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영어

신학 & 영어 >17<

stevision 2012. 12. 6. 15:09

And in John's prologue not only is the Word taken entirely out of the category of creatures and declared to antedate all things; He is declared to be the Creator of all things: “All things were made through Him; and without Him was not anything made that hath been made”(vs. 3). In verse 14 he says: “And the Word became flesh, and dwelt among us (and we beheld His glory, glory as of the only begotten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would have us realize that this Christ, who in still another connection he says has “come in the flesh,” I John 4:2, is not merely God's eternal fellow, but that He is the eternal God Himself, and that even through the veil of His humanity the disciples were able to behold something of His celestial glory. He uses the term “flesh” to indicate human nature in general, with its implications of dependence and weakness. In his prologue then John simply teaches that the eternal God entered upon a mode of existence in which the experiences that are common to human beings would also be His; in short, that He became incarnate in Jesus the man.


Peter doubtless spoke for most of the disciples when in his great confession he said, “Thou art the Christ, the Son of the living God,” Matt. 16:16. And as the revelation proceeded toward its climax even the most dubious disciple came to the point where he fell down at Jesus's feet with the acknowledgment, “My Lord and my God,” John 20:28. Since those words went unrebuked by Jesus they were equivalent to an assertion on His own part of His claim to Deity. The testimony of the apostles as they wrought miracles in His name is further proof of His deity(Acts 3:6; Acts 4:9,10 ; Acts 7:56 ; Acts 16:18). Paul repeatedly and consistently teaches the Deity of Christ(Acts 9:20 ; Col 1:15, 2:9 ; II Cor. 5:19 ; Rom 9:5).

또한 요한복음의 서언에는 말씀(성자)이 피조물의 범주에서 완전히 제외되고 만물보다 먼저 계신 분으로 선언될 뿐만 아니라, 그분께서 만물의 창조자라 선언된다: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1:3).” 14절에는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라는 말씀이 나온다. 요한은 우리가 다음의 사실을 깨닫기를 원했다. 즉 이 그리스도께서는, 다른 문맥의 요한의 글에 의하면 “육체로 오셨지만” (요일4:2), 단순히 영원한 하나님의 동반자가 아니라 영원하신 하나님 자신이시고, 그분의 인간성이라는 베일을 통해서도 제자들이 그분의 천상(天上)의 영광의 일면을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요한은 “육신”을 일반적 인간성이라는 뜻으로 사용했으며, 그리하여 그 육신이 종속성과 허약성 가운데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요한복음의 서언에서 요한은 단순히 영원하신 하나님께서 인간들의 일반적 삶의 체험들을 자신의 것으로 삼게 되는 존재양식에 들어가셨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고, 요컨대 하나님께서 인간 예수로 성육신하셨다는 것을 가르쳐주고 있다.

베드로는 분명 대부분의 제자들을 대표하여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16:16)”라고 고백했다. 또한 예수님에 관한 계시가 정점에 다가감에 따라 가장 의심 많은 제자도 예수의 발 앞에 엎드려 “나의 주시며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라고 하게 되었다(요20:28). 이러한 말들에 대해 예수께서 꾸짖지 아니하신 것을 보면 그러한 고백들은 예수님께서 자신의 신성을 인정하신 것과 같은 의미이다. 예수의 이름으로 기적을 베풀었다는 제자들의 증언은 그분의 신성을 또 다시 확인해 주는 것이다(행3:6 ; 행4:9,10 ; 행7:56 ; 행16:18). 바울도 거듭 시종일관 그리스도의 신성을 가르치고 있다(행9:20 ; 골1:15, 2:9 ; 고후5:19 ; 롬9:5). 

