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물

테르툴리아누스: 우상숭배에 관하여 >1<

stevision 2023. 9. 9. 16:29

원문출처: “Early latin theology”, The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Ichthus Edition. vol. V.

영역, 편집자: Canon S.L. Greenslade

On Idolatry

우상숭배에 관하여

 

Introduction

영역자(S. L. Greenslade)의 책 소개

                                                               I

 

When Tertullian addressed his Apology for Christianity to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Empire, he was concerned to prove that Christians were loyal and valuable citizens. They prayed for the Emperor and those in authority under him, for the peace and security of the State; they did not cheat their neighbours, not even the tax-collector; they took a full part in the business of everyday life. “We are not Brahmans, naked sages of India, dwellers in forests, exiles from life. We reject no fruit of God’s labours. Not without your forum, your meat-market, your baths, shops, factories, inns, market-days and all kinds of business, we live together with you in this world. We go to sea with you, serve in the army with you, work in the country, buy and sell. Our crafts and our labour are at your disposal.” And in a different context: “We have filled everything of yours, cities, tenements, villages, towns, exchanges, even the camp, tribes, town-councils, the palace, the senate, the law-court.”

테르툴리아누스가 로마 제국의 고관들에게 기독교에 대한 변호의 글을 쓸 때 그의 목적은 기독교인들이 충성스럽고 소중한 시민들임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황제와 그의 신하들을 위해, 국가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기도했고, 이웃을, 심지어 세리들조차 속이지 않았고, 매일 직업에 충실하여 살았다. “우리는 브라만, 곧 옷 벗은 현자, 숲속의 거주자, 삶에서의 탈출자가 아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수고하심의 열매를 거부하지 않는다. 당신(국가)의 포럼(공공 광장), 당신의 육류 시장, 당신의 목욕탕과 가게와 공장과 여관과 장날과 모든 사업들과 함께, 우리는 이 땅에서 당신과 함께 살고 있다. 우리는 당신과 함께 바다에 나가고, 당신과 함께 군복무 하고, 지방에서 일하고, 물건을 매매한다. 우리의 기술과 우리의 노동은 당신의 관리 하에 있다.” 그리고 다른 맥락에서는: “우리는 만물을 당신의 것, 곧 도시, 건물, 촌락, 마을, 거래소, 심지어 병영, 부족, 시의회, 궁전, 원로원, 법원으로 채운다.”

 

No doubt this was true enough in fact, and he had a right to state the facts against the common charge that Christians were enemies of the human race. But in writings addressed to Christians Tertullian takes a very different line. The two-sidedness may be somewhat disingenuous, or it may be due to disappointment with the results of his apologetic writings. The State gave no recognition to the Church, and any idea of a Christian State was beyond his horizon. If Caesars could be Christians – but that is impossible. The end of the world will come before that! So far, then, from having any expectation of permeating society with Christian institutions, he does not look for tolerance of Christian peculiarities. The Christian must face the fact that he is going to live in a pagan society, with all its forms and institutions riddled with idolatry, and that the Sate or his neighbours will expect or compel him to do things which involve him in that idolatry, the worst of all sins. How can the Church live in the world?

분명 이것은 충분히 사실적이고, 그는 >기독교인들은 인류의 적이다<라는 일반의 비난에 대항한 사실들을 말할 권리가 있었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에게 쓴 글에서 테르툴리아누스는 매우 다른 방향으로 간다. 이 표리부동은 약간의 부정직함일 수도 있고, 흑은 그의 호교적(護敎的) 저술들의 결과에 실망하여 그랬을 수도 있다. 국가는 교회를 인정해주지 않았고, 기독교 국가에 대한 그 어떤 생각도 그에게 없었다. 황제들이 기독교인이 된다면 ..., 그러나 그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 전에 세상 종말이 올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그는 기독교적 요소가 사회에 스며들기 바라면서도 기독교의 특이성들에 대한 사회의 관용을 기대하지는 않았다. 기독교인은 자신이 >그 형식과 제도가 우상숭배와 얽혀있는 이교도 사회<에서 살게 될 것이라는 사실과, 국가 혹은 그의 이웃들이 >그를 최악의 죄인 우상숭배로 끌어들이게 될 것들<을 행하기를 그에게 기대하고 강요할 것이라는 사실에 직면해 있다. 어떻게 교회는 세상에서 살아야 하나?

 

Tertullian’s answer is to urge Christians to make as clean a break as possible with the world. If the greater part of the world is not to be saved, let the faithful make sure of their own salvation. At the same time, the missionary power of the Church will be enhanced when it becomes clear that Christians possess the secret of a better life. The contrast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must be made to stand out with all possible sharpness. There can be no compromise with paganism in any form. So he will open the eyes of those of his brethren who have not perceived the idolatry lurking behind such apparently innocent pleasures as decking one’s front door with laurels to greet the Emperor; and he will show up the pitiful attempts made by some Christians to have the best of both worlds.

