark, a blind one sees nothing in the light; thus the will though free can do nothing if grace withdraws from it, and yet when the light is infused, he who has sound eyes can shut off the sight of the object so as not to see, can avert his eyes, so that he ceases to see what he previously saw. When anyone has eyes that once were blinded through some defect, but can now see, he owes even more gratitude. For first he owes it to his Creator, then to the physician. Just as before sin our eye was sound, so now it is vitiated by sin; what can a man who sees boast for himself? And yet he has some merit to claim if prudently he shuts or averts his eyes. Take another illustration: A father lifts up a child who has fallen and has not yet strength to walk, however much it tries, and shows it an apple which lies over against it; the child longs to run, but on account of the weakness of its limbs it would have fallen had not its father held its hand and steadied its footsteps, so that led by its father it obtains the apple which the father willingly puts in its hand as a reward for running. The child could not have stood up if the father had not lifted it, could not have seen the apple had the father not shown it, could not advance unless the father had all the time assisted its feeble steps, could not grasp the apple had the father not put it into his hand. What, then, can the infant claim for itself? And yet it does something. But it has nothing to glory about in its own powers, for it owes its very self to its father. Let us apply this analogy to our relation with God. What, then, does the child do here? It relies with all its powers on the one who lifts it, and it accommodates as best it can its feeble steps to him who leads. No doubt the father could have drawn the child against its will, and the child could have resisted by refusing the outstretched apple; the father could have given the apple without the child's having to run to get it, but he preferred to give it in this way, as this was better for the child. I will readily allow that less is due to our industry in following after eternal life than to the boy who runs to his father's hand.

'번역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라스무스의 글 >23, 끝<  (0) 2012.12.03
에라스무스의 글 >22<  (0) 2012.12.03
에라스무스의 글 >20<  (0) 2012.12.03
에라스무스의 글 >19<   (0) 2012.12.03
에라스무스의 글 >18<  (0) 201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