 

 

Exhorting the Philippian Christians to follow the example of Christ in humility and service Paul wrote: “Have this mind in you which was also in Christ jesus: who, existing in the form of God” (that is, sharing full in the Divine nature and possessing all of the attributes and qualities that make God what He is) “counted not the being on an equality with God a thing to be grasped” (did not selfishly choose to remain exclusively in that blessed condition while men continued to be victims of sin and misery), “but emptied Himself, taking the form of a servant, being made in the likeness of men; and being found in fashion as a man, He humbled Himself, becoming obedient even unto death, yea, the death of the cross” (that is, He took into union with his Divine nature a human nature, and that, of course, without losing or modifying His Divine nature, which is perfect and immutable, became incarnate, accepted the conditions of servanthood, and then, as God clothed in human nature, offered Himself as the Substitute for His people. In fulfilling His mission He thus submitted himself to the prescribed penalty for sin, which is suffering and death). “Wherefore also,” says Paul, “God highly exalted Him” (exalted the Divine-human Person, the God-man, since not the Divine nature as such but only the human nature is capable of receiving added glory and honor), “and gave unto Him the name which is above every name; that is the name of Jesus” (the name of the God-man, as God clothed in human nature, who is the object of worship) “every knee should bow, of things in heaven and things on earth and things under the earth, and that every tongue should confess that jesus Christ is Lord, to the glory of God the Father” (the term “Lord” being used here not merely in the sense in which men are invested with authority or dignity, but in the sense of absolute sovereignty, the New Testament writers often applying to Jesus Old Testament texts in which the term “Lord” in the Hebrew is Adonai or Jahweh, translated Jehovah), Phil. 2:5-11).

바울은 빌립보 교회 교인들에게 그리스도의 겸손과 봉사를 본받으라고 권면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이시나” (이 말씀은 그리스도께서 완전한 신성을 공유(共有)하시고 하나님을 하나님 되게 해주는 모든 속성들과 질적(質的) 내용(內容)들을 소유하고 계신다는 뜻임)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이 말씀은 그리스도께서 인간들이 죄와 불행에 처해 있는 동안에 홀로 이기적인 태도 가운데 그 거룩한 위치에 머물러 계시기를 원하지 않으셨다는 뜻임)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음심이라” (이 말씀은 그분께서 자신의 신성을 한 인성과 결합시키셨다는 뜻이다. 물론 이 때에 완전하고도 불변적인 그분의 신성이 소실되거나 변질되지 않은 채 그분께서는 성육신하였고, 종의 처지를 받아들이셨고, 인성을 입은 하나님으로서 그분의 백성을 대신하여 자신을 제물로 드리셨다. 이렇게 그분께서는 죄의 형벌 곧 고통과 죽음에 자신을 내어 놓으심으로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셨다) (바울의 말이 이어진다)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를 지극히 높여”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신인(神人)의 위격, 즉 신인(神人)을 높이셨다는 뜻이다. 그 이유는 부가적으로 영광과 존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체는 신성 그 자체가 아니라 바로 인성이기 때문이다),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이 말씀은 그 신인(神人)의 이름은 예수인데, 이 분께서 인성을 입으신 하나님으로서 경배의 대상이 되었다는 뜻임)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 (이 때 “주”라는 말은 권위와 위엄을 가진 인간에게 해당하는 말이 아니라, 신약성서 기자들이, 종종 구약 말씀들을 예수께 적용시키며, 여호와를 지칭하여 썼던 말로서 절대 주권을 가진 분에게 쓰였던 말이다. 구약에서 “주”는 히브리어로 아도나이 즉 야훼께 썼던 말이다), 빌2:5-11. 

 

 

The writer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ascribes Deity to Christ when he says that God, having spoken in earlier times through the prophets and in other ways, in these later days has spoken unto us “in His Son, whom he appointed Heir of all thing, through whom also he made the worlds; who being the effulgence of His glory and the very image of His substance, and upholding all things by the word of His power, when he had made purification of sins, sat down on the right hand of the majesty on high,” 1:1-3. And when in John's description of the Holy City, the new Jerusalem, we are told that “the city hath no need of the sun, neither of the moon, to shine upon it: for the glory of God did lighten it, and the lamp thereof is the Lamb” (Rev. 21:23), the last two clauses, according to the usual Hebrew parallelism, are synonymous and so teach the Deity of Christ.