테르툴리아누스의 답변은 기독교인들에게 가능한 한 완전히 세상과 결별하도록 강력히 권면하는 것이다. 세상의 더 큰 부분이 구원받을 수 없다면, 충실한 신앙을 가진 자들은 자신들의 구원을 확실히 이루어야 한다. 동시에 기독교인들이 더 나은 삶의 비밀을 소유하고 있음이 명백할 때에, 교회의 선교능력이 강화될 것이다. 교회와 세상 간의 대조가 가장 선명히 두드러지게 나타나야 한다. 그 어떤 형태의 >이방종교와의 타협<도 있어서는 안 된다. 그리하여 그는 >황제를 환영하기 위해 자기 집 현관에 월계관 장식을 하는 것과 같은 일견 순진한 기쁨< 뒤에 숨어 있는 우상숭배적 요소를 모르는 그의 교우(敎友)들 일부의 눈을 뜨게 할 것이고, 양쪽 세계의 가장 좋은 것들을 갖고자 하는 일부 기독교인들의 한심한 시도들을 폭로할 것이다.

 

That there must have been many problems is obvious. They had arisen in Corinth, and Tertullian has Paul’s letters much in mind. The Epistle to Diognetus had indicated the paradoxes of Christian life in the world, without giving advice on specific issues. The Jews had their own difficulties. It is interesting to compare with Tertullian the almost contemporary tractate of the Mishnah, Abodah Zarah (Idolatry). Another comparison worth making is with Clement of Alexansdria, who in some ways is more liberal and humanistic than Tertullian, but has his own fundamental preference for the life of contemplation over the practical life. Tertullian began with a book On the Shows, in which he argued that Christians must keep away from theatre, arena, circus, and so forth, partly because they are generally immoral, but primarily because of their connexion with idolatry. Again, in On the Soldier’s Crown, he repudiated the military service which he had brought forward in the Apology, partly because of the moral issue, but essentially because the soldier cannot easily escape participation in idolatry. Another work, On Women’s Dress, attacks the moral offences of vanity and luxury, but also points out the pagan associations of so many of the details of fashionable costume.

많은 문제들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그것들은 고린도에서 발생했고, 테르툴리아누스는 바울 서신들을 많이 생각하고 있었다. 디오그네투스 앞 서신은 개별 이슈들에 대한 조언 없이 세상에서의 기독교인의 삶의 역설들을 지적했다. 유대인들은 자신들만의 곤경이 있었다. 테르툴리아누스와 >그와 거의 동시대의 미슈나(유대교의 구전 율법)와 아보다 자라(바벨론 탈무드 네찌킨(Neziqin, 상해)의 여덟 번째 장(Tractate)인 아보다 자라(Abodah Zarah)는 우상숭배와 관련한 규례로서 이방신 숭배자와 우상숭배와 관련된 물건들에 관한 규정들을 다루고 있다. 출처 : 가스펠투데이(http://www.gospeltoday.co.kr))에 관한 논설<을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롭다. 그와 비교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가 있다. 클레멘트는 어떤 점에서는 테르툴리아누스보다 더 자유주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이지만, 현실의 삶보다는 묵상의 삶에 대한 타고난 선호가 있다. 테르툴리아누스는 흥행(쇼)에 관하여라는 책으로 시작한다. 이 책에서 그는 기독교인들이 극장, 투기장, 서커스, 등에 가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것들이 외설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된 이유는 그것들이 우상숭배와 연관되어 있어서 그렇다는 것이다. 또 용사의 면류관에서 그는 그가 변증에서 말했던 군복무를 거부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도덕 문제가 있기도 했지만 근본적으로는 병사들이 우상숭배에 불참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다른 글 여성의 복장은 허영과 사치라는 부도덕을 규탄하기도 하지만, 최신 유행복들의 수많은 요소들이 이방종교와 관련되었음을 지적한다.

 

On Idolatry tackles the subject more broadly. Every Christian knows that he must not worship idols. But what does that principle entail? Many points are clear to Tertullian. A Christian cannot serve as a magistrate, a soldier, a schoolmaster, or in any profession which involves him directly in idolatrous ceremonies. The Christian craftsman must not build temples, make images or anything else explicitly for use in the pagan cultus. The Christian business man must not sell wares, incense for example, for such a purpose. Further, the Christian must not allow the pagan to think that he admits the existence of the heathen gods, for instance by taking oaths by them; and he must avoid anything which would minister to the demons – and for Tertullian these are very real – who stand behind the idols. This excludes dabbling in magic and astrology. But Tertullian presses very hard. The craftsman and the merchant and the tradesman must take care that they do not indirectly minister to idolatry. Push this to the extreme limit, and there will be few things that they can sell. It will be practically impossible for a Christian to be a carpenter or a farmer. Tertullian does not in fact insist on the extreme logic of his position, as a number of writers have too glibly asserted of him. Often he is mocking at excuses, and has his tongue in his cheek. He does maintain that in the last resort one must be prepared to suffer the loss of everything for one’s faith. There is more than one kind of martyrdom, and the blood of the martyrs is the seed of the Church.

우상숭배에 관하여는 이 주제를 좀 더 폭넓게 다룬다. 모든 기독교들은 우상을 섬기면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원칙이 어떤 결과를 수반하나? 여러 문제들이 테르툴리아누스에게 분명히 다가온다. 기독교인은 행정관, 군인, 학교 교사, 혹은 우상숭배 의식과 직접 연관된 그 어떤 직업도 가질 수 없다. 기독교인 기술자는 신전을 지으면 안 되고, 우상이나 명백히 이교의식에 쓰이는 그 어떤 것도 제작하면 안 된다. 기독교인 경제인은 그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기물(器物)들이나 향을 팔면 안 된다. 더 나아가 기독교인은 이교 신들의 이름으로 맹세를 하여 자신이 그 신들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처럼 이교도들에게 비쳐서도 안 되고, 우상들의 뒤에 있는 귀신들을 섬기는 그 어떤 일에도 관여해서는 안 된다. 테르툴리아누스에게 이 귀신들은 매우 현실적이었다. 이것은 장난삼아 마법과 점성술을 하는 것을 배제한다. 그런데 테르툴리아누스는 매우 심하게 압박한다. 장인(匠人), 무역상인, 소매상인은 간접적으로라도 우상숭배에 연루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이것을 극단적으로 강조하면 그들이 팔 수 있는 물건이 거의 없게 될 것이다. 기독교인이 목수나 농부가 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사실은, 많은 자들이 테르툴리아누스에 대해 그럴듯하게 말하는 것처럼 그가 그의 입장에 대한 극단적 논리를 고집하지는 않는다. 자주 그는 변명들을 조롱하고, 조롱하는 투로 말한다. 강력히 그는 최후의 수단으로 우리가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잃을 준비를 해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순교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순교의 피는 교회 탄생의 씨이다.

 

The book largely speaks for itself. There may be more than one view about the practicability of its ethic and discipline. Its author does not envisage a society which, though still pagan, is prepared to make allowances for Christian difficulties. Yet this happened more and more as the third century went on. Already the pagans who tried to respect Christian consciences and yet wanted firm contracts (chap. 23) are an instance of this. The discussions about public office and military service turned on the possibility of avoiding idolatry, and evidently some thought this could be done. As the Church grew, it was to be expected that, except in the sporadic times of persecution, society would find ways for Christians to partake more fully in public and social life. With that would come dangers which Tertullian was not prepared to risk. On the other hand, if the danger of dropping Christian standards could be overcome, increasing involvement in the world might increase opportunities of converting the world. But Tertullian had no hope of baptizing the customs and institutions of the Roman world.

이 책은 주로 자기 의견을 말하고 있다. 이것의 윤리나 기율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몇 개의 소견은 있겠지. 이 책의 저자는 >여전히 이교적이지만 기독교인들의 힘든 점들을 참작해주는 것이 준비되어 있는 사회<를 상상하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이것이 시간이 제 3세기를 지나며 점점 더 발생하게 된다. 이미 >기독교인의 양심을 존경하기를 노력함에도 분명한 대조를 원하는 이교도들<이 그 실례(實例)가 되었다. 관청과 병역에 대한 고찰(考察)은 우상숭배 회피의 가능성을 열어놓았고, 분명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교회가 성장함에 따라, 간헐적 핍박의 시기를 제외하고, 사회가 기독교인들이 좀 더 충실히 공중(公衆)생활과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방도를 찾는 게 기대되었다. 이것과 함께 테르툴리아누스가 대처할 준비가 안 된 위험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기독교 기준들이 제거되는 위험이 극복될 수 있다면, 점점 증대되는 >세상 안으로의 휩쓸림<은 세상을 개종시킬 기회를 증대시킬 것이다. 그러나 테르툴리아누스는 로마 세계의 관습과 제도에 세례를 베풀 기대는 하지 않았다.

 

The problems which he forced upon his contemporaries cannot be evaded, even if they can be handled rather more temperately. They arise every day where Christians live in a professedly non-Christian society, and they arise no less, if sometimes unrealized – which was one of his concerns – in nominally Christian surroundings. How many Christians even now make objects for heathen cults without thinking what they are doing? In what ways should we “respect other people’s opinions” in matters of religion? And what is not a matter of religion? This is Tertullian’s fundamental point. He wanted Christians to search for the religious implications of everything they did. In detail he was too scrupulous, most of us would probably say, but the challenge is sound in principle. One has but to think of a few sayings which imply autonomies – art for art’s sake, business is business, political necessity, reasons of State.