The constant assumption of the writers throughout the New Testament as they record the teachings and miracles and promises of Christ is that He claimed to be and was Deity. After the testimony of Christ Himself the most competent witnesses to His Person and work are those who knew Him most intimately. “Ye also bear witness,” said He, “because ye have been with me from the beginning,” John 15:27. And their faithfulness to their Master is attested by the records of the early Church which tells us that practically all of them sealed their witness with their own life's blood. And Christ's resurrection from the dead is also an inescapable proof of His Deity. It was this which convinced Thomas, the most dubious of the disciples, so that at the mere sight of Jesus he acknowledged Him as his Lord and his God (John 20:26-29).


히브리서 기자가 “옛적에 선지자들로 여러 부분과 여러 모양으로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하나님이 이 모든 날 마지막에 아들(성자)로 우리에게 말씀하셨으니 이 아들을 만유의 후사로 세우시고 또 저(성자)로 말미암아 모든 세계를 지으셨느니라. 이(성자)는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시요 그 본체의 형상이시라. 그(성자)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드시며 죄를 정결케 하는 일을 하시고 높은 곳에 계신 위엄의 우편에 앉으셨느니라(히1:1-3)”라고 기록했을 때 그는 그리스도께 신성을 귀속시킨 것이다. 또한 요한이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에 대해 우리에게 “그 성은 해나 달의 비췸이 쓸데없으니,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비취고 그 어린 양(성자 예수)이 그 등이 되심이라(계21:23)”라고 말했는데, 히브리인들의 평행어법에 의하면 후반부의 “하나님의 영광이 비취고”와 “그 어린양이 그 등이 되심이라”는 같은 뜻이 되어, 이 말씀이 그리스도의 신성을 말하고 있다.**

전(全)신약성경을 통하여 모든 성경기자들이 그리스도의 교훈과 기적과 약속을 기록하며 항상 염두에 둔 것은 그분께서 당신 자신이 과거에도 현재에도 신(神)이시라고 주장했다는 사실이다. 그리스도 자신의 증언 다음으로 그분의 위격과 사역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언은 그분 가장 가까이서 그분을 보았던 자들의 증언이다. 예수께서 말씀하시길, “너희도 처음부터 나와 함께 있었으므로 증거 하느니라(요15:27).” 또한 자신들의 주님에 대한 제자들의 증언의 충실성은 초대교회의 기록에 의하면 사실 그들 모두가 자신들의 증언에 자신들의 피로 도장찍으므로(순교를 함으로) 우리가 신뢰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그리스도의 죽음에서의 부활도 그분의 신성을 증거 해준다. 제자 중에 제일 의심이 많던 도마에게 확신을 주어 예수님을 자기 주님이요 자기 하나님이라고 고백하게 한 것도 바로 그분의 부활이었다(요20:26-29).

** : 히브리인들은 어느 사실을 한 번 언급하고 바로 그것을 부연 설명하는 말을 반복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21:5에 “시온 딸에게 이르기를 네 왕이 네게 임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 곧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를 탔도다 하라 하였느니라”라는 말씀이 나옵니다. 여기서 ‘나귀를 탔도다’라 하지 않고 ‘나귀, 곧 멍에를 메는 짐승...’라고 말을 합니다. 나귀와 멍에를 메는 짐승은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성경에는 이러한 히브리인들의 평행어법이 많이 나옵니다. 

 

 

4. Titles Ascribed to Jesus Christ

The name “Jesus,” meaning “Saviour,” was the name given to our Lor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s of the angel to Joseph and Mary: “Thou shalt call His name JESUS; for it is He that shall save His people from their sins,” Matt. 1:21; Luke 1:31. It is the Grecianized form of the Hebrew name Joshua, which means “Jehovah is salvation.” It became His personal name, and as such was designed to express the special office that He was to fulfill.