테르툴리아누스가 그 시대 사람들에게 강력히 주장한 문제들은 회피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그것들이 좀 더 온건히 다뤄질 수 있었는데도 말이다. 그것들은 기독교인들이 공공연한 비기독교 사회에서 사는 곳에서 매일 발생하고, 또한 가끔은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지만 (이 경우도 그의 관심사 중 하나임), 명목상의 기독교 지역에서도 그에 못지않게 발생했다. 오늘날에도 얼마나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교 종교의식들이 뭘 하는지도 모른 채 그것들에 대해 말들이 많은가? 어떻게 우리는 종교문제에 있어서 “다른 자들의 소신을 존중해야” 하는가? 이것이 테르툴리아누스의 기본 논지다. 그는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모든 행위에 내포된 종교적 의미를 발견하기 원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가 개별적 사항들에서는 너무 꼼꼼하지만 그의 대담한 시도는 원칙적으로 바른 것이었다고 말할 것 같다. 우리는 자치권을 암시하는 몇몇 속담들을 되새겨볼 수밖에 없다: ‘예술을 위한 예술’, ‘비즈니스는 비즈니스다’, ‘정치적 필요’, ‘국가 논리’.

 

                                                            II

 

Some would group De Idololatris with De Spectaculis, to which it refers, and place it about A.D. 200. Others associate it with De Corona Militis, which can be dated to A.D. 211. Monceaux regarded this as proved by what he took to be a reference to De Corona in c. 19: “The question is now being discussed” (cf. De Corona, 11), and he suggested that the public joys of c. 15 were those upon Caracalla’s accession in 211. This is likely enough, though the word in chapter 19 do not prove that De Corona had actually been written. If the book is thus dated, it was written when Tertullian was well on the way to Montanism. It contains none of the out-and-out Montanist terms which would prove this later date, such as psychicus for the non-Montanist Christian; but neither does De Corona, which is certainly of A.D. 211. There are several references to the Holy Spirit, but none such as to prove the Montanism, and there are two or three other phrases (cf. notes 19, 63) which might be held to show Montanist leanings, though they are not demonstrative.

혹자는 우상숭배에 관하여를 >그것이 언급한 바 있는 흥행에 관하여<와 같은 그룹에 넣고, 그 저작 시기를 서기 200년으로 잡는다. 어떤 자들은 그것을 서기 211년에 나온 용사의 면류관과 연관시킨다. 몽소(Monceaux)는 19장에서 면류관에 관하여에 대한 언급으로 판단되는 것에 근거하여 그게 옳다고 본다. “이 문제는 이제 논하여 질 것이다” (참고 면류관에 관하여 11장). 그리고 그는 15장의 대중의 즐거움들은 211년 황제 카라칼라의 즉위에 대한 것들일 것이라 한다. 이것은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주장이다. 19장의 단어가 면류관에 관하여가 실제로 이미 저술되어 있었는지는 증명하지는 못할지라도 말이다. 이 책의 저술 시기가 그때라면, 그 시기는 테르툴리아누스가 상당히 몬타누스파로 향해가던 때이다. 그것은 비(非)몬타누스주의 기독교인들과 연관된 psychicus(영혼의, 정신의)와 같은, >이 나중 시기<를 입증할 철저한 몬나누스주의 용어들을 하나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분명히 서기 211년에 나온 면류관에 관하여도 그것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성령에 대해 몇 번의 언급이 있었으나, 몬타누스주의를 입증하는 언급들은 없었으며, 그리고 예증은 못될지라도 몬타누스주의 성향으로 판단할 수 있는 두 세 어구(語句)들이 나온다 (참고 각주 19, 63).

 

Even if the work was written at this stage in Tertullians’s life, we should not too quickly conclude that its severity is merely the product of Montanism. De Spectaculis, for instance, is an early work. It might rather be that it was the rejection of his uncompromising views and the refusal to enforce them by the disciplinary system of the Church which drove him to the final break; for this must have occurred soon afterwards. The book itself is written as from within the Church.

이 글이 테르툴리아누스의 삶의 이 단계에서 기록되었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 글의 엄격함이 단지 몬타누스주의 산물이라고 속단해서는 안 된다. 예컨대 흥행에 관하여는 초기작이다. 그보다는 그를 최종 이탈(분리)로 내몬 것은 >그의 비타협적 견해에 대한 거부<와 >교회의 징계제도를 통한 그의 주장들의 실행에 대한 거부<였다. 그의 이탈이 곧바로 일어났기에 하는 말이다. 이 책 자체는 기독교 내부로부터 나온 글이다.

 

- 이하생략 -