The term “Christ,” meaning “anointed,” was our Lords's official title, although often used as a proper name. It is from the Greek Christos, and corresponds to the Hebrew Mashiah, Messiah. The kings of Israel were anointed with oil as a part of their coronation, I Sam. 9:16; 10:1; II Sam. 24:6. The title “Christ” is therefore a reminder that He is a King in the highest sense. And the combined name, Jesus Christ, thus means that he is the anointed Saviour.

He(Jesus) forbade others to be called Rabbi or Master (Matt. 23:8-10), but accepted for Himself the title Rabbi (John 4:31; 9:2), and expressly claimed the titles Teacher and Lord (John 13:13). Throughout the New Testament Christ is called “Lord,” not merely in sense in which men are invested with authority or dignity or ownership, but in the sense of Absolute and Supreme Sovereign, Preserver, Protector. He is Lord to the Christians in precisely the same sense that Jehovah was Lord to the people of the Old Testament(Luke 2:11; Luke 6:5; Phil. 2:11; I Cor. 2:8; Phil. 4:5; Matt. 15:22; Rom. 10:9; Acts 10:36; Rev. 4:8; Rev. 4:11; rev. 19:16).


4. 예수 그리스도의 호칭

“예수”라는 말은 “구원자”라는 의미인데, 그 이름은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예수)가 자기(예수의)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마1:21 ; 눅1:31)”는 요셉과 마리아에게 주어진 천사의 명령에 따라 우리 주님께 붙여지게 되었다. 이 이름은 히브리어 명칭 여수아가 그리스어화*1* 된 것이다. 히브리어 여수아는 “여호와는 구원이시다”라는 뜻이다. 이것이 그분의 본명이 되었고, 그 이름 자체는 그분께서 행하실 특별한 직책을 나타내기 위해 지어진 것이다.

“그리스도”라는 말은 “기름부음을 받은”이라는 뜻이고, 비록 자주 본명처럼 쓰이기도 하지만, 우리 주님의 공식 직함이다. 이 명칭은 그리스어 크리스토스에서 유래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가 마시야, 즉 메시야이다. 이스라엘 왕들은 즉위식 때 식순의 일부로 기름부음을 받았다(삼상9:16; 10:1, 삼하24:6). 그러므로 이 “그리스도”라는 직함은 가장 높게 해석하면 그분께서 왕이시라는 것을 말해준다*2*. 그러므로 합성된 이름 예수 그리스도는 그분께서 기름부음 받으신 구세주라는 말이다.



예수께서는 타인들에게 랍비(선생)나 지도자라 칭함을 받지 말라 하셨으나(마23:8-10), 당신 스스로는 랍비라는 칭호를 받으셨고(요4:31, 9:2), 명백히 자신을 선생이요 주라 하셨다(요13:13). 신약 전체를 통하여 그리스도께서는 “주님”이라 불리셨으며, 이는 단지 권위와 위엄과 소유권을 지닌 자에게 붙이는 의미로 쓰인 게 아니라, 절대적이고도 지고한 주권자나 (만물의) 보존자나 보호자라는 의미로 쓰였다. 구약성경 시대 여호와께서 그분의 백성에 대해 주님이셨던 것과 같은 의미로 예수께서는 기독교인들에게 주님이시다(눅2:11, 눅6:5, 빌2:11, 고전2:8, 빌4:5, 마15:22, 롬10:9, 행10:36, 계4:8, 계4:11, 계19:16).

*1* : 구약 역사를 보면 고대 근동에 앗시리아, 바벨로니아, 그리스, 로마제국으로 이어집니다. 예수님 당시에는 헬라(그리스) 지역까지 정복한 로마가 패권을 잡고 있었습니다. 로마는 라틴어를 사용했고, 그리스는 그리스어(헬라어)를 사용했는데, 그리스 문화가 우수하여 로마는 이것을 수용합니다. 이를 그리스-로마 문화라고 하나요. 예수님 당시 이스라엘은 로마의 식민지였고, 당시의 세계 공용어는 사실상 헬라어였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신약성경이 헬라어로 기록되었지요. 하지만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들의 고유한 언어인 히브리어와 거의 비슷한 아람어(아랍어가 아님)를 사용했습니다. 그렇다고 그들이 히브리어를 완전히 잊은 건 아니지요. 히브리어는 지금까지 남아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예수 그리스도라는 이름은 당시의 국제 정세를 잘 말해주고 있습니다.

*2* : 구약 시대에 기름부음 받은 자들은 왕이나 제사장이나 선지자였습니다. 

 

 

The Greek New Testament directly applies to Jesus the name ‘God’ some ten or more times (John 1:1, 18 ; Rom 9:5 ; I John 5:20 ; Heb. 1:8 ; II Perter 1:1 ; Acts 20:18 ; Rom. 9:5 ; II Thess. 1:12 ; Titus 2:13 ; and perhaps Acts 18:26 ; I Tim. 3:16). And no less significant is the phenomenon, recognized by scholars of widely differing schools, that Jesus is identified by the New Testament writers as the Lord of the Old Testament when they apply to Him Old Testament texts in which the original is written of Adonai or Jahweh (Jehovah) (Is. 40:3 ; Mark 1:3 Joel 2:32 ; Acts 2:34 ; Rom. 10:13 ; Is. 45:23 ; Phil. 2:10 ; Jer. 9:24 ; I Cor. 1:31 ; 10:17 ; Ps. 68:18 ; Eph. 4:8 ; Is. 2:19 ; II Thess. 1:9 ; II Sam. 3:39 ; II Tim. 4:14 ; Rev. 22:13).

그리스어 신약성경은 10번 정도 혹은 그 이상 예수님께 ‘하나님’이라는 칭호를 직접 사용한다(요1:1, 18 ; 롬9:5 ; 요일5:23 ; 히1:18 ; 벧후1:1 ; 행20:18 ; 롬9:5 ; 살후1:12 딛2:13 ; 그리고 사도행전 18장 26절도 아마 여기에 들 것이고, 딤전3:16). 또한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여러 학파의 학자들이 인정하는 바와 같이, 바로 신약성서 기자들이 본래 구약 성경에 아도나이(주님)나 야웨(여호와)에 관해 쓴 본문 내용들을 예수께 적용시킬 때에 예수님을 구약의 주님(하나님)과 동일시했다는 것이다(사40:3 ; 막1:3 ; 욜2:32 ; 행2:34 ; 롬10:13 ; 사45:23 ; 빌2:10 ; 렘9:24 ; 고전1:31 ; 10:17 ; 시68:18 ; 엡4:8 ; 사2:19 ; 살후1:9 ; 삼하3:39 ; 딤후4:14 ; 계22:13).

>>오늘은 이 정도로 하고,
좋은 영어 신학원서 하나를 소개해 드립니다. 광화문 전철역에서 내리시어 세종문화회관 옆길을 계속하여 가면 어느 은행이 나오는데 거기서 왼쪽으로 가시다보면 구세군 회관 건물의 서점이 있는데 거기에서 이 책을 팝니다.

서명: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저자: Roger E. Olson

이 책은 본문이 613 페이지입니다. 약간 평범한 내용도 있어서 가끔은 약간 진부해 보여도 일단 다 읽고 나시면 후회 절대 안 하실 겁니다. 이미 읽으신 분들께서는 제 말에 동의하실 겁니다. 그런데 이 책이 번역이 돼 나왔나 모르겠습니다. 한국 교회의 신학 발전을 위해 번역이 꼭 필요한 책입니다.<< 


'신학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 영어 >19<  (0) 2012.12.06
신학 & 영어 >18<  (0) 2012.12.06
신학 & 영어 >16<  (0) 2012.12.06
신학 & 영어 >15<  (0) 2012.12.06
신학 & 영어 >14